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 리 경 제 입 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수 리 경 제 입 문"

Copied!
14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수 리 경 제 입 문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2)

1. 과목 개요

(3)

3

개요

• 본 과목은 경제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수학적 개념과 원 리를 다룸

• 본 과목의 목표는 학생들이 상위 경제학 과목을 학습하 는데 필요한 수학적 지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임

• 주요 주제 다음과 같음 – 함수의 기초

– 지수함수, 로그함수 – 함수의 극한과 연속 – 함수의 미분

– 미분 규칙 – 미분 응용 – 적분 및 응용

– 선형대수의 기초 – 행렬대수

– 선형연립방정식의 풀이 – 다변수함수와 미분

– 음함수 정리

– 다변수 함수의 최적화 – 등식제약하의 최적화

(4)

2. 함수의 기초

(5)

함수의 정의

• 정의역(domain)과 공변역(codomain)이라는 두 집 합이 있다고 하고, 각각 𝑋와 𝑌로 표시하자.

• 함수란 𝑋의 원소들을 𝑌의 원소들과 짝지어주는 규 칙 중 다음을 만족하는 것

1. 𝑋의 모든 원소마다 적어도 하나의 짝이 𝑌 속 에 있어야 한다

2. 𝑋의 원소 하나가 2개 이상의 𝑌의 원소를 짝으 로 가지면 안된다.

(6)

6

함수의 그래프

• 함수 𝑓: 𝑋 → 𝑌의 그래프는 (𝑥, 𝑓 𝑥 )(x, f(x))의 좌표를 갖는 점들의 집합

• 𝑋 축 상의 각 점 𝑥위에 함수값 𝑓 𝑥 에 해당하는 점 𝑦 를 찾아 이들을 그림으로 표현

• (예)

𝑦 = 𝑓 𝑥 = 𝑥 𝑋 = 1, … , 100 𝑌 = {1, … , 100}

(7)

함수 𝒇: 𝑿 → 𝒀

• [단조함수] 임의의 정의역의 원소 𝑥1 ≥ 𝑥2에 대해서 – 𝑓 𝑥1 ≥ 𝑓(𝑥2)이면, 𝑓는 단조증가함수

– 𝑓 𝑥1 ≤ 𝑓(𝑥2)이면, 𝑓는 단조감소함수 – 이 때, 강부등호가 성립하면, 강단조함수

• [단사함수] 𝑓 𝑥1 = 𝑓(𝑥2)가 𝑥1 = 𝑥2를 의미하면, 𝑓를 𝑋에서 𝑌로의 일대일(one-to-one) 혹은 단사함수

(injection)라고 한다.

(8)

8

함수 𝒇: 𝑿 → 𝒀

• [전사함수] 𝑓 𝑋 = 𝑌이면, 𝑓를 𝑋에서 𝑌로의 전사함 수(surjection 또는 onto)라고 한다.

• [전단사함수] 𝑓가 𝑋에서 𝑌로의 단사함수이면서 동 시에 전사함수일 경우, 이를 전단사함수(bijection)라 고 한다.

• [역함수] 𝑓: 𝑋 → 𝑌가 전단사함수일 때,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 𝑓−1: 𝑌 → 𝑋를 𝑓의 역함수(inverse

function)이라고 한다.

임의의 𝑦 ∈ 𝑌에 대해 𝑓 𝑥 = 𝑦일 경우 𝑓−1 𝑦 = 𝑥

(9)

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0)

10

지수함수: 𝒚 = 𝒃 𝒙

• ‘밑’이 상수, ‘지수’에 독립변수

• 밑수를 𝑏(> 0) 라 할 때 𝑓 𝑥 = 𝑏𝑥의 형태

• 모든 𝑏에 대해 𝑓 0 = 1

• 𝑏 > 1이면, 강단조증가함수

• 0 < 𝑏 < 1이면, 강단조감소함수

• 𝑔 𝑥 = 𝑏−𝑥일 때, 𝑓 𝑥 = 𝑔 −𝑥 이고 𝑓 −𝑥 = 𝑔 𝑥 이다.

(11)

11

숫자 𝒆

• 연 이자율 𝑟에 이자를 𝑛번 나누어 복리로 지급하는 예금에 1년간 원금 𝐴를 예금

– 매 지급시기에 적용되는 이자율은 𝑟/𝑛 – 최초 지급시기 원금과 이자의 합은

𝐴 + 𝐴 𝑟

𝑛 = 𝐴 1 + 𝑟 𝑛

– 2회차 지급시기 원금과 이자의 합은 𝐴 1 + 𝑟

𝑛 + 𝐴 1 + 𝑟 𝑛

𝑟

𝑛 = 𝐴 1 + 𝑟 𝑛

2

– 같은 방식으로, 연말에 받게되는 금액은 𝐴 1 + 𝑟

𝑛

𝑛−1 + 𝐴 1 + 𝑟 𝑛

𝑛−1 𝑟

𝑛 = 𝐴 1 + 𝑟 𝑛

𝑛

(12)

12

숫자 𝒆

• 매순간마다 계속해서 이자를 지급하는 방식을 연속 복리라고 한다.

• 만약 원금 𝐴 = 1

,

연이자율 𝑟 = 1이라면, 연속복리하 에서 1년 후 받게 되는 금액은

𝑛→∞lim 1 + 1 𝑛

𝑛

≡ 𝑒 – 𝑛 = 1: 1 + 1 2= 2

– 𝑛 = 2: 1 + 1/2 2 = 2.25 – 𝑛 = 4: 1 + 1/4 3= 2.441 … – 𝑛 = 7: 1 + 1/7 7= 2.546 …

– 𝑒 = 2.718 … > 1이므로 증가함수

(13)

13

현재가치 계산

• 연 이자율이 임의의 값 𝑟일 때, 연속복리하에서 1년 후 받게 되는 금액은 𝐴𝑒𝑟

𝑛→∞lim 1 + 𝑟 𝑛

𝑛 = lim

𝑚→∞ 1 + 1 𝑚

𝑚𝑟

= lim

𝑚→∞ 1 + 1 𝑚

𝑚 𝑟

(이 때, 𝑚 = 𝑛/𝑟)

• 𝑡년 후 원리금합계는 𝐴𝑒𝑟 × ⋯ × 𝑒𝑟 = 𝐴𝑒𝑟𝑡

• 따라서, 𝑡년 후 𝐵의 현재가치는 𝐴 = 𝐵𝑒−𝑟𝑡

(14)

14

로그함수: 𝒚 = 𝐥𝐨𝐠 𝒃 𝒙

• 지수함수의 역함수를 로그함수라고 함.

• 즉, 𝑥 = 𝑏𝑦 ⇔ 𝑦 = log𝑏 𝑥

(15)

15

로그함수: 𝒚 = 𝐥𝐨𝐠 𝒃 𝒙

• 𝑏 > 1인 경우로 국한. 정의역은 𝑥 > 0

• 로그함수의 성질

– 0 < 𝑥 < 1이면 𝑦 = log𝑏 𝑥 < 0 – 𝑥 > 1이면 𝑦 = log𝑏 𝑥 > 0

– log𝑏 𝑥1𝑥2 = log𝑏 𝑥1 + log𝑏 𝑥2 – log𝑏 𝑥1/𝑥2 = log𝑏 𝑥1 − log𝑏 𝑥2 – log𝑏 𝑥𝑘 = 𝑘 log𝑏 𝑥

• 𝑏 = 10이면 상용로그라 부름

𝑏 = 𝑒이면 자연로그라 부르고 𝑦 = ln 𝑥로 표시

(16)

16

지수 및 로그함수의 응용

• 시간 𝑡에 따라 일정한 증가율 𝑟로 연속적으로 증가 하는 변수 𝑋를 함수로 표기

𝑋 𝑡 = 𝑋0𝑒𝑟𝑡

• 이 식의 양변에 자연로그를 씌워주면 ln 𝑋(𝑡) = ln 𝑋0𝑒𝑟𝑡 + ln 𝑋0 + 𝑟𝑡

• 지수 형태의 증가식이 1차식으로 변환됨

(17)

4. 함수의 극한과 연속

(18)

18

함수의 극한

• 함수 𝑓: 𝑋 → 𝑌를 생각하자.

• 𝑥 → 𝑎일 때 𝑓 𝑥 → 𝐴이면, 함수 𝑓는 𝑥 = 𝑎에서 극한 값 𝐴를 갖는다.

𝑥→𝑎lim 𝑓(𝑥) = 𝐴

• 우극한은 lim

𝑥→𝑎+ 𝑓(𝑥), 좌극한은 lim

𝑥→𝑎 𝑓(𝑥)

• lim

𝑥→𝑎+ 𝑓(𝑥) = lim

𝑥→𝑎 𝑓(𝑥)이면 극한이 존재한다.

(19)

예시

– 𝑥값이 1로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

– 𝑥값이 오른쪽에서 접 근하든 왼쪽에서 접 근하든 함수값은 3에 수렴함.

– 따라서 lim

𝑥→1 𝑓(𝑥) = 3

• (예) 𝑓 𝑥 = 2𝑥 + 1

𝑓 𝑥

(20)

20

극한의 성질

• 함수의 극한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같는다.

– lim

𝑥→𝑎 𝐶 = 𝐶 – lim

𝑥→𝑎 𝑥 = 𝑎 – lim

𝑥→𝑎 𝑓 𝑥 ± 𝑔 𝑥 = lim

𝑥→𝑎 𝑓(𝑥) ± lim

𝑥→𝑎 𝑔(𝑥) – lim

𝑥→𝑎 𝑓 𝑥 𝑔(𝑥) = lim

𝑥→𝑎 𝑓(𝑥) lim

𝑥→𝑎 𝑔(𝑥) – lim

𝑥→𝑎 𝑔(𝑥) ≠0이면 lim

𝑥→𝑎

𝑓 𝑥

𝑔 𝑥 = 𝑥→𝑎limlim𝑓 𝑥

𝑥→𝑎𝑔 𝑥

(21)

함수의 연속

• 함수 𝑓가 lim

𝑥→𝑎 𝑓(𝑥) = 𝑓(𝑎)이면 점 𝑥 = 𝑎에서 연속이 라고 한다.

• 함수 𝑓(𝑥)와 𝑔(𝑥)가 𝑥 = 𝑎에서 연속일 때, 다음의 함 수들도 𝑥 = 𝑎에서 연속이다.

– 𝑓 𝑥 ± 𝑔 𝑥 , c𝑓 𝑥 , 𝑓 𝑥 𝑔(𝑥), 𝑓 𝑥𝑔 𝑥 (단,𝑔(𝑥) ≠ 0)

• 𝑥 = 𝑎에서 함수 𝑔(𝑥)가 연속이고, 함수 𝑓(𝑥)가 𝑔 𝑎 에서 연속이면, 합성함수 𝑓(𝑔 𝑥 )는 𝑥 = 𝑎에서 연속 이다.

(22)

22

불연속 함수

• 불연속 함수의 예

– 𝑦 = 𝑥𝑥 – 𝑦 = ln 𝑥

(23)

5. 함수의 미분

(24)

24

미분계수와 도함수

• 함수 𝑦 = 𝑓(𝑥)에서 점 𝑥0, 𝑦0 에서 𝑥1, 𝑦1 사이의 변 화율은 다음과 같다.

∆𝑦

∆𝑥 = 𝑓 𝑥1 − 𝑓(𝑥0)

𝑥1 − 𝑥0 = 𝑓 𝑥0 + ∆𝑥 − 𝑓(𝑥0) 𝑥1 − 𝑥0

• 이 때, 순간 변화율을 미분계수라고 한다.

• 독립변수 𝑥와 미분계수 값 사이의 관계가 “함수”이 면 이를 도함수라고 부른다.

𝑓 𝑥 = lim

∆𝑥→0

∆𝑦

∆𝑥 = lim

∆𝑥→0

𝑓 𝑥 + ∆𝑥 − 𝑓(𝑥)

∆𝑥

(25)

25

예시

• (예) 𝑓 𝑥 = 𝑥

𝑓 𝑥 = lim

Δ𝑥→0

𝑥 + Δ𝑥 − 𝑥

Δ𝑥 = 1

• (예) 𝑓 𝑥 = ln 𝑥 𝑓′(𝑥) = lim

Δ𝑥→0

ln 𝑥 + Δ𝑥 − ln 𝑥

Δ𝑥 = lim

Δ𝑥→0

1

Δ𝑥 ln 𝑥 + Δ𝑥 𝑥

= lim

Δ𝑥→0 ln 1 + Δ𝑥 𝑥

Δ𝑥1

= ln 𝑒𝑥1 = 1 𝑥

(26)

26

미분계수와 도함수

• 도함수도 함수이므로, 도함수의 도함수를 정의할 수 있고, 이를 이계도함수라고 부른다.

𝑓′′ 𝑥 = lim

∆𝑥→∞

𝑓 𝑥 + ∆𝑥 − 𝑓 𝑥

∆𝑥 = 𝑑2𝑦 𝑑𝑥2

• 마찬가지로 고계도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 𝑓 𝑥 , 𝑓′′ 𝑥 , 𝑓′′′ 𝑥 , … – 𝑑𝑦𝑑𝑥 , 𝑑𝑑𝑥2𝑦2 , 𝑑𝑑𝑥3𝑦3 , … .

(27)

27

미분계수와 접선의 방정식

• 도함수의 정의로 부터

Δ𝑥→∞lim

𝑓 𝑎 + Δ𝑥 − 𝑓(𝑎)

Δ𝑥 − 𝑓(𝑎)

= lim

𝑥→𝑎

𝑓 𝑥 − 𝑓 𝑎 − 𝑓′(𝑎)(𝑥 − 𝑎)

𝑥 − 𝑎 = 0

• 함수 𝑓(𝑥)의 𝑥 = 𝑎에서 접선의 방정식은 𝑦 = 𝑓 𝑎 + 𝑓′(𝑎)(𝑥 − 𝑎)

𝑓′(𝑎)는 𝑥 = 𝑎에서 𝑓(𝑥)의 접선의 기울기

(28)

28

미분계수와 함수의 그래프

• 𝑓 > 0이고 𝑓′′ > 0이면 기울기가 점점 커지는 증가 함수 그래프

• 𝑓 < 0이고 𝑓′′ > 0이면 기울기가 점점 커지는 감소 함수 그래프

• 𝑓 > 0이고 𝑓′′ > 0이면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증 가함수 그래프

• 𝑓 < 0이고 𝑓′′ < 0이면 기울기가 점점 작아지는 감 소함수 그래프

(29)

29

예시

• (예) 𝑓(𝑥) = 𝑥3 – 𝑓 𝑥 = 3𝑥2 – 𝑓′′ 𝑥 = 6𝑥 – 𝑥 > 0일 때,

𝑓 > 0, 𝑓′′ > 0 – 𝑥 < 0일 때,

𝑓 > 0, 𝑓′′ < 0

(30)

30

미분가능

• 도함수의 정의 𝑑𝑦

𝑑𝑥 = 𝑓 𝑥 = lim

Δ𝑥→∞

𝑓 𝑥 + Δ𝑥 − 𝑓(𝑥) Δ𝑥

• 𝑓 𝑎 가 존재하면, x = 𝑎에서 미분가능하다. 즉,

Δ𝑥→0lim+

𝑓 𝑎 + Δ𝑥 − 𝑓(𝑎)

Δ𝑥 = lim

Δ𝑥→0

𝑓 𝑎 + Δ𝑥 − 𝑓(𝑎) Δ𝑥

• 함수 𝑓(𝑥)가 𝑥 = 𝑎에서 미분가능하면, 𝑓(𝑥)는 𝑥 = 𝑎 에서 연속이다.

(증명) lim

𝑥→𝑎 𝑓(𝑥) = lim

𝑥→𝑎

𝑓 𝑥 −𝑓 𝑎

𝑥−𝑎 𝑥 − 𝑎 + 𝑓(𝑎) = lim

𝑥→𝑎 𝑓′(𝑎) × 0 + 𝑓 𝑎 = 𝑓(𝑎)

(31)

미분이 불가능한 경우

– 𝑦 = 1 − ln 𝑥 – 𝑦 = |𝑥|

(32)

32

로피탈 정리(L’Hospital’s Theorem)

• 𝑓 𝑎 = 𝑔 𝑎 = 0이고 𝑓와 𝑔가 𝑥 = 𝑎에서 미분가능하 면 다음이 성립한다

𝑥→𝑎lim

𝑓(𝑥)

𝑔(𝑥) = lim

𝑥→𝑎

𝑓′(𝑥) 𝑔′(𝑥)

(증명)

𝑥→𝑎

lim

𝑓(𝑥)

𝑔(𝑥) = lim

𝑥→𝑎

𝑓 𝑥 − 𝑓(𝑎)

𝑔 𝑥 − 𝑔(𝑎) = lim

𝑥→𝑎

𝑓 𝑥 − 𝑓(𝑎) 𝑥 − 𝑎

𝑥→𝑎

lim

𝑔 𝑥 − 𝑔(𝑎) 𝑥 − 𝑎

= 𝑓′(𝑎)

𝑔′(𝑎) = lim

𝑥→𝑎

𝑓′(𝑥) 𝑔′(𝑥)

• lim

𝑥→𝑎

1 𝑓(𝑥)

1 𝑔(𝑥)

=

1 𝑓(𝑎)

1 𝑔(𝑎)

=

1 01 0

= = −∞ = −∞ 로 변형될 수 있음

(33)

6. 미분 규칙

(34)

34

두 함수 합의 미분

• 미분가능한 두 함수 합의 미분

𝑓 𝑥 + 𝑔 𝑥 = lim

Δ𝑥→∞

𝑓 𝑥 + Δ𝑥 + 𝑔 𝑥 + Δ𝑥 − 𝑓 𝑥 − 𝑔(𝑥) Δ𝑥

= lim

Δ𝑥→∞

𝑓 𝑥 + Δ𝑥 − 𝑓 𝑥

Δ𝑥 + lim

Δ𝑥→∞

𝑔 𝑥 + Δ𝑥 − 𝑔 𝑥 + Δ𝑥 Δ𝑥

= 𝑓 𝑥 + 𝑔′(𝑥)

• 비슷하게, 𝑓 𝑥 − 𝑔 𝑥 = 𝑓 𝑥 − 𝑔′(𝑥)

(35)

두 함수 곱의 미분

• 미분 가능한 두 함수 곱의 미분

𝑓 𝑥 𝑔 𝑥

= lim

Δ𝑥→∞

𝑓 𝑥 + Δ𝑥 𝑔 𝑥 + Δ𝑥 − 𝑓 𝑥 𝑔(𝑥) Δ𝑥

= lim

Δ𝑥→∞

𝑓 𝑥 + Δ𝑥 𝑔 𝑥 + Δ𝑥 − 𝑓 𝑥 𝑔 𝑥 + Δ𝑥 + 𝑓 𝑥 𝑔 𝑥 + Δ𝑥 − 𝑓 𝑥 𝑔(𝑥) Δ𝑥

= lim

Δ𝑥→∞

𝑓 𝑥 + Δ𝑥 − 𝑓 𝑥

Δ𝑥 𝑔 𝑥 + Δ𝑥 + lim

Δ𝑥→∞

𝑔 𝑥 + Δ𝑥 − 𝑔 𝑥 + Δ𝑥

Δ𝑥 𝑓 𝑥

= 𝑓

𝑥 𝑔 𝑥 + 𝑓 𝑥 𝑔′(𝑥)

(36)

36

합성함수의 미분

• 함수 𝑓와 𝑔가 미분가능하고, 두 함수의 합성함수를 ℎ 𝑥 = 𝑔(𝑓 𝑥 )라 하자. 그러면 ℎ 𝑥 = 𝑔 𝑓 𝑥 𝑓′(𝑥) 이 성립한다.

(증명) 𝑦 = 𝑓(𝑥), 𝑠 = 𝑓(𝑡)라고 하자. 그러면 lim

𝑡→𝑥 𝑢(𝑡) = 0 과 lim

𝑠→𝑦 𝑣(𝑠) = 0을 만족하는 어떤 𝑢와 𝑣가 있어 다음을 만 족한다.

𝑓 𝑡 − 𝑓 𝑥 = (𝑡 − 𝑥)[𝑓 𝑥 + 𝑢 𝑡 ] 𝑔 𝑠 − 𝑔 𝑦 = (𝑠 − 𝑦)[𝑔′ 𝑦 + 𝑣 𝑠 ]

(37)

합성함수의 미분

그러면

ℎ 𝑡 − ℎ 𝑥 = 𝑔 𝑓 𝑡 − 𝑔 𝑓 𝑥

= 𝑓 𝑡 − 𝑓 𝑥 ∙ 𝑔 𝑦 + 𝑣 𝑠

= 𝑡 − 𝑥 ∙ 𝑓 𝑥 + 𝑢 𝑡 ∙ [𝑔 𝑦 + 𝑣 𝑠 ] 따라서 𝑡 ≠ 𝑥일때,

ℎ 𝑡 − ℎ(𝑥)

𝑡 − 𝑥 = 𝑔 𝑦 + 𝑣 𝑠 ∙ [𝑓 𝑥 + 𝑢 𝑡 ]

함수 𝑓는 연속이므로, 𝑡 → 𝑥일때 𝑠 → 𝑦임을 알 수 있다.

(38)

38

역함수의 미분

• 함수 𝑓의 역함수를 𝑔 ≡ 𝑓−1이라고 하면, 𝑔 𝑦 = 1/𝑓′(𝑥)가 성립한다.

(증명) 역함수의 정의에 의해 𝑥 = 𝑔(𝑓 𝑥 ). 연쇄법칙을 이용하여

1 = 𝑔 𝑓 𝑥 𝑓 𝑥 = 𝑔 𝑦 𝑓′(𝑥) 따라서 𝑓′(𝑥) ≠ 0일 때 𝑔 𝑦 = 1/𝑓′(𝑥).

(39)

예시

• (예) 𝑔 𝑦 = 𝑒𝑦, 𝑦 = 𝑓 𝑥 = ln 𝑥라고 하면 𝑔 𝑦 = 1

𝑓(𝑥) = 𝑥 = 𝑒𝑦

• (예) 𝑓 𝑥 = 𝑥𝑛의 미분

함수 𝑓와 자연로그함수의 합성함수는 ln 𝑓(𝑥) = 𝑛 ln 𝑥 이므로,

𝑑(ln 𝑓 𝑥 )

𝑑𝑥 = 𝑛 𝑑 ln 𝑥

𝑑𝑥 ⇒ 𝑑 ln 𝑦 𝑑𝑦

𝑑𝑓(𝑥)

𝑑𝑥 = 𝑛 1

𝑥 ⇒ 1 𝑦

𝑑𝑦

𝑑𝑥 = 𝑛 𝑥

⇒ 𝑑𝑦

𝑑𝑥 = 𝑛𝑦

𝑥 = 𝑛𝑥𝑛

𝑥 = 𝑛𝑥𝑛−1

(40)

7. 미분의 응용

(41)

‘한계’ 개념

• ‘한계’=‘도함수’

• 한계비용=비용함수의 도함수

– 재화의 생산량을 무한히 조금 더 늘릴 때 추가로 필요한 비용

• (예) 비용함수 𝐶 𝑥 = 100 + 10𝑥2𝐶 0 = 100은 고정비용

– 고정비용 이외의 부분은 가변비용 – 한계비용은 𝐶 𝑥 = 20𝑥

(42)

42

탄력성

𝐴의 𝐵 탄력성

Δ𝐴/𝐴

Δ𝐵/𝐵 = Δ𝐴 Δ𝐵

A

𝐵 Δ𝐵→0

𝑑𝐴 𝑑𝐵

A 𝐵

• Δ𝐵가 무한히 작아질 때의 극한값, 𝐵가 변할 때 𝐴가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를 나타냄

• 선형수요함수 𝑄 = 𝑎 − 𝑏𝑃의 가격탄력성 𝜖 = 𝑑𝑄

𝑑𝑃 𝑃

𝑄 = −𝑏 𝑃 𝑎 − 𝑏𝑃

(43)

미분량

• Δ𝑦 = 𝑓 𝑥0 + Δ𝑥 − 𝑓(𝑥0), 𝑑𝑦 = 𝑓 𝑥0 Δ𝑥

• Δ𝑥 → 0이면 Δ𝑦 → 𝑑𝑦가 성립. Δ𝑥 → 0인 경우 𝑑𝑥로 표시

• (예) 함수 𝑓 𝑥 = 𝑥2의 𝑥0 = 1에서 근사계산 – 𝑓 1 = 1, 𝑓 1.01 = 1.012 = 1.0201이므로

Δ𝑦 = 1.0201 − 1 = 0.0201 – 𝑓 𝑥0 = 2𝑥0 = 1이므로

𝑑𝑦 = 𝑓 𝑥0 Δ𝑥 = 2 × 0.01 = 0.02

(44)

44

최적화

max 𝑥 𝑓(𝑥)

• 선택변수 𝑥를 선택하여 목적함수 𝑓(𝑥)를 최적화(극 대/극소) 시키는 것.

– 최대점: 모든 𝑥에 대해서 𝑓 𝑥 ≥ 𝑓(𝑥) – 최소점: 모든 𝑥에 대해서 𝑓 𝑥 ≤ 𝑓(𝑥)

– 극대점: 𝑥 주변의 𝑥에 대해서 𝑓 𝑥 ≥ 𝑓(𝑥) – 극소점: 𝑥 주변의 𝑥에 대해서 𝑓 𝑥 ≤ 𝑓(𝑥)

• 최대점을 포함한 모든 극대점을 찾는 문제를 “극대 화”라고 부름

(45)

45

일계조건(First Order Condition)

• 목적함수 𝑓: 𝑋 → 𝑌가 미분가능하고, 𝑥 ∈ 𝑋라고 하자.

그러면 𝑓 𝑥 = 0이 성립한다.

– (증명) 𝑥가 극대점인 경우, 𝑥 근처의 모든 𝑥에 대해 𝑓 𝑥 ≥ 𝑓(𝑥)이므로 다음이 성립.

Δ𝑓 = 𝑓 𝑥 + Δ𝑥 − 𝑓 𝑥 ≤ 0

Δ𝑓의 근사값인 𝑑𝑓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

𝑑𝑓 = 𝑓 𝑥 𝑑𝑥 ≤ 0

𝑑𝑥 > 0과 𝑑𝑥 < 0가 모두 가능하므로 𝑓 𝑥 = 0.

– 필요조건: 𝑥가 최적해라면 일계조건을 마족해야 함. 하지만 일계조건을 만족한다고해서 반드시 최 적해인 것은 아님.

(46)

46

이계조건(Second Order Condition)

• [극대 이계조건] 𝑓′′ 𝑥 < 0

• [극소 이계조건] 𝑓′′ 𝑥 > 0

• 일계조건과 함께 최적해의 충분조건

– 𝑓 𝑥 = 0이고 𝑓′′ 𝑥 < 0이면 𝑥는 극대해 – 𝑓 𝑥 = 0이고 𝑓′′ 𝑥 > 0이면 𝑥는 극소해 – 𝑓 𝑥 = 0이고 𝑓′′ 𝑥 = 0이면 알 수 없음

• (예) 𝑓 𝑥 = −𝑥2, 𝑔 𝑥 = 𝑥2, ℎ 𝑥 = 𝑥3

– 𝑥 = 0은 함수 𝑓의 극대해, 𝑔의 극소해, ℎ에서는 극대도 아니고 극소도 아님

(47)

독점기업의 이윤극대화

• 역수요함수: 𝑃 𝑄 = 𝑎 − 𝑏𝑄

• 수입함수: 𝑅 𝑄 = 𝑃𝑄 = 𝑎𝑄 − 𝑏𝑄2

• 비용함수: 𝐶 𝑄 = 𝑐𝑄 + 𝑓

• 이윤함수:

Π 𝑄 = 𝑅 𝑄 − 𝐶 𝑄 = 𝑎𝑄 − 𝑏𝑄2 − (𝑐𝑄 + 𝑓)

• 일계조건:

𝑑Π(Q)

𝑑𝑄 = 𝑑𝑇(𝑄)

𝑑𝑄 − 𝑑𝐶 𝑄

𝑑𝑄 = 𝑎 − 2𝑏𝑄 = 0

• 이계조건:

𝑑2Π(𝑄)

𝑑𝑄2 = −2𝑏 < 0

(48)

8. 적분 및 응용

(49)

부정적분

• 미분의 반대 과정으로서 적분

– 미분은 어떤 함수가 주어지면 그 도함수를 구하는 것

– 적분은 주어진 함수의 역도함수를 구하는 과정.

즉 도함수를 주면 원래 함수가 무엇이었는지를 알 아내는 계산

• (예) 𝐹 𝑥 = 𝑥2 + 𝐶를 미분하면 𝐹 𝑥 = 𝑓 𝑥 = 2𝑥.

따라서,

𝐹 𝑥 = 2𝑥 𝑑𝑥 = 𝑥2 + 𝐶

(50)

50

기본 규칙

𝑐 𝑓(𝑥)𝑑𝑥 = 𝑐 𝑓(𝑥)𝑑𝑥

𝑓 𝑥 ± 𝑔 𝑥 𝑑𝑥 = 𝑓(𝑥)𝑑𝑥 ± 𝑔(𝑥)𝑑𝑥 𝑥𝑛𝑑𝑥 = 1

𝑛 + 1 𝑥𝑛+1 + 𝐶 𝑒𝑥𝑑𝑥 = 𝑒𝑥 + 𝐶

1

𝑥 𝑑𝑥 = ln |𝑥| + 𝐶

(51)

부분적분

• 함수 곱의 미분에서 도출

𝑓 𝑥 𝑔 𝑥 = 𝑓 𝑥 𝑔 𝑥 + 𝑓 𝑥 𝑔(𝑥)

𝑓 𝑥 𝑔 𝑥 𝑑𝑥 = 𝑓 𝑥 𝑔 𝑥 𝑑𝑥 + 𝑓 𝑥 𝑔′ 𝑥 𝑑𝑥

⇒ 𝑓 𝑥 𝑔 𝑥 𝑑𝑥 = 𝑓 𝑥 𝑔 𝑥 − 𝑓 𝑥 𝑔 𝑥 𝑑𝑥

• (예) 𝑓 𝑥 = ln 𝑥의 부정적분 ln 𝑥 𝑑𝑥 = 𝑥 ln 𝑥 − 1

𝑥 𝑥 𝑑𝑥 = 𝑥 ln 𝑥 − 𝑥 + 𝐶

(52)

52

치환적분

• 적분의 대상이 합성함수인 경우, 합성함수의 ‘속함수’

를 새로운 변수로 치환

– 피적분함수가 𝑓(𝑔(𝑥))일 때, 𝑔(𝑥) = 𝑧로 치환하면, 𝑓(𝑧)로 단순해짐

– 𝑥에 대한 적분계산을 𝑑𝑧 = 𝑔′(𝑥) 𝑑𝑥라는 미분량식 을 활용하여 𝑧에 대한 적분계산으로 변환

• (예) 𝑧 = 2𝑥 + 1이고 𝑑𝑥 = 12 𝑑𝑧 2𝑥 + 1 2𝑑𝑥 = 𝑧2 1

2 𝑑𝑧 = 1 2

𝑧3

3 + 𝐶 = 2𝑥 + 1 3

6 + 𝐶

(53)

정적분

• 그래프 아래의 면적

(54)

54

정적분

• 면적의 근사치 계산

(55)

정적분

• 𝑥0, … , 𝑥𝑛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𝑥0 = 𝑎, 𝑥1 = 𝑎 + ∆, 𝑥2 = 𝑎 + 2∆, … , 𝑥𝑛 = 𝑎 + 𝑛∆= 𝑏

• 다음을 리만합(Rieman Sum)이라고 부른다.

𝑓(𝑥1) 𝑥1 − 𝑥0 + 𝑓 𝑥2 𝑥2 − 𝑥1 + ⋯ + 𝑓 𝑥𝑛 𝑥𝑛 − 𝑥𝑛−1 = 𝑓(𝑥𝑖)∆

𝑛

𝑖=1

• Δ를 0에 가깝게 (즉,

n

을 무한대로) 보내면 원하는 면적을 얻게 됨. 즉,

∆→0lim 𝑓(𝑥𝑖)∆

𝑛

𝑖=1

= 𝑓 𝑥 𝑑𝑥

𝑏 𝑎

(56)

56

정적분의 성질

• 정적분의 성질

𝑓 𝑥 𝑑𝑥

𝑎 𝑎

= 0 𝑓 𝑥 𝑑𝑥

𝑏 𝑎

+ 𝑓 𝑥 𝑑𝑥

𝑐 𝑏

= 𝑓 𝑥 𝑑𝑥

𝑐 𝑎

𝑓 𝑥 𝑑𝑥

𝑏 𝑎

= − 𝑓 𝑥 𝑑𝑥

𝑎

𝑏

• (예)

1

𝑥 𝑑𝑥

𝑒 1

= ln 𝑥 1𝑒 = ln 𝑒 − ln 1 = 1 − 0 = 1

(57)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 함수 𝑓: 𝑎, 𝑏 → 𝑅가 연속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𝑓는 역도함수 𝐹를 가지고 다음이 성립함

𝑓 𝑥 𝑑𝑥

𝑏 𝑎

= 𝐹 𝑏 − 𝐹(𝑎) –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연결

– 즉, 함수 𝑓(𝑥)의 그래프와 𝑥-축사이의 면적은 𝐹 𝑏 − 𝐹(𝑎) 이다.

(58)

58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 𝐹 𝑥 = 𝑓 𝑦 𝑑𝑦𝑎𝑥 라고 하자. 그러면 𝐹는 𝑎에서 𝑥까 지 𝑓의 그래프 아래의 면적이다.

• 그러면, 𝐹 𝑥 + ∆𝑥 − 𝐹(𝑥) ≈ 𝑓(𝑥)∆𝑥.

면적

≈ 𝑓(𝑥)∆𝑥

(59)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𝐹 𝑥 = 𝑓 𝑦 𝑑𝑦𝑎𝑥 로 정의. 𝑥, 𝑥 + ℎ ⊂ (𝑎, 𝑏)인 ℎ > 0에 대해서, 𝐹 𝑥 + ℎ − 𝐹(𝑥)

= 1

𝑓 𝑦 𝑑𝑦

𝑥+ℎ

𝑎 − 𝑓 𝑦 𝑑𝑦

𝑥

𝑎 = 𝑓 𝑦

𝑑𝑦

𝑥+ℎ 𝑥

𝑓가 연속이므로, 𝑦 ∈ 𝑥, 𝑥 + ℎ 인 모든 𝑦에 대해 𝑓 𝑥 − 𝑓(𝑦) < 𝜀.

𝑓(𝑦) 𝑑𝑦

𝑥+ℎ 𝑥

− 𝑓(𝑥) = 𝑓(𝑦) 𝑑𝑦

𝑥+ℎ 𝑥

𝑓 𝑥

𝑑𝑦

𝑥+ℎ

𝑥

= 𝑓 𝑦 − 𝑓(𝑥)

𝑑𝑦

𝑥+ℎ 𝑥

𝑓 𝑦 − 𝑓 𝑥

𝑑𝑦

𝑥+ℎ 𝑥

< 𝜀ℎ

= 𝜀

• 그러므로 lim

ℎ→0

𝐹 𝑥+ℎ −𝐹(𝑥)

= 𝑓(𝑥). 𝐹의 정의에 의해 𝑓 𝑥 𝑑𝑥

𝑏 𝑎

= 𝐹 𝑏 − 𝐹(𝑎)

(60)

60

이상적분 (Improper Integral)

• 정적분 𝑓 𝑥 𝑑𝑥𝑎𝑏 에서

1) 𝑎와 𝑏 중 적어도 하나가 무한대이거나, (예: 𝑏가 무한대)

𝑓 𝑥 𝑑𝑥

∞ 𝑎

= lim

𝑏→∞ 𝑓 𝑥 𝑑𝑥

𝑏

𝑎

2) 피적분함수가 unbounded 일 때

(예: 𝑥 = 0에서 𝑓(𝑥)가 정의되지 않을 때) 𝑓 𝑥 𝑑𝑥

𝑏 0

= lim

𝜀→0 𝑓 𝑥 𝑑𝑥

𝑏 𝜀

(61)

이상적분 (Improper Integral)

• (예) 1

𝑥 𝑑𝑥

1 0

= lim

𝜀→0

1

𝑥 𝑑𝑥

1 𝜀

= lim

𝜀→0 2 𝑥 1𝜀 = lim

𝜀→0 2 − 2 𝜀 = 2

• (예) 1 𝑥 𝑑𝑥

∞ 1

= lim

𝑏→∞

1 𝑥 𝑑𝑥

𝑏 1

= lim

𝑏→∞ log 𝑥 1𝑏 = lim

𝑏→∞ log 𝑏 = ∞

(62)

62

응용: 소비자 잉여

• 소비자잉여: 소비자가 특정재화를 특정량 만큼 구입 하기 위하여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과 실제로 지불한 금액의 차이

• 재화의 역소비함수 𝑝 = 𝐷−1(𝑞)가 연속함수이고, 재 화의 가격이 𝑝0, 이 때 소비자의 구매량이 𝑞0라고 하 자. 소비자 잉여(C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𝐶𝑆 = 𝐷−1 𝑞 𝑑𝑞

𝑞0 0

− 𝑝0𝑞0

• (예) 수요함수: 𝑞 = 20 − 2𝑝, 𝑝0 = 5.

𝐶𝑆 = 1

2 (2 − 𝑞)

10 0

𝑑𝑞 − 5 × 10 = 25

(63)

63

응용: 현재가치 계산

• 변수 𝑥의 값이 시간 𝑡의 연속함수이며 그 값은 𝑥(𝑡) 를 따라 변한다고 하자. 그러면 𝑡 = 𝑠일 때 𝑥의 값은 𝑥 𝑠 이고 현재가치(𝑡 = 0일 때)는 𝑥(𝑠)𝑒−𝑟𝑠.

• 이제 𝑡 = 0에서 𝑡 = 𝑇까지에 대응하는 𝑥(𝑡)값들의 현 재가치의 연속합은

𝑥(𝑡)𝑒−𝑟𝑡

𝑇 0

𝑑𝑡

• (예) 모든 𝑡에 대해 𝑥(𝑡) = 𝐴이고 𝑇 = ∞일 때 (예를 들어 연금 𝐴를 연속적으로 받는 상황)

𝑥(𝑡)𝑒−𝑟𝑡𝑑𝑡

0

= lim

𝑇→∞ 𝐴𝑒−𝑟𝑡𝑑𝑡

𝑇 0

= lim

𝑇→∞ 𝐴

𝑟 𝑒−𝑟𝑡

0 𝑇

= 𝐴

𝑟 lim

𝑇→∞ 1 − 𝑒−𝑟𝑇 = 𝐴 𝑟

(64)

9. 선형대수의 기초

(65)

벡터 (Vector)

• 숫자(스칼라)들을 한 방향으로 배열한 것

– 좌우로 늘어놓는 경우 행벡터(row vector)

– 상하로 늘어놓는 경우 열벡터(column vector)

• 벡터의 ‘차원’: 배열에 포함된 숫자의 개수

• (예) 𝑣 = 0,1 ∈ 𝑅2, 𝑤 = 1,2,3 ∈ 𝑅3

(66)

66

벡터 사이의 거리 및 벡터의 길이

• 선분 𝑙의 길이는?

(𝑙의 길이)2

= (𝑚의 길이)2+(𝑛의 길이)2

= 𝑎1 − 𝑎2 2 + 𝑏1 − 𝑏2 2

• 점𝑃와 𝑄사이의 거리는 𝑃𝑄 = 𝑙의 길이

= 𝑎1 − 𝑎2 2 + 𝑏1 − 𝑏2 2

𝑏2

𝑏1

𝑎1 𝑎2

𝑙

𝑚

𝑛 𝑃

𝑄

𝑅

(67)

벡터 사이의 거리 및 벡터의 길이

𝑃

𝑄

𝑆 𝑅

𝑇

𝑏1 𝑏2

𝑐1 𝑐2

𝑎2 𝑎1

𝑃𝑄 2 = 𝑃𝑅 2 + 𝑅𝑄 2

𝑃𝑅 2 = 𝑅𝑇 2 + 𝑆𝑅 2 = 𝑎1 − 𝑎2 2 + 𝑏1 − 𝑏2 2

𝑃𝑄 2 = 𝑎1 − 𝑎2 2 + 𝑏1 − 𝑏2 2 + 𝑐1 − 𝑐2 2

• 두 벡터 𝑣와 𝑢 사이의 거리는

𝑣 − 𝑢 = 𝑣1 − 𝑢1 2 + ⋯ + 𝑣𝑛 − 𝑢𝑛 2

• 벡터 𝑣의 길이는

𝑣 = 𝑣12 + ⋯ + 𝑣𝑛2

(68)

68

선형결합과 선형독립

• 𝛼𝑖 ∈ ℝ은 스칼라이고, 벡터 𝑣1, 𝑣2, … , 𝑣𝑘 ∈ ℝ𝑛

• 다음을 선형결합(linear combination)이라고 한다.

𝑣 = 𝛼1𝑣1 + 𝛼2𝑣2 + ⋯ + 𝛼𝑘𝑣𝑘

• 아래의 선형결합을 살펴보자.

𝛼1𝑣1 + 𝛼2𝑣2 + ⋯ + 𝛼𝑘𝑣𝑘 = 0

• 위 식을 만족하는 해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𝛼1 = 𝛼2 = ⋯ = 𝛼𝑘 = 0

(69)

선형결합과 선형독립

• 이 해가 유일한 해일 때 𝑣1, … , 𝑣𝑘는 선형독립

(linearly independent), 다른 해가 존재할 때는 선 형종속(linearly dependent)이라고 한다.

• 선형종속이면, 𝛼𝑖 ≠ 0인 𝑖가 최소한 하나 존재하고, 다음이 성립한다.

𝑣𝑖 = − 𝛼1

𝛼𝑖 𝑣1 + ⋯ + 𝛼𝑖−1

𝛼𝑖 𝑣𝑖−1 + 𝛼𝑖+1

𝛼𝑖 𝑣𝑖+1 + ⋯ 𝛼𝑘 𝛼𝑖 𝑣𝑘

(70)

70

선형결합과 선형독립

• (예) 𝑣1 = 1,1,1 , 𝑣2 = 3,4,5 , 𝑣3 = −2, −2, −2 은 선 형독립인가 선형종속인가?

• (예) 𝑣1 = 1,0,0 , 𝑣2 = 0,1,0 , 𝑣3 = 0,0,1 은 선형독 립인가 선형종속인가?

𝑥1 𝑥2

𝑥1 𝑥2

(a) 선형종속 (b) 선형독립

(71)

10. 행렬대수

(72)

72

행렬

• 스칼라들을 행과 열로, 즉 직사각형 모양으로 배열 한 것.

𝐴 = 𝑎𝑖𝑗 𝑚×𝑛 =

𝑎11 ⋯ 𝑎1𝑛

⋮ ⋱ ⋮

𝑎𝑚1 ⋯ 𝑎𝑚𝑛

– 행렬에 𝑚행과 𝑛열이 있을 때, 𝑚 × 𝑛차원 – 𝑚 = 𝑛 이면 정사각형렬

– 정사각행렬 𝑎𝑖𝑖 = 1, 𝑎𝑖𝑗 = 0이면 단위행렬 𝑰 – 𝑚 = 1 (𝑛 = 1)이면 𝑛 (𝑚)차원 행(열)벡터

(73)

행렬의 연산

• 행렬의 합: 𝐴 + 𝐵 = 𝑎𝑖𝑗 + 𝑏𝑖𝑗 𝑚×𝑛

• 스칼라 곱: 𝛼𝐴 = 𝛼𝑎𝑖𝑗 𝑚×𝑛

• 행렬의 곱: 𝐴는 𝑚 × 𝑛, 𝐵는 𝑛 × 𝑝 행렬일 때, 𝐴𝐵 = 𝑎𝑖𝑟𝑏𝑟𝑗

𝑛

𝑟=1 𝑚×𝑝

• 전치행렬: 주어진 행렬에서 행과 열의 역할을 서로 바꾸어서 만든 행렬

𝐴𝑇 = 𝑎𝑖𝑗 𝑚×𝑛𝑇 = 𝑎𝑗𝑖 𝑛×𝑚

(74)

74

행렬의 연산

• (예) 𝐴는 3 × 3, 𝐵는 3 × 2 행렬

𝐴𝐵 =

𝑎11 𝑎12 𝑎13 𝑎21 𝑎22 𝑎23 𝑎31 𝑎32 𝑎33

𝑏11 𝑏12 𝑏21 𝑏22 𝑏31 𝑏32

=

𝑎11𝑏11 + 𝑎12𝑏21 + 𝑎13𝑏31 𝑎11𝑏12 + 𝑎12𝑏22 + 𝑎13𝑏32 𝑎21𝑏11 + 𝑎22𝑏21 + 𝑎23𝑏31 𝑎21𝑏12 + 𝑎22𝑏22 + 𝑎23𝑏32 𝑎31𝑏11 + 𝑎32𝑏21 + 𝑎33𝑏31 𝑎31𝑏12 + 𝑎32𝑏22 + 𝑎33𝑏32

• (예) 𝐴는 3 × 3 𝐴 =

𝑎11 𝑎12 𝑎13 𝑎21 𝑎22 𝑎23

𝑎31 𝑎32 𝑎33 , 𝐴𝑇 =

𝑎11 𝑎21 𝑎31 𝑎12 𝑎22 𝑎32 𝑎13 𝑎23 𝑎33

(75)

75

역행렬

• 정사각 행렬 𝐴의 역행렬 𝐴−1:

𝐴𝐴−1 = 𝐴−1𝐴 = 𝐼 – 𝐴−1 −1 = 𝐴

– 𝐴의 역행렬 𝐴−1는 단 하나 뿐이다

(증명) 𝐴의 역행렬이 𝑋와 𝑌가 있다고 해보자. 그러면 𝑌 = 𝑌𝐼 = 𝑌 𝐴𝑋 = 𝑌𝐴 𝑋 = 𝐼𝑋 = 𝑋

– 𝐴𝑇 −1 = 𝐴−1 𝑇

(증명) 𝐴𝐵 𝑇 𝑖𝑗 = 𝐴𝐵 𝑗𝑖 = 𝐴 𝑗ℎ𝐵ℎ𝑖 = 𝐴 ℎ𝑗𝑇 𝐵𝑖ℎ𝑇 = 𝐵 𝑖ℎ𝑇 𝐴𝑇ℎ𝑗 = 𝐵𝑇𝐴𝑇 𝑖𝑗

– 𝐴𝐵 −1 = 𝐵−1𝐴−1

(증명) 𝐴𝐵 𝐵−1𝐴−1 = 𝐴 𝐵𝐵−1 𝐴−1 = 𝐴𝐼𝐴−1 = 𝐴𝐴−1 = 𝐼

– 단, 모든 행렬이 역행렬을 가지는 것은 아님

(76)

76

행렬식

• 행렬식은 𝑛 × 𝑛행렬 𝐴에 일정한 법칙에 따라 하나의 실수를 대응시키는 것. det 𝐴 또는 |𝐴|로 표시

• 소행렬 𝐴𝑖𝑗: 행렬 𝐴에서 𝑖번째 행과 𝑗번째 열을 지우 가 남은 (𝑛 − 1) × (𝑛 − 1)행렬

• 여인수(cofactor): 𝐶𝑖𝑗 ≡ −1 𝑖+𝑗det (𝐴𝑖𝑗)

• 행렬식은 임의의 𝑖행 또는 𝑗열에 관한 여인수 전개로 재귀적으로 정의

det 𝐴 = 𝑎𝑖1𝑐𝑖1 + ⋯ + 𝑎𝑖𝑛𝑐𝑖𝑛 = −1 𝑖+𝑗𝑎𝑖𝑗det (𝐴𝑖𝑗)

𝑛

𝑗=1

det 𝐴 = 𝑎1𝑗𝑐1𝑗 + ⋯ + 𝑎𝑛𝑗𝑐𝑛𝑗 = −1 𝑖+𝑗𝑎𝑖𝑗det (𝐴𝑖𝑗)

𝑛 𝑖=1

(77)

행렬식의 성질

1) det 𝐴 = det 𝐴𝑇

– (예) 𝐴 = 𝑎 𝑏

𝑐 𝑑 , 𝐴𝑇 = 𝑎 𝑐

𝑏 𝑑 , |𝐴| = |𝐴𝑇| = 𝑎𝑑 − 𝑏𝑐

2) 임의의 두 행(열)의 위치를 서로 바꾸면 행렬식의 값은 부호가 변함.

– (예) 𝐴 = 𝑎 𝑏

𝑐 𝑑 , 𝐵 = 𝑐 𝑑

𝑎 𝑏 , B = − 𝐴 = 𝑏𝑐 − 𝑎𝑑

3) 어떤 행(열)의 모든 원소에 공통인 인수는 행렬식 밖으로 묶어 낼 수 있음.

– (예) 𝐴 = 𝑎 𝑏

𝑐 𝑑 , 𝐵 = ℎ𝑎 ℎ𝑏

𝑐 𝑑 , |𝐵| = ℎ|𝐴|

(78)

78

행렬식의 성질

4) 두 행(열)이 같거나 비례하면 행렬식의 값은 0.

(증명) 행렬 𝐴의 두 행이 같다면, 두 행의 위치를 바꾸어 도 동일한 행렬이고 성질 (2)에 의해서 |A| = −|𝐴|. 따라 서 |A| = 0.

만약 두 행이 비례하면, 성질 (3)에 의해서 공통인 인수 를 밖으로 묶어 내면, 두 행이 동일한 행렬이 되므로

|A| = 0.

열에 대해서도 같은 증명.

5) 한 행(열)의 원소가 모두 0이면 그 행렬식은 0.

(증명) 해당하는 행(열)을 택해서 여인수 전개를 할 것.

(79)

행렬식의 성질

6) 행렬 𝐴, 𝐵, 𝐶가 있을 때, 행렬 𝐴의 한 행(열)이 행렬 𝐵, 𝐶의 같은 행(열)의 합(차)이고, 나머지 행과 열은 모두 동일하면, det 𝐴 = det 𝐵 ± det (𝑐)

– (예) 𝑎 + 𝑘 𝑏 + 𝑙

𝑐 𝑑 = 𝑎 𝑏

𝑐 𝑑 + 𝑘 𝑙

= 𝑎 + 𝑘 𝑑 − 𝑏 + 𝑙 𝑐 𝑐 𝑑

• (주의) det 𝐴 + 𝐵 ≠ det 𝐴 + det (𝐵).

– (예) 𝐴 = 1 2

3 4 , 𝐵 = 3 2

6 4 이면 𝐴 + 𝐵 = 4 4

9 8 . 이 때 |𝐴| = −2, |𝐵| = 0, |𝐴 + 𝐵| = −4

(80)

80

행렬식의 성질

7) 한 행(열)의 각 원소에 임의의 수를 곱하여 다른 행(열)의 대응원소에 더하여도 행렬식은 같음.

– (예) 𝑎 + 𝑘𝑐 𝑏 + 𝑘𝑑

𝑐 𝑑 = 𝑎 𝑏

𝑐 𝑑 + 𝑘𝑐 𝑘𝑑 𝑐 𝑑 = 𝑎 𝑏

𝑐 𝑑 + 𝑘 𝑐 𝑑 𝑐 𝑑 = 𝑎 𝑏

8) 두 정방행렬 𝐴와 𝐵의 곱 𝐴𝐵의 행렬식은 𝑐 𝑑

det 𝐴𝐵 = det 𝐴 det (𝐵)

– (예)

𝑎 𝑏 𝑐 𝑑

𝑒 𝑓 𝑔 ℎ =

𝑎𝑒 + 𝑏𝑔 𝑎𝑓 + 𝑏ℎ 𝑐𝑒 + 𝑑𝑔 𝑐𝑓 + 𝑑ℎ

(81)

81

행렬식 성질의 응용

• (예) 성질 (7)을 이용한 행렬식 계산

1 2 3 4 0 4 2 1 0

5 2

3 4 8 3 5

=

1 2 3 4

0 4 2 1

0

0 2

−7 4 8

−12 −15

= 4 2 1

2 4 8

−7 −12 −15 = 4 2 1

−6 0 6 17 0 −9

= −2 −6 6

17 −9 = 96

• (예) 성질 (8)을 이용하면

det 𝐴 det 𝐴−1 = det 𝐴𝐴−1 = det 𝐼 = 1.

따라서

det 𝐴−1 = 1 det (𝐴)

(82)

82

역행렬과 행렬식

• 행렬 𝐴의 역행렬은

𝐴−1 = 1

|𝐴| 𝐶𝑇

• 따라서 다음이 성립한다.

𝐴 1

|𝐴| 𝐶𝑇 = 1

|𝐴|

𝑎11 𝑎12 𝑎13 𝑎21 𝑎22 𝑎23 𝑎31 𝑎32 𝑎33

𝐶11 𝐶21 𝐶31 𝐶12 𝐶22 𝐶32

𝐶13 𝐶23 𝐶33 = 𝐼

(83)

83

역행렬과 행렬식

• 일반적으로 다음이 성립한다. (𝑖 ≠ 𝑘)

𝑎𝑘1𝐶𝑖1 + 𝑎𝑘2𝐶𝑖2 + ⋯ + 𝑎𝑘𝑛𝐶𝑖𝑛 = 0

(증명) 3 × 3의 경우 (일반적으로 성립함). 아래의 행렬 𝐵를 생각해보자.

𝐵 =

𝑎11 𝑎12 𝑎13 𝑏1 𝑏2 𝑏3 𝑎31 𝑎32 𝑎33

그러면, det 𝐵 = 𝑏1𝐶21 + 𝑏2𝐶22 + 𝑏3𝐶23이다. 이때

𝑏 = (𝑏1, 𝑏2, 𝑏3)이 (𝑎11, 𝑎12, 𝑎13)이거나 (𝑎31, 𝑎32, 𝑎33)이 면 행렬식의 성질(4)에 의해 det 𝐵 = 0.

(84)

84

고유근과 고유벡터

• 고유벡터(eigenvector): 𝑛 × 𝑛 행렬 𝐴에 대해 𝐴𝑥 = 𝜆𝑥

을 만족하는 𝑥 ≠ 0인 벡터 𝑥

• 고유근(eigenvalue): 이 때의 𝜆

• 고유근을 구하는 문제: (𝐴 − 𝜆𝐼)𝑥 = 0가 𝑥 ≠ 0인 해 를 갖기 위한 스칼라 𝜆를 결정하는 문제.

– |𝐴 − 𝜆𝐼| ≠ 0이면 (𝐴 − 𝜆𝐼)의 역행렬이 존재하여 유일한 해 𝑥 = 0을 얻음.

– 𝑥 ≠ 0인 해를 가지려면 𝑨 − 𝜆𝑰 = 𝟎이어야 함.

(85)

85

고유근과 고유벡터

𝐴 − 𝜆𝐼 = 0은 𝐴의 고유방정식(characteristic polynomial of 𝑨)

– 𝐴가 𝑛 × 𝑛 행렬이면 𝐴 − 𝜆𝐼 = 0은 𝜆에 관한 𝑛 차 다항식으로 𝑛 개의 고유근 𝜆1, 𝜆2, ⋯ , 𝜆𝑛을 가짐

• 𝐴 − 𝜆𝑖𝐼 𝑥 = 0, 𝑖 = 1, 2, ⋯ , 𝑛을 풀면 고유근 𝜆𝑖에 대 응하는 고유벡터 𝑥𝑖(≠ 0) 를 얻음.

– 고유벡터 𝑥1, 𝑥2, ⋯ , 𝑥𝑛을 구할 수 있음.

• 고유근은 실수 혹은 허수. 어떤 근은 중근도 가능. 단, 𝐴가 대칭행렬이면 그 고유근은 반드시 실수.

– 경제학에서 고유근의 문제를 다루는 경우 대부분 𝐴가 대칭행렬

(86)

86

고유근과 고유벡터

• (예) 𝐴 = 3 1

1 3 의 고유근과 고유벡터를 구하라.

(풀이)

3 11 3

𝑥1

𝑥2 = 𝜆 𝑥1

𝑥2 ⇒ 3 − 𝜆 1 1 3 − 𝜆

𝑥1

𝑥2 = 0 0 3 − 𝜆 1

1 3 − 𝜆 = (3 − 𝜆)2−1 = 0 ⇒ 𝜆1 = 2, 𝜆2 = 4

𝜆1 = 2일 때 1 1 1 1

𝑥1

𝑥2 = 0

0 ⇒ 𝑥1 = 𝑐1 1

−1 (𝑐1 ≠ 0) 𝜆2 = 4일 때 −1 1

1 −1

𝑥1

𝑥2 = 0

0 ⇒ 𝑥2 = 𝑐1 1

1 (𝑐2 ≠ 0) – 하나의 고유근에 대응하는 고유벡터는 유일하지 않다

(87)

11. 선형연립방정식의 풀이

(88)

88

선형연립방정식

𝑎 11 𝑥 1 + 𝑎 12 𝑥 2 + ⋯ + 𝑎 1𝑛 𝑥 𝑛 = 𝑏 1 𝑎 11 𝑥 1 + 𝑎 12 𝑥 2 + ⋯ + 𝑎 1𝑛 𝑥 𝑛 = 𝑏 2

𝑎 11 𝑥 1 + 𝑎 12 𝑥 2 + ⋯ + 𝑎 1𝑛 𝑥 𝑛

=

⋮ 𝑏 𝑛

𝑎 11 𝑎 12 ⋯ 𝑎 1𝑛 𝑎 21 𝑎 22 ⋯ 𝑎 2𝑛

𝑎 𝑚1

𝑎 𝑚2 ⋱ ⋮

⋯ 𝑎 𝑚𝑛

𝑥 1 𝑥 2

⋮ 𝑥 𝑛

=

𝑏 1 𝑏 2

⋮ 𝑏 𝑛

𝐴𝑥 = 𝑏

(89)

역행렬을 이용한 풀이

• 선형 연립방정식을 𝐴𝑥 = 𝑏라는 행렬 형태 쓴 후, 행 렬 𝐴의 역행렬 𝐴−1를 계산하여 해를 구함.

𝑥 = 𝐴−1𝑏

• 이 때, 역행렬은

𝐴−1 = 1

det (𝐴) 𝐶𝑇

• (예) 1 1 1 2

𝑥1

𝑥2 = 0 𝑥1 1

𝑥2 = 𝐴−1 0

1 = 2 −1

−1 1 0

1 = −1 1

(90)

90

크레이머 공식 (Cramer’s Rule)

• 연립방정식이 𝐴𝑥 = 𝑏일 때,

𝑥𝑖 = det (𝐴 𝑖 ) det (𝐴)

– 이 때, 행렬 𝐴 𝑖 는 행렬 𝐴의 𝑖번째 열을 벡터 𝑏로 대체하여 얻어진 행렬

𝐴 𝑖 =

𝑎11 ⋯ 𝑏1 ⋯ 𝑎1𝑛 𝑎21 ⋯ 𝑏2 ⋯ 𝑎2𝑛

𝑎𝑚1

⋮ ⋮ ⋮

𝑏𝑛 ⋯ 𝑎𝑚𝑛

(91)

크레이머 공식 (Cramer’s Rule)

(증명)

𝑥

= 𝐴

−1

𝑏 = 1

|𝐴| 𝐶

𝑇

𝑏 = 1

|𝐴|

𝐶

11

⋯ 𝐶

𝑛1

⋮ ⋱ ⋮

𝐶

1𝑛

⋯ 𝐶

𝑛𝑛

𝑏

1

𝑏

𝑛

= 1

|𝐴|

𝑏

𝑖

𝐶

𝑖1

𝑛

𝑖=1

𝑏

𝑖

𝐶

𝑖𝑛

𝑛

𝑖=1

이므로

𝑥𝑗 = 1

|𝐴| 𝑏𝑖𝐶𝑖𝑗

𝑛 𝑖=1

= |𝐴 𝑗 |

|𝐴|

𝐴 = 𝑛𝑖=1 𝑎𝑖𝑗𝐶𝑖𝑗 (𝑗열에 대한 여인수 전개)이므로 𝑛𝑖=1 𝑏𝑖𝐶𝑖𝑗 는 𝐴의 𝑗열을 𝑏로 대체하여 만들어진 행렬의 행렬식이다.

(92)

92

크레이머 공식 (Cramer’s Rule)

• (예)

2 −3 0 4 −6 1 1 10 0

𝑥1 𝑥2

𝑥3 = 2 7 1

𝑥1 = det 𝐴(1)

det 𝐴 =

det 2 −3 0 7 −6 1 1 10 0 det 2 −3 0 4 −6 1 1 10 0

= −23

−23 = 1

(93)

Gauss-Jordan 소거법

• 역행렬 계산, 크레이머의 공식 이용 연립방정식 풀이 법은 𝐴−1 존재 시에만 적용 가능

• 𝐴−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연립 방정식 풀이법

• 미지수 소거법의 행렬 버전

– 한 방정식에 0 아닌 상수를 곱한다.

– 두 방정식의 위치를 바꾼다.

– 한 방정식에 상수를 곱하여 다른 방정식에 더한다.

– 한 행의 상수배를 다른 행에 더한다.

(94)

94

Gauss-Jordan 소거법: 예제

2𝑥1 + 5𝑥2 = 19 ⋯ (1) 𝑥1 + 𝑥2 = 5 ⋯ (2) - 식 (1)과 (2)의 위치를 바꿈.

𝑥1 + 𝑥2 = 5 ⋯ (1)′

2𝑥1 + 5𝑥2 = 19 ⋯ (2)′

- 1 × (−2) + (2)′

𝑥1 + 𝑥2 = 5 ⋯ (1)′′

0𝑥1 + 3𝑥2 = 9 ⋯ (2)′′

2 5 | 19 1 2 | 5

1 1 | 5 2 5 | 19

1 1 | 5 0 3 | 9

(95)

Gauss-Jordan 소거법: 예제

- 2 ′′ × 1/3

𝑥1 + 𝑥2 = 5 ⋯ (1)′′′

0𝑥1 + 𝑥2 = 3 ⋯ (2)′′′

- 2 ′′′ × −1 + (1)′′′

𝑥1 + 0𝑥2 = 2 0𝑥1 + 𝑥2 = 3

1 1 | 5 0 1 | 3

1 0 | 2 0 1 | 3

(96)

12. 다변수함수와 미분

(97)

97

다변수함수

• 경제학 및 사회과학에서는 설명요인(독립변수)이 여 러 개인 경우가 많음.

• 두 개 이상의 독립변수가 하나의 종속변수에 대응되 는 다변수함수를 사용

• 𝑓: 𝑅𝑛 → 𝑅

– 독립변수가 𝑛개이고 함수값이 실수인 경우 – (예) 𝑓 𝑥1, 𝑥2 = 𝑎1𝑥1 + 𝑎2𝑥2

,

– 𝑓 𝑥1, 𝑥2 = 𝑘𝑥1𝑏1𝑥2𝑏2 – 𝑓 𝑥1, 𝑥2 = min 𝑥1, 𝑥2

(98)

98

다변수함수의 그래프

• 𝑦 = 𝑓 𝑥1, … , 𝑥𝑛 의 그래프는

(𝑥1, … , 𝑥𝑛, 𝑓 𝑥1, … , 𝑥𝑛 )

을 만족하는 점들의 집합으로 (𝑛 + 1)차원

• 이변수함수를 그림으로 나태는 방법들 – 그래프 (3차원 그림)

– 등위선 (변수 중 하나를 고정시킴)

(99)

다변수함수의 그래프

• (예) 𝑦 = 𝑓 𝑥1, 𝑥2 = 𝑥1𝑥2

(100)

100

편미분

• 경제학에서는 설명요인(독립변수)이 여러 개인 경우 가 많아서 다변수함수 모형이 자주 사용됨

• 여러 개의 독립변수 중 나머지 변수는 고정시키고 하나의 변수만을 변화시킬 때의 함수 값의 변화

– 다른 변수는 상수로 취급한 채, 한 변수로만 미분 하면 됨

– 편도함수를 도출하는 과정이 편미분

𝜕𝑓(𝑥1, 𝑥2)

𝜕𝑥1 = 𝑓1 = lim

Δ𝑥1→0

𝑓 𝑥1 + Δ𝑥1, 𝑥2 − 𝑓(𝑥1, 𝑥2) Δ𝑥1

참조

관련 문서

수요 부족으로 대중교통수단의 운행이 어려운 지역에는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3조제1항제3호에 따른 수요응답형 여객자동차운송사업을 도

그 이유는 생산방식 변경에 따른 투자비용 증가, 사 육규모 감소에 따른 농가 소득 저하 등으로 알려져 있음. 둘째는 집행위원회는 이미 수행 하고 있지만 적용하기

[r]

[r]

[r]

○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은 배출자가 폐기물처리의무를 지며 민간폐기물 처리업자에게 위탁 하는 경우가 많음.. 제3장

참가자 모집은 인천광역시와 인천여성가족재단에서 전 담하였다... 이것을 단일개념코딩(single concept

○ 이에 따라, 문화콘텐츠와 원도심 재생, 지역개발 등 지역사회 현안에 대한 연계방안 을 마련하여 기존 인천시가 보유하고 있던 치안이 불안정한 제조업 중심 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