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연구 결과요약서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연구 결과요약서 >"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연구 결과요약서 >

소속 학교 대전동산고등학교 책임 지도교사 홍O균

참여 학생 신O준, 이O준, 이O민, 전O환, 최O진

과 제 명 압전소자를 활용한 빗물 에너지발전 시스템 개발

연구목표 빗물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압전소자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작하고자 한다.

연구개요 및 내용

□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기술동향조사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전자기기는 소형화, 저전력, 유연성 등이 요구되고 휴대폰 등과 같 은 필수 생활기기가 개발되었지만 배터리는 수명, 사이즈 등에 대한 문제로 여전히 새로운 기 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의 배터리를 대체 또는 보완하기 위해 주변 환경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압전 에너지 발전 기술은 주변 환경의 버려지는 에 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이며, 타 기술과 비교하여 경제성, 효율성 등에서 매우 우 수한 기술이지만 아직 실용화/상용화하기에는 아직 기술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해외에서는 현재 미래 세대에서 압전 소자의 다양한 응용을 위해서 미국, 독일을 중심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압전소자로의 이론적인 접근 외에도 에 너지 하베스팅과 관련된 회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버지니아 공과대학에서는 세라믹-폴리머 압전 복합재를 이용하여 2차전지에 충전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텍사스의 알링톤 대 학에서는 풍차에 압전체를 이용한 발전을 연구하였다. 압전 소자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지 금까지 크게 3가지가 있다. 먼저 기계적 물리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된다는 점을 응용 할 수 있다. 이 분야에는 외부에서 소자의 전극면에 작용하는 힘, 충격, 진동 등을 미소한 전 기적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센서류와 외부의 충격에 의한 고전압 발생장치 등이 있다.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가정용 가습기의 진동자, 플라스틱용 착에 사용되는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자등이 이 방법에 속한다.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 적 에너지로, 이것을 다시 전기적 에너지로 변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동차 후진 시에 이용 하는 백 센서와 거리, 수위, 수심, 금속두께등의 측정 장치가 여기에 속한다. 압전 트랜스포머 는 압전 기술을 활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 시장동향조사

에너지 하베스팅 세계 시장 규모는 전세계가 차세대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장에 주목하고 있음에 따라 2015년에 269만 달러에서 연마다 19.6%씩 성장하여 2022년에 974만 달러까지 늘어날 전망이며 향후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상용화되면 낮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기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보급될 전망이다. 지구의 에너지 부족이 지속됨 에 따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너지 하베스팅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IDTechEx에 의하면 압전발전은 2018년까지 1억4천 500만 달러, 2022년까지 6억 6천 700만 달러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현재 압전발전기는 주로 라이터 등을 포함하여 1억개 정도의 장치에 적용되고 있지만 2022년에는 보다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3억개 이상의 장치에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압전소자 관련 산업은 과거에는 압전 세라믹

(2)

부품은 일본이 세계 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였으나 최근에는 30~40%정도로 낮아지면서 우리나라의 압전 발전 시장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주문 조립 가공 부문의 자체 생산이 늘어난 부분에 기인한 것이며, 원천적 기술력 및 기술 개발 인력의 수급에는 여전히 한계점이 존재한다.

□ 연구 주제 선정(목적 및 필요성)

○ 빗물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압전소자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작하고자 한다. 빗물이 압전소자에 가하는 충격과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 키는 압전 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제작한다.

○ 빗물을 에너지 발전의 재료로 사용하여 버려지고 있는 빗물이라는 자연의 일부를 에너지원으로 탈바꿈 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태양광 발전과 같은 날씨와 환경에 영향을 받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 연구 방법

○ 압전 효과 : 전기쌍극자를 가진 재료에 물리적인 외부응력을 주면 결정을 구성하는 이온 간 상태변화가 발생한다. 이 때 결정구조가 찌그러지며 전기쌍극자 모멘트의 변화를 일으켜 주변의 전기장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 다이오드와 커패시터 : 교류 전류를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직류 로 바꿔줄 필요가 있다. 다이오드는 정류작용을 한다. 한 개의 다이오드만 연결한 경우 버려지 는 전류가 발생해 4개의 다이오드를 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류된 전력은 아직 일정하지 않 다. 이 전력량이 일정하지 않은 회로에 커패시터를 달게 되면 회로의 출력양이 커페시터에 저 장 되었다가 일정한 전력량으로 나오면서 실생활 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전류로 만든다.

※ 제한점 : 개발범위

1. 빗물을 에너지를 활용한 압발전 방식의 구조 : ① 빗물의 위치에너지를 물레바퀴를 이용 하여 회전에너지로 전환한다. ② 물레바퀴의 축에 풀리를 장착하고 벨트를 이용하여 압전 소자에 충격을 가하기에 가장 적당한 회전에너지로 조정한다. 연결된 축에 압전소자에 충 격을 가하기 위한 판을 장착하고. 물레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구 조를 제작한다. ③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가 출력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2. 압전소자에서 생산된 전류의 입력을 사용하고자 하는 장치에 맞는 출력으로 전환하는 회 로의 구조 : ① 사용하려는 장치는 일정한 전압을 요구한다. 하지만 압전 소자에서 기본 적으로 생산되는 전류는 교류형태이기 때문에 정류작용을 하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사용하 여 직류로 전환한다. ② 다이오드에서 정류된 전류는 일정하지 않아서 평활작용을 하는 축 전기(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류, 전압으로 만든다.

(3)

□ 연구 활동 및 과정

2. 물레바퀴 구조

물레바퀴가 돌아가고 물레바퀴를 돌 린 빗물이 아래 설치된 통에 모임.

1. 에너지 하베스터 구조(1)

하베스터 장치 위의 통에 빗물이 모이고, 밸브를 열면 빗물이 방출되며 물레바퀴를 돌림.

3. 물레바퀴와 압전소자

물레바퀴가 돌아가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밸트 를 통해 압전소자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

4. 압전 하베스터 전체회로

압전소자에 물리적 변화를 가하여 전압이 다이오드에 맞는 일정 전압 까지 상승하게 되면 다이오드에서 빛이 나오고 유지됨.

연구성과

□ 연구 결과

- 전기에너지의 생산

압전소자에 충격을 쉽게 가하기 위해서 그 크기를 알맞게 축소시키고, 물레바퀴를 회 전하며 압전소자에 충격을 전달함. 그 결과 압전소자와 회로로 연결한 출력장치(LED) 에 빛이 들어오게 됨. (압전소자에 물리적 변화를 가하여 전압이 다이오드에 맞는 일 정 전압까지 상승하게 되면 다이오드에서 빛이 나오고 유지됨.)

(4)

□ 결과 해석 및 논의

○ LED에 빛이 들어오게 할 수 있는 정도의 작은 전력이지만, 설계의 규모와 회로의 구 조를 에너지 발전 목적에 맞게 변형한다면 다양한 환경과 장소에 적용이 가능하다.

○ 낙하한 빗물들이 일정하게 떨어지는 장소에 빗물을 모으는 장치와 함께 하베스팅 시스템 을 설치하여 비가 오는 어두운 날씨에 바닥을 밝혀주는 LED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건물의 옥 상으로부터 빗물이 모여 흐르는 하수관 출구에 설치하여 건물에서 소모되는 자잘한 전력을 생산하는 등 다양한 장소와 위치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 결론 및 제언(시사점 및 향후 계획)

○ 작은 에너지 이지만 자연의 에너지를 재활용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보여줄 수 있고, 압전 소자의 효율을 높이면 현재 환경을 오염 시키고 있는 발전 시설들의 대체 에너지로써 충분히 사용이 가능 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의 친환경 에너지 발전 방식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향후 이 분야에서 극복하여야 하는 부분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더 나아환경 오염이 없는 친환경적인 에너지 발전으로써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압전소자, 에너지 하베스팅, 빗물

(5)

< 연구 결과보고서 >

1. 개요

□ 연구목적

빗물이 가지고 있는 무한한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압전소자를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터를 제작하고자 한다. 빗물이 압전소자에 가하는 충격과 진동을 전 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압전 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제작한다.

빗물을 에너지 발전의 재료로 사용하여 빗물이라는 자연의 일부를 에너지원으로 탈바꿈 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태양광 발전과 같이 날씨에 영향을 받는 친환경 에너지 발전의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보고자 한다.

□ 연구범위

빗물을 이용한 압전 소자 하베스터는 두 가지 원리를 필요로 한다.

(1) 압전 효과

자연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물질은 전기적으로 중성을 띠고 있다. 그러나 결정구조의 물질들은 음전하와 양전하 의 위치가 어긋나 있어 전기장을 형성시킨다. 이를 전기쌍 극자 라고 부른다. 전기쌍극자를 가진 재료에 물리적인 외 부응력을 주면 결정을 구성하는 이온 간 상태변화가 발생 한다. 이 때 걀정구조가 찌그러지며 전기쌍극자 모멘트의 변화를 일으켜 주변의 전기장이 바뀌게 되는 것이다.

(2) 다이오드와 커패시터

교류 전류를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가능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직류로 바꿔줄 필요가 있다. 다이오드는 정 류작용을 한다. 한 개의 다이오드만 연결한 경우 버려 지는 전류가 발생해 4개의 다이오드를 다는 것이 일반 적이다. 정류된 전력은 아직 일정하지 않다. 이 전력량 이 일정하지 않은 회로에 커패시터를 달게 되면 회 로의 출력양이 커페시터에 저장 되었다가 일정한 전력량으로 나오면서 실생활 에서도 사용할 수 있 는 전류로 만든다.

(6)

2. 연구 수행 내용

□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기술동향조사 : 압전효과 발견 이후 소자 및 공정 기술이 활발히 진행중이며 최근 Micro 합성섬유 등의 신소재가 개발되면서 연구에 활기를 띄고 있다.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전자기 기는 소형화, 저전력, 유연성 등이 요구되고 휴대폰 등과 같은 필수 생활기기가 개발되었지만 배터리는 수명, 사이즈 등에 대한 문제로 여전히 새로운 기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의 배터리를 대체 또는 보완하기 위해 주변 환경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압전 에너지 발전 기술은 주변 환경의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이며, 최근 바이오 메디컬 디바이스와 신발, 시계등에 장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리고 스마트폰과 MP3 플레이어 등의 주전원 또는 보조전 원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은 타 기술과 비교하여 경제성, 효율성 등에 서 매우 우수한 기술이지만 아직 실용화/상용화하기에는 아직 기술적으로 미흡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학연 중심으로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재에 대한 기술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ZnO(산화 아연)등을 이용한 나노 압전 소재 기술, 압전 나노 소재와 폴리머 소재를 중합한 유연 복합 압전 소재 기술, 압전 박막 소재를 유연 기판 위에 공정을 통해 구현한 유연 압전 전사 공정 기술 등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나,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모 듈 및 시스템 구현에 있어서 국내 기술 개발은 상용화에 근접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지금까지 활발히 이루어진 고효율 압전 소재기술뿐만 아니라 구조 설계 기술, 회 로 설계 기술등의 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기술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원천 기술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해외에서는 현재 미래 세대에서 압전 소자의 다양한 응용을 위해서 미국, 독일을 중심으 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에는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기계공학 과 ,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의 음향 및 진동 연구 센터, 버지니아 폴리텍 연구소 및 주립 대 학의 지능형 재료 시스템 및 구조 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압전소자로의 이론적인 접근 외에 도 에너지 하베스팅과 관련된 회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버지니아 공과대학에서는 세라 믹-폴리머 압전 복합재를 이용하여 2차전지에 충전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텍사스 의 알링톤 대학에서는 풍차에 압전체를 이용한 발전을 연구하였다. 압전 소자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지금까지 크게 3가지가 있다.

먼저 기계적 물리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된다는 점을 응용할 수 있다. 이 분야에 는 외부에서 소자의 전극면에 작용하는 힘, 충격, 진동 등을 미소한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 켜주는 센서류와 외부의 충격에 의한 고전압 발생장치 등이 있다.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가정용 가습기의 진동자, 플라스틱용착에 사용되는

(7)

초음파 세척기용 진동자등이 이 방법에 속한다. 그리고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이것을 다시 전기적 에너지로 변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동차 후진 시에 이용하는 백 센 서와 거리, 수위, 수심, 금속두께등의 측정 장치가 여기에 속한다. 압전 트랜스포머는 압전 기술을 활용한 대표적인 예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진보에 의해 제품이 매우 소형화가 되면 서 공급전원으 소형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주파수에서 높은 전력 전송이 가능한 압전 트랜스포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권선형 트랜스포머의 과열에 따른 문제점이 노출되면서 더욱 압전 트랜스 포머에 대한 관 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이스라엘 하베스팅 업체인 Inowattech는 도로에 압전발전기를 설 치하여 자동차로부터 에너지를 수확한다. 1km 도로에서 시간당 최대 200kw/h를 발전하였고 철도에 설치 시 1km 철길에서 최대 시간당 120kw/h의 발전량을 보였다. 일본에서도 사람이 나 차 등이 통과할 때 발생하는 진동에너지를 이용하여 마루 내부에 매입된 압전 변환 소 자에 의해 발전을 하는 발전마루를 개발하였다.

○ 시장동향조사 : 에너지 하베스팅 세계 시장 규모는 전세계가 차세대 에너지를 생산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장에 주목하고 있음에 따라 2015년에 269만 달러에서 연마다 19.6%씩 성장하여 2022년에 974만 달러까지 늘어날 전망이며 향후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상용화되면 낮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기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보급될 전망이다. 지구의 에너지 부족이 지속됨에 따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너지 하베스팅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IDTechEx에 의하면 압전발전은 2018년까지 1억4천 500만 달러, 2022년까지 6억 6천 700만 달러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현재 압전발전기는 주로 라이터 등을 포함하 여 1억개 정도의 장치에 적용되고 있지만 2022년에는 보다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3억개 이상의 장치에 응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압전소자 관련 산업은 과거에는 압전 세라믹 부품은 일본이 세계 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였으나 최근에는 30~40%정도로 낮아지면서 우리나라의 압전 발전 시장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주문 조립 가공 부문의 자체 생산이 늘어난 부분에 기인한 것이며, 원천적 기술력 및 기술 개발 인력의 수급에는 여전히 한계점이 존재한다.

□ 연구주제의 선정

○ 일본 지하철에서 사람의 걸음을 활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통해, 빗물을 활용한 하베스팅 시스템을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 또한, 시스템 제작에 대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문가를 섭외하기 위해 노력함.

(8)

□ 연구 방법

1. 빗물을 에너지를 활용한 압전발전 방식의 구조

① 빗물의 위치에너지를 물레바퀴를 이용하여 회전에너지로 전환한다.

② 물레바퀴의 축에 풀리를 장착하고 벨트를 이용하여 압전소자에 충격을 가하기에 가 장 적당한 회전에너지로 조정한다.

③ 연결된 축에 압전소자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판을 장착하고. 물레바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전소자를 타격하는 구조를 제작한다.

④ 압전소자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가 출력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2. 압전소자에서 생산된 전류의 입력을 사용하고자 하는 장치에 맞는 출력으로 전환하는 회로의 구조

① 사용하려는 장치는 일정한 전압을 요구한다. 하지만 압전 소자에서 기본적으로 생산 되는 전류는 교류형태이기 때문에 정류작용을 하는 브릿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직류로 전 환한다.

② 다이오드에서 정류된 전류는 일정하지 않아서 평활작용을 하는 축전기(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일정한 전류, 전압으로 만든다.

□ 연구 활동 및 과정

1. 에너지 하베스터 구조(1)

하베스터 장치 위의 통에 빗물이 모이고, 밸브를 열면 빗물이 방출되며 물레바퀴를 돌림.

(9)

2. 물레바퀴 구조

물레바퀴가 돌아가고 물레바 퀴를 돌린 빗물이 아래 설치 된 통에 모임.

(물레바퀴를 돌리고 난 후 통 에 모인 빗물은 다양한 방법 으로 처리가능)

3. 물레바퀴와 압전소자

물레바퀴가 돌아가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밸트를 통해 압전소자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

(10)

4. 압전 하베스터 전체회로

압전소자에 물리적 변화를 가하여 전압이 다이오드에 맞는 일정 전압까지 상승하 게 되면 다이오드에서 빛이 나오고 유지됨.

(11)

3. 연구 결과 및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빗물의 낙하에너지를 활용한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를 설계하여 시제품 을 제작하였다. 시제품 제작을 위해 위에서 제시한 빗물의 낙하에너지를 물레바퀴를 사용하여 회전 에너지로 바꾸는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실험 결과 전압은 계속해서 상 승하다가 LED 발광 다이오드에 불이 들어오면서 2.0 ~ 2.4V의 값이 계산되었다. 현재 까지 알려진 정보에 의하면 압전소자는 기존에 비해 성능이 10배 개선된 압전소자가 개발되었다. 앞으로 압전소자의 성능은 점점 더 좋아질 것이다. 압전소자의 발전 가능 성과 본 논문의 연구내용에 기초하여 생각해 볼 때 압전 에너지 하베스터의 제작 및 상업화의 가능성은 무궁무진 하다고 볼 수 있다.

4. 홍보 및 사후 활용

낙하한 빗물들이 일정하게 떨어지는 장소에 빗물을 모으는 장치와 함께 하베스팅 시스템을 설치하여 비가 오는 어두운 날씨에 바닥을 밝혀주는 LED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건물의 옥상으로부 터 빗물이 모여 흐르는 하수관 출구에 설치하여 건물에서 소모되는 자잘한 전력을 생산하는 등 다양한 장소와 위치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바다의 부표위에 태양광 발전기와 함께 설치하여 배터리 교환이나 전력공급이 힘든 부표의 무한 동력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고, 비가오는 날에 자동으로 강수량을 측정하는

5. 전기에너지 생산

압전소자에 충격을 쉽게 가하기 위해서 그 크기를 알맞게 축소시키고, 물레바퀴를 회 전하며 압전소자에 충격을 전달함.

그 결과 압전소자와 회로로 연결한 출력장 치(LED)에 빛이 들어오게 됨.

(압전소자에 물리적 변화를 가하여 전압이 다이오드에 맞는 일정 전압까지 상승하게 되면 다이오드에서 빛이 나오고 유지됨.)

(12)

장치에 사용하는 등 활용범위가 무한정하다고 볼 수 있다.

작은 에너지 이지만 자연의 에너지를 재활용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보여줄 수 있고, 압 전소자의 효율을 높이면 현재 환경을 오염 시키고 있는 발전 시설들의 대체 에너지로써 충 분히 사용이 가능 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존의 친환경 에너지 발전 방식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향후 이 분야에서 극복하여 야 하는 부분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더 나아환경오염이 없는 친환경적인 에너지 발전으로써 그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5. 참고문헌

[1] 권순덕, 이한규(2011). 철도하중에 의한 교량 진동을 이용한 압전 에너지수확. 대한 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 모승기(2016). 압전 하베스팅 소자의 에너지 변환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3] 이수진, 김상우, 함영복(2013).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동향 및 전망. 한국과학기 술정보연구원 정보분석연구소.

[4] 조민규(2014). 압전소자를 이용한 에너지 발생 장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

[5] 이영석, 김광훈, 최병규, 강상준, 신종호, 노형준, 박성훈(2015). 압전에너지 하베스팅 을 이용한 전기 발생장치. 대한기계학회,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6] 윤은정(2013). MPPT 제어 기능을 갖는 삼중 입력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설계. 인천 대학교 일반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준호, 윤은정, 박종태, 유종근(2011). MPPT제어 기능을 갖는 진동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설계.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참조

관련 문서

□ ICT 활용을 통한 에너지 효율성 개선이 다른 분야에서의 에너지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반동효과에 대한 고려가 에너지 및 자원의 수요가 포화상태인 선진국

™본 ™ 본 교재에서는 교재에서는 에너지 에너지 변환의 변환의 중간 중간 연결계 연결계 (coupling field)로 (coupling field) 로 자계 자계 시스템을 시스템을

에너지 수요 전망(기준안) 에너지 소비 추이..

– 에너지 소비구조의 왜곡을 초래하여 산업부문을 중심으로 에너지 다소 비 구조 고착화.

 요소기술의 통합적인 연구 및 적용을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자립화 가능...

- 에너지 제품을 지원할 것인가 아니면 에너지 설비를 지원할 것인가에 대 한 판단에도 신중할 필요가 있음. 대북 인도적 에너지 지원의 초기단계에 서는 에너지 제품

태양전지는 빛을 흡수하는 태양전지의 소재에 따라 실리콘계, 화합물계, 유기계로 구분할 수 있습 니다. 또 흡수층의 형태에 따라 결정계와 박막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은 에너지 자원의 유한성에 대해 깨닫고 에너지 자립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전기와 관련된 물리개념, 태양 광 발전 시설과 빗물 재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