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20 비상 수학교과서 미적분 답지 정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020 비상 수학교과서 미적분 답지 정답"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수열의 극한

1

수열의 극한

10쪽 1 ⑴ an=7n-5 ⑵ an=2N_! 2 ⑴ 0 ⑵ E 11쪽 1 O 1 1 2 3 4 5 6 7 8 n an 0.5 20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스스로확인하기 0, 0 01 ⑴ 3 ⑵ 0 ⑶ 2 ⑷ 1 02 0 스스로확인하기 ⑴ E ⑵ -E 03 ⑴ 발산(E) ⑵ 발산(-E) 04 ⑴ 발산(E) ⑵ 수렴, 2 ⑶ 발산(-E) ⑷ 발산(진동) 05 예 1 n, 2n

수열 9an0의 일반항 an은 an=0이므로 lim

n`! Ean=0이다. 그러나 함수의 극한 lim x`! E`f{x}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열의 극한과 함수의 극한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수학 역량 기르기 15쪽

0

1

수열의 극한

11~15쪽 16쪽 lim

n`! Ean+ limn`! Ebn= limn`! E{an+bn}=3

3lim

n`! Ean= limn`! E3an=3

스스로확인하기 ⑵ n+11 ⑶ [1+ 1n ] 01 ⑴ 5 ⑵ 0 ⑶ 3 ⑷ -1 02 거짓, 예를 들어 an=n, bn=1 n@이면 n`lim! Eanbn=0이 지만 lim n`! Ean=E이다.

0

2

수열의 극한값의 계산

16~19쪽 1  2  3 \ 4  1 ⑴ 수렴, 1 ⑵ 발산(진동) 2 ⑴ -4 ⑵ - 1 10 3 1 4 0<x<1 5 ⑴ lim n`! E 3n@-n n@+n+3= limn`! E 3-1n 1+n1+3 n@ =3 ⑵ lim n`! E 2n+1 n@-3n+5= limn`! E 2 n+ 1 n@ 1-3 n+ 5 n@ =0 6 ⑴ lim n`! E n#-5n+2 3n@+1 = limn`! En\ 1-n@5+n#2 3+ 1 n@ 이때 lim n`! En=E, n`lim! E 1-n@5 +n#2 3+1 n@ = 13이므로 lim n`! E n#-5n+2 3n@+1 =E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23~25쪽 03 ⑴ 13 ⑵ 0 04 ⑴ 발산(-E) ⑵ 발산(E) 05 1 20쪽 1 양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20에 수렴한다. 01 ⑴ 수렴, 0 ⑵ 발산(E) ⑶ 수렴, 0 ⑷ 발산(진동) 02 0 03 ⑴ 발산(E) ⑵ 수렴, 3 ! 0<r<1일 때, lim n`! E r@N 1+rN= 0 1+0=0 (수렴) @r=1일 때, lim n`! E r@N 1+rN=1+11 =12 (수렴) #r>1일 때, lim n`! E r@N 1+rN= limn`! E rN [ 1r ]N+1 =E (발산) 수학 역량 기르기 22쪽

0

3

등비수열의 극한

20~22쪽

(2)

⑵ lim n`! E{-n@+4n+2}= limn`! En@[-1+ 4n+ 2n@] 이때 lim n`! En@=E, n`lim! E[-1+ 4n+ 2n@]=-1이 므로 lim n`! E{-n@+4n+2}=-E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음의 무한대로 발산한다. 7 lim n`! Ean=a (a는 실수)라고 하면 a@-2a+4=3이므로 a=1 따라서 lim n`! Ean=1 8 an+bn=-{2n@+n}, anbn=-n@이므로 lim n`! E[ 1an + 1 bn ]= limn`! E an+bn anbn = limn`! E 2n@+n n@ = lim n`! E[2+ 1n ]=2 9 lim n`! E 1@+2@+3@+ y +n@ n{1+2+3+ y +n} = lim n`! E n{n+1}{2n+1} 6 n\n{n+1}2 = lim n`! E 2n+1 3n = limn`! E 2+ 1 n 3 = 23 10 - 2n-1 n@+1< 2n-1n@+1`\{-1}N< 2n-1n@+1이고 lim n`! E[- 2n-1n@+1]=0, n`lim! E 2n-1 n@+1=0이므로 lim n`! E -2n-1 n@+1\{-1}N==0 11 ⑴ lim n`! E 5N+1 4N = limn`! E-[ 54 ]N+[ 14 ]N==E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발산한다. ⑵ lim n`! E 3N"! 3N-2N= limn`! E 3 1-[ 23 ]N =3 따라서 주어진 수열은 수렴하고, 그 극한값은 3이다. 12 수열 9r@N0이 수렴하므로 0<r@<1 즉, -1<r<1이므로 - 23< r-13 <0 따라서 수열 -[ r-1 3 ]N=은 수렴한다. 13 ㄱ. |x|>1일 때, lim n`! E[ 1x ]@N=0이므로 f{x}= lim n`! E x@N_!-1 x@N+1 = limn`! E 1 x- 1x@N 1+ 1 x@N = 1x ㄴ. |x|<1일 때, lim n`! Ex@N_!=0, n`lim! Ex@N=0이므로 f{x}= lim n`! E x@N_!-1 x@N+1 =-1 ㄷ. x=1일 때, f{1}= lim n`! E 1@N_!-1 1@N+1 =0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ㄴ, ㄷ이다. 14 근과 계수의 관계에 따라 an, bn은 이차방정식 x@-2N"!x+{2N+3N}{2N-3N}=0의 두 근이다. 이때 an>bn이므로 an=2N+3N, bn=2N-3N 따라서 lim n`! E bn an= limn`! E 2N-3N 2N+3N = lim n`! E [ 23 ]N-1 [ 23 ]N+1 =-1 15 n=1, 2, 3, y일 때, 한 변의 길이가 n1인 모든 정사 각형의 개수는 1, 4, 9, y이므로 an=n\n=n@ 이때 한 변의 길이가 1 n인 모든 정사각형의 꼭짓점의 개수는 전체 꼭짓점의 개수와 같으므로 bn={n+1}\{n+1}=n@+2n+1 따라서 lim n`! E bn an= limn`! E n@+2n+1 n@ = lim n`! E[1+ 2n+ 1n@]=1 16 접선의 방정식을 y=k{x-2n}(k는 상수)이라고 하면 접선의 y절편은 -2kn이고, an>0이므로 k<0 이때 원점과 접선 사이의 거리는 원의 반지름의 길이 와 같으므로 |2kn| 1k@+13=n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4k@n@=n@{k@+1}, 3k@=1 그런데 k<0이므로 k=- j3k 3 따라서 an= 2j33 kn이므로 lim n`! E an n+1= limn`! E 2j3k 3 n n+1 = lim n`! E 2j3k 3 1+ 1n = 2j3k 3 1 0 2 ⑴ 0 ⑵ 0 26쪽

(3)

32쪽 p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01 ⑴ 수렴, 32 ⑵ 발산 02 ⑴ 263 ⑵ 1918 03 1 0419813 ⑵ 1123999 05 0.999y= 910+ 9 10@+ 910#+y= 9 10 1- 1 10 =1이다. 진자의 추가 정지할 때까지 움직인 거리의 합은 1\h+2\ 23h+2\[ 23 ]@h+2\[ 23 ]#h+y =h+2h-23+[ 23 ]@+[ 23 ]#+ y= =h+2h\ 2 3 1- 23 =5h` 즉, 5h`m이다. 수학 역량 기르기 36쪽

0

2

등비급수

32~36쪽 1 \ 2  3  4  1 ⑴ 수렴, 1 ⑵ 발산 2 7 3 ⑴ 수렴, 1 4 ⑵ 발산 4 - 12<x< 12 5 1 jn+2l+jn+1l=jn+2l-jn+1l이므로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n이라고 하면 Sn=jn+2l-j2k lim n`! ESn= limn`! E{jn+2l-j2k}=E 따라서 주어진 급수는 발산한다. 6 n=1?E[an3N-1]이 수렴하므로 lim n`! E[ an 3N-1]=0 즉, lim n`! E an 3N=1 따라서 lim n`! E an+2N"! 3N_!+2N_!= limn`! E an 3N+2[ 23 ]N 1 3+ 12 [ 2 3 ]N =3 7 ?E n=1an=a, E ? n=1bn=b (a, b는 실수)라고 하면 2a-b=6, a+2b=4이므로 a= 165 , b= 25 따라서 n=1?Ean+?E n=1bn= 165 + 25= 185 8 n>2일 때, an=Sn-Sn-1=n-1 a1=S1=0이므로 an=n-1 이때 anan'21 = 1 {n-1}{n+1} = 1 2 [ 1 n-1- 1n+1 ] 이므로 ?n k=2 1 akak'2= 12 [1+ 12- 1n- 1n+1 ] 따라서 n=2?E anan'21 = lim n`! E n ? k=2 1 akak'2= 34 9 주어진 급수의 합은 ?E n=1 2 n{n+1}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n이라고 하면 Sn=2[1- 1 n+1 ] lim n`! ESn= limn`! E2[1- 1n+1 ]=2 따라서 구하는 급수의 합은 2이다. 37~39쪽

2

급수

27쪽 1 ⑴ n n+1 ⑵ 3{3N-1} 2 2308 28쪽 1 2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01 ⑴ 수렴, 34 ⑵ 발산 스스로확인하기 1 5, 발산 02 ⑴ 발산 ⑵ 발산 03 ⑴ 0 ⑵ 8 1단계 1 2K_!+1+y+ 12K> 12K+y+ 12K= 2K_ ! 2K = 12 2단계 S N>1+ 12+ 1 2+y+ 12=1+k2 3단계 lim k`! E[1+ k2 ]=E이므로 k`lim! ESN=E 따라서 급수 ?E n=1 1 n이 발산함을 알 수 있다. k 2K_!개

k

k개 수학 역량 기르기 31쪽

0

1

급수

28~31쪽

(4)

10 등비수열 9an0은 첫째항이 a, 공비가 r이므로 ?E n=1an= a1-r=2 yy ① 수열 9an@0은 첫째항이 a@, 공비가 r@이므로 n=1?Ean@= a@ 1-r@= a1+r\ a1-r=6 즉, 1+ra =3 yy ② ①_②를 하면 1+r1-r= 23 따라서 a= 125 , r=- 15 11 ?E n=1[ 12 ]N`cos` n2p =-[ 12 ]@+[ 12 ]$-[ 12 ]^+[ 12 ]*-y = - 1 4 1-[- 14 ] =- 15 12?E n=1 2N+{-3}N 4N = E ? n=1[ 12 ]N+ E ? n=1[- 34 ]N= 47 ⑵ ?E n=1[ 2N" ! 5N + 32N ]=2 E ? n=1[ 25 ]N+3 E ? n=1[ 12 ]N= 133 13 정사각형 Rn의 한 변의 길이를 an이라고 하면

a1=4, a2=2, a3=1, y 즉, an=4\[ 12 ]N_! 이때 정사각형 Rn의 넓이를 bn이라고 하면 bn=16\[ 14 ]N_! 따라서 수열 9bn0은 첫째항이 16이고 공비가 1 4인 등 비수열이므로 ?E n=1bn= 16 1-14 =643 14 1.23^5^=1.2+0.035+0.00035+y = 1210+[ 35 10#+ 3510%+y] = 1210+ 35 1000 1- 1 100 = 1223990 15 |a|<1, |b|<1이므로 n=1?EaN, n=1?E bN은 각각 수렴하 고, a+b=- 17, ab=- 17이므로

b-a1 n=1?E{bN-aN}= 1b-a [?E

n=1 bN-E ? n=1aN] = 1b-a [1-bb -1-a ]a = 1 1-{a+b}+ab=1 16 다음 그림과 같이 반원 Cn, Cn'1의 중심 On, On'1에서 선분 OA에 내린 수선의 발을 각각 D, E라 하고, 점 On'1에서 선분 DOn에 내린 수선의 발을 F라고 하자. B O A On'1 Qn On Cn rn Cn'1 6" E F D 반원 Cn의 반지름의 길이를 rn이라고 하면 CAOB= p 6이므로 직각삼각형 OnFOn'1에서 sin`p 6= OX nFZ OXn'1ZOnZ= r n-rn'1 rn+rn'1 sin`p 6= 12이므로 rn'1= 13rn 즉, 수열 9rn0은 첫째항이 1이고 공비가 1 3인 등비수 열이므로 rn=[ 13 ]N_! 이때 반원 Cn의 넓이를 an이라고 하면

a1=p2, a2=p2\[ 13 ]@, a3=p2\[ 13 ]$, y 따라서 수열 9an0은 첫째항이 p 2이고 공비가 1 9인 등 비수열이므로 ?E n=1an= p 2 1- 19 = 9 16p 1 an= 4 3N{3@-1}N_!= 43 [ 8 3 ]N_!이므로 lim n`! Ean= limn`! E 4 3 [83 ]N_!=E 따라서 급수 ?E n=1an은 발산한다. 2 bn=[ 1 3 ]@N\8N_!= 19 [ 8 9 ]N_!이므로 n=1?Ebn= 1 9 1- 8 9 =1 40쪽

(5)

3 예 코흐의 눈송이를 만드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 한 변의 길이가 1인 정삼각형의 각 변을 3 등분하고, 가운데 선분 위에 그 선분을 한 변으로 하는 정삼각형을 그려 새로운 도 형을 만든다. [2단계] 새로운 도형의 각 변에 대하여 [1단계]의 과정을 반복한다. 1 y [1단계] [2단계] [3단계] [n단계]에서 늘어난 도형의 넓이를 an이라고 하면 a1= j312k, a2= j312k\ 49, a3= j312k\[ 49 ]@, y 즉, an= j312k\[ 49 ]N_! 따라서 코흐의 눈송이의 넓이는 j34k+?E n=1an= j3 k 4 + j3k 12 1- 49 = 2j35 k 에 수렴한다. 12 lim n`! E 4n@+2n-1 {n+2}{n+1}= limn`! E 4n@+2n-1 n@+3n+2 = lim n`! E 4+ 2 n- 1n@ 1+ 3n+ 2 n@ =4 3 a=0이면 주어진 수열은 발산하므로 a=0 lim n`! E an@+bn-3 4n+1 = limn`! E bn-3 4n+1= b4이므로 b 4=3에서 b=12 4 lim n`! E 1 {4n@-1}an= limn`! E -n@+1 4n@-1\ 1 {n@+1}an= = lim n`! E 1+ 1 n@ 4- 1 n@ \ lim n`! E 1 {n@+1}an = 14\ 13= 112 5 an=3+{n-1}\4=4n-1이므로 2n-14n-1<bn< 2n+3 4n-1 42~44쪽 lim n`! E 2n-1 4n-1= 12, n`lim! E 2n+3 4n-1= 12이므로 lim n`! Ebn= 12 6 주어진 수열이 수렴하려면 x=4 또는 -1<x@-3<1 이때 -1<x@-3<1, 즉 2<x@<4에서 -2<x<-j2k 또는 j2k<x<2 즉, 정수 x는 -2, 2, 4이므로 그 개수는 3이다. 따라서 ②이다. 7 ㄷ. (반례) ?E n=1 1 jn+1l+jnk은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 지만 lim n`! E 1 jn+1l+jnk=0이다.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이다. 8 ?E

n=1{2an-3}이 수렴하므로 n`lim! E{2an-3}=0

즉, lim n`! Ean= 32 따라서 lim n`! E 4an-1 2an+3= 4\ 32-1 2\ 3 2+3 = 56 9 an+bn=- 4N2N=-2N, anbn=- 12N이므로 {an-bn}@={an+bn}@-4anbn=4N+ 42N 따라서 구하는 급수의 합은 ?E n=1 4N+ 42N 5N = E ? n=1[ 45 ]N+4 E ? n=1[ 110 ]N= 409 10 ?E n=1rN이 수렴하므로 -1<r<1 ㄹ. - 54< r4-1<- 34이므로 n=1?E [ r4-1]N은 항상 수렴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기 중 항상 수렴하는 것은 ㄱ, ㄴ, ㄷ이다. 11 1@+2@+3@+y+n@=n{n+1}{2n+1} 6 ▶ 30 % 따라서 lim n`! E 1@+2@+3@+ y +n@ n# = lim n`! E n{n+1}{2n+1} 6n# = lim n`! E 2+ 3 n+ 1n@ 6 = 13 ▶ 70 % 12 ⑴ lim n`! Ean=a, n`lim! Ebn=b (a, b는 실수)라고 하자. 이때 an>0이므로 a>0 ▶ 20 % lim n`! E{2an-bn}=-1에서 2a-b=-1 yy ①

(6)

lim n`! Eanbn=3에서 ab=3 yy ② ①, ②를 연립하여 풀면 a=1, b=3 따라서 lim n`! Ean=1, n`lim! Ebn=3 ▶ 50 % ⑵ lim

n`! E{an@-bn@}= limn`! Ean@- limn`! Ebn@

=1@-3@=-8 ▶ 30 % 13 ! f{2}= lim n`! E 2@N"!-2+1 2@N+2 = lim n`! E 2- 2 2@N+ 12@N 1+ 2 2@N =2 ▶ 30 % @ f[ 1 2 ]= limn`! E [ 12 ]@N"!- 12+1 [ 12 ]@N+2 =1 4 ▶ 30 % # f{-1}= lim n`! E {-1}@N"!-{-1}+1 {-1}@N+2 = 13 ▶ 30 % !~#에서 f{2}f[ 1 2 ]f{-1}=2\ 14\ 13= 16 ▶ 10 % 14 주어진 등비급수는 첫째항이 1, 공비가 cos`x이므로 1+cos`x+cos@`x+cos#`x+y=1-cos`x1 ▶ 40 % 즉, 1-cos`x1 =2+j2k이므로 cos`x= j22k ▶ 30 % 이때 0<x<p이므로 x=p4 ▶ 30 % 15 점 Pn의 x좌표 an에 대하여 lim n`! Ean = j32k- 12\ j32k+[ 12 ]@\ j32k -[ 1 2 ]#\ j32k+y = j3k 2 1-[- 1 2 ] = j33k ▶ 40 % 점 Pn의 y좌표 bn에 대하여 lim n`! Ebn= 12+[ 12 ]@+[ 12 ]#+y= 1 2 1- 1 2 =1 ▶ 40 % 따라서 lim

n`! Eanbn= limn`! Ean\ limn`! Ebn= j33k ▶ 20 %

1

여러 가지 함수의 미분

48쪽 1 ⑴ 2 ⑵ 2 2 f'{x}=2x 49쪽 한없이 커진다. 스스로확인하기 ⑴ 4 9 ⑵ E ⑶ E 01 ⑴ 54 ⑵ 0 ⑶ 0 02 ⑴ 수렴, 1 ⑵ 발산 스스로확인하기 ⑴ 0 ⑵ E ⑶ E 03 ⑴ 1 ⑵ -E ⑶ -E 04 t=x1로 놓으면 x`!`0+일 때 t`!`E이므로 lim x`! 0+a x!=0에서 lim t`! EaT=0 따라서 0<a<1이므로 lim x`! Eloga`x=-E 05 ⑴ 수렴, 2 ⑵ 발산 06 ⑴ 1 e^ ⑵ e@ 07 ⑴ 12 ⑵ -4 08 ⑴ -1 ⑵ 32 1년 후의 원리합계는 100[1+ 350n ]N만 원이다. t= 3 50n으로 놓으면 n`!`E일 때 t`!`0이므로 lim n`! E100[1+ 350n ]N =100`limt`! 09{1+t} 1 t0 3 50 =100e503 따라서 1년 후의 원리합계의 극한값은 100e503만 원이다. 수학 역량 기르기 54쪽

0

1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

49~54쪽

미분법

55쪽 eH-1, 1, e 01 ⑴ y'=eX_# ⑵ y'={1+x}eX 02 ⑴ y'=1 x ⑵ y'= 3 x`ln`2 03 x+1h , e, x+11

0

2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55~57쪽 58쪽 수현, 윤아: 1, 서준, 세민: 1 2

0

3

삼각함수의 덧셈정리

58~62쪽

(7)

63쪽 12 스스로확인하기 0 ⑵ -1 ⑶ 1 01 ⑴ 2 ⑵ -1 ⑶ 2j3k ⑷ 1 02 ⑴ 2 ⑵ - j2k 4 스스로확인하기 x, 1, 12 ⑵ 2x, 2x 03 ⑴ 4 ⑵ 1 04 ⑴ -1 ⑵ 1

0

4

삼각함수의 극한

63~66쪽 1 \ 2  3  4 \ 69~71쪽 1 ⑴ 수렴, 0 ⑵ 발산 2 ⑴ y'={x@+2x}eX ⑵ y'= 1 x`ln`5 3 ⑴ 수렴, 2 ⑵ 발산

4 ⑴ y'=cos`x+j5k`sin`x ⑵ y'=2eX`sin`x

5 lim x`! E 2@X_!+3X 2@X+3X"!= limx`! E 1 2+[ 34 ]X 1+3[ 34 ]X = 1 2 6 lim

x`! E9log`ax-log`{2x+5}0= limx`! Elog` ax2x+5

=log`a2 따라서 log`a2=1이므로 a2=10, a=20 7 t=x-2로 놓으면 x`!`2일 때 t`!`0이므로 lim x`! 2{x-1} 2 x-2=lim t`! 0

9

{1+t} 1 t

0

@=e@ 8 f'{x}=2eX"#[ln`x+ 1x ]이므로 f'{1}=2e$ 9 tan`a= 43, tan`b=- 12이므로

tan`{a+b}=1-tan`a`tan`btan`a+tan`b =12

10 lim x`! 0 sin@`x cos`x-cos@`x=limx`! 0 1-cos@`x cos`x{1-cos`x} =lim x`! 0 1+cos`x cos`x =2 11 lim x`! 0 x@ sin`x`cos`x=limx`! 0 x sin`x\limx`! 0 x cos`x=0 12 lim x`! 0{1-cos`x}=0이므로 lim x`! 0{ax`sin`x+b}=0, b=0 이것을 문제의 식의 좌변에 대입하면 lim x`! 0 1-cos`x ax`sin`x =lim x`! 0 {1-cos`x}{1+cos`x} ax{1+cos`x}`sin`x =lim x`! 0 sin@`x ax{1+cos`x}`sin`x =a1lim x`! 0 sin`x x \limx`! 0 1 1+cos`x= 1 2a 따라서 2a1 =14이므로 a=2 13 함수 f{x}가 x=0에서 미분가능하면 연속이므로 lim x`! 0+f{x}= limx`! 0-f{x}=f{0}에서 a=be yy ① 스스로확인하기 ⑵ tan`45!, 1, -2-j3k 01 ⑴ j6k+j24 k ⑵ j6k-j24 k ⑶ 2-j3k 02 ⑴ j33k ⑵ j69k ⑶ - 5j2k 2

03 cos`b, sin`b, cos`a, sin`a

04 예[재연]sin` 2 3p=2`sin` p 3`cos` p 3= j32k 05 p4

BCZ=b`cos`b, ACZ=a`sin`a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2ab`sin`a`cos`b BCZ=a`cos`a, CDZ=b`sin`b이므로 삼각형 DBC의 넓이는 12ab`cos`a`sin`b 삼각형 ABD의 넓이는 12ab`sin`{a-b} 이때 삼각형 ABD의 넓이는 삼각형 ABC의 넓이에서 삼각형 DBC의 넓이를 뺀 것과 같으므로 12ab`sin`{a-b} =12ab`sin`a`cos`b- 12ab`cos`a`sin`b 즉, sin`{a-b}=sin`a`cos`b-cos`a`sin`b` 수학 역량 기르기 62쪽 67쪽 1 01 ⑴ y'=-sin`x-2`cos`x ⑵ y'=cos@`x-sin@`x 02 5j3k

0

5

삼각함수의 미분

67~68쪽

(8)

1 eX\G{x}=f{x}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eX\G{x}+eX\G'{x}=f'{x} f{x}+eX\G'{x}=f{x}, eX\G'{x}=0 그런데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eX>0이므로 G'{x}=0 2 G'{x}=0이므로 G{x}=c{c는 상수)라고 하자. G{0}=1이므로 G{x}=1에서 f{x}=eX 따라서 f{x}=eX뿐이다. 3 H'{x}=0이므로 H{x}=k{k는 상수)라고 하자. 이때 H{0}=0이므로 H{x}=0 따라서 g{x}=sin`x, h{x}=cos`x뿐이다. 72쪽 또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가능하므로 lim h`! 0+ f{0+h}-f{0} h = limh`! 0-f{0+h}-f{0} h 에서 1=be, 즉 b=e 이것을 ①에 대입하면 a=1 14 f'{x}=sin@`x-cos@`x+cos`x이므로 lim h`! 0 f{p+2h}-f{p-h} 3h =lim h`! 0 f{p+2h}-f{p} 2h \ 2 3 +lim h`! 0 f{p-h}-f{p} -h \13 =f'{p}=-2 15 구하는 극한값은 lim n`! E[ 12\ n+1 n \ n+2 n+1\y\ n+n+1 n+n ]@N = lim n`! E[ 2n+12n ]@N= limn`! E[1+ 12n ]@N=e 16 x=0인 실수 x에 대하여 0<|cos` 1x |<1이므로 각 변에 |sin`x|를 곱하면 0<|sin`x`cos` 1x |<|sin`x| 이때 lim

x`! 0|sin`x|=0이므로 limx`! 0|sin`x`cos` 1x |=0

따라서 lim x`! 0sin`x`cos` 1 x=0 17 BHZ=a`sin`h, CHBA=h이므로 lim h`! 0+ AHZ ah@= limh`! 0+ a`sin`h`tan`h ah@ = lim h`! 0+ sin`h h \ limh`! 0+ tan`h h =1

2

여러 가지 미분법

74쪽 1{f`J`g}{x}=x@+1 2y'=5`cos`x 75쪽 1- c 1+DELTAx 2-c 01 ⑴ y'=- 4x {2x@+1}@ ⑵ y'= -2x#+6x@+7{x#+2x+3}@ 02 예 [문제] f{x}=x@+x+1로 정한다. [답][x@+x+1x+1 ]'= x@+2x {x+1}@ 03 ⑴ {csc`x}'=- cos`x

sin@`x=- 1sin`x\ cos`xsin`x =-csc`x`cot`x 따라서 {csc`x}'=-csc`x`cot`x이다. ⑵ {cot`x}'=-sec@`x tan@`x =-1 sin@`x=-csc@`x 따라서 {cot`x}'=-csc@`x이다. 04 ⑴ y'=1+sec@`x ⑵ y'=cot`x-x`csc@`x

0

1

함수의 몫의 미분법

75~78쪽 79쪽 1y= 1 2x 2 dy dx= dydu\ dudx= 12 01 ⑴ y'=5{3x@+1}{x#+x-2}$ ⑵ y'= 5 {5x+3}ln`10 ⑶ y'=2e@X_! ⑷ y'=2sec@`{2x+1} 02 ⑴ y'=2\5@X"#`ln`5 ⑵ y'={2x-1}3x@-x`ln`3 스스로확인하기 2x, 2x, x1 03 ⑴ y'=ln`|x+1|+x+1x ⑵ y'= 4x {2x@-1}ln`3 04 ⑴ y'= x-4 2{x-2}jx-2l ⑵ y'= 4x#+7x@+2x+1{x+1}@ 05 ⑴ y'=2 x# ⑵ y'= 4 3#jxk ⑶ y'= 1 2jx-1l ⑷ y'=exE_! [수현] y'=3x@\x@-{x#-2}\2x x$ =1+ 4 x# [윤아] y=x- 2 x@에서 y'=1+ 4 x# 따라서 두 학생의 방법으로 구한 결과는 서로 같다. 수학 역량 기르기 84쪽

0

2

합성함수의 미분법

79~84쪽

(9)

1  2 \ 3  4  5  1 ⑴ y'=- 1 x@ ⑵ y'=-2`csc@`x`cot`x ⑶ y'=2x+12 ⑷ y'= 2 5%1x#2 2 dydx=4t 3 y"= 1 x 4 y'= x@-10x-7 {x-5}@ 이므로 a=1, b=-10 5 u=cos`x로 놓으면 y=sin`u에서 dydx=dydu\dudx=cos`u\{-sin`x} =-sin`x`cos`{cos`x} 6 양변의 절댓값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ln`|y|=3`ln`|2x+1|-2`ln`|x-3|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yy'=2x+16 - 2x-3= 2{x-10} {2x+1}{x-3} 따라서 y'=2{x-10}{2x+1}@ {x-3}# 7 f'{x}=- 1 x@- 2x#- 3x$-y- 10x!!이므로 f'{1}=-1-2-3-y-10=-55 8 f'{x}= 13{3x@+4x+7){x#+2x@+7x-3}-3@ 이므로 f'{2}=1 9 dxdh=2`sec@`h, dhdy=3`sec`h`tan`h이고, tan`h= j33k, sec`h= 2j33 k 이므로 구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dxdy= 3`tan`h2`sec`h= 34 10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x-[y+x dydx ]-2y dydx=0 따라서 dydx= 2x-y x+2y (단, x+2y=0) 91~93쪽 85쪽 t y -1 -12 0 12 1 32 2 y x y -3 -2 -1 0 1 2 3 y y y 92 2 12 0 12 2 92 y O x y 1 -1 -2 -3 2 3 2! 2( 2 01 ⑴ dydx= 43t ⑵ dxdy= t@-1 2t#

1 dxdy=-2`sin`2h =-cot`2h2`cos`2h

2 dxdy= -2t@+2 {1+t@}@ -4t {1+t@}@ =t@-12t 3 dxdy=t@-12t 에 t=tan`h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dxdy=tan@`h-12`tan`h =-{cos@`h-sin@`h}2`sin`h`cos`h

=-cos`2hsin`2h =-cot`2h 따라서 1, 2에서 구한 dydx는 서로 같다. 수학 역량 기르기 86쪽

0

3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

85~86쪽 87쪽 1y=11-x@3 2y=-11-x@3 01 dxdy=- 2x3y(단, y=0) 02dxdy= 1 eY+3 ⑵ dy dx=-csc`y (단, 0<y<p) 수현, f{j2k}=2이므로 g{2}=j2k이다. 따라서 f'{x}=2x이므로 g'{2}= 1 f'{j2k}= j 2k 4 수학 역량 기르기 89쪽

0

4

음함수와 역함수의 미분법

87~89쪽 90쪽 1 f'{x}=3x@ 29f'{x}0'=6x

0

5

이계도함수

90쪽 스스로확인하기 -sin`x 01 ⑴ y'=4x#+6x ➡ y"=12x@+6 ⑵ y'=x+11 ➡ y"=- 1 {x+1}@ ⑶ y'=2e@X ➡ y"=4e@X ⑷ y'=-sin`{x+2} ➡ y"=-cos`{x+2}

(10)

11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eX+eY dy dx=0 즉, dxdy=- eeYX eX+eY=2에 x=0을 대입하여 풀면 y=0 따라서 x=0에서 dxdy의 값은 -1이다. 12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dxdy=2{y@-2}-2y\2y {y@-2}@ =-2{y@+2} {y@-2}@ 즉, dxdy=-{y@-2}@ 2{y@+2} (단, -1<y<1) 따라서 y=0에서 dydx의 값은 -1이다. 13 lim x`! 9{x-9}=0이므로 limx`! 99f{x}-30=0 즉, f{9}=3이므로 g{3}=9 한편 lim x`! 9 f{x}-3 x-9 =limx`! 9 f{x}-f{9} x-9 =f'{9} 즉, f'{9}= 12이므로 g'{3}= 1 f'{9}=2 따라서 g{3}+g'{3}=9+2=11 14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여 정리하면 f{x}= 129ln`{1+cos`x}-ln`{1-cos`x}0 즉, f'{x}= 1 2 [ -sin`x

1+cos`x- sin`x1-cos`x ] =- sin`x

1-cos@`x=- 1sin`x=-csc`x 따라서 f"{x}=csc`x`cot`x이므로 f"[ p

6 ]=2j3k

1 세 점 O{0, 0}, A1{2, 0}, A2{1, 3}에 대한 베지어 곡선을 매개변수 t로 나타낸 함수는 x=2t, y=-6t@+6t dx dt=2, dy dt=-12t+6이므로 dy dx=-6t+3

2 세 점 O{0, 0}, A1{2, 0}, A2{k, 3}에 대한 베지어 곡선을 매개변수 t로 나타낸 함수는 x={2-2k}t@+2kt, y=-6t@+6t dx dt={4-4k}t+2k, dy dt=-12t+6이므로 dxdy={2-2k}t+k-6t+3 따라서 lim t`! 0+ dy dx= 3k=a, t`lim! 1-dy dx= 3k-2=b 3 예컴퓨터에 쓰이는 글꼴 개발 94쪽

3

도함수의 활용

95쪽 1y=4x-4 2 극댓값: 7, 극솟값: 3 96쪽 -15 01 ⑴ y=2x-4 ⑵ y=x-1 02 ⑴ y=x+2 ⑵ y=x-p6+ j32k 03 ⑴ y=1 4x+1 ⑵ y=x-1 곡선 y=f{x}와 직선 y=x는 한 점에서 만나므로 그 점에서 접한다. h{x}=x라 하고, 곡선 y=f{x}와 직 선 y=h{x}의 접점의 x좌표를 t라고 하면 f{t}=h{t}에서 aT=t yy`① f'{t}=h'{t}에서 aT`ln`a=1 yy`② ①을 ②에 대입하면 a=et! 이것을 ①에 대입하여 풀면 t=e 따라서 a=ee! 수학 역량 기르기 98쪽

0

1

접선의 방정식

96~98쪽 99쪽 1 극대, 작다 2 극소, 크다 01 극댓값: 12p+ j32k, 극솟값: 125 p- j32k 02 예 f{x}=x$이면 f"{x}=12x@ 이때 f"{0}=0이지만 x=0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지 않으므로 점 {0, 0}은 곡선 y=f{x} 의 변곡점이 아니다. 03 ⑴ 0<x<23에서 위로 볼록, x<0 또는 x>23에서 아래로 볼록하며 변곡점의 좌표는 {0, 1}, [ 23, 1127 ]이다. ⑵ x<-1 또는 x>1에서 위로 볼록, -1<x<1에 서 아래로 볼록하며 변곡점의 좌표는 [-1, 1 2`ln`2], [1, 1 2`ln`2]이다. 04 ⑴ x O 1 y je \\\\\\\\\\\\\\\\\\\e j2 \\\\\\\\\\\\\\\\\\\2 j2 \\\\\\\\\\\\\\\\\\\2 ⑵ x O y p 2p p 2p

0

2

함수의 그래프

99~103쪽

(11)

1  2 \ 3  1 y=2x+1 2 극댓값: -4j2k, 극솟값: 4j2k 3 ⑴ {1, -1} ⑵ [ p2, 0] 4 속도: {2, 4}, 가속도: {0, 2} 5 f{x}=1-xx 라고 하면 f'{x}= 1 {1-x}@ 접점의 좌표를 [t, 1-t ]t 라고 하면 f'{t}=4에서 1 {1-t}@=4이므로 t= 12 또는 t= 32 109~111쪽 즉, 접점의 좌표는 [ 12, 1], [ 32, -3]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4x-1 또는 y=4x-9 6 f{x}= 1x이라고 하면 f'{x}=- 1 x@ 접점의 좌표를 [t, 1 t ]이라고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 1 t@x+ 2t 이 접선이 점 {2, 0}을 지나므로 0=- 2 t@+ 2t, t=1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x+2 7 f{x}={x-1}eX이라고 하면 f'{x}=xeX 접점의 좌표를 {t, {t-1}eT}이라고 하면 접선의 방 정식은 y=teTx-{t@-t+1}eT 이 접선이 {k, 0}을 지나므로 0=kteT-{t@-t+1}eT t@-{k+1}t+1=0 이차방정식의 판별식을 D라고 하면 D={k+1}@-4>0, {k+3}{k-1}>0 따라서 k<-3 또는 k>1 8 f{x}=x@+4`cos`x라고 하면 f"{x}=2-4`cos`x 곡선이 위로 볼록하면 f"{x}<0이므로 2-4`cos`x<0, cos`x> 12 이때 0<x<p이므로 0<x<p 3 9 f"{x}=2eX`cos`x이므로 0<x<2p일 때, f"{x}=0에서 x=p2 또는 x= 32p 따라서 x=p 2와 x= 32p의 좌우에서 각각 f"{x}의 부호가 바뀌므로 변곡점의 좌표는 [ p2, ep2], [32 p, -e2#p] 10 f{x}=eX-x에서 f'{x}=eX-1 -3<x<1일 때, f'{x}=0에서 x=0 x -3 y 0 y 1  f '{x} - 0 + f{x} 1 e#+3 ↘ 1 ↗ e-1 따라서 함수 f{x}는 x=-3에서 최대이고 최댓값은 1 e#+3이고, x=0에서 최소이고 최솟값은 1이다. 104쪽 2 01 2 02 a>1 03 f{x}=x`ln`x-x+1이라고 하면 f'{x}=ln`x f'{x}=0에서 x=1 x 0 y 1 y  f '{x} - 0 +  f{x} ↘ 0 ↗ 함수 f{x}는 x=1에서 최소이고 최솟값은 0이므로 x>0인 모든 x에 대하여 x`ln`x-x+1>0 따라서 x>0일 때, 부등식 x`ln`x>x-1이 성립한다.

0

3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104~105쪽 106쪽 1 5 3`m/s 2 1 3`m/s@ 스스로확인하기 eT, e@ 01 속도: 1, 가속도: - j3k 2 02 ⑴ 속도: {-1, 4}, 속력: j17k ⑵ 가속도: {2, 2}, 가속도의 크기: 2j2k dx dt=v, dy dt=H{6k#t@-6k@t}이므로 d@x dt@=0, d@y dt@=H{12k#t-6k@} 따라서 시각 t에서 항공기의 가속도는 {0, H{12k#t-6k@}} 수학 역량 기르기 108쪽

0

4

속도와 가속도

106~108쪽

(12)

11 f{x}=x#+ 3x이라고 하면 f'{x}=3x@- 3 x@ f'{x}=0에서 x=-1 또는 x=1 한편 f{-x}=-f{x}이므로 함수 y=f{x}의 그래 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x 0 y 1 y  f '{x} - 0 + f{x} ↘ 4 ↗ 또 lim x`! 0+ f{x}=E, lim x`! E f{x}=E이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4 또는 k>4 12 f{x}=ln`x- 1 ex라고 하면 f'{x}= 1x- 1e f'{x}=0에서 x=e x 0 y e y  f '{x} + 0 -f{x} ↗ 0 ↘ 함수 f{x}는 x=e에서 최대이고 최댓값이 0이므로 x>0인 모든 x에 대하여 ln`x-1ex<0 따라서 x>0일 때 부등식 ln`x< 1ex가 성립한다. 13 dxdt=2t, dydt=2-t이고 점 P의 속력이 4이므로 1{2t}@+{23-t}@3=4, {5t+6}{t-2}=0 그런데 t>0이므로 t=2 따라서 t=2일 때 점 P의 속도는 {4, 0} 14 ! 직선 y=kx (k는 상수)와 곡선 y=eX의 접점의 좌 표를 {t, eT}이라고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eTx+{1-t}eT 이 접선이 직선 y=kx와 일치하므로 eT=k, {1-t}eT=0 즉, t=1이므로 k=e @ 직선 y=kx (k는 상수)와 곡선 y=ln`x의 접점의 좌표를 {t, ln`t}라고 하면 접선의 방정식은 y= 1tx-1+ln`t 이 접선이 직선 y=kx와 일치하므로 1t=k, -1+ln`t=0 즉, t=e이므로 k= 1e x O y 1 -4 -1 4 y=k y=f{x} 1 cot`a{x}= x60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csc@`a{x}\a'{x}=601 즉, a'{x}=-x@+360060 cot`b{x}= 50-x30 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csc@`b{x}\b'{x}=-301 즉, b'{x}={50-x}@+90030 112쪽 !, @에서 1e<a<e 15 f{x}=xe_X이라고 하면 f'{x}={1-x}e_X, f"{x}={x-2}e_X f"{x}=0에서 x=2 x=2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므로 A[2, 2 e@] 또 f'{2}=- 1 e@이므로 점 A에서 접하는 접선의 방 정식은 y=- 1 e@x+ 4e@ 따라서 B{4, 0}, C[0, 4 e@]이므로 삼각형 OBC의 넓 이는 12\4\ 4 e@= 8e@ 16 f{x}={ln`x}@-4`ln`x라고 하면 f'{x}= 2`ln`x-4 x f'{x}=0에서 x=e@ x 0 y e@ y  f '{x} - 0 + f{x} ↘ -4 ↗ 함수 f{x}는 x=e@에서 최소이고 최솟값은 -4이므 로 x>0인 모든 x에 대하여 {ln`x}@-4`ln`x>-4 따라서 a<-4 x O y y=e!x y=ex y=eX y=ln x

(13)

2 h{x}=p-a{x}-b{x}이므로 h'{x}= 60 x@+3600 -30 {50-x}@+900 0<x<50일 때, h'{x}=0에서 x=100-20j17k x 0 y 100-20j17 k y 50 h '{x} + 0 -h{x} ↗ 극대 ↘ h{x}는 x=100-20j17k에서 최대이다. 따라서 x=100-20j17k일 때 태양열을 수집하는 시 간이 최대이다. 3 a'{x}=- 60 x@+3600, b'{x}= 30 {50-x}@+900 이고, 1의 결과와 같다. 1 lim x`! 0 ln`{1+4x} e@X-1 =limx`! 0 -ln`{1+4x} 4x \ 2x e@X-1\2= =1\1\2=2 따라서 ④이다. 2 t=p 2-x로 놓으면 x`!` p 2일 때 t`!`0이므로 lim x`! 2" sin`2x 2"-x=limt`! 0 sin`{p-2t} t =limt`! 0 sin`2t t =lim t`! 0 sin`2t 2t \2=2 3 f'{x}= 2`tan`x`sec@`x

tan@`x = 2`sec@`xtan`x 이므로 f'[p4 ]=4 따라서 ⑤이다. 4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y`ln`x=x`ln`y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dydx\ln`x+y\ 1x=ln`y+x\ 1y\ dydx 따라서 dxdy= ln`y-xy ln`x-xy =y{x`ln`y-y} x{y`ln`x-x} (단, y`ln`x-x=0) 5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dxdy=sec`y`tan`y+csc@`y 즉, dydx= 1 sec`y`tan`y+csc@`y [단, 0<y< p 2 ] 114~116쪽 따라서 y=p6에서 dydx의 값은 143 이므로 ③이다. 6 f{x}+f{4-x}=8의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f{4}+f{0}=8, f{4}+10=8 즉, f{4}=-2이므로 g{-2}=4 f{x}+f{4-x}=8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4-x}=0 양변에 x=4를 대입하면 f'{4}-f'{0}=0, f'{4}+3=0 따라서 f'{4}=-3이므로 g'{-2}= 1 f'{4}=- 13 78 ㄴ. f"{x}=2e_X`sin`x이고, 0<x<p에서 f"{x}>0이므로 곡선 y=f{x}는 아래로 볼록하 다.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9 f{x}=2x-2`ln`x라고 하면 f'{x}=2- 2 x f'{x}=0에서 x=1 x 0 y 1 y  f '{x} - 0 +  f{x} ↘ 2 ↗ 또 lim x`! 0+f{x}=E, lim x`! Ef{x}=E이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프 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실수 a의 값의 범위는 a<2 10 f'{x}=2`ln`x+2이므로 ▶ 40 % lim h`! 0 f{e+2h}-f{e-3h} h =lim h`! 0 f{e+2h}-f{e} 2h \2 +lim h`! 0 f{e-3h}-f{e} -3h \3 =5f'{e} ▶ 40 % =5\4=20 ▶ 20 %

11 세 직선 y=3x, y=2x, y=mx가 x축과 이루는 예 각의 크기를 각각 a, b, c라고 하면

tan`a=3, tan`b=2, tan`c=m ▶ 20 %

이때 b=a-c이므로

tan`b=1+tan`a`tan`ctan`a-tan`c ▶ 50 %

따라서 2= 3-m1+3m이므로 m= 17 ▶ 30 % x O y 1 2 y=a y=f{x}

(14)

12 f'{x}= ax@-6ax+3b-3 {x-3}@ 이고, f'{0}=2에서 3b-39 =2, b=7 ▶ 40 % f'{2}=-6에서 4a-12a+18=-6, a=3 ▶ 40 % 따라서 f'{x}= 3x@-18x+18 {x-3}@ 이므로 f'{1}= 34 ▶ 20 % 13 두 함수의 그래프의 교점의 x좌표를 t라고 하면 f{t}=g{t}에서 t`ln`t=ln`t, {t-1}`ln`t=0 즉, t=1이므로 교점의 좌표는 {1, 0} ▶ 30 % 이때 f'{x}=1+ln`x, g'{x}= 1x이므로 점 {1, 0} 에서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f'{1}=g'{1}=1 ▶ 30 % 따라서 구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x-1 ▶ 40 % 14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eX>0이므로 x<keX에서 x eX<k f{x}= x eX라고 하면 f'{x}= 1-xeX f'{x}=0에서 x=1 x y 1 y  f '{x} + 0 -f{x} ↗ 1e ↘ 함수 f{x}는 x=1에서 최대이고 최댓값은 1e이므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eX <x 1e ▶ 60 % 따라서 k>1e이므로 실수 k의 최솟값은 1e이다. ▶ 40 % 15 ⑴ dxdt=2at+a`cos`t, dydt=a`cos`t이므로

d@xdt@=2a-a`sin`t, d@ydt@=-a`sin`t 이때 t=p2에서 가속도의 크기가 5j2k이므로 1a@+{-a}@3=5j2k, a@=25 그런데 a>0이므로 a=5 ▶ 50 % ⑵ dxdt=10t+5`cos`t, dydt=5`cos`t이므로 t=p2에 서 점 P의 속력은 1{5p}@+0@3=5p ▶ 50 % 120쪽 1 ⑴ 1 4x$+C ⑵ 1 5 x%-1 3x#+C 2 ⑴ 1 ⑵ -2 3 121쪽 -1 3x_#+C, 3x3!+C 스스로확인하기 ⑵ ln`|x| 01 ⑴ - 1 4x$+C ⑵ 2 3xjxk+C ⑶ -1 2`ln`|x|+C 02 ⑴ x-3`ln`|x|- 5 2x@+C ⑵ 23xjxk-2x+2jxk+C 스스로확인하기 ⑵ ln`9 03 ⑴ eX"@+C ⑵ ln`88X + 5_X ln`5+C 04 {80e_!+20}`!C 스스로확인하기 ⑵ tan`x, 2`sec`x 05 ⑴ 3`sin`x+2`cos`x+C ⑵ -2`cot`x-csc`x+C 06 220`V 07 ⑴ x-sin`x+C ⑵ -cot`x-x+C

0

1

여러 가지 함수의 부정적분

121~125쪽

1

여러 가지 적분법

적분법

126쪽 120{2x+3}( 2 1 20{2x+3}!)+C 01 ⑴ -16{2-x}*+C ⑵ j2x+9l+C ⑶ 13e#X"^+C ⑷ -18`sin`{2-8x}+C 02 ⑴ - 1 x@+3+C ⑵ 1 3{ln`x}#+C 1 dx d F{ax+b}={ax+b}'F'{ax+b} =af{ax+b} 이므로 ? f{ax+b}`dx=1aF{ax+b}+C 수학 역량 기르기 128쪽

0

2

치환적분법

126~130쪽

(15)

131쪽 1eX+xeX 2xeX-eX+C 01 ⑴ 14`sin`2x- 1 2x`cos`2x+C ⑵ 12xe@X-1 4e@X+C 02 예[부분적분법] f{x}=ln`x, g'{x}= 1 x로 놓으면 ?ln`xx `dx={ln`x}@-?ln`x x `dx 따라서 ?ln`xx `dx=1 2{ln`x}@+C 03 ⑴ 12eX{sin`x-cos`x}+C ⑵ eX{x@-2x+2}+C [수현] f{x}=sin`x, g'{x}=cos`x로 놓으면 ?sin`x`cos`x`dx=sin@`x-?sin`x`cos`x`dx 즉, ?sin`x`cos`x`dx=12`sin@`x+C [재연] f{x}=cos`x, g'{x}=sin`x로 놓으면 ?sin`x`cos`x`dx=-cos@`x-?sin`x`cos`x`dx 즉, ?sin`x`cos`x`dx =- 12`cos@`x+C1=-12{1-sin@`x}+C1 =12`sin@`x+C[단, C=-12+C1]` 따라서 수현이와 재연이가 구한 결과는 서로 같다. 수학 역량 기르기 133쪽

0

3

부분적분법

131~133쪽 134쪽 x%+3x+C, x%+3x, 38 스스로확인하기 ⑴ p, 2 ⑵ 1 2 01 ⑴ 1 ⑵ e- 1 e 02 ⑴ 7 2 ⑵ 3 2{e$-1} 03 ⑴ p4 ⑵ p8 04 ⑴ 1- 2 e ⑵ 3 2p-3

0

4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

134~137쪽 1  2 \ 3 \ 4 \ 1 ⑴ 4x-8jxk+ln`|x|+C ⑵ 13e#X- 3X ln`3+C ⑶ 23 j3k 2 ⑴ 29{2+3x}j2+3xl+C ⑵ xeX+C 3 ⑴ 12 [e- 1 e ] ⑵ p-2 18 4 f`'{x}=4x%-x+2 x@ =4x#-1 x+ 2x@이므로 f{x}=x$-ln`|x|-x2+C 이때 곡선 y=f{x}가 점 {1, -5}를 지나므로 1-2+C=-5, C=-4 따라서 f{x}=x$-ln`|x|- 2 x-4 5 ⑴ t=x#+1로 놓으면 dxdt=3x@이므로 ? x@ 1x#+13`dx= 1 3 ? 3x@ 1x#+13`dx =13 ? 1 jtk`dt=23 jtk+C =23 1x#+13+C ⑵ t=ln`x로 놓으면 dxdt=1 x이므로 ?{ln`x}#x `dx=?t#`dt=14t$+C =14{ln`x}$+C 6 ⑴ ?1+e@Xe@X `dx= 1 2 ? {1+e@X}' 1+e@X `dx =1 2`ln`{1+e@X}+C

⑵ ?cos`x-sin`xsin`x+cos`x`dx=?{sin`x+cos`x}'sin`x+cos`x `dx =ln`|sin`x+cos`x|+C 138~140쪽 2 ax+b=t, 즉 x=t-b a 로 놓으면 dx dt= 1 a이므로 ? f{ax+b}`dx=?f{t}\1a`dt =1a ? f{t}`dt=1aF{t}+C =1aF{ax+b}+C 따라서 1의 결과와 같다. 03 ⑴ 2`ln`{eX+3}+C ⑵ ln`|ln`x|+C 04 ⑴ 1 2x@+4x+6`ln`|x-1|+C ⑵ ln`| xx+3 |+C 05 예 [문제] f{x}=x+1, g{x}=x#+3x@+3x+3으 로 정한다. [답] 13x#+x@+x+2`ln`|x+1|+C

(16)

7 f'{x} f{x}=-2의 양변을 x에 대하여 적분하면 ln`f{x}=-2x+C, 즉 f{x}=e-2x+C f{0}=1e에서 C=-1이므로 f{x}=e-2x-1 8 ⑴ x-2=t, 즉 x=t+2로 놓으면 dx dt=1 x=2일 때 t=0, x=3일 때 t=1이므로 /2#xjx-2l`dx=/0!{t+2}jtk`dt ={25t2%+43t2#}0!= 2615 ⑵ /02"cos#`x`dx=/02"{1-sin@`x}cos`x`dx t=sin`x로 놓으면 dxdt=cos`x x=0일 때 t=0, x=p2일 때 t=1이므로 /02"{1-sin@`x}cos`x`dx =/0!{1-t@}`dt={t-1 3t#}0!= 23 9 구하는 정적분의 값은 /1@x@+3x3 `dx=/1@[ 1 x -1 x+3 ]dx ={ln`|x|-ln`|x+3|}1@ ={ln`| x x+3|}1@=ln` 85 10 ⑴ x=2`sin`h[- p2<h< p2 ]로 놓으면 dxdh=`2`cos`h x=0일 때 h=0, x=1일 때 h=p6이므로 /0! 1 14-x@3`dx =/06" 1 14-4`sin@`h3\2`cos`h`dh =/06"2`cos`h1 \2`cos`h`dh =/06"`dh={h}06"=p6 ⑵ x=3`tan`h[-p2<h< p2 ]로 놓으면 dxdh=3`sec@`h x=0일 때 h=0, x=3일 때 h= p4이므로 /0# 4 x@+9`dx =/04" 4 9`tan@`h+9\3`sec@`h`dh =/04" 4 9`sec@`h\3`sec@`h`dh =/04"43`dh={43h}04"=p3 11 f{x}=?{4x+1}`ln`x`dx에서 f{x}={2x@+x}`ln`x-?{2x@+x}\ 1 x`dx ={2x@+x}`ln`x-?{2x+1}`dx ={2x@+x}`ln`x-x@-x+C f{1}=3에서 -1-1+C=3, C=5 따라서 f{x}={2x@+x}`ln`x-x@-x+5이므로 f{e}=e@+5

12 ?e@X`sin`x`dx=-e@X`cos`x+2?e@X`cos`x`dx =-e@X`cos`x

+2[e@X`sin`x-2?e@X`sin`x`dx] 5?e@X`sin`x`dx=e@X{2`sin`x-cos`x}

즉, ?e@X`sin`x`dx=e@X[ 25`sin`x-15`cos`x]+C` 따라서 a= 25, b=- 15 13 ⑴ f{t}=?k`sin`2pt`dt=- k2p`cos`2pt+C 이때 f{0}=3에서 C=2pk +3 즉, f{t}=-2pk `cos`2pt+ k2p+3 추의 높이가 최대가 되려면 cos`2pt=-1이어야 하므로 p +3=7k 따라서 k=4p ⑵ f{t}=5-2`cos`2pt이므로 f[ 136 ]=4 따라서 구하는 추의 높이는 4`cm이다.

14 In=/0!xNeX`dx={xNeX}0!-/0!nxN_!eX`dx =e-n/0!xN_!eX`dx

이때 In-1=/0!xN_!eX`dx이므로 In=e-nIn-1 따라서 I5=e-5I4이므로 10I4+2I5=2e

(17)

1 f{t}=?100keKT`dt=100eKT+C t=0일 때 100`g이므로 f{0}=100에서 C=0 따라서 f{t}=100eKT이므로 10000년 후의 !$C의 양은 f{10000}=100e10000k=100e-1.2=30` 즉, 30`g이다. 2 Ln=/0N(-kteKT}`dt ={-teKT}0N+/0NeKT`dt =-neKN+{eKT k }0N =-neKN+ ekKN- 1k =- n e0.00012n -1 0.00012 [ 1 e0.00012n-1] 이때 공학적 도구를 이용하면 lim n`! E n e0.00012n=0, lim n`! E 1 e0.00012n=0 이므로 lim n`! ELn= 1 0.00012=8333.33y 따라서 !$C의 평균 수명은 8333년이다. 3 예 2004년 일본의 한 대학교수 팀은 백두산 화산 폭발 의 증거인 탄화목을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 화산 폭발이 938년 정도에 일어났음을 밝혀내었다. [참고 자료: 진재운, “백두산에 묻힌 발해를 찾아서”] 141쪽 147쪽 A-B+C 01 ⑴ e-1 ⑵ 32 네 점 O{0, 0}, A[p4, 0], B[p4, 1], C{0, 1}에 대 하여 S=(fOABC의 넓이)-/04"tan`x`dx =p4+{ln`|cos`x|}04"=p4-ln`j2k 수학 역량 기르기 148쪽 02 ⑴ 4912 ⑵ 2j2k

0

2

넓이

147~149쪽 150쪽 118p 218p, 1의 결과와 같다. 01 50 02 2e$- 2 e$ 1 도형의 꼭짓점에서 단면까지의 거리가 x일 때, 정사 각뿔과 원뿔의 단면의 넓이를 각각 S{x}, T{x}라 고 하면 S{x}:a@=x@:h@, T{x}:pr@=x@:h@` 즉, S{x}:a@=T{x}:pr@이므로 S{x}:T{x}=a@:pr@ 2 정사각뿔의 부피를 S라고 하면 S=/0HS{x}`dx 한편 1에서 T{x}=pr@ a@ S{x}이므로 원뿔의 부피 를 T라고 하면 T=/0HT{x}`dx=/0Hpr@ a@ S{x}`dx =pr@ a@ S 따라서 S:T=1:pr@ a@ =a@:pr@이므로 두 입체도 형의 부피의 비는 두 단면의 넓이의 비와 같다. 수학 역량 기르기 152쪽

0

3

부피

150~152쪽

2

정적분의 활용

142쪽 1 ⑴ 1 ⑵ 12 2 323 143쪽 1 [그림 1] [그림 2] [그림 3] M 4800 3400 2700 m 800 1100 1600 M-m 4000 2300 1100 20에 가까워진다. 01 ⑴ 1 n, 2 n, 3 n, y, n-1 n , n n ⑵ Un= 14 [1+ 2n+ 1 n@] ⑶ 1 4 02 p2

0

1

정적분과 급수

143~146쪽 03 예[수현] f{x}=ln`x, a=1, b=2로 놓으면 DELTAx=b-an = 1n, xk=a+kDELTAx=1+nk ` 이므로 lim n`! E 1 n n ? k=1ln`[1+ kn ] =/1@ln`x`dx={x`ln`x}1@-{x}1@ =2`ln`2-1

(18)

1  2 \ 3 \ 4  1 ln`[4+ x2 ] 2 ln`5 3 p+2 4 j3k+ p6 5 f{x}=j2+xk, a=0, b=1로 놓으면 DELTAx=1n, xk= k n 따라서 구하는 극한값은 lim n`! E n ? k=1q2+ kne\ 1n =/0!j2+xl`dx ={23{2+x}j2+xl}0!=2j3k- 4j23 k 6 닫힌구간 {0, p2 }에서 두 곡선의 교점의 x좌표는 sin`x=cos`2x, sin`x=cos@`x-sin@`x {2`sin`x-1}{sin`x+1}=0 sin`x=1 2이므로 x= p 6 157~159쪽 153쪽 10 28 스스로확인하기 ⑴ p2 ⑵ 1, 1, p4 01 ⑴ 1- 1e ⑵ 위치의 변화량: e-2-1e, 움직인 거리: e-2+1e 154쪽 선분 AB의 길이, 1{DELTAx}@+3{DELTAy}@3 02 j2k{e-1} 03 ⑴ e- 1 e ⑵ e@+1 4 예 [민지]x=r`cos`t, y=r`sin`t에서 dx dt=-r`sin`t, dy dt=r`cos`t이므로 점 P가 움직 인 거리는 /0@|1{-r`sin`t}@+3{r`cos`t}@3`dt =/0@|r`dt={rt}0@|=2pr 따라서 원의 둘레의 길이가 2pr임을 알 수 있다. 수학 역량 기르기 156쪽

0

4

속도와 거리

153~156쪽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는 /06"{cos`2x-sin`x}`dx +/ 6" 2" {sin`x-cos`2x}`dx ={12`sin`2x+cos`x}06" +{-cos`x-1 2`sin`2x}6" 2" =3j3k 2 -1 7 곡선과 직선의 교점의 좌 표는 {3, 2} 따라서 구하는 넓이는 /-1# jx+1l`dx-2 ={2 3(x+1)jx+1l}-1# -2= 10 3 8 y'= 1x이므로 접점의 좌표를 {t, ln`t}라고 하면 접 선의 방정식은 y=1tx-1+ln`t 이 접선이 원점을 지나므로 -1+ln`t=0, t=e 즉, 접점의 좌표는 {e, 1}이고, 접선의 방정식은 y=1ex, 즉 x=ey 한편 y=ln`x에서 x=eY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 는 곡선 x=eY과 x축 및 직 선 x=ey로 둘러싸인 도형 의 넓이와 같으므로 /0!{eY-ey}`dy ={eY- e2y@}0!= e2-1 9 단면의 넓이는 12p[ 12 jx`cos`xl]@= p8`x`cos`x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02"p8`x`cos`x`dx =p 8 [{x`sin`x}0 2" -/02"sin`x`dx] =p8 [p2+{cos`x}02"]=p{p-2}16 10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0@|4{j3k`cos`t-sin`t6}@+{-j3k`sin6`t-cos`t}@6`dt =/0@|2`dt={2t}0@|=4p O 2 1 -1 -1 y x 3 y=x-1 x=y@-1 {y>0} O 1 1 y x e y=e!x y=ln`x

(19)

11 구하는 곡선의 길이는 / -2! 2! r1+[- 2x 1-x@]@y`dx =/ -2! 2! 1+x@ 1-x@`dx=/-2! 2! [-1- 2x@-1]`dx =/ -2! 2! [-1- 1x-1+x+1 ]1 `dx ={-x+ln`| x+1 x-1 |}-2! 2! `=-1+2`ln`3 12 반원의 중심을 원점 O, 반 원의 지름 AB를 포함하는 직선을 x축으로 정하자. 이 때 반원 위의 한 점 P{x, y}{-2<x<2}에 서 x축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직각삼각형 POH에서 PHZ=14-x@3 단면의 넓이는 j34k{14-x@3}@= j3k 4 {4-x@}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j3k 4 /-2@{4-x@}`dx= j 3k 4 { 4x-1 3x#}-2@ = 8j3k 3 13 t초 동안 원은 t라디안만큼 굴러가므로 t초 후 점 P의 좌표는 {t-sin`t, 1-cos`t} 따라서 점 P가 움직인 거 리는 /0@|1{1-cos`t}@3+sin@`t3`dt =/0@|12{1-cos`t}3`dt

=/0@|r2-1-[cos@` t2 y-sin@`2 ]=yt `dt =/0@|q4`sin@`2te`dt=/0@||2`sin` t2 |`dt =/0@|2`sin`2t`dt={-4`cos`2t}0@|=8 O y x A B H 2 -2 2 P 2 O P C x y t-sin`t cos`t sin`t t 1 t 1-cos`t 1 1+1 2@+ 1 3@+y+ 1 n@<1+/1N 1 x@`dx이므로 Sn<Tn 2 Tn=1+/1N 1 x@`dx=1+{- 1x}1N=2- 1n이므로 lim n`! ETn=2 160쪽 1 p 2 t=e@X으로 놓으면 dxdt=2e@X이므로 ?e@Xf{e@X}`dx=12 ?f{t}`dt =12F{t}+C=12F{e@X}+C 따라서 ②이다. 3 x=3`tan`h[- p2<h< p 2 ]로 놓으면 dxdh=3`sec@`h x=0일 때 h=0, x=j3k일 때 h= p6이므로 /0j3k 1 x@+9`dx =/06" 1 9`tan@`h+9\3`sec@`h`dh =/06" 1 9`sec@`h\3`sec@`h`dh =/06"13`dh={13h}06"=18p 4 f{x}=?{x-1}e@X`dx ={x-1}2 e@X-?12e@X`dx

={x-1}2 e@X-14e@X+C={2x-3}4 e@X+C 162~164쪽 1에 따라 lim n`! ESn< limn`! ETn이므로 n`! ElimSn<2` 따라서 ?E n=1 1 n@<2가 성립함을 알 수 있다. 3 오른쪽 그림과 같이 곡 O x y 1 2 3 4 1 yynn+1 y=x!{x>0} 선 y= 1x에 대하여 닫 힌구간 [1, n+1]을 n 등분 하여 만든 직 사각형의 넓이의 합을 Sn이라고 하면 Sn=1+ 1 2+ 13+y+ 1n Tn=/1N"!x1`dx라고 하면 Tn<Sn Tn=/1N"!x1`dx={ln`|x|}1N"!=ln`{n+1}이므 로 lim n`! ETn=E 따라서 lim n`! ESn=E이므로 E ? n=1 1 n=E임을 알 수 있다.

(20)

f{0}=-34에서 C=0 따라서 f{x}={2x-3}4 e@X이므로 f{1}=-e@4 5 y=ln`x에서 x=eY O x y 1 2 y=x y=ln`x y=2 따라서 구하는 도형의 넓이 는 곡선 x=eY과 x축 및 두 직선 x=y, y=2로 둘러싸 인 도형의 넓이와 같으므로 /0@{eY-y}`dy={eY-y@ 2 }0@=e@-3 6 두 곡선 y=f{x}, y=g{x}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S1=/0!f{x}`dx, ` S2=/3E"@g{x}`dx라고 하면 /0!f{x}`dx+/3E"@g{x}`dx =S1+S2=1\{e+2}=e+2 7 단면의 넓이는 4`tan@`x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04"4`tan@`x`dx=4/04"{sec@`x-1}`dx =4{tan`x-x}04"=4-p 8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0|1{t`sin`t}@+3{t`cos`t}@3`dt=/0|t`dt ={12t@}0|=p@2 따라서 ②이다. 9 15 2 +ln`4 10 F{x}=? 4 x@-4`dx=?[ 1x-2- 1x+2 ]`dx =ln`|x-2|-ln`|x+2|+C =ln`| x-2x+2 |+C ▶ 70 % 따라서 F{8}-F{3}=ln`3 ▶ 30 % 11 f{x}=2x+3jxk에 대하여 DELTAx=n1, xk=k n ▶ 20 % O x y y=x 1 3 e+2 e+2 3 1 y=f{x} y=g{x} S1 S2 S2 따라서 lim n`! E 1 n n ? k=1`f[2+ 2kn ] ` =/0!f{2+2x}`dx ▶50 % ` =/0!{4+4x+3j2+2xl}`dx ={4x+2x@+{2+2x}2#}0! =14-2j2k ▶30 % 12 주어진 도형을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여 생각하면 두 도형 A, B의 넓이가 같으므로 /0A (jxk-2}`dx=0 ▶ 60 % {23xjxk-2x}0A=0, 2a{jak-3}=0 그런데 a>4이므로 jak=3, a=9 ▶40 % 13 밑면의 중심을 원점 O, 그 점을 지나고 밑면에 수직인 직선을 x축으로 정하자. 이때 x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용기를 자른 단면의 넓이는

p-ln`{x+e}jx+el =@=9ln`{x+e}0@x+e p ▶30 %

따라서 용기의 부피는

/0e#-e9ln`{x+e}0@x+e p`dx ▶ 20 %

이때 ln`{x+e}=t로 놓으면 dxdt=x+e이고 x=0일 때 t=1, x=e#-e일 때 t=3이므로 구하는 용기의 부피는 /1# pt@`dt={p3t#}1#= 263 p▶50 % 14 ⑴ dxdt=-3a`cos@`t`sin`t, dydt=3a`sin@`t`cos`t이 므로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02"1{-3a`cos@`t`sin`t}@+3{3a`sin@`t`cos`t}@3`dt =/02"`|3a`sin`t`cos`t|`dt =/02"`| 32a`sin`2t|`dt=/02"32a`sin`2t`dt ={-3 4a`cos`2t}0 2" =3 2a 즉, 32a=3이므로 a=2 ▶50 % ⑵ /04#p1{-6`cos@`t`sin`t}@+3{6`sin@`t`cos`t}@3`dt =/04#p|6`sin`t`cos`t|`dt=/04#p|3`sin`2t|`dt =/02"3`sin`2t`dt+/ 2" 4#p {-3`sin`2t}`dt ={-32`cos`2t}02"+{32`cos`2t} 2" 4#p =92▶50 %

(21)

170~173쪽

I

수열의 극한

12 3 3 0 4 a=0이면 주어진 수열은 발산하므로 a=0 lim n`! E an@+8n+3 bn+1 = limn`! E 8n+3 bn+1= 8 b이므로 8 b=2에서 b=4 5 lim n`! E bn-an an = limn`! E[ bn an-1]=0이므로 n`lim! E bn an=1 따라서 lim n`! E an@-anbn+bn@ an@+anbn+bn@ = lim n`! E 1-bn an+[ bn an ]@ 1+bnan+[bnan ]@ =13 6 lim n`! E[ an n@+1-2]=3에서 n`lim! E an n@+1=5이므로 lim n`! E an 2n@-n= limn`! E n@+1 2n@-n\ an n@+1 = lim n`! E 1+ 1 n@ 2- 1n \ lim n`! E an n@+1=52 7 1\2+2\3+3\4+y+n{n+1} =?n k=1k{k+1}= n ? k=1k@+ n ? k=1k= n#+3n@+2n 3 따라서 lim n`! E 1\2+2\3+3\4+ y +n{n+1} {2n-1}# =13 lim n`! E n#+3n@+2n 8n#-12n@+6n-1= 1 24 8 3 9 ㄱ. an-bn=cn이라고 하면 lim n`! Ecn=0이므로 lim n`! Ebn= limn`! E{an-cn} = lim

n`! Ean- limn`! Ecn=a

ㄴ. (반례) 9an0: 1, 0, 1, 0, y 9bn0: 0, 1, 0, 1, y이면 lim

n`! Eanbn=0이지만 n`! Eliman=0, n`! Elimbn=0이다.

ㄷ. cn=bnan이라고 하면 lim n`! Ecn=a{a>0}이므로 lim n`! Ebn= limn`! Eancn=E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ㄷ이다. 1011 23 12 ㄱ. a>b일 때, lim n`! E aN"!+bN"! aN+bN = limn`! E a+b[ b a ]N 1+[ ba ]N =a ㄴ. a<b일 때, lim n`! E aN"!+bN"! aN+bN = limn`! E a[ ab ]N+b [ ab ]N+1 =b ㄷ. a=b일 때, lim n`! E aN"!+bN"! aN+bN = limn`! E 2aN"! 2aN =a (또는 b)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이다. 13 Sn=n\n91+{2n-1}0 2 =n# n>2일 때, an=Sn-Sn-1=3n@-3n+1 a1=S1=1이므로 an=3n@-3n+1 따라서 lim n`! E an 4n@= limn`! E 3n@-3n+1 4n@ = 3 4 14 x+y=3N yy ①, 2x-y=2N yy ② 두 직선의 교점의 좌표가 {an, bn)이므로 ①, ②를 연 립하면 an=3N+2N3 , bn=2\3N-2N3 따라서 lim n`! E bn an= limn`! E 2-[ 2 3 ]N 1+[ 23 ]N =2 15 lim n`! E[ an n-a]=0에서 n`lim! E an n=a이므로 lim n`! E n 3an-2= limn`! E 1 3an n - 2n =3a1 즉, 3a1 =16이므로 a=2 16 125 17 1 4n@-1= 12 [2n-11 -2n+1 ]1 이므로 급수의 제n항까지의 부분합을 Sn이라고 하면 Sn=12 [1-2n+1 ]1 따라서 lim n`! ESn= 1 2n`lim! E[1- 12n+1 ]= 1 2

(22)

18 n=1?Ean이 수렴하므로 lim

n`! Ean=0 E

?

n=1an=3이므로 n`lim! ESn= limn`! ESn-1=3

따라서 lim n`! E 2an+Sn-1 4an@+2Sn= 1 2 19 2<x<8 20 ㄱ. lim n`! Ean=0, n`lim! Ebn=0이므로 lim

n`! Eanbn= limn`! Ean\ limn`! Ebn=0

ㄴ. n=1?Ean=a, n=1?E{an+bn}=b (a, b는 실수)로 놓으면 n=1?Ebn=?E n=19{an+bn}-an0=b-a 따라서 n=1?Ebn은 수렴한다. ㄷ. (반례) an=[ 1 2 ]N, bn=[ 13 ]N이라고 하면 a=?E n=1an=1, b= E ? n=1bn= 1 2 이때 anbn=[ 1 6 ]N이므로 E ? n=1anbn= 1 5 따라서 n=1?Eanbn=ab 따라서 보기 중 옳은 것은 ㄱ, ㄴ이다. 21 an= 1 2rN_!이라고 하면 an'2= 12rN"!이므로 ?E n=1anan'2= E ? n=1 1 4r@N = 1 4r@ 1-r@= r@ 4{1-r@} 즉, r@ 4{1-r@}= 14이므로 1-r@=r@, r@= 12 따라서 ?E n=1an@= a 1@ 1-r@= [ 12 ]@ 1-1 2 = 1 2 22 0.24^5^=0.2+0.045+0.00045+y =102 +[ 45 10#+ 45 10%+y] = 2 10+ 45 1000 1- 1 100 = 2 10+ 45 990= 27 110 23 700+700\ 9 10+700\[ 910 ]@+y= 700 1- 910 =7000 따라서 사용 가능한 시간의 총합은 7000시간이다. 24 [n단계]에서 새로 만든 나뭇가지의 길이의 합을 an{n>1}이라고 하면

a1=3\14, a2=3@\[ 14 ]@, a3=3#\[ 14 ]#, y

즉, ?E n=1an= 3 4 1-34 =3 따라서 처음 주어진 나뭇가지의 길이 1을 포함한 모든 나뭇가지의 길이의 합은 1+3=4 25 원 Cn의 반지름의 길이를 rn이 라고 하면 원 C n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원 Cn의 지름의 길이와 같으므 로 2rn 원 Cn에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이 정사각형에 내접하는 원 Cn'1의 지름의 길이와 같으므로 2rn'1 직각이등변삼각형 ABH에서 2rn'1:2rn=1:j2k, rn'1= j2 k2 rn 이때 원 Cn의 넓이가 bn이므로 bn'1=1 2bn 따라서 수열 9bn0은 첫째항이 4p이고 공비가 1 2인 등 비수열이므로 ?E n=1bn= 4p 1- 12 =8p Cn Cn'1 2rn'1 2rn B A H 174~177쪽

II

미분법

1 lim x`! 0x=0이므로 lim x`! 0ln`{a+2x}=0, ln`a=0 즉, a=1 이때 b=lim x`! 0 ln`{1+2x} 2x \2=2 23 tan`a+tan`b= 32, tan`a`tan`b= 12이므로 tan`{a+b}= tan`a+tan`b1-tan`a`tan`b=3 따라서 ⑤이다. 4 lim x`! 0 f{sin`x} x =limx`! 0 sin`x{sin`x+1} x =lim x`! 0 sin`x x \limx`! 0{sin`x+1}=1

(23)

5 구하는 극한값은 lim x`! 0 1 sin`x x + sin`2x 2x \2+y+ sin`nx nx \n = 1 1+2+y+n= 2 n{n+1} 이때 2 n{n+1}= 145이므로 n{n+1}=90, {n+10}{n-9}=0 그런데 n은 자연수이므로 n=9 따라서 ④이다. 6 y'= -24x$+24x@ {x@+1}$ 이므로 a=-24, b=24 7 양변에 자연로그를 취하면 ln`f{x}=sin`x`ln`x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 '{x} f{x}=cos`x`ln`x+ sin`x x 즉, f'{x}=xsin`x[cos`x`ln`x+ sin`x

x ] 따라서 f'{p}=-ln`p이므로 ②이다. 8 f{x}=ln`{eX+e@X+e#X+y+e!)X}이라고 하면 f'{x}= eX+2e@X+3e#X+y+10e!)X eX+e@X+e#X+y+e!)X 따라서 구하는 극한값은 lim x`! 0 ln`{eX+e@X+e#X+y+e!)X}-ln`10 x =lim x`! 0 f{x}-f{0} x-0 =f'{0}= 112 9 양변을 y에 대하여 미분하면 dxdy=y`cos`y-sin`y {y+sin`y}@

즉, dydx=y`cos`y-sin`y{y+sin`y}@ [단, 0<y< 65p] 따라서 y=p에서 dydx의 값은 -p이다. 10 실수 a에 대하여 g{8}=a라고 하면 f{a}=8이므로 a#+6a+1=8, {a-1}{a@+a+7}=0 즉, a=1 따라서 f'{x}=3x@+6에서 f'{1}=9이므로 g'{8}= 1 f'{1}= 19 1112 f'{x}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미분가능하므로 연속 이다. 이때 lim x`! 1{x-1}=0이므로 lim x`! 19f'{f{x}}-10=0, f'{f{1}}=1 f{1}=2이므로 f'{2}=1 이때 lim x`! 1 f'{f{x}}-1 x-1 =lim x`! 1 -f'{f{x}}-f'{2} f{x}-2 \ f{x}-2 x-1 = =f"{2}f'{1}=3f"{2} 따라서 3f"{2}=3이므로 f"{2}=1 13 dydx= b`sec`ha`tan`h이고, h=p6에서 dxdy의 값이 1이므로 2ba=1, 즉 a=2b yy`① 또 h= p6일 때 x=2j3 k 3 a, y= j3 k3 b이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x-2j3 k3 a+ j3 k3 b 이 접선이 점 {0, j3k}을 지나므로 j3k=- 2j3 k3 a+ j3 k3 b yy`② ①, ②를 연립하여 풀면 a=-2, b=-1 14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2ydy dx= 1x 즉, dydx= 12xy (단, y=0) 따라서 점 {e, 1}에서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2e1이 므로 접선의 방정식은 y= 12ex+ 12 15 xy=5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여 정리하면 dydx=- yx (단, x=0) 점 An에서 접하는 접선의 방정식은 y=-yn xnx+2yn 이므로 xn'1=2xn 그런데 점 A1{1, 5}에서 x1=1이므로 xn=2N_! 따라서 xnyn=5에서 yn= 5 2N_!이므로 ?E n=1yn= 5 1- 12 =10 16 1 17 {-1, 0} 18 f"{x}=a-3`sin`x이고, 방정식 f"{x}=0이 실근 을 갖고 그 근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어야 한다. f"{x}=0에서 3`sin`x=a 곡선 y=3`sin`x와 직선 y=a가 만나야 하므로 -3<a<3 ! a=-3이면 f"{x}<0이므로 방정식 f"{x}=0 의 근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지 않는다.

(24)

@ a=3이면 f"{x}>0이므로 방정식 f"{x}=0의 근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지 않는다. !, @에서 -3<a<3 따라서 정수 a의 개수는 5이므로 ③이다. 19 f'{x}={ln`x+2}`ln`x, f"{x}=2{ln`x+1} x f'{x}=0에서 x= 1 e@ 또는 x=1 이때 f"[ 1 e@]<0, f"{1}>0이므로 A{1, 0} f"{x}=0에서 x= 1e x= 1e의 좌우에서 f"{x}의 부호가 바뀌므로 변곡점 의 좌표는 [ 1e, 1e ] 또 f'[ 1e ]=-1이므로 변곡점에서 접하는 접선의 방 정식은 y=-x+ 2 e 따라서 B[ 2e, 0], C[0, 2e ]이므로 삼각형 ABC의 넓이는 12\[1- 2 e ]\ 2e= e-2e@ 20 점 B의 좌표를 {x, e_X}, 직사각형의 넓이를 S{x}라 고 하면 S{x}=2xe_X, S'{x}=2{1-x}e_X x>0일 때, S'{x}=0에서 x=1 x 0 y 1 y S '{x}   + 0 -S{x}   ↗ 2e ↘ 따라서 S{x}는 x=1에서 최대이므로 직사각형 ABCD의 넓이의 최댓값은 2e이다. 21 f{x}= eX+e_X 2 이라고 하면 f'{x}= eX-e_X2 f'{x}=0에서 x=0 x y 0 y f '{x} - 0 + f{x} ↘ 1 ↗ 또 lim x`! Ef{x}=E, lim x`! -Ef{x}=E이다. 따라서 함수 y=f{x}의 그래 프는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실수 k의 값의 범위는 k>1 x O y y=f{x} k 1 y=k

22 x<0이므로 e_X>ax에서 e_Xx <a f{x}= e_X x 이라고 하면 f'{x}= -e_X{x+1} x@ x<0일 때, f'{x}=0에서 x=-1 x y -1 y 0  f '{x} + 0 - f{x} ↗ -e ↘ 함수 f{x}는 x=-1에서 최대이고 최댓값이 -e이 므로 x<0인 모든 x에 대하여 e_Xx <-e 따라서 a>-e 23 dxdt=eT{cos`t-sin`t}, dydt=eT{sin`t+cos`t}이 고, 점 P의 속력이 j2kep이므로 19eT{cos`t-sin3`t}0@+9eT{si3n`t+cos`t}0@3=j2kep 12e@T3=j2kep, t=p 따라서 d@x dt@=-2eT`sin`t, d@y dt@=2eT`cos`t이므로 t=p에서 점 P의 가속도는 {0, -2ep} 178~181쪽

III

적분법

1 x+8jxk+4`ln`x+C 2 f'{x}=2e@X-eX이므로 f{x}=?{2e@X-eX}`dx =e@X-eX+C 이때 곡선 y=f{x}가 점 {0, 1}을 지나므로 1-1+C=1, C=1 따라서 f{x}=e@X-eX+1 34 f{x}=? 5x+1 x@+x-2`dx =?[ 2x-1+ 3x+2 ]`dx =2`ln`|x-1|+3`ln`|x+2|+C f{2}=3`ln`4에서 C=0 따라서 f{x}=2`ln`|x-1|+3`ln`|x+2|이므로 f{3}=2`ln`2+3`ln`5 5 주어진 식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x}+xf'{x} -{cos`x-x`sin`x-cos`x} xf'{x}=-x`sin`x

(25)

그런데 x>0이므로 f'{x}=-sin`x` 양변을 x에 대하여 적분하면 f{x}=?{-sin`x}`dx=cos`x+C ` f{p}=0에서 C=1이므로 f{x}=cos`x+1 따라서 / 2"|f{x}`dx=/2"|{cos`x+1}`dx ` ={sin`x+x} 2"|= p 2-1 6 ln`x=t로 놓으면 dx dt=x이고 x=1일 때 t=0, x=e일 때 t=1이므로 /1E2{ln`x}#+1x `dx=/0!{2t#+1}`dt ={ 12t$+t}0!=32 따라서 ⑤이다. 7 x= 13sin`h[- p2<h< p2 ]로 놓으면 dxdh=13cos`h x=0일 때 h=0, x=16일 때 h=p6이므로 /06! 1 11-9x@3`dx =/06" 1 11-sin@`h3\ 13cos`h`dh =/06"1 3`dh={ 1 3h}0 6" =p 18 따라서 ②이다. 8 /0!{x+3}e@X`dx={x+3 2 e@X}0!-/0! e@X 2 `dx =[2e@- 3 2 ]-{ e@X 4 }0! = 14{7e@-5} 9 f'{x}={ln`x}@이므로 f{x}=?{ln`x}@`dx =x{ln`x}@-2? ln`x`dx =x{ln`x}@-2[x`ln`x-? dx] =x{ln`x}@-2{x`ln`x-x}+C 즉, f{e@}-f{e}=2e@-e 따라서 ①이다. 10 /02"e_X{sin`x+cos`x}`dx ={e_X{-cos`x+sin`x}}02" +/02"e_X{-cos`x+sin`x}`dx ={e-2"+1}+{e_X{-sin`x-cos`x}}02" -/02"e_X{sin`x+cos`x}`dx =2-/02"e_X{sin`x+cos`x}`dx 즉, /02"e_X{sin`x+cos`x}`dx=1 11 f{x}=?sin#`x`dx=?{1-cos@`x}`sin`x`dx t=cos`x로 놓으면 dxdt=-sin`x이므로 ?{1-cos@`x}sin`x`dx =?{t@-1}`dt=13t#-t+C =13`cos#`x-cos`x+C f{p}=1에서 C=13 따라서 f{x}=13`cos#`x-cos`x+13 12 /0Xf{t}`dt=3x+x/0Xf{t}`dt-/0Xtf{t}`dt의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3+/0Xf{t}`dt+xf{x}-xf{x} f{x}=3+/0Xf{t}`dt yy`① 양변을 x에 대하여 미분하면 f'{x}=f{x}` f{x}>0이므로 f '{x} f{x} =1에서 양변을 x에 대하여 적분하면 ln`f{x}=x+C 한편 ①에서 f{0}=3이므로 C=ln`3 따라서 f{x}=ex+ln`3=3eX이므로 f{2}=3e@

13 구하는 극한값은 lim n`! E n ? k=1 3 n+k= limn`! E n ? k=1 3 1+ kn \n1 =/0!1+x3 dx ={3`ln`|1+x|}0! =3`ln`2

(26)

14 5- 1e@ 15 e+ 1e-2 16 /0ln`2eX`dx=2/0ln`2ae@X`dx이므로 {eX}0ln`2={ae@X}0ln`2, 1=3a, a= 13 17 an=/02"`n`cos`x`dx+/ 2"|{-n`cos`x}`dx ={n`sin`x}02"+{-n`sin`x} 2"|=2n 따라서 n=1?10 an@=?10 n=14n@ =4\ 10\11\216 =1540 18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0@x@+2x+2x+1 `dx=/0@[x+1+ 1x+1 ]`dx ={ 1 2x@+x+ln`|x+1|}0@ =4+ln`3 19 점 P의 좌표를 {x, 0}이라고 R P Q H 2`sin`x 2j2`sin`x j2`sin`x 하면 PQZ=QRZ=2`sin`x이므 로 PRZ=2j2k`sin`x` 변 PR와 사분원이 접하는 점 을 H라고 하면 QHZ=PHZ= 12 PRZ =j2k`sin`x` 단면의 넓이는 12{2`sin`x}@-p 4{j2k`sin`x}@ =[2- p2 ]`sin@`x 따라서 구하는 입체도형의 부피는 [2- p2 ]/0|sin@`x`dx =[2- p2 ]/0|1-cos`2x2 `dx =[2- p2 ]{12x-sin`2x4 }0|=p- p4@ 20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1@r[ cos`t

t@+t]@+y[ sin`tt@+t]@y`dt =/1@[ 1 t- 1t+1 ]`dt={ln`| tt+1 |}1@=ln` 43 따라서 ln` 43=ln`a이므로 a= 43 21 점 P의 속력은 r[ dxdt ]@+y[ dydt ]@y` =1a@{1-cos`t}@3+a@`sin@`t3 =1a@{2-23`cos`t}3 이때 점 P의 속력은 t=p에서 최대이고 최댓값은 2a 이므로 k=p, a=3 따라서 점 P가 움직인 거리는 /0|19{2-23`cos`t}3`dt =/0|r18-1-[cos@` t 2-sin@` t2 ]=y`dt =/0|r36`sin@` t 2y`dt=/0|6`sin` t2`dt ={-12`cos` t2}0|=12 22 dy dx=x1x@+23이므로 곡선의 길이는 /-1@41+{x1x@6+23}@6`dx=/-1@`{x@+1}`dx ={13x#+x}-1@ =6 23 r[ dxdt ]@+y[ dy dt ]@y` =19-2k{sin`t+sin`2t}0@+392k{cos`t+cos`2t}0@3 =2k12+2{sin`t`sin`2t3+cos`t`cos`2t}3 =2kj2+2`cos`tl =2kr2-1+[cos@` t 2-sin@` t2 ]=y =2kr4`cos@` t 2y =4k|cos` t2 | yy ① 따라서 t=0에서 t=p까지의 곡선의 길이를 ①을 이 용하여 구하면 4k/0||cos` t 2 |`dt=4k/0|cos` t2`dt =8k{sin` t2}0|=8k 즉, 8k=16에서 k=2이므로 이를 ①에 대입하면 r[ dxdt ]@+y[ dydt ]@y`=8|cos` t2 | 따라서 t=0에서 t=3p까지의 곡선의 길이는 8/0#||cos` t2 |`dt =8/0|cos` t2`dt+8/\#|[-cos` t2 ]`dt =8{2`sin` t2}0|+8{-2`sin` t2}\#|=48

참조

관련 문서

조합공동사업법인의 업무용 건축물의

답지

http://zuaki.tistory.com

http://hjini.tistory.com 답지

http://hjini.tistory.com 답지

답지

지극히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정답) CTQ(Critical To Quality) 9. 의심이 되는 문제의 원인을 나열 나. 하나의 Unit에 존재하는 모든 Defect의 수는?

경고 어떤 비활성화 절차를 사용하더라도 모든 고전압 구성 요소는 항상 통전 중인 상태라고 생각하십시오.. 고전압 부품을 절단하거나 찌그려뜨리거나 만지면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