•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강. 제 2언어습득의 교수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강. 제 2언어습득의 교수법"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mE GTM Reform Movement

Direct Method

Reading Approach

Audio-lingual Approach

Cognitive

Approach Method Era TBLT

(strong version)

1880s 1880s-

1910s

1920- 1930s

1930-

1960 1960s 1970s-

1980s 1980s-

CLT(1960s-)

BrE Reading

Approach

Oral- situational Approach

Notional- functional Syllabus

TBLT (weak version)

2강. 제 2언어습득의 교수법

학습목표: SLA 역사에 관련한 주요 언어교수법의 개념 및 변천사를 이해할 수 있다.

1. 언어 교수법의 역사(by 신동광, 2011)

1)

19세기 초반까지 미국의 언어교육과 영국의 언어교육은 1천년간을 이어온 문법번역식 교육 (Grammar-translation Method)이 주를 이뤘다는 면에서는 동일하다. 교양과목으로 희랍/라틴 어를 배우는데 있어 문법에 초점을 둔 번역식 교육이면 충분했고 그러한 번역식 교육이 인지 능력의 발달에 도움을 준다고 믿었다. 하지만 산업혁명이후 꾸준한 무역과 국제교류의 증대로 의사소통을 위한 말하기 능력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학계에서도 의사소통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자각의 목소리가 커지게 되었다.

그러한 요구로 말하기 중심의 교육이 19세기 후반의 교육변화 운동(Reform Movement)과 함께 사설교육기관을 통해 인기를 끌며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가 직접식 교수 방법(Direct Method), 소위 “Berlitz Method”였다. 직접식 교수방법은 원어로 수업하는 방식의 몰입식 교육으로 직접 몸동작을 보여주면서 지도를 하기 때문에 기초수준의 학생들에게는 흥미유발과 언어교육의 효과 면에서도 매우 성공적이었지만 원어민 수준의 교사확보 문제와 추상적인 개념을 몸동작으로 설명하는데 있어 한계점을 들어내며 상위수준의 학습자들에게는 적절하게 사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도 잠시,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다시금 읽기 중심의 교육으로 회귀하게 된다.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외국어 교육에 있어 가장 필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이 읽기교육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짐에 따라 미국과 영국에서는 모두 읽기중심 접근법(Reading Approach)가 주를 이루게 된다.

하지만 미국과 영국의 언어교육의 흐름에 있어 커다란 차이를 만드는 일대 전환기된 역사적 사건이 발생한다. 1957년 당시 소련에서 스푸트닉(Sputnik)호라는 인공위성을 발사하게 되는 데 이것은 미국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가져다준다. 세계과학의 중심이 미국이라는 자부심에 큰 상처를 준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우방국과의 교류를 통해 선진 과학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는 정책적인 결정과 함께 이러한 교류를 위한 외국어교육이 강화되었다. 1958년 “국가 방어 교육안(National Defence Education Act)”이 미 의회에서 통과됨에 따라 많은 언어교육

1) 한종임, 안현기, 황종배, 이화자, 신동광, 차경환, 김은주, 차경애, 이정원, 문영인, 신상근, 김규미

(2011).

영어교육론: 현대영어학 총서 3

. 서울: 종합출판. (ISBN 978-89-8099-359-1 93740)

(2)

연구기관이 설립되었고 외국어교육을 위한 기존의 교수법들에 대한 연구와 검토가 이루어졌다.

그 중 당시 가장 최근에 효과성이 검증된 것이 2차 세계대전 중에 연합군의 작전수행을 위해 도입되었던 육군 특수 언어훈련 프로그램(Army Specialized Program)이었다. 이 교수법은 첩보원의 훈련이나 연합군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개발된 언어교수방법으로 일상 생활표현 중심의 듣기/말하기에 초점을 둔다. 그리하여 나름대로 성공을 거둔바 있는 이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한 행동주의의 대표적인 청화구두식 접근법(Audio-lingual Approach)이 1960년대 초반까지 미국 언어교육의 흐름을 주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미국 언어학계에서 읽기중심 접근법은 급격히 쇠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까지도 미 국방부에서 언어교육의 상당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영국에서는 말하기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을 하였으나 미국과는 다르게 그 이후에도 상당기간 읽기중심 접근법이 강세를 보이면서 구두상황식 접근법(Oral-Situational Approach)의 도입을 통해 의사소통능력중심의 교육 또한 강화하였다. 이러한 두 시스템의 공존으로 영국권 국가에서는 현재까지도 꾸준히 읽기중심 접근법에 바탕을 둔 연구와 교재개발이 지속되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으로 돌아선 미국의 언어교육은 “무엇을 가르치느냐(what to teach)”에서

“어떻게 가르치느냐(how to teach)"로 급속히 전환하게 된다. 이러한 논쟁은 기존의 교수내용에 초점을 둔 "종합적 교수요목(synthetic syllabus)"과 학습의 방법론 쪽에 초점을 둔 “분석적 교수요목(analytic syllabus)"과의 충돌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는 이러한 원론적인 논쟁의 시대는 이미 끝났지만 이시기 뿐 아니라 1990년대 후반까지도 논란이 되던 문제였다. 종합적 교수요목은 일종의 상향식 접근법(bottom-up processing)으로 단어와 같은 하위 항목을 이해하고 그것을 문법적 구조에서 바라보면서 문장 더 나아가 문단의 범위로 이해해 가는 방법이다. 다시 말해 미리 가르쳐야 할 내용들(예, 발음, 단어, 구, 문법 등)을 정해 놓고 학습이나 교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면 분석적 교수요목은 하향식 접근법(top-down processing)으로 Long(1990)이 주도하는 순수한(strong version) 과제중심 교수방법(Task-based Language Teaching: TBLT)이 대표적이다.

이는 학습내용을 사전에 정한다는 것은 습득의 순서(acquisition order)를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예측은 사실 상 불가능하고 미리 정해진 특정 표현을 가르치기 위해 실제적이지 않은 어색한 표현들을 교재에 수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전통적인 접근법에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대신에 학습자의 요구조사(need analysis)를 통해 주제(topic)가 정해지면 그 주제에 따른 과제(task)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필요한 표현들을 습득할 수 있다(incidental learning)는 것이 Long의 입장이다. 그리하여 Long은 두 가지 경우를 모두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는 Willis(1990)나 Ellis(2003)의 수정버전(weak version)과도 결코 타협하지 않았다.

우리나라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근간된 언어교육적 이론은 1960년부터 꾸준히 개선·발전된 의사소통식 언어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LT)으로 CLT의 특징은 기존의 다양한 교수학습 이론과 교수법의 장점을 모두 선택적으로 취해 활용한다는 점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의 학습내용에 포함된 의사소통의 기능은 1970년대 유럽에서 개념 (notion, 예-시간, 거리)과 기능(function, 예-시간묻기, 약속정하기 등)의 목록화하여 제시한

(3)

Notional-Functional Syllabus에 기반하고 있다.

끝으로 1970년대는 교수법의 시대라 불릴 만큼 많은 교수법이 개발되어 유행되었다. 참고로 교수법(method)은 접근법(approach)과 같이 이론적 배경이 있는 패러다임과 달리 주로 개인의 학습경험에 근거한 이론적 기반이 약하고 유행에 민감하고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일컫는다. 이 시기 대두된 교수법과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Community Language Learning(CLL)

학습자들이 원을 그리며 둘러 앉아 모국어로 주어진 주제에 대해 대화를 하면 교사는 이를 목표어로 통역을 해주는 방식으로 학습자는 자연스럽게 모국어의 표현이 어떻게 목표어로 번역될 수 있는지를 습득한다. 초기 교사 의존적인 수업을 진행하다 언어능력이 발달하면 독립적으로 표현을 구사하는 방식으로 언어교육이 진행되기 때문에 학습자 정의적인 부담감을 낮추는 효과는 있지만 교사의 부담이 크며 학습자가 자발적인 발화시도를 하지 않을 경우 교육의 효과성이 저하될 수 있다.

2) Suggestopedia

일종의 최면식 언어교수학습 방식으로 아동의 언어학습 특성을 관찰하여 이를 적용한 언어 교수법이다. 아동이 단시간 내에 언어를 습득하는 이유를 정의적인 요인에 있다고 보고 이 교수법에서는 바로크 음악과 편안한 소파와 같은 환경 요인을 제공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 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환경 조성을 위한 재정적인 요인의 제약과 상대적으로 이론적 기반이 약해 대중화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3) Silent Way

침묵식 교수법은 학습의 출력을 최대한 이끌어 내기 위해서 교사는 발화를 최소하는 방식의 교수법이다. 교사는 Cuisenaire Rod라는 색깔 블록과 차트 등을 활용하여 언어입력을 제공하고 이러한 교수자료에 언어적 상징성을 부여하고 이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발화를 유도한다.

하지만 학습자의 명시적 설명이 보다 효율적인 상황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4) Total Physical Response(TPR)

TPR은 지금도 초등학교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교수법으로 율동을 동반한 언어교수학습 방법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11세 전후 우뇌와 좌뇌의 기능이 분화되면 언어학습에서도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Critical Period Hypothesis에 기반하여 우뇌와 좌뇌를 모두 활성화하기 위해 언어 학습에 율동을 추가하여 지도한다. 학습자의 흥미도 유발에 좋고 대규모 학급에서도 학습의 율동 일치도를 보며 이해정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추상적인 표현의 학습이 어려워 기초 단계에서만 주로 사용된다.

5) Natural Approach

(4)

Natural Approach는 모국어의 습득과정에서 착안하여 자연스런 언어 습득과정을 제 2언어 학습에도 적용하고자 하는 교수법으로 이론적 배경으로는 5개의 가설에 기반하고 있다.

(1) Acquisition/Learning Hypothesis

Krashen은 의식적으로 언어 요소를 배우는 것을 ‘학습(learning)'이라고 규정하고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런 노출을 통해 언어 ’pick-up'하는 활동으로 ‘습득(acquisition)'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Krashen은 습득을 통한 과정적 지식은 실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사용이 가능한 반면 학습을 통한 선언적 지식은 언어 요소를 분석하는 모니터링 역할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학습을 통한 언어 지식은 습득을 통한 언어 지식으로 전환이 불가능하다고 못 박고 있지만 이러한 가설은 더 이상 통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인 반복을 통한 자동성(automaticity)에 따라 학습된 지식도 습득된 지식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학설이다.

(2) Monitor Hypothesis

Krashen은 의사소통과 같은 동시성과 즉각성으로 인해 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은 실제 의사소통에서 활용이 불가능하고 언어요소의 문법적 분석에 사용되는 즉 모니터링 역할을 하는 선언적 지식으로 규정하고 있다.

(3) Natural Order Hypothesis

언어의 습득에는 자연스런 순서가 있다고 바라본 가설이다. 이는 행동주의 대조분석가설과 같이 언어습득의 순서, 언어습득 시의 언어요소별 난이도 예측에 활용되었다. 하지만 실제 언어습득의 순서는 개인차가 크고 정확하게 예측한다는 것도 여러 변수로 인해 사실 상 쉽지 않기 때문에 언어교수학습 시에 대략적인 가이드라인 정도로만 활용되고 있다.

(4) Input Hypothesis

Krashen의 주장 중 가장 중요한 가설이며 대체로 인정받는 가설이 바로 입력 가설이다.

언어습득을 위해서는 충분한 양의 입력(input flooding)이 필요하며 그 입력 자료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현재 수준(i)보다 약간 높은(+1) 수준의 입력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하나의 교실 수업에서는 다양한 학습자의 수준으로 인해 이러한 i+1의 절대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Krashen의 경우 개인의 수준에 맞는 다독활동을 i+1을 제공하는 이상적인 수단이라고 주장하였다.

(5) Affective Filter Hypothesis

학습자의 학습효과 연구가 대부분 인지적인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실제 학습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습동기로서 이러한 정의적 요인의 조절이 언어학습에 매우 중요하다 는 것이 Affective Filter Hypothesis의 중요 내용이다.

(5)

2. 학습 내용 평가

Q: 다음에 제시된 언어 교수법의 명칭을 쓰고 초등영어교육의 입장에서 그 장단점을 논하시오.

This teaching method attempts to teach language through physical activity. At first the focus is on comprehension but comprehension is a means to an end.

The ultimate aim is to teach basic speaking skills. The difficulty of the input is gradually increased and eventually students take over the teacher's role.

Unlike other methods that reflect a grammar-based or structural view of language, this method requires initial attention to the meaning rather than to the form of items. Grammar is thus taught inductively

(출처: 2013학년도 공립 초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A: TPR(Total Physical Response)이며 TPR은 율동과 함께 언어를 학습하는 것으로 언어를 담당하는 좌뇌와 운동신경을 담당하는 우뇌를 모두 활성 화하여 언어학습을 최대화하려는 교수법이다. 초등교육에서는 학습자의 흥미도가 높고 학습자의 긴장감을 낮추며 대규모 학급의 경우 학습자의 이해정도를 율동의 일치를 보며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추상적인 개념학습이 어렵고 실질적인 학습효과는 의문점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참조

관련 문서

입자크기가 50 nanometer 이하의 나노size 초미립자들은 신소재로서 많이 활용되고 있 다... Theories and

carboxylic 산 인 아크릴산은 흡수용 고분자로써 산업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 라즈베리 파이는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SBC(single-board computer)로서, 리눅스 운영체제로 동작 하는 초소형 컴퓨터임.. • 라즈베리 파이가 널리 사용되고

자신이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하다고 생각 하는 것은 무엇이고, 그 이유를 말하라.. 초등학교에서 기본교육이 중요한

국내 기업 역시 수익을 동반한 성장을 지속적으로 이루어 내는 것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성장은 둘 째치고 현재의 시장 지위를

사회학 분야에서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사회 연결망 분석기법 (Social Network Analysis) 이 최근에는 기업집단 분석을 위한 새로운 도 구로 활용되고 있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모바일인터넷 사이트가 구축되어 있는 사용자 를 위해 콜백(Callback) URL이라 불리는 사이트 직접이동 기능이 추가된 메시지를 발송할 수

safety valve에 비해 가격하한제는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아 왔지만 Regional Greenhouse Gas Initiative(RGGI)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한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