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
63. 세포면역기능검사
64. 체액면역 및 면역글로불린검사
진단검사의학과
강 소 영
* 면역검사를 필요로 하는 질환군
1’ immunodeficiency
autoimmune disease
acquired immunodeficiency
기타 –
hemato-oncological dis.,…
* Indication
빈번한 세균감염
바이러스에 대한 비정상적인 심한 전신반응
진균 혹은 원충류에 의한 일상적이지 않은 감염
생바이러스 접종에 따른 전신반응
가족내 반복되는 감염력
HIV 에 노출된 경우…
1. Screening stage
CBC/DC
Lymphocyte subset
Mitogen/ 다양한 항원을 통한 시험관내 림프구 활성검사
Ig
2. Confirming stage
Radiology (MRI : thymus 크기 검사 )
Skin test : PPD,
C. albicans
, Tetanus
NK cell 활성도 검사 ,
Th1, Th2 cytokine 생성검사
Immunization 에 대한 반응검사 : 연령별 특이항체 , 자연항체
세포면역기능의 검사
세포면역검사의 단계적 접근
Lymphocyte subset test
- CD (Cluster of differentiation)
동일한 세포면역 항원을 인지하는
2 개 이상의 특이 단클론 항체군
- CD 분자 or CD 항원
CD 항체군에 인지되는 세포표면분자
- 유세포분석기 (flow cytometer)
형광색소가 표지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한 면역형광법
여러 항원 동시 측정 가능
특정 세포 빈도와 혈액단위부피당 절대수 제공
전혈
( 형광염색 후 적혈구 용혈 ) or
단핵구
(Ficoll-Hypaque 비중원심법으로 분리 ) 형광염색
형광색소
: FITC, PE, PerCP, APC..
세포면역기능의 검사
Immunofluorescence
Flow cytometry (FCM)
Reversed CD4/CD8 : HIV 양성 환자
: 기타 - DiGeorge syn., 양성갑상선종 , HCV infec., 가와사키병 , 악성종양 , 일부 자가면역질환
림프구기능검사
1. Skin test : 지연성 과민반응과정을 통해 전반적인 세포면역계 기능 검사 APC -> T cell 로 항원전달 , 인지 , 증식되어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과 정 : 과거에 노출되었을 항원 – C. albicans, PPD, Tetanus ( 영아 – DNCB(dinitrochlorobenzene)) -> 피내주사 24-48 시간 후 피부 발적이나 경화를 관찰 : anergy – 면역결핍을 시사하는 소견 : anergy 의 원인을 찾을 수 없고 , 정량화가 어렵다 .세포면역기능의 검사
림프구기능검사
2. Lymphocyte culture
1) Stimulant – Ag or Mitogen
- Ag stimulated lymphocyte culture
지연성 과민반응 피부검사의 in-vitro test 에 해당 Candida, tetanus, CMV, HSV, PPD
감작된 T cell 만 활성화 , 배양기간 5-10 일 소요
Mixed lymphocyte culture (MLC) : allogenic lymphocyte – Polyclonal activator stimulated lymphocyte culture
Polyclonal activator (or Mitogen)
T cell : PHA (phytohemagglutinin), conA (concanavalin A), superAg, anti-CD3
B cell : PWM (pokeweed mitogen) 대다수의 림프구가 활성화 (non-specific) 72hr 배양
림프구기능검사
2. Lymphocyte culture 2) detection
– number of blasts : Microscope
- 3H TdR (tritiated thymidine) incorporation assay
: 방사선동위원소 양을 측정하여 림프구 증식 정도 판단 - FCM
: DNA content (DNA 염색시약 – 세포 주기 분석 ) : 세포추적염색시약 이용 (CFSE, PKH26)
: CFSE proliferation assay 친지질성 ester 림프구 세포막 통과 후 세포질내 esterase 에 의해 형광에스테르로 분해되어 세포질단백과 공유 결합체 형성 세포 분열시 양이 반으로 줄어 분열증식 측정에 이용
세포면역기능의 검사
림프구기능검사
3. NK cell cytotoxicity test
: NK cell 에 감수성이 있는 표적세포를 죽이는 능력을 측정 : 51Cr labeled K-562 cell line (CML cell line)
4. Cytokine release assay
: mitogen 이나 Ag 으로 T cell 자극 후 cytokine 생성 측정 : Quantiferon TB
: type I cytokine : from Th1 cell, IL-2, IFNr, IL-12 type II cytokine : from Th2 cell, IL-4,5,10, 13, TGFß
: 최근 단일세포 수준에서 cytokine 을 분비하는 T cell 측정방법도 소개 FCM : 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ELISPOT
체액면역 및 Ig 검사
* 항체 : B cell 에 의한 체액면역의 중요물질 : Ig - 정상 성인 혈장 단백의 약 20% 차지 - 혈장 단백질 전기영동 : 가장 천천히 이동하는 γ-globulin region 에 위치 * 항체의 구조적 성상2 Fab ( 항원결합부위 ), Fc (C or cell receptor 결합부위 ) 2 heavy chain, 2 light chain
* 항체의 구조적 성상
heavy chain – 5 isotype ( γ, α, μ, δ, ε ) – 기능결정 light chain – 2 isotype ( κ, λ )
2 개의 동일한 항원결합부위 * Ag-Ab 반응 가역적 반응 Ag-Ab 반응의 강도 : 항원결합부위의 수 affinity affinity ( 친화력 ) avidity ( 결합력 ) cross link prozone effect
체액면역 및 Ig 검사
항체다양성의 유전적 기전
10
6– 10
9종류의 항체 생산
Ig gene rearrangement & somatic mutation
Ig 의 일반적 성상
1. Ig M : 일차항체반응 , pentamer, 10 개 항원 결합부위 ( 결합력 ) 2. Ig G : 이차항체반응 , Ig 의 대부분 차지 , Phagocytosis & ADCC 3. Ig A : 분비물에 존재
4. Ig E : 가장 낮은 혈청농도 , 알레르기반응 , 기생충 질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