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에 의한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에 의한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21.02.10 심사기간_2021.03.01-14 게재확정일_2021.03.24 DOI https://doi.org/10.47294/KSBDA.22.2.51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에 의한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Usability by Combining Autonomous Vehicles and Living Spaces

허현우,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대학원 / 조택연, 홍익대학교 공간디자인 대학원 Hur, Hyun Woo_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

Cho, Taig Youn_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자율주행 자동차의 사용성 2.1. 자율주행 자동차

2.2.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공간 활용 2.3. 자율주행 자동차의 방향

3. 거주 공간의 변화 3.1. 거주 공간의 의미 3.2. 소형 공간의 활용 3.3. 이동 가능한 거주 공간

4.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 4.1.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화

4.2. 자율주행 자동차로 인한 공간 확장 4.3. 이동성으로 인한 공간 활용 5. 결론 및 제안

References

(2)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에 의한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ansion of Usability by Combining Autonomous Vehicles and Living Spaces

허현우, 홍익대학교 산업디자인 대학원 / 조택연, 홍익대학교 공간디자인 대학원 Hur, Hyun Woo_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

Cho, Taig Youn_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요약

중심어 자율주행 자동차 거주 공간 융합

움직이는 공간

현재 사회의 거주 방식은 삶의 방식에 따라 변하기 시작하였다. 주거공간의 높은 비용과 도시의 밀집, 사회적 인식 등으로 인해 자신의 주거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대부분이다. 또한 자동차의 이 동이 많아지면서 운전만이 아닌 여가 시간의 활용을 필요로 한다. 이 연구는 현재 과학 기술 및 근 미 래의 기술인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을 통해 이동이 가능한 거주 공간의 가능성을 알아 보고 이를 통해 다양한 공간의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발표된 문헌 자료와 자동차 회사들의 자율주행 자동차 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자동차 회사 인터넷 사이트들을 참고하였다. 자동차 회사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운전 외의 행위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장거리 이동을 위한 콘셉트들을 선보이고 있고, 이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 변화를 통해 이동 시 실내 활동 가능 성을 보여준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은 생활 공간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거주 공간과 자율주행 자동차가 결합하여 공간의 개념이 확장 가능해 질 것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화 로 인해 자동차의 개념과 현재의 거주 공간의 개념이 변하고 서로 결합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의 협 소한 공간을 강소 주택의 개념과 결합하여 생활 공간으로 적용하였고 숙식, 업무, 욕실 등 자신이 원 하는 공간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거주 공간과 자율주행 자동차의 생활 가능한 공간의 결합 가능성으로 확장된 자신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더는 한 군데에 머물며 삶을 사는 것이 아닌 자유 롭게 노마드적인 삶으로 변할 것으로 예상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주 공간을 사용할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자율주행으로 인해 거주 공간의 활용성이 다양해지고 자유로운 거주 생활이 가능할 것이다.

공간의 결합 가능성으로 어디든 자신만의 공간이 생겨나며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생활하여 과밀도화 되고 있던 도시도 더욱 다양하고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변할 것으로 예상한다.

ABSTRACT

Keywords

autonomous vehicle living space convergence moving space

The current society way of living began to change according to lifestyle. Due to high cost of

living space, concentration of the city and social awareness, most people do not have their own

residential space. In addition, as using automobiles to transfer increases, it is necessary not only

driving but to utilize leisur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a movable living space and to expand the usability of various spaces through combining living

space with autonomous vehicle which is a technology of present and near future. As a research

method published literature data and web sites of automakers were referred in order to research

the concept of autonomous vehicle. Automakers are investigating behaviors other than driving and

presenting concepts for long-distance travel. They show the possibility of indoor activities when

driving through the interior change of autonomous vehicles. The interior of autonomous vehicle is

attempting to change into a living space. Furthermore, the concept of space can be expanded by

combining living space and autonomous vehicle. It seems that the concept of cars and current

living space will change and combine with each other due to the spat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Confined space of a car was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compact-but-effective

houses to apply as a living space, and also it can be used as accommodation, work space, and

bathroom. It can be formed as users own expanded space by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living

space and the living space of an autonomous vehicl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no longer stay

in one place and live their lives but change into a nomadic life. It can be a way to use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utilization of living space will be diversified due to

autonomous driving, making possible for unconstrained living. With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spaces, it can be created anywhere according to persons lifestyle, therefore it is expected cities

that becoming overdensed will become more diverse and environmental friendly.

(3)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는 편리하고 효율적인 생활을 선호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활동과 생활 방식으로 거주 공간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김남희는 독신 거주자를 위한 최소규모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자료에서 노동인구의 증가와 여성의 사회적 위치, 기회의 다양성 등으로 인해 주거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과거보다 상대적으로 줄어들었으며 잠을 자는 용도만의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Kim, N., 2004, p.12). 현대인들은 가족을 위한 주거에 비중을 두어 소유하기 보다는 자신의 일자리, 선호하는 장소 등의 개인적인 공간의 인식으로 거주 공간의 개념이 변화 되고 있다. 일자리나 주변에 의해 이동하는 현대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원하는 장소의 거주 공간을 갖기 위해서는 이동식 거주 공간의 필요성을 고려해야 한다. 더 나아가 필요한 공간을 넓히기 위해 장소를 이동하기보다는 그 안에서 공간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를 위해 거주 공간의 개념과 생활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 을 결합하여 이동이 가능한 거주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현재 과학의 발달로 인해 자율주 행 자동차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자율주행 4단계로 운전자의 개입 및 주시 없이 출발 시점에서 목적지까지 자동차가 스스로 판단하여 움직이는 단계를 바탕으로 하였다.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는 이동 시 자동차 내에서 시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관해 연구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 없이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기에 실내에서 운전 행위가 아닌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미래 자동차 공간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동향 자료에서 주다영은 사용자들이 운전이 아닌 휴식, 관광, 건강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자율주행 자동차로 인해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Ju, D., 2018, p.38). 이 행위로 인하여 기존의 운송 수단이었 던 개념에서 이동하는 공간으로의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동차의 인테리어에 도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며 더욱 많은 가능성이 보인다. 현재 자율주행 콘셉트 카의 인테리어는 완전 자율주행이라는 가정 아래, 운전 좌석을 없애고 실내를 넓혀 수면과 업무를 볼 수 있게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이동 수단에서 개인의 생활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발전 가능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현재 콘셉트 카들의 사례와 자율주행의 기술 및 자동차의 생활 공간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일자리의 연장이 가능한 업무, 회의, 숙식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자동차라는 공간을 거주 공간과의 결합으로 편리함 을 줄 것이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주 공간을 사용할 방안이 될 수 있으며 공간의 변화로 인해 거주 공간의 활용성이 다양해지고 자유로운 거주 생활로 근 미래에 충분히 이동식 거주 공간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들의 일자리 및 삶의 방식에 맞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주거공간을 위해

자율주행 자동차를 결합시킨 이동식 거주 공간을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자율주행 자동차가 생

활 및 거주 공간 개념으로의 확장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자율주행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개념 및 주행 단계를 알아보고 자율주행 자동차 공간 안에서 이용 가능한

업무나, 여가활동 등의 행위를 통해 공간의 활용성과 사용성에 대해 조사하여 현재 나오고 있는

자율주행 인테리어를 콘셉트 카의 사례로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인간의 삶에서 중요한 거주

공간의 개념에 관해 연구하여 목적과 필요성을 통해 미니멀 건축과 소형주택을 바탕으로 거주

공간과 자동차의 관계와 결합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화에

대해 제시하였고 자동차로 인해 공간의 변화, 물리적인 확장, 거주 공간의 이동성의 공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구성되는 공간과 이동하며 거주할 수 있는

주거공간뿐 아니라 결합을 통한 다양한 공간의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연구방법은 발표

된 국내외 문헌 자료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 변화에 대하여 알아

보았고, 보고서 및 자동차 회사 정보 사이트 등의 인터넷 자료들을 참고하였다.

(4)

2. 자율주행 자동차의 사용성 2.1. 자율주행 자동차

자율주행 자동차는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용자가 도로에 주시하지 않고 자동차 스스로 주 변 환경을 판단하여 운행이 가능한 것을 의미하며 이것으로 안전하고 운전으로 소비되는 시간 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조희영은 미래의 자동차 기술, 자율주행차, 건축과 사회의 연구자료에서 자율주행 자동차가 운행하기 위해서는 도로상황을 주시하는 카메 라, 레이더, 라이더 등 다양한 상황에 대응하고 계산할 수 있는 센서들이 있으며, 센서들을 통해 얻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상황에 맞는 판단과 자동차를 제어, 명령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다음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언급한다(Cho, H., 2018, p.79).

또한, 위치정보인 GPS 등을 통한 내비게이션과 같은 시스템이 필요하며 출발지점에서 목적지 까지의 거리, 위치, 교통상황 등을 이용하여 스스로 운행할 수 있게 된다. 미국의 NHTSA(도로 교통안전국)에 의하면 자율주행 자동차 단계는 운전자가 모든 조작을 하는 0단계를 제외하고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김경석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운행에 관한 법적 대응방안 연구자료를 보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단계 중 0단계는 운전에 필요한 모든 조작을 기 술 없이 운전자가 직접 하는 단계이다. 1단계는 현재 표준화되어 있는 단계로 0단계와 같이 거 의 제어와 주행을 운전자가 하며, 스마트 크루 즈와 같은 장착된 기능이 운전자를 도와주는 수 준이라고 할 수 있다. 2단계는 2가지 이상의 기 술이 운전자를 도와주어 손과 발은 자유로워진 상태를 말한다. 3단계는 특정 지역 등에서 자율화가 가능한 단계로 도로상황에 상시 주시가 필요 없어진 단계를 말하며 마지막 4단계는 완전 자율 주행으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어느 장소 에서나 자율주행이 가능하며 도로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없어진 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Kim, K., 2018, pp.6-7).

2.2.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공간 활용

자율주행 자동차로 인해 물리적 행동이 사라지고 어디든 갈 수 있는 장소의 확장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운전자가 다양한 용무를 위해 목적지까지 운전했던 행위가 자율주행 자동차로 인해 생활 공간으로 대체되어 개인 활동이 가능한 장소로 제공하게 될 것으로 본다.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념은 운전에 사용되던 시간을 활용 방안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로 인해 외관보다는 인테리어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 차별 화 개념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자료에서 이정교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인테리어 공간은 현재 과학 기술인 AI(인공지능), IOT(사물 인터넷), 가상으로 연결 해주는 커넥티드 환경하에 자율 주행 자동차 운전자가 사용하는 행위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영역 그리고 시트 영역 으로 구분될 것이라고 주장한다(Lee, J., 2017, p.127). 미래의 자동차는 이동 수단으로서가 아닌 생활 공간, 사무 공간, 공공 공간으로 사용되어지고 또한 거주 공간의 연장되는 공간으로 사용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이용자들이 생활 활동이 가능하다고 할 때 차량 안에서 할 수 있는 행위로는 권주영과 주다영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에서의 사용자 행위 지원을 위한 실내공간 설계 자료에 의하면 개인적인 용무와 업무 활동이 있으며 개인적인 활동으로는 외모 관리를 위한 화장 및 옷 갈아입기, 의료 서비스받기, 식사 등의 활동이 있다. 휴식으로 명상, 수면 등이 있고 취미활동으로 화상, 음악감상, 영화시청 등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Kwon, J., & Ju, D., 2018a, p.921). 이것은 권주영과 주다영의 완전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 설계를 위한

0단계 운전자가 모든 조작을 하는 단계 1단계 운전자를 도와주는 수준

-스마트 크루즈

2단계 운전자의 손과 발이 자유로운 상황 -차선이탈 방지 + 스마트 크루즈 3단계 특정 구역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한 단계

-특정 구간에서 자율주행

4단계 완전 자율 주행으로 운전자가 필요 없는 단계 -완전자율주행

<Table 1> Autonomous Vehicle Phase

(5)

문헌연구 기반의 실내행위 분석 및 유형화의 자료를 통해 아래의 표2(Kwon, J., & Ju, D., 2018b, p.14)와 같은 행위들이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에서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권주영과 주다영의 설문자료에 의하면 자율 주행 자동차가 활성화될 경우 자동차의 공간 내에서 운전 외의 다양한 행위를 하고 싶어 하는 사용자가 71.6%로 높았다. 사람들이 희망하는 행위로는 수면과 휴식이 15.5%로 가장 높았고, 영화시청이 12.4%로 두 번째 로 높았으며 음악감상이 10.4%, 개인 업무 8.5%, 인터넷 사용 8%, 독서 6.1% 등의 순 서로 나타났으며 이것을 표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Kwon, J., & Ju, D., 2018a, p.921).

이처럼 현재 자동차 운전자들은 이동 수단 으로 운전만 하여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것 이 아닌 실내공간에서 생활 활동, 즉 자신의 개인 공간에서의 연장으로 거주 공간에서 하는 행동을 계속하고 싶어 하며 따라 운전 자에서 사용자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3. 자율주행 자동차의 방향

자율주행 자동차는 운전에 사용되는 시간을 다른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자율주행 시대, 자동차 문화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의 자료에서 정구민은 자율주행 자동차는 또 다른 생활 공간으로 존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며 집, 사무실, 자동차를 연결하여 주거공간에서 하던 행위를 이어서 하고, 사무실에서 하던 업무를 이어서 작업하는 등의 연속성을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Jeong, G., 2019, p.36). 또한, 졸음운전과 신호 위반 등의 운전자 과실 사고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 외의 거리의 행인, 차량 간의 안전도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로 인해 다양한 상황 및 환경에서 소통하고 정보를 제공할 것이고 도시와 공간 및 다양한 기기와 정보 등을 공유하여 거대한 하나의 네트워크를 만들 것이다. 혼다 자동차는 2017년 도쿄 모터쇼에서 신개념 모빌리티를 공개하였다. 이에모비(le-mobi)의 le는 일본어로 가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도록 가족과의 연결 에 집중한 콘셉트이다. 이것은 데일리카 사이트에 의하면 주거공간과 자동차가 완벽하게 결합 한다는 아이디어이며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고 4.95㎡의 크기로 필요시 작은 공간으로도 사용 할 수 있다고 한다.

콘셉트 카를 통하여 미래 자동차의 실내공간이 현재 자동차들과는 차별화되고 다양화될 것으 로 예상할 수 있다. 현재 자동차들은 외관 디자인의 미적인 부분을 중요시했던 반면 자율주행은 실내공간에 더욱 비중을 두어 사용자가 업무 및 활동을 하는 자신만의 공간이 확장된 개념으로 변화되며 개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자동차의 실내공간으로 변화될 것이다. 권주영과 주 다영에 의하면 자율주행 자동차는 사용자의 위치, 공간의 크기, 행위 등을 고려하여 공간 내에 서 효율성을 높이고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Kwon,

수면과 휴식 15.5

영화 시청 12.4 음악 감상

10.4 개인 업무

8.5 인터넷

8 독서

6.1 필요한 행위별 %

<Table 3> Hoping Various Actions other than Driving

분류 실내에서 가능한 행위

사무, 학습 사무, 학습, 방송, 독서, 신문 보기 등 관리 차량 관리, 금융기관 사용 등

개인 관리 외모 관리, 화장, 아이 돌보기, 애완동물 돌보기

식사 식사 준비, 식사, 음식 관련 서비스 이용하기 이동 수단 창밖 구경, 출퇴근 이동, 단순 이동 휴식 수면, 휴식, 여행, 명상 등

건강 운동, 의료 서비스 받기, 건강 확인 등 어울리기 화상 및 음성 전화, 메일, 소셜 미디어 등 여가활동 미디어 시청, 오디오 듣기, 게임, 유흥, 인터넷

검색, 사진과 비디오 촬영, 온라인 쇼핑 등

<Table 2> Possible Actions in Autonomous Vehicle

(6)

J., & Ju, D., 2018b, p.10).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실내행위를 가능하게 하도록 디자인한 콘셉트 카 중 운전 좌석과 핸들의 존재 여부와 뒷좌석의 휴식과 수면 등의 공간 활용의 가능성과 생활이 가능한지를 파악하기 위해 외관만이 아닌 실내 변화를 보여주는 자동차를 선택하기 위해 먼저 자율주행 3단계 이상 의 완전 자율 주행 자동차를 목표로 이에 해당하는 BMW, 롤스로이스, 벤츠, 볼보, 폭스바겐, 테슬라, 혼다 등의 콘셉트 카를 통하여 다양하고 자유로운 실내공간 방향을 알아보았다. 이것을 표 4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제조사 이름 년도 이미지 특징

BMW i Next 2019

●완전 자율주행으로 운전대가 존재

●가구처럼 디자인하여 거실에 있는 듯한 느낌의 디자인

●재질을 기술과 접목하여 재질이 기능을 가짐 ●거주 공간과 연결 Honda NeuV 2017 완전 자율주행 ●AI 기술사용, 스트레스, 얼굴 표정 등으로 운전에 도움

●운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선호를 바탕으로 상황에 맞는 제안 Mercedes

Benz

F-015 luxury in

motion

2015

●완전 자율주행 ●럭셔리함과 감성 및 지능 겸비

●거실 공간으로 활용 ●6개의 디지털 스크린 사용

●자연적 요소의 바닥과 미래 지향적인 시트 재질 등의 사용 Rolls

Royce 103EX 2016

●완전 자율주행 ●지붕이 열리는 방식

●일어서서 탑승 가능하여 편리함 ●콤팩트한 공간으로 연출

●럭셔리 이동, 사용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예술품 Tesla Cyber

truck 2019

●표준 수준의 자율주행 ●내구성 강화, 외골격 형태의 차체

●실용성, 트렁크 등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게 설계

●다양한 상황에 맞게 사용 가능 Volks

wagen Sedric 2019 완전 자율주행 ●앱으로 쇼핑 픽업, 주차장 확보 등의 기능사용 가능

●운전대가 없어 넓은 공간 활용

Volvo C26 2015

●완전 자율주행으로 운전대가 존재 ●시트가 운전대에서 멀어지는 형식

●운전석 시트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구조로 디자인

●미래보다는 현재 요소들을 가지고 핸들과 페달 등이 존재

Volvo 360c 2018

●완전 자율주행, 전기 자동차 ●장거리 주행 중 수면이 가능

●여행 경험 중시 ●휴식, 파티 등 여가활동 가능

●이동하며 업무를 할 수 있게 연결

<Table 4> Examples of Autonomous Vehicles

제조사 BMW Honda Mercedes Benz Rolls Royce Tesla Volkswagen Volvo Volvo

이름 i Next NeuV F-015 103EX Cyber truck Sedric C26 360c

자율주행 단계

0-1

2-3 ●

4 ● ● ● ● ● ● ●

앞 좌석 유 핸들 ● / 핸들 ● / 핸들 ● / 핸들 ● / 핸들 ● / 핸들

무 ● ● ●

뒷좌석 활용

개인 ● ● ● ● ● ● ● ●

업무 ● ●

휴식 ● ● ● ● ● ●

침대 기능 ●

기타 집과 연동 Ai 사용 서서 탑승 내구성 강화 앱 기능 통신 체계

생활 여부 가능

불가능 ● ● ● ● ● ● ● ●

일어서기 가능

불가능 ● ● ● ● ● ● ● ●

<Table 5> Derivation of Features of Autonomous Vehicles

위의 표5와 같이 현재 콘셉트 차량들은 핸들과 함께 앞 좌석이 존재하는 위주의 디자인을 보여

주고 있으며 자율주행 기능과 함께 사용자가 운전 또한 같이할 수 있는 형태이다. 뒷좌석은

존재하며 현재 자동차의 시트 형태를 가지고 있고 편하게 의자에 기댈 수 있는 방식을 활용하였

다. 운전이라는 행위가 필요 없어진 상황에 안에서 할 수 있는 활동들이 늘어났으며 생활이

아닌 여가 시간을 활용하는 형태이다. 따라 일어서서 활동 혹은 장시간 생활은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7)

3. 거주 공간의 변화 3.1. 거주 공간의 의미

변은영의 거주 공간의 관계적 구축에 관한 연구자료에서 거주란 인간이 정해져 있는 공간에 머무는 삶을 의미하며 건축 구조물로 만든 장소와 사람이 연결되어 생활하는 것을 말한다. 거주 공간은 주변 환경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한 은신처 장소만이 아닌 자연과 인간이 함께 공존하는 생활을 포함하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관계와 더 나아가 세계와의 관계를 통해 함께 거주하 는 공간을 의미하며(Byeon, E., 2012, p.4) 거주 공간 안에는 주거의 의미가 포함된다.

김남희의 독신 거주자를 위한 최소규모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자료에서 거주 공간은 근대 이후 사회의 변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으며 현대인들은 거주 공간의 선택에 있어 개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직장의 거리와 주거 장소가 근접하고 인프라가 형성되어있는 장소를 선호한다고 주장한다(Kim, N., 2004, p.12). 과거의 거주 공간 은 정해진 규격으로 개인의 취향과 개성에 맞는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남들과 다른 공간을 만들기 위해 비용이 소비되고 거주를 위한 용도보다는 보이기 위한 과시적 소유의 용도에서 현재는 편리성과 삶의 방식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는 생활로 변하고 있다. 키네틱 건축의 특성 을 적용한 이동형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자료에서 김지윤은 이러한 변화를 ‘Living in motion’이 라고 표현한다. 한곳에 정착하여 머무는 생활이 아닌 이동하며 움직이는 삶을 의미한다(Kim, J., 2010, p.19).

이제는 한 고정된 장소에서 자리를 잡는 것이 아닌 개인의 편리와 생활에 따라 원하는 장소로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논문을 통해 현대 와 미래에 필요한 거주 공간의 해결 방안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움직이며 경제적 이고 개개인의 필요에 맞춘 공간으로 소형 공간을 거주 공간으로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2. 소형 공간의 활용

소형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여 자율주행 자동차 실내를 거주 공간으로 활용 및 생활 공간으로써의 방안과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최소단위 공간을 활용한 소규모 필지 내 최소주택 설계연구 자료에서 이동윤에 의하면 넓은 실내공간일수록 공간 활용이 여유롭고 실용적일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필요 이상의 공간 확장 이 이루어지면 동선이 산만해지고 비효율적이라고 한다(Lee, D., 2017, p.15). 최소 공간은 반대로 심리적인 불안과 불만을 줄 수 있어 인간의 생활 활동을 보장해야 하는 단위가 존재하며 이동윤은 법정 최소 세대 크기는 12㎡의 공간이라고 한다(Lee, D., 2017, p.36). 즉, 필요한 기능과 그것이 필요한 공간의 크기가 유지될 경우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본 논문은 협소한 공간을 거주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식들을 도입하여 자율주행 자동차를 거주 공간으로 가정하여 주택의 개념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위의 자료와 같이 자율주행은 실내의 공간은 협소하지만 생활 공간이 만들어지며 이민지의 미니멀 건축의 표현특성을 활용한 소형주택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협소한 주택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한 방법으로 물리적 공간의 크기만이 아닌 서비스, 프로그 램 그리고 경제적 및 사회적인 개념을 적용한 강소 주택을(Lee, M., 2014, pp.13-14) 자율주 행 자동차 공간의 개념에 적용하여 표6에 나타냈다.

강소 주택 자율주행 자동차

물리적 -작은 공간의 효율 극대화 -협소한 공간을 생활 공간으로 변화 프로그램적 -기존 주택 이용자의 needs에 대응

-구성원에 따른 유동적 프로그램

-사용자, 탑승자 인원에 따른 유동적 공간 활용

-기존 운전 타입을 선호하는 사용자를 위한 공간 사용 방안 경제적 -경제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설계 -여러 공간으로 이동 가능

-저렴한 가격의 자신만의 공간 사용 및 소유 가능 사회적 -커뮤니티를 구성, 공간을 공유 -다양한 장소로 이동 가능

-장기적인 생활 가능 -커뮤니티 형성 가능

<Table 6> Applying the Concept of Compact Effective Housing to Autonomous Vehicle Space

(8)

이민지는 강소 주택은 효율적인 공간 활용과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모듈, 비율, 중첩, 체적의 4가지 방안으로 설계가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Lee, M., 2014, pp.13-14). 자율주행 자 동차의 좁은 공간에 이 4가지의 방안 을 적용하여 표7과 같이 생활 공간으 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강소 주택 개 념인 모듈의 방안을 자율주행 자동차 에 적용하면 기존 자동차의 시트들이 사라지며 사용자가 서서도 활동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듈로 변화하고 정해진 장소에서 상황에 맞게 공간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중첩의 개념으로 거실과 침실의 기능이 한 공간에 존재하게 된 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체적 기술 로는 공간 활용 가능한 붙박이 접이식 가구와 같이 가구나 물건들을 필요할 때 꺼내 사용할 수 있고 불필요하면 다시 숨길 수 있으며 하나의 용도가 아닌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개념이다. 또한, 인간의 사용 범위, 사용성 등을 고려한 비율 등의 설계를 통하여 자율주행 자동차 사용자의 필요와 삶에 따른 공간 활용이 적용될 것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에 강소 주택 설계에 사용되는 방안을 통해 기존의 자동차와 비교하여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동윤은 주택에서의 최소단위 공간으로는 복도, 현관, 취사 공간인 부엌, 욕실 및 침실 공간 등으로 구분된다고 한다(Lee, D., 2017, p.16). 이 공간에서는 2가지 이상의 공간이 겹치기도 하는데 자율주행 자동차는 취사 공간과 욕실 공간을 제외하면 모든 공간이 결합, 융합되어 하나 의 공간으로 사용될 것이다. 생활 공간으로 자율주행 자동차의 좁은 공간을 사용하기 위해 취사 공간, 욕실 공간, 침실 공간의 최소단위를 알아보았다.

6.5㎡의 규모로 필요한 모든 설비를 갖춘 취사 공간인 ‘프랑크푸르트 부엌’은 마가레테 쉬테 리호츠키가 1926년 독일에서 선보인 것으로 현재도 가장 보편적으로 여겨지는 부엌의 형태이 다. 최소 취사 공간은 싱크대, 조리대의 크기 및 사용자의 활동 범위와 수납공간에 의해 결정된 다고 한다. 욕실 공간으로 변기와 세면대 및 욕조 설치를 위해 3㎡ 내외의 공간이 필요하며 위생기구의 종류와 그 배치에 따라 결정되며 수면, 침실 공간은 1인 가구의 최소면적으로 4.7㎡

내외이며 침구의 크기와 환기를 고려하여 결정된다고 이동윤(Lee, D., 2017, p.17, p.19)은 언급한다. 최소 공간의 필요 면적과 결정 요소 등을 아래의 표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러 기술적인 면으로 이 기준에 완전히 적합할 순 없지만, 최소 공간의 결정 요소를 고려하여 사용자 가 원하는 활동 범위 안에서 수납공간과 사용 시설 들을 배치할 수 있으며 침실일 경우, 사람이 누울 수 있는 공간의 크기와 환기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3.3. 이동 가능한 거주 공간

현대인들은 유목민적인 형태인 유동성을 가짐에 따라 한곳에 머물러 사는 생활이 아닌 목적지

최소 필요 면적 최소 공간 결정 요소

부엌 6.5㎡

●싱크대, 조리대 크기

●사용자의 활동 범위

●수납공간

욕실 3㎡ ●위생기구 종류

●배치 방법

침실 4.7㎡ ●침구의 크기

●환기

<Table 8> Minimum Space in Residential Space

강소 주택 개념을 적용한 기존 자동차와 자율주행 자동차의 비교

기존 자동차 자율주행 자동차

모듈 자동차 회사마다 인테리어가 존재, 좌석과 운전 조작 기능 등과 같은 필수 요소들이 인테리어를 결정짓는다

모듈이 존재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맞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비율 운전을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앉아서 사용

생활 공간으로, 앉아서 또는 서서 활동할 수 있는 형태

중첩

운전 목적 외의 공간으로 사용할 수 없다

이동의 목적만이 아닌 거실, 침실, 개인의 상황에 맞게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체적

좌석 외 물건을 수납 혹은 사용하고자 했던 방법 외에는 사용이 불가능

좌석의 개념이 없어 다양한 방법으로 수납 가능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공간의 물건을 사용할 수 있다

<Table 7> Design Plan on Space Use of Autonomous Vehicle

(9)

없이 자유롭게 원하는 장소로 주거를 이동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더욱 발전하는 현대 과학 으로 인해 이동성을 접목한 거주 공간은 물리적 공간만이 아닌 시스템을 컨트롤하며 사용자에 게 맞는 최적의 장소를 제공해주는 공간으로 고정된 삶이 아닌 자유롭게 이동하는 생활 공간으 로 변화되고 있다. 이동 가능한 주거의 개념은 물리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건축물로써 군집 생활 을 하기 전의 주거 형식에서 유례를 찾을 수 있으며 자동차의 보편화와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인한 이동성에서 시작된다.

김미경의 20세기 주거건축사에 나타난 이동식 주거개념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현대 도시는 장소적 요인이 사라지고 자동차, 지하철, 비행기와 같은 이동 수단의 공간에 거주할 수 있게 되면서 이동성을 지닌 거주 양식의 하나로 정착하게 되었다. 또한, 현대 디지털과 결합한 디지털 유목의 개념으로 실제와 가상 공간이 결합하여 새로운 경험을 주는 주거개념으로 변화하 고 있다(Kim, M., 2008, p.13, p.15). 따라 모든 곳이 자유로운 생활 장소로 변화되고 있다.

크로넨버그에 의하면 이동의 형식을 가지는 세 가지 유형으로 건축물 자체가 이동성을 가지고 있으며 캠핑카, 트레일러와 같이 거주 공간을 차량 등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휴대용(Portable), 건축물의 부품을 부분적으로 이동하여 조립하는 방식의 컨테이너 하우스와 같이 공간 자체가 이동하여 장소에서 조립되는 이전형(Relocatable), 건축물이 해체되는 방식으로 공간 대부분 이 이동하여 조립되는 해체형(Demountable)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이규황(Lee, G., 2013, p.105)의 이동식 건축의 디자인방법 제안과 적용에 관한 연구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캠핑카와 같이 이동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거주 공간은 고정된 장소에 있는 건축보다 저렴 하여 비용면에서 부담이 적고 고정된 장소의 땅이 필요하지 않아 언제 어디든 사용자가 원할 시에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장기적인 거주가 가능하여 공동생활이 가능하므로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도 있다.

거주 공간으로 사용 가능한 캠핑카의 종류를 살펴보면 이상훈 외의 이동식 레크리에이션 차량 의 유형별 계획특성과 다목적 활용 자료에서와 같이 크게 세 가지 타입으로 나뉘며 주거 생활이 가능한 공간으로 차량에 의해 견인되어 움직이고 공간 구성이 자유로운 트레일러 타입과 숙박 용도로 차량에 설치하는 경제적인 루프탑 텐트 타입이 있다. 마지막 유형인 주거 생활이 가능하 고 자체적으로 움직여 이동할 수 있는 캠핑카 타입으로 구분된다(Lee et al., 2013, p.213).

캠핑카는 위와 같이 침실, 부엌, 화장실 등이 모두 규격대로 인테리어가 정해져 있는 가운데 선택을 해야 하지만, 자율주행 자동차가 생활 공간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적인 공간을 선택 가능하게 되며 업무 공간, 수면 공간, 회의 공간 등 한 공간만을 활용할 수 있고 자가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해지며 캠핑카의 문제 중 하나인 주차 어려움도 해결이 가능할 것이 다. 표9에서 캠핑카와 자율주행 자동차의 비교를 통하여 캠핑카가 가지는 단점을 자율주행 자동차로 보완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캠핑카 자율주행 자동차

부피 -캠핑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 -구매 후 크기 변화 불가

-다양한 자동차의 종류로 공간의 선택 가능 -공간의 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

실 내

운전석 -운전석 필요 -운전석 불필요 (필요시 선택 가능)

사용성

-정해진 공간과 실내 중에서 선택 가능 -운전석 공간으로 외관 크기에 비해 실내

활용 공간이 협소

-운전석의 불필요로 공간이 더 확장

-공간과의 결합으로 인해 필요한 공간을 사용 가능 -요구에 따라 규격에 맞게 다양한 공간으로 사용 이

동 성

이동목적 -캠핑용, 거주 등의 목적으로 이동 -다양한 용도의 공간으로 사용하여 이동 가능 -이동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 가능

사용자격 -운전면허 (크기에 따라 1종 특수 필요) -운전과 상관없이 누구나 사용 가능

활 용 성

공간사용 -공간을 항시 달고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 -이동과 공간의 활용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

다양성 -캠핑과 같이 숙박 시설로 사용이 가능

-다양한 공간을 설정하여 사용 가능 (공간의 결합) -사무실, 침실, 부엌, 사회적 공간 등을 자동차 규격에

따라 활용 가능(모듈러 공간 구성)

-자율주행 자동차들의 결합으로 군집 자율주행 기능을 활용한 공간 구성의 가능성

주차공간 -크기에 따라 캠핑카만의 규격에 맞는

주차 공간이 필요 -건물, 야외 등의 주차가 허용된 공간에 주차 가능

<Table 9> Comparison between Camping Car and Autonomous Vehicle

(10)

미래 주거공간은 이연주와 김연정의 이동식 주거공간의 미래건축에 적용 가능한 특성에 관한 연구자료에 의하면 사물과 연결되어 유비쿼터스 환경으로 접어들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 악하여 가장 적절한 환경을 만들고 공간을 구성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Lee, Y., & Kim, Y., 2015, p.418). 더 나아가 공간과 공간의 결합 가능성으로 군집 자율주행 기능을 활용한 모듈러 공간 구성이 가능해질 것이며 이 이동성의 새로운 개념과 과학 기술의 접목으로 앞으로 이동식 주거의 개념을 가지고 장소의 자유성으로 한 공간에 정착이 아닌 다양한 장소로 이동 및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4.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 4.1.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화

현재 자율주행 자동차의 미래에 대한 예측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앞에서 조사한 표4의 자율 주행 자동차의 사례에 따르면 외관에만 집중되던 기존의 디자인에서 내관의 인테리어와 주행 중 사용자들의 행동에 대한 중요도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금의 내관은 다양한 공간의 변화보 다 업무, 영화시청 등과 같은 행동을 위한 시트 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운전을 통한 목적지까지의 이동 수단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선호한다. 현재 이동 가능하며 생활할 수 있는 공간으로는 캠핑카가 존재한다. 하지만 캠핑카에 는 불편한 점들이 존재한다. 생활이 가능한 공간이므로 가격 면과 유지비가 높고 주차 공간이 협소하다. 일상생활에는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다른 이동 수단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반 면,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화로 캠핑카의 주차 공간 문제점, 이동성, 유지비 등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공간화는 개념적 의미와 물리적 의미, 시스템적 의미로 나타낼 수 있다. 우선 개념적으로 자율 주행 자동차의 공간화는 자동차라는 제품의 개념에서 공간의 개념으로 변화한다는 의미이다.

목적을 위해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던 제품이 생활 공간으로 변화되어 운전자가 사용자로 변할 것이다. 또한, 생활의 연장으로 지속적으로 거주 공간과 연결이 이어진다. 즉, 공간화는 자동차 공간에서 목적지까지 도착이 끝이 아닌 계속된 연장으로 자동차에서 활동하며 이동 후 거주 공간에서 이어서 생활을 하는 방식으로 자신만의 공간이 움직여 다른 장소에도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실내의 레이아웃의 변화로 자동차 공간에서 회사 업무나 회의가 가능해지며 인터넷 쇼핑이나 영화를 보며 집에서의 취미생활로 집과 또는 직장과 연결이 되는 공간이 된다. 점차 자동차라는 개념에서 자율주행 공간이라는 개념으로 나타날 것이다. 물리적으로는 거주 공간 에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이 결합하여 물리적으로 하나의 공간이 더 생기는 것이며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장소에 공간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아래의 그림1로 공간과의 결합을 통해 공간의 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거주 공간이나 개인의 필요한 공간을 자율주 행 자동차의 공간을 활용하여 사용하는 방식 이다. 거주 장소에 추가적으로 필요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건물에 맞는 공간도 필요하 고 설계도 필요하지만 자율주행 자동차를 활 용한 공간은 주차 공간만 있으면 연결 가능하 므로 공간의 결합을 통해 공간의 크기를 확장 시켜 나갈 수 있다.

시스템적인 의미로는 공간화가 이루어지는 단계로써 홈 시스템만이 아닌 공간과 사용자 및 시스템이 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첨단기술인 자율주행 자동차가 거주 공간과 결합하면서 사 용자를 파악하여 상황에 맞게 거주 공간의 시스템을 통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심리 상태 및 이전의 거주 공간의 상황에 따라 공간의 환경을 스스로 바꿔줄 수 있으며 건강 상태를 체크하여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이다. 거주 공간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전기, 가스

<Figure 1> Combining Physical Spaces

(11)

등이 조절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알맞은 온도, 습도, 공기의 질 등을 시스템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있어 편리함과 안정성을 높여줄 것이다. 이것은 그림2와 같이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2> Convergence of Autonomous Vehicles and Spatial Systems

4.2. 자율주행 자동차로 인한 공간 확장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화를 통해 공간 확장이 같이 이루어질 것이다. 공간의 개념으로 사용자 에게 적합한 공간을 마련해주며 자신의 생활 방식에 맞게 공간을 구성하고 기존의 거주 공간과 결합을 할 수 있다.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공간은 시간에 따라 사용되는 공간과 목적에 의해 사용되는 공간으로 사용되며 그 외의 공간은 사용되지 않는 잉여 공간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라 할지라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난방, 전기, 세금 등과 같은 각종 유지 목적으로 지급해야 하는 비용이 생긴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화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공간들을 파악하고 구성하여 이에 맞는 인테리어로 변화될 것이고 이동을 통해 다양한 공간으로 확장 가능하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생활과 필요에 따라 보내는 시간이 많은 공간을 파악하여 공간의 용도와 크기를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 그 공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면, 비용면에서 효율적 이다.

박계명의 시니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율주행 캠핑카 디자인 연구자료에 의하면 자율주행 자동차는 친환경 에너지인 전기 또는 수소에너지를 사용하여 기계적으로도 변화가 된다고 주 장한다(Park, K., 2018, p.37). 이러한 변화는 내부 공간의 구성을 더 넓게 사용하게 도와주며 공간의 활용성을 높여줄 수 있다. 공간의 활용으로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아닌 자율주행 공간의 개념으로 변하여 사용자 편의에 맞게 침실, 화장실, 부엌 등과 같은 숙식 가능한 공간으로 활용 할 수 있다. 개인의 힐링, 침실 등의 공간으로 활용 가능하며 이동 시에도 사용자가 편하게 휴식을 취하면서 이동이 가능하다. 강소 주택의 최소 공간 결정 요소에 맞추어 생활이 가능한 공간으로써 환기시스템과 누울 수 있는 크기의 수면 공간 활용이 가능하고 모임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율주행 공간은 자동차 여러 대를 함께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용도의 공간으 로 사용이 가능하다. 화장실의 공간이 부족 시 화장실 용도로 존재하는 자율주행 자동차로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더불어 침실 용도의 공간과 화장실 용도의 공간이 같이 이동할 경우 서로 결합 하여 확장된 공간이 될 수 있다. 자율주행 공간화는 공간을 설치해야 하는 건축과는 다르게 비용면에서 유리하지만 주차 가능한 공간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 사용이 넓게 확대되면 더욱 확장된 장소를 통해 이용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3. 이동성으로 인한 공간 활용

현재 자신의 생활 방식에 따라 움직이는 생활은 과거의 삶을 위하여 계속 터전을 움직여야 했던 노마드 생활과 같이 자신의 일자리와 편리한 교통시설, 거주지 시세에 따라 다양하게 거주 공간을 선택하여 생활하고 있다.

본 논문은 생활 공간의 변화와 자율주행의 이동성으로 어느 장소나 이동이 가능하여 교통수단 외 다양한 장소 및 일자리로 거주 공간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은 이동성을 가지고 여러 장소에 다양한 공간을 만들어낼 수 있으며

사람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현재 여행이나 출장 시, 머물 수 있는 공간으로는

(12)

호텔 혹은 개인의 시설을 빌려주는 방식의 대여시스템이 있지만, 사람이 직접 이동하여 찾아가 는 방식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을 숙식 가능한 생활 시설로 사용하면 이용자가 직접적인 이동 없이 더욱 편리한 이동식 거주 공간 및 렌트 시설이 될 수 있다. 더는 사람의 운영 없이 사용하는, 시간만큼 계산하여 필요한 공간을 선택 및 사용하게 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자신의 거주 공간과 결합 확장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시간 단위로 사용하게 될 것이며 공간의 단위로 저급, 중급, 고급 등으로 등급을 나눌 수 있다. 한 공간만 존재하는 저급형, 두 가지 시설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중급형, 세 가지 이상의 공간을 사용할 수 있는 고급형, 특별한 공간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숙식 가능한 공간 및 대여 시설이 생겨날 것이다. 저급형은 욕실, 화장실, 부엌 등과 같은 특정적인 한 공간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게 된다. 화장실이나 욕실 이 필요한 시설에 미니멀한 크기의 화장실, 또는 씻기만 할 수 있는 욕실 공간을 만들 수 있고 수면만 취할 수 있는 공간, 부엌 등을 필요한 공간에 부르거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운전석 없이 전체를 한 장소로 사용하기에는 더 편리한 공간이 될 것이다. 중급형은 침실과 부엌을 겸한 공간, 또는 침실과 욕실을 겸한 공간과 같이 두 가지 공간을 같이 사용 가능한 장소이다.

고급 공간은 침실, 욕실, 부엌 등이 설치되어있는 숙박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고 렌트로도 충분 히 사용 가능하다.

자율주행 공간은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공간으로 개인에 필요한 공간을 원하는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다. 한 대 이상의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이 함께 연결되어 다양한 공간 으로 구성하여 이용자가 필요와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을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공간에서 이동하며 다양한 업무를 보고 어느 장소든 자신의 공간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으며 사람들이 거주하는 곳에 필요한 공간을 확장해줌으로써 편안 하고 자유롭게 생활이 가능해져 편리하게 삶이 변할 것이다.

5. 결론 및 제안

개인의 생활 방식과 인식의 변화로 주거 기능의 사용이 변화하고 있다. 현대인들의 삶에서 거주 는 업무와 그 외의 활동 후 휴식의 공간으로 잠시 머무르다 다시 사회로 나가는 형식의 공간으 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가지고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는 거주 생활이 가능할 수 있도록 거주 공간의 개념과 접목시켜 보았으며 이동 시 운전자가 아닌 이용자 로서 시간의 활용과 공간의 확장 가능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생활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화되었을 때 이용자들이 할 수 있은 행위는 영화 시청, 음악감상, 일의 연장 등이 있다. 사용자에게 맞는 공간의 크기, 원하는 방향에 맞는 소형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강소 주택의 4가지 방안을 알아보았으며 취사 공간, 욕실 공간을 제외하면 모든 공간이 융합되어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될 것이다. 자동차의 좁은 공간은 시트들을 없애고 숙박 공간, 부엌, 화장실과 같은 공간으로 사용자가 편하게 생활을 할 수 있는 형태의 모듈로 변화해야 할 것이다. 캠핑카가 현재 이동식 숙박 시설로 사용되고 있으나 비용면 과 주차의 어려움으로 많은 사람에게 편리를 주기는 어렵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변화를 통하여 편리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자신의 거주 공간 이외에 어느 장소나 거주할 수 있는 이동식 공간이 만들어져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자동차에서 업무 및 생활뿐 아니라 거주 생활을 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생활을 할 수 있는 자신만의 공간이 생겨나는 개념 이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거주 공간과 결합하면서 사용자의 심리 상태와 공간의 상황을 파악하 여 거주 공간의 시스템이 컨트롤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 및 편리함과 안정성을 줄 것이다.

또한 기존의 거주 공간과 자율주행 자동차의 거주 공간이 결합 가능하여 필요한 시설을 선택하

여 사용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 자동차 여러 대를 함께 연결하여 확장된 자신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개인의 거주 공간만이 아닌 대여 개념의 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회의

실이나 미팅 장소, 휴식 공간 등의 원하는 장소로 대여하게 되며 사용될 공간의 범위는 더욱

넓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목적지를 위한 이동 수단만이 아닌 이동식

(13)

거주 공간으로 편리함과 자신의 라이프 스타일에 적합한 생활 및 거주 문제 해결의 방안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References

A new way to travel. (n.d.). volvo cars. Retrieved June 12, 2019 from https://www.volvocars.com/intl/cars/concepts/360c

Autonomous driving. (n.d.). volkswagen. Retrieved June 12, 2019 from

https://www.volkswagen.com.au/en/why-volkswagen/innovation/autonomous-driving.html BMW Vision i Next. (n.d.). bmwgroup. Retrieved July 13, 2019, from

https://www.bmw.co.kr/ko/discover/concept-cars/bmw-vision-inext.html

Byeon, Eunyoung. (2012). A study on the relational tectonic in dwelling spac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Cho, Heeyoung. (2018). Future technology of Automobile, autonomous vehicles(미래의 자동차 기술, 자율주행차), Architecture and Society, 31, 78-82.

Cybertruck. (n.d.). tesla. Retrieved June 12, 2019 from https://www.tesla.com/ko_KR/cybertruck

Honda NeuV. (n.d.). honda. Retrieved May 19, 2019, from https://global.honda/products/motorshow/Tokyo2017/003.html

Introducing a new symbol of automotive freedom. (n.d.). volvo cars. Retrieved June 12, 2019 from https://www.volvocars.com/intl/cars/concepts/c26

Jeong, Gumin. (2019). How will Automobile Culture Change in the Era of Automated Vehicle?, Auto Journal, 41 (8), 35-39.

Ju, Dayoung. (2018). Content development and trends for the future automotive space(미래 자동차 공간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동향), ie magazine, 25 (3), 33-44.

Kim, Jiyoon. (2010). A study of movable residential space applying on the kinetic architecture's characteristic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Kim, Kyungseok. (2018). A study on the legal issues of autonomous driving vehic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Kim, Mikyung. (2008). The Development of the Movable-housing Planning Concept in

Housing-architectural history of 20th Centur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7 (2), 13-21.

Kim, Namhee. (2004). A study on the smallest size housing space design for single

resident (독신거주자를 위한 최소규모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Kim, Songi. (2017, October 26). The concept car that Honda unveiled.. "Future mobility is something like this". dailycar.

http://www.dailycar.co.kr/content/news.html?type=view&autoId=28538&from=%2Fcontent%2Fn ews.html%3Fkeyword%3D%25ED%2598%25BC%25EB%258B%25A4%2B%25EB%25AA%25A8

%25EB%25B9%258C%25EB%25A6%25AC%25ED%258B%25B0

Kwon, J., & Ju, D. (2018a). Interior Design of Fully Autonomous Vehicle for Supporting User’s In-Vehicle Activity, Korean HCI Society Conference , 921-924.

Kwon, J., & Ju, D. (2018b).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In-Vehicle Activity Based on Literature Study for Interior Design of Fully Autonomous Vehicle, Korean HCI Society, 13 (2), 5-20.

Lee, Dongyoon. (2017). A study on the minimum housing design in a small scale parcel with a minimum unit space-Based on the Hoam 1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district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Lee, Gyuhwang. (2013). A Study Proposal on the Movable Building Design Method and its Application-Focusing on the Deploying Movable Building Proposal on the Road Space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Planning Section, 29 (9), 103-110.

(14)

Lee, Jeonggyo. Study on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Design Differentiation in Spatial

Design-Focusing on Interior Space of Self-Driving Car.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2 (3), 122-132.

Lee, Minji. (2014). A study on related of interior space in small house by using characteristics of minimal architectur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Lee, S., Kim, M., Yoo, H., & Jang, D. (2013). Planning characteristic analysis of movable recreational vehicles for multi purpose application,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Conference, 211-216.

Lee, Y., & Kim, Y. (2015). Research on Characteristics of Removable Living Spaces that can be applied to Future Architecture-Centered arou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Each Era,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1 (1), 417-427.

Mercedes-Benz F 015 Luxury in Motion. (n.d.). mercedes benz. Retrieved May 19, 2019 from https://www.mercedes-benz.com/en/innovation/autonomous/research-vehicle-f-015-luxury-in -motion/

Park, Kyemyeong. (2018). A study on autonomous camping car design for revitalizing senior tourism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Rolls royce 103EX. (n.d.). rolls roce motor cars. Retrieved June 6, 2019, from

https://www.rolls-roycemotorcars.com/en_GB/house-of-rolls-royce/vision/103ex.html

참조

관련 문서

올해 외국산 자동차의 시장 확장에 따라 자동차 판매가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그래서 유명한 경영이론을 잘아는 학자 4명을

본 연구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적인 가치가 명확하게 사용자의 가치로 전환되어 자율 주행

m 기본주택은 실수요자가 저렴하게 장기 거주, 주택소유에 따른 부담 저감, 중산층도 입주 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주택소유에 따른 매매차익 불가능, 경기도와

따라서 공간이 사회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도시 공간이 정부에 의한 단일 한 공간적 체계로 완성시키지 않고 상호 작용하면서 변화될 수 있는 다각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자율주행 자동차에는 음성인식 기능이 있어서 운전자가 지금 어디를 가고 있다고 말하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운전자의 지시에 따라 이동할 것이다.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he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of Korean Chinese by approaching the context of political, cultural and ideological systems

이후 발달을 거듭하여 현재는 자 동차가 사람처럼 보고 듣고 운전면허까지 취득하는 일이 현실이 된 지금 인간의 오감을 대신하는 역 할을 무인자동차에 나타내

자료: 테슬라,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자료: 한국무역협회,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두번째는 소프트웨어 2.0의 도입이다. 더 큰 문제는 실제 운전 상황과 같이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