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광고등학교 - 국어 3학년 국어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대광고등학교 - 국어 3학년 국어사"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국어사

1. 국어사의 시대 구분

고대국어

(~10세기)

중세국어

(10~16세기)

근대국어

(17~19세기)

현대국어

(20세기~) 고려 건국 (918) 갑오개혁 (1894) 임진왜란 (16세기 말)

2. 고대 국어

우리말의 표기 방법

❍ 구결(口訣) : 한문 문장을 읽을 때 의미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각 구절 아래에 달아 쓰던 문법 요소. 현재도 씀. 有朋(이) 自遠方來(면) 不亦說乎(아) ❍ 이두(吏讀) : 한자의 음 또는 뜻을 빌려 우리말을 적은 표기법으로 공문서에 씀. ❍ 향찰(鄕札) : 한자의 음 또는 뜻을 빌려 국어 문장 전체를 적은 표기법으로 운문에 씀.  善化公主主隱 : 착할 선, 화할 화, 드러날 공, 님 주, 님 주, 숨을 은 → ‘선화공주님은’

3. 중세 국어

가. 훈민정음 제자 원리 1) 상형(象形)의 원리 :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것(기본자). ‘ㄱ (어금닛소리-연구개 음), ㄴ (혀끝소리-치조음), ㅁ (입술소리-양순음), ㅅ (잇소리-치조음), ㅇ (목구멍소리-후음), ㆍㅡ ㅣ(우주의 기본 요소인 天 地 人을 상형한 것을 기본으로 삼음)’이 있다. 2) 가획(加劃)의 원리 : 기본자에 획을 더해 만든 것(자음). ‘ㅋ, ㄷ, ㅌ, ㅂ, ㅈ, ㅊ, ㆆ, ㅎ’ 이 있다. 3) 합용(合用)의 원리 : 글자와 글자를 더해서 만든 것(자음의 각자 병서(ㄲ, ㄸ, ㅃ), 합용 병서(ㅦ, ㅪ, ㅲ, ㅴ), 순경음(ㅸ), 모음의 초출자(ㅏ, ㅓ, ㅗ, ㅜ), 재출자( ㅑ, ㅕ, ㅛ, ㅠ) 나. 초성 : 기본 자모 17자(현대국어 초성-14개, 3개-ㆆ(여린 히읗), ㆁ(옛이응), ㅿ(반치음)) 4) 기본자 : ㄱ ㄴ ㅁ ㅅ ㅇ 5) 가획자 :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ㆆ(여린 히읗) ㅎ 6) 이체자 : 글자의 제작 방식이 기본자나 가획자와 다른 것으로 ㆁ(옛이응) ㄹ(반설음) ㅿ (반치음)이 있다. 명칭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 아음(牙音)-연구개음 ㄱ ㅋ ㆁ(옛이응) 설음(舌音)-치조음 ㄴ ㄷ ㅌ ㄹ(반설음) 순음(脣音)-양순음 ㅁ ㅂ ㅍ 치음(齒音)-치조음 ㅅ ㅈ ㅊ ㅿ(반치음) 후음(喉音) ㅇ ㆆ(여린 히읗) ㅎ (교재 198쪽 참조)

(2)

<초성 17자 및 전탁 6자> 소리의 성질 소리의 위치 예사소리 전 청 ( 全 淸) 거센소리 차청(次淸) 울림소리 불청불탁(不凊不濁) 된소리 전탁(全濁) 아음(牙音)-연구개음 ㄱ ㅋ ㆁ ㄲ 설음(舌音)-치조음 ㄷ ㅌ ㄴ ㄸ 순음(脣音)-양순음 ㅂ ㅍ ㅁ ㅃ 치음(齒音)-치조음 ㅅ, ㅈ ㅊ ㅆ, ㅉ 후음(喉音) ㆆ ㅎ ㅇ ㆅ 반설음(半舌音)-치조음 ㄹ 반치음(半齒音)-치조음 ㅿ 7) 현대는 사용하지 않는 자모(한 개의 음절을 자음과 모음으로 갈라서 적을 수 있는 낱 낱의 글자) 가) ㆁ(옛이응) : 현대 국어 종성자음 표기와 같이 음운 구실을 함. 16세기 말엽 소멸. 근대국어 때 ‘ㅇ’으로 표기가 통합됨 나) ㅿ(반치음) : (1) [z]으로 발음됨. ‘ㅅ’에 대립하는 유성마찰음으로 울림소리 사이에 쓰임 예) 한 (2) 종성의 ‘ㅅ’이 모음어미 또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 쓰임 예) 짓+어→지, 즛+이→즈 (3) 고유어와 한자어의 합성명사에서 사잇소리로 쓰임. 예) 눈+물→물, 天子ㅿ (4) 15세기 말~16세기까지 소멸됨. 다) ㆆ(여린 히읗) : 15세기 중엽 소멸 (1) 한자어 (가) 초성 표기에 주로 쓰이고 예) 音 (나) 종성에서 이영보래(ㆆ(여린 히읗)으로 ㄹ의 소리를 입성(빨리 끝마치게 발음) 으로 발음하여 ㄷ에 근접하게 발음)의 표기를 위해 사용됨. 예) 不 (붇과 비 슷한 소리) (다) 사잇소리 역할 표기 예)先考션공ㆆ (2) 고유어 표기 : (가) 사잇소리 역할 표기. 예) 하  (나) 관형사형 ‘–ㄹ’ 뒤에 오는 예사소리를 된소리로 발음하게 하는 기능 예)  배 라) ㅸ(순경음 비읍) : 15세기 중엽 소멸. ‘ㅂ’과 대립되는 유성 양순 마찰음으로 울림소리 사이에 씀 (1) ㅸ이 사라지면서 ‘ㅂ’의 음가가 남은 경우 예) 대(대+범)>대범 (2) ㅸ이 사라지면서 ‘ㅂ’의 음가가 남지 않은 경우 예) 갓가(갓갑+이)>가까이 (3) ㅸ이 사라지면서 ‘오/우’로 바뀐 경우 예) 더(덥+의)>더위 마) ㆅ(쌍히읗) : 15세기 중엽~17세기 초엽 소멸. ‘ㅎ’의 된소리로 고유어에서는 ‘ㅕ’의 초성으로만 쓰였고 현대에는 ‘ㅋ, ㅆ, ㅎ’으로 바뀜 예) 도다[돌이키다], 믈[썰물] 바) ㆀ(쌍이응) : 15세기 중엽 소멸. ‘ㅇ’의 된소리가 아니라 긴장된 ‘ㅇ’음을 나타냄. ‘ㅣ’나 반모음 ‘j’ 앞에서만 씀. 주로 피동, 사동문에 쓰임 예) 괴[사랑받아], 믜[미음받음(피동)], [사(使)]

(3)

8) 어두(語頭) 자음군이 존재함.  , ,  9) 된소리 계열의 등장 10) 파찰음‘ ㅈ, ㅊ’이 구개음이 아닌 치(조)음으로 발음됨 나. 중성 : 11자모(현대국어 10자모) 1) 기본자 : ㆍㅡ ㅣ(우주의 기본 요소인 天 地 人을 상형한 것을 기본으로 삼음)(당시 단모음) 2) 초출자 : ㅗ ㅏ ㅜ ㅓ(당시 단모음) 3) 재출자 : ㅛ ㅑ ㅠ ㅕ(당시는 이중 모음) 양성 모음 음성 모음 중성 모음 기본자(基本字) ㆍ(천) ㅡ(지) ㅣ(인) 초출자(初出字) ㅗ ㅏ ㅜ ㅓ 재출자(再出字) ㅛ ㅑ ㅠ ㅕ 4) 전기 중세 국어(7) 모음 체계 : 고려(단모음 체계) ㅣ ㅜ ㅗ ㅓ ㅡ ㆍ ㅏ 5) 후기 중세 국어(7) 모음 체계 : 조선~임란 전 ㅣ ㅡ ㅜ ㅓ ㅗ ㅏ ㆍ 6) 모음조화(양성은 양성 모음끼리 음성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림)가 잘 지켜짐 양성 모음 음성 모음 중성 모음 ㆍ ㅏ ㅗ ㅑ ㅛ ㅡ ㅓ ㅜ ㅕ ㅠ ㅣ 모음조화에 따른 조사와 어미의 결합(예 잡곡 , /사과 , /국 은, 을/ 무 는,를) 다. 종성 : 1)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종성의 자모는 따로 만들지 아니 하고 초성 자모로 다시 쓴다)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예) 곶 됴코, 깊고 2) 8종성법(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 해례편 종성해에서 8자모로도 표기 가능함(용비어 천가와 월인천강지곡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중세국어 문헌).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음 적 표기임 예) 놉고(높고) 참고)7종성만으로 표기함(8종성에서 ㄷ은 제외됨. ㅅ은 표기됨.)(근대국어).(=외래어 표기법) (현대국어 음절끝소리규칙은 음운면에서 7개 대표음 발음됨. ㄷ은 발음됨) 라. 여러 가지 표기법 1) 종성부용초성 2) 8종성법 3) 이어적기(連綴) :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어미 가 붙을 때 조사와 어미의 초성에 이어 적기 예) 매(+애) 4) 끊어적기(分綴) : 월인천강지곡에서 ‘ㄴ ㄹ ㅁ ㅇ’ 등의 받침소리 뒤에 한해 끊어적기 함. 글자의 형태를 밝혀 적는 방법임.(어원을 밝혀 표기) 예) 눈에, 일

(4)

5) 글자의 운용 가) 연서(連書) : ㅸㅹ 나) 병서(竝書) : 각자 병서 ㄲ ㄸ, 합용병서 ㅻ, ㅼ 다) 부서(附書) : 초성과 종성의 결합할 때 붙여 쓰는 위치. ‘ㆍ,ㅡ, ㅗ, ㅜ, ㅛ, ㅠ’는 초성 아래에 붙여 쓰고 ‘ㆎ, ㅏ, ㅓ, ㅑ, ㅕ’는 초성 오른쪽에 붙여 쓴다. 라) 방점(傍點) : 음절 왼쪽에 찍어 성조(높낮이) 표시함. 평성(방점 없음, 낮은 소리), 거성(방점 1, 가장 높은 소리), 상성(방점 2, 처음 낮았다가 나중에 높아지는 소리), 입성(방점 0~2, 끝소리가 ‘ㄱ, ㄷ(ㅅ), ㅂ’으로 빨리 끝나는 소리) 예) ㆍ잣→성(城) :잣→잣나무(海松) (근대 이후는 소리의 길이로 바뀜. 밤(夜)-밤:(栗) 발(足)-발:(簾)) 6) 띄어쓰기를 하지 않음.  사마다수니겨 7) 모음 교체와 ‘ㅣ’모음 순행동화의 반영 가) 모음 교체 표기의 반영 : 단모음 ‘ㅣ’ 뒤에 다른 단모음이 오면 교체되어 ‘ㅣ’상향이 중모음으로 교체되어 표기에 반영 예) 뫼시+어→뫼셔, 리+옴→룜 나) ‘ㅣ’하향 이중모음 뒤에 다른 단모음이 오면 그 단모음에 반모음‘j’가 첨가되어 ‘ㅣ’ 상향이중모음으로 바꾸어 적음 예) 외+오+니→외요니 참고) 상향 이중 모음 : 반모음이 단모음보다 앞에 오는 모음으로 ㅑㅕ ㅛ ㅠ ㅒㅖ ㅘ ㅙ ㅝ ㅞ 하향 이중 모음 : 반모음이 단모음보다 뒤에 오는 모음으로 ㅚ ㅟ(현대 단모음) 마. 사잇소리 1) 조건과 기능 : 합성 명사의 체언과 체언 사이에 위치하며 앞 체언이 울림소리로 끝날 때 (관형격 조사의 역할을 함) 2) 형태 : 성종 때부터 ‘ㅅ’으로 통일되어 현대국어에서도 ‘ㅅ’임 가) 고유어 앞 체언의 끝소리 사잇소리 뒤 체언의 첫소리 울림소리 ㅅ 안울림소리 울림소리 ㅿ 울림소리 예) 엄+소리→엄쏘리, 눈+물→눈ㅿ물, 특수한 예로 ‘ㆆ’이 쓰인 하ㆆ  나) 한자어 앞말의 끝소리 사잇소리 뒷말의 첫소리 울림소리-불청불 탁(不淸不濁) ㆁ(옛이응) 예사소리-전청( 全淸) ㄱ 안울림소리 ㄴ ㄷ 안울림소리 ㅁ ㅂ 안울림소리 ㅱ ㅸ 안울림소리 ㅇ ㆆ 안울림소리 울림소리 ㅿ 울림소리 예) 洪ㄱ字, 天子ㅿ음

(5)

바. 조사 1) 주격조사 : 중세국어 ‘이’형태로만 씀. (근대국어 이후 ‘가’형태가 나타남) 높임의 주격 조사는 ‘셔’가 쓰임 환경 형태 예 자음 뒤 이 님그미(←님금+이) ‘ㅣ’ 모음 제외한 모음 뒤 ㅣ 공(←공+ㅣ), 부톄(←부텨+ㅣ) ‘ㅣ’ 모음, 반모음 ‘j’ 뒤 ∅(생략) 불휘 기픈(←뿌리가 깊은) 2) 서술격 조사 : 어간+‘-이라’형태[현대국어 서술격 조사는 ‘-이다’] 환경 형태 예 자음 뒤 이라 樓는 다라기라(←다락+이라) ‘ㅣ’ 모음 제외한 모음 뒤 ㅣ라 공라(←공+ㅣ라), 부톄라(←부텨+ㅣ라) ‘ㅣ’ 모음, 반모음 ‘j’ 뒤 ∅라 齒 니라(←니+라), 불휘라 3) 목적격 조사 : 가) 자음으로 끝난 음절 뒤 : ‘(양성모음 뒤), 을(음성모음 뒤)’ 예)바(←바+), 밥, 들(←+을) 나) 모음으로 끝난 음절 뒤 : ‘(양성모음 뒤), 를(음성모음 뒤), ㄹ’ 예) 역도, 부서 를, 머릴 4) 관형격 조사 : 가) 유정명사 뒤 ‘, 의’ 예) 도입(←도++입), 겨지븨香(←겨집+의+香) 나) 무정명사, 존경의 대상 뒤 ‘ㅅ’ 예)하별(←하+ㅅ+별), 기왕ㅅ집(←岐王+ㅅ+집) 다) 울림소리+울림소리 ㅿ 예) 임말(임금+ㅿ+말) 5) 대조 보조사 가) 자음으로 끝난 음절 뒤 : ‘, 은’ 예) 사(←사+), 믄(←+은) 나) 모음으로 끝난 음절 뒤 : ‘, 는’ 예) 사(←사+), 무지게는(←무지게+는 6) 처소 부사격 조사 가) 양성 모음 뒤 : ‘애’ 예) 해(←ㅎ+애) 나) 음성 모음 뒤 : ‘에’ 예) 누네(←눈+에) 다) ‘ㅣ’모음 뒤 : ‘예’ 예) 다리예(←다리+예) 7) 동반, 비교, 접속 조사 가) ‘ㄹ’이 아닌 자음 뒤 : ‘과’ 예) 입과(←입+과) 나) ‘ㄹ’음 뒤, 또는 모음 뒤 : ‘와’(모음 또는 ‘ㄹ’ 뒤에서는 ‘ㄱ’이 탈락. 예) 달와, 와 8) 높임의 호격 조사 : ‘하’ 예) 님금하 9) 의문형 보조사 : ‘가’ (‘어/-아’, ‘-오’형)의 존재. 체언 뒤에 의문 보조사가 결합하여 의문문을 만듦. 예) 이 리 너희 죵가 10) 곡용(체언의 형태 변화) 가) 명사의 끝음절 모음이 탈락하고 ‘ㄱ’이 덧생긴다. 예) 나, 나모 → 나ㅁ ㄱ(木) 나) 조사 ‘와’와 결합할 때는 단독형으로 쓰인다. 단독형 주격(이) 목적격(/ 을) 처소부사격 (/의) 대 조 (  / 은) 서술격조사 (이라) 공동격, 비 교격(와) 나모(木) 남기 남 남 남 남기라 나모와

(6)

11) 체언의 형태 변화 ‘ㅎ탈락’ 내ㅎ(川). 냇믈(내ㅎ+ㅅ+믈). 내히(내ㅎ+이) 모음 ‘ㆍ’의 탈락 아(弟). (아+) 모음 ‘ㅣ’의 탈락 늘그니(老人). 늘그늬(늘그니+의). 늘그니도(늘그니+도) 아. 어미 12) 주체 높임 선어말어미 : 가) 자음 어미 앞 : ‘-(으)시-’ 예) 가시고 나) 모음 어미 앞 : ‘-(으)샤’ 예) 定샨(←定+샤+오+ㄴ에서 ‘오’탈락) 13) 상대 높임 선어말어미 가) 평서형 : ‘--’ 예) 다(←+++다) 나) 의문형 : ‘--’ 예) 미드니가(←믿+으니++가) 14) 객체 높임 선어말어미 가) 형태 어간의 끝 형태 예 ㄱ, ㅂ, ㅅ, ㅎ --+자음(--+모음 환경) 막거늘 빗더니(돕니) ㄷ, ㅈ, ㅊ --+자음(--+모음 환경) 듣고(듣니), 맞더니 울림 소리(모음, ㄴㅁㄹ) --+자음(--+모음 환경) 보고, 안고(안니) 나) 형태의 바뀜 : ‘ㅂ’불규칙활용과 같은 방식으로 형태가 바뀐다. 예) 돕니(←돕+ +니. 돕사오니), 얻(←얻++아. 얻자와) 15) 평서형 종결어미 : ‘-다, -라’ 예) 닐굽  너무 오라다(오래다). 몸과 괘 便安리라. 16) 의문형 보조사(체언+보조사)와 종결어미 : 가) 주어가 1,3인칭인 경우 (1) 판정 의문문에서는 ‘-어/아’계통의 어미 예) 이 리 너희 죵가. 즈믈 아가. (2) 설명 의문문에서는 ‘-오’계통 어미 예) 엇던 젼로 그러뇨. 이제 엇던고 나) 주어가 2인칭인 경우는 ‘-ㄴ다’ 판정과 설명 의문문 구분이 없다. 예) 네 덴 엇데 너기다.(네 뜻에 어찌 여기느냐?) 17) 명령형 종결어미 가) 라체(아주 낮춤) : ‘-라’ 예) 첫소리 어울워 디면 쓰라. 나) 쇼셔체(아주 높임) : ‘-쇼셔’ 예) 님금하 아쇼셔. 절시고 안쇼셔. 18) 청유형 종결어미 가) 라체(아주 낮춤) : ‘-져’ 예) 後에 出家져 나) 쇼셔체(아주 높임) : ‘-사이다’ 예) 淨土에  가 나사이다. 19) 감탄형 종결어미 : ‘-ㄹ셔, -ㄴ뎌’ 예) 내 아리 어딜쎠.(어질구나) 六組ㅅ큰오 들 보디 몯뎌(육조의 크고 온전한 뜻을 보지 못하는구나). 20) 경계형 종결어미 : ‘-ㄹ셰라’ 예) 내 가논   갈셰라(남이 갈까 두렵다). 21) 전성어미 가) 명사형 전성어미 : ‘-옴/-움’(‘-기’는 근대국어에 나타난다) 예) 마곰(←막+옴), 머굼 (←먹+움) 참고)명사형 어미(‘-옴/움’ 현대국어와 다른 점)와 명사 파생 접사(‘-(으) ㅁ’ 현대국어와 같음)의 구분 예)蓮ㅅ고지 고로셔 여름 여루미 (연꽃이 꽃 으로써 열매 여는 것 같아서) 나) 관형사형 어미 : ‘-ㄴ-’ 동사 현재시제는 (←‘--’+‘-ㄴ’. ‘--’가 현재 시제 선

(7)

어말어미이므로 ‘는’은 있을 수 없다.) 형용사에서는 ‘-ㄴ-’만으로 현재시제를 나타낸다. 자. 시제 서술어 과거 현재 미래 동사 엇, 더, ∅(‘-았/었-’없고 문맥으로 파악)  리(ㄹ) 형용사, 서술격조사 더 ∅(기본형으로 현재 시제를 나타내니 문맥으로 파악함) 예) 前賢을 조차 더시니다.(동사 과거) 므스그라 오시니고(동사 과거 ∅). 네 덴 엇데 너기다.(동사 현재). 내 오늘 실로 무정호라(형용사 ∅ 현재) 내 혜리러라(미래) 사. 기타 문법적 특징 1) 다양한 비통사적 합성어 존재 예) 죽살다(죽다+살다). 빌먹다(빌다+먹다) 2) 용언 어간의 부사 파생 예) 바다(바르다)-바(바르게). 하다-하(많이) 3) 관형사형 어미(‘-ㄴ, ㄹ’)의 명사적 용법(‘~은(을) 것’ 혹은 ‘~함’의 뜻으로 쓰임) 예) 덕 이여 복이여 호(+오+ㄴ+) 나라 오소다(덕이여 복이라 하는 것을 바치러 왔 습니다. 4) 선어말 어미 ‘-오-’ : 현대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특정한 성분과의 관계(인 칭, 대상의 활용)를 나타낸다. 예외가 많았다. 가) 인칭의 활용 : 문장의 주어가 화자 자신을 나타내는 경우에 쓰임 예) 내 이제 분명 히 너려 닐오리라(닐+-오-+-리-+라)(내가 이제 분명하게 너에게 말하리라. 가) 대상의 활용 : 관형사형 어미에 수식받는 말이 안긴 문장의 목적어 역할을 할 때 선 어말어미 ‘-오-’가 온다. 예) 얻논(얻+오+ㄴ) 약이 므스것고(얻은 약이 무엇인 가?) 관형사형 어미 ‘-ㄴ’에 의해 수식받는 말 ‘약’은 안긴 문장인 ‘약을 얻다’에서 목적어 역할을 할 때 관형사형 어미 앞에 선어말어미 ‘-오-’가 온다. 4.

근대국어

아. 음운 현상 1) 근대국어 음운 현상 : 된소리화, 7종성법(표기면), 모음조화의 파괴, 원순모음화, 전설 모음화, 구개음화, ‘ㅣ’모음 역행동화, 소리의 장단. 참고) 중세국어 음운 현상 : 8종성법(표기면), 어두자음군([米], 다), 성조 가) ‘ㅿ, ㆁ’의 소실됨. ‘ㆁ’의 글꼴이 ‘ㅇ’으로 변함. 음가로서 기능은 종성에서만 함. 나) ‘ㅄ계, ㅂ계’ 같은 어두 자음군이 ㅅ계 된소리로 바뀜.   >  > 때,  >  > 뜯 다) 거센소리화, 된소리화가 나타남. 예) 고키리>코키리(코끼리). 곳>(꽃) 라) 두음법칙 : 어두의 ‘ㄴ’이 모음‘ㅣ’ 나 반모음‘j’ 앞에서 탈락되기 시작함.  님금 > 임금 마) 원순모음화 : ㅁ, ㅂ, ㅍ(순음)+‘ㅡ’→‘ㅜ’(원순모음) 18세기 이후 발음의 간편화 로 ‘ㅡ’가 순음 아래에서 ‘ㅜ’(원순모음)로 바뀌는 현상. 예) 블>불, 플>풀 바) 전설모음화 : ㅅ, ㅈ, ㅊ(치음 아래)+‘ㅡ’(후설모음)→‘ㅣ’(전설모음) 예) 즛>짓(모습), 슳다>싫다, 어즈러이>어지러이 사) ‘ㅈ, ㅊ’이 치음에서 구개음으로 변화됨(구개음화)

(8)

아) 구개음화 : 구개음이 아닌 ‘ㄷ, ㅌ’이 ‘ㅣ’모음이나 반모음 ‘j’를 만나서 구개음인 ‘ㅈ, ㅊ’으로 바뀌는 현상 예) 디다>지다. 부텨>부쳐>부처. 둏다>죻다>좋다 참고) 현대국어 구개음화 :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의 경계에서 일어나고 표기 미반영 근대국어 구개음화 : 경계와 관련 없음. ‘ㄷ,ㅌ,ㄸ’이 ‘ㅣ’와 만나면 발생, 표기도 반영함 자) ‘ㆍ’(아래아)의 소실로 모음조화의 파괴 ※ ‘ㆍ’의 소실 (1) 1단계 음가 소실 (16세기) : 둘째 음절 이하에서 ‘ㅡ’로 변함. (2) 2단계 음가 소실 (18세기) : 첫째 음절에서 ‘ㅏ’로 변함.   → 마을,   → 마음 (3) 글자의 소실 : 음가의 소실 이후에도 글자는 사용되기도 하다가 1933년 한 글맞춤법통일안 제정 때 글자가 폐지됨. 16세기 말 ‘ㆍ’의 1차 소실 때(근대국어)부터 모음조화가 문란해짐. 예) >>음(16세기 말)>마음(18세기) 차) 이화(異化) : 한 낱말 안에서 같거나 비슷한 음운을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현상 예) 붚>북(순음>연구개음), 서르>서로(음성>양성) 카) 강화(强化) : 청각적인 인상을 분명하게 나타내려고 하는 현상 (1) 거센소리되기 : 고>코, 갈>칼 (2) 모음 강화 : 펴어>펴아 타) ‘ㅣ’모음 동화 (1) 순행동화 : 외+아=외야, 혜+우+ㅁ=혜윰 (2) 역행동화 : 져비>졔비, 겨집>계집 파) 유음화 : ㄷ → ㄹ (1) 뎨[次第] →례, 도댱[道場] →도량[절] (2) ‘ㅣ’모음 아래에서 예) 우레더니→우레러니, 소리도다→소리로다 하) 단모음화 : 19세기 어휘(근대국어)에서 나타남 ‘ㅅ, ㅈ, ㅊ’아래+이중모음‘ㅑ, ㅕ, ㅛ, ㅠ’>단모음‘ㅏ, ㅓ, ㅗ, ㅜ’ 예) 셤>섬, 졉동새>접동새 거) 소리의 장단(장음-상성, 그 외는 단음) 너) 모음체계(8) : 임란~1894(갑오개혁) 이중모음이던 ‘ㅔ , ㅐ’가 단모음으로 변화됨 ㅣ ㅡ ㅜ ㅔ ㅓ ㅗ ㅐ ㅏ 자. 표기 1) 종성 표기(7종성법) : 종성의 ‘ㄷ’과 ‘ㅅ’의 구별이 어려워지면서 ‘ㄷ’을 ‘ㅅ’으로 적는 경향이 나타남. 7종성만으로 표기함(8종성법에서 ㄷ은 제외됨)(ㄱ ㄴ ㄹ ㅁ ㅂ ㅅ ㅇ)  밋어(믿어:발음은 ‘ㄷ’으로 나는데 표기는 ‘ㅅ’으로 됨) 2) 거듭 적기 : 이어 적기에서 끊어 적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표기가 나타남.  니믈 / 님믈 / 님을

(9)

차. 근대국어의 문법적 특징 1) 복잡한 체계의 단순화 가) 곡용체언(조사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형태가 변함)이 사라지고 체언의 형태가 고정나) 모음 조화에 따라 조사와 어미의 결합이 사라짐(, , , , 로, >은, 는, 을, 를, 으로, 의 다) 명사형 전성어미 ‘-옴/움’와 명사 파생 접사 ‘-ㅁ’의 형태가 통합되어 ‘-(으)ㅁ’의 형태로만 나타남 2) 사라진 문법적 특징 가) 비통사적 합성어가 줄어 듦 나) 용언 어간의 부사 파생, 관형사형 어미의 명사적 용법 사라짐 다) 선어말 어미 ‘-오-’ 라) 높임의 호격 조사 ‘하’ 마) 의문문 보조사와 판정 의문문, 설명 의문문의 어미 차이 ‘-아/어’, ‘-오’ 바) 2인칭 주어에 나타나는 의문형 어미 ‘-ㄴ다’ 3) 새로운 문법적 특징 가) 중세국어에서 상대적으로 쓰임이 적었던 명사형 어미 ‘-기’ 사용이 늘고, ‘-(으)ㅁ’ 의 사용이 줄어듦 예) 장 보기 됴니라. 나) 주격 조사 ‘가’가 본격적으로 쓰임. 종성이 있으면 ‘이’, 중성으로 끝나면 ‘가’ 다) 시제 (1) 과거시제 ‘-앗/엇’의 등장. ‘하다’와 연결할 때는 ‘-엇-’이 ‘-엿-’으로 나타남 예) 널로 壯元의 娘子 삼앗도다. 七十歲 녜로 드믈다 엿니 (2) 현재시제 ‘(동사만)는/ㄴ’사용. (형용사는 선어말 어미 없이 그대로 실현됨)(중세 국어에서는 동사에만 ‘--’씀) (3) 미래시제 ‘-겟’이 등장하여 중세국어의 ‘-리’를 대신하여 쓰임 예) 요란니 못 겟다 시고 라) 객체높임의 선어말어미 ‘-, , -’이 상대높임으로 기능이 바뀜 마) 불규칙 활용 : ‘ㅿ’이 소실되면서 ‘ㅅ’불규칙 활용으로 변함.  지 > 지어 (짓-+ 어)

(10)

4. 모음체계의 변화 가. 전기 중세 국어(7) : 고려 ㅣ ㅜ ㅗ ㅓ ㅡ ㆍ ㅏ 나. 후기 중세 국어(7) : 조선~임란 전 ㅣ ㅡ ㅜ ㅓ ㅗ ㅏ ㆍ 다. 근대 국어(8) : 임란~1894(갑오개혁) ㅣ ㅡ ㅜ ㅔ ㅓ ㅗ ㅐ ㅏ 라. 현대 국어(10) : 갑오개혁 이후 ㅣ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참조

관련 문서

이 글에서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귀화 식물에는 어떠한 것이 있 으며, 귀화 식물이 어떠헥 우리 땅에 들어와 살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설명문에서 다양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여 대 상을 설명하는 까닭은 독자가 설명 대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인용, 유명인의 말을

빠른 과학기술의 변화와 발전을 빠르게 과학교육 현장에 도입하고

3학년 때 동물에 대 하여 특징을 구체적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이 특징을 이용하여 동물 관련 보드게임을 간단하게 제작해봄으로써

이번 대회를 통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은 어떤 놀이를 좋아하는지, 어떤 놀이를 재밌어 하는 지 알고자 합니다...

과학 창체 국어 학습활동 가위바위보 게임을 통해 핵융합원리 알아보기.. 마무리 고마운

표제어의 표기 문제와 함께 발음 문제도 새로운 사전에서는 적절하게 제시 되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발음 문제가 이렇게 간단한 것은 아니다. 가장 시급한 것은

학생들이 가방을 들고 학교에 간다... 그는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