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우석대학교 에너지전기공학과"

Copied!
3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공학수학 (29)

우석대학교 전기에너지공학과

이우금 교수

(2)

기말시험 총정리

7. 벡터 7-1-2. 단위벡터와 기본벡터  단위벡터 (unit vector)  크기가 1인 벡터  벡터 𝐴 와 방향이 같고 크기가 1인 벡터를 𝑎 라 하면, 𝐴 = 𝐴𝑎  크기가 1이고 방향이 같은 벡터를 단위벡터 𝑎  기본벡터 (fundamental vector)  특히 좌표 계에서 𝑥, 𝑦, 𝑧 각 축의 양의 방향으로 크기가 1인 단위벡터  𝑖, 𝑗, 𝑘 (또는 𝑎𝑥, 𝑎𝑦, 𝑎𝑧 )로 표시하며,  서로의 각도가 90𝑜 의 관계를 이루고 있음.

(3)

7-1-3 벡터의 성분  직교 좌표 계  위치벡터 𝐴 의 𝑥, 𝑦 축 방향성분이 각각 𝐴𝑥, 𝐴𝑦 이면 𝐴 = 𝐴𝑥𝑖 + 𝐴𝑦𝑗 로 표시하고, 𝐴 의 크기는 𝐴 = 𝐴𝑥2 + 𝐴𝑦2  벡터 𝐴 의 단위 벡터 𝑎 는? 𝑎 = 𝐴 𝐴 = 𝐴𝑥𝑖+𝐴𝑦𝑗 𝐴 = 𝐴𝑥 𝐴 𝑖 + 𝐴𝑦 𝐴 j 𝑖 𝑗 𝑦 𝑥

𝐴 (𝐴

𝑥

,

𝐴

𝑦

)

𝐴

𝑥

𝐴

𝑦

𝒂

0

(4)

 벡터 𝐴 가 각 축 𝑥, y 와 이루는 각을 α, β 라고 하면, cos α = 𝐴𝑥 𝐴 , cos β = 𝐴𝑦 𝐴  벡터 𝐴 의 단위 벡터 𝑎 = 𝐴 𝐴 = 𝐴𝑥𝑖+𝐴𝐴 𝑦𝑗 = 𝐴𝑥 𝐴 𝑖 + 𝐴𝑦 𝐴 j 𝑎 = (cos α) 𝑖 + (cos β) 𝑗 𝑎 = (cos α)2+(cos β)2= 1 그러므로, cos2α + cos2β = 1 𝑖 𝑗 𝑦 𝑥

α

β

𝐴

𝐴

𝑥

𝐴

𝑦 0

(5)

7-3-1. 스칼라적 (scalar product)  스칼라적 (or 내적)의 정의 - 두 벡터 A와 B의 스칼라적은 𝐴 ㆍ𝐵 로 표기하며, 𝐴 ㆍ𝐵 = 𝐴𝐵 cos θ 로 주어지는 스칼라 량. ※ θ는 두 벡터 A와 B의 사이각  스칼라적의 의미 - 벡터 𝐴 의 벡터 𝐵방향 성분 또는 벡터 𝐵의 벡터 𝐴 방향 성분 - 그러므로 스칼라적은 교환법칙이 성립함: 𝐴 ㆍ𝐵 = 𝐵ㆍ𝐴 7-3 벡터의 곱

𝐴

𝐵

𝑂 θ 𝐵 cos θ

𝐴

𝐵

𝑂 θ 𝐴 cos θ

(6)

예제) 두 벡터 𝐴 = 2𝑖 + 𝑗 + 2𝑘 와 𝐵 = 4𝑖 − 2𝑗 + 𝑘 에서 두 벡터의 내적과 사이각을 구하라.  두 벡터의 스칼라적 𝐴 ㆍ𝐵 = 2 × 4 + 1 × −2 + 2 × 1 = 8  두 벡터의 사이각 𝐴 ㆍ𝐵 = 𝐴𝐵 cos θ, 𝐴 = 22+ 12+ 22 = 3, 𝐵 = 42+ (−2)2+12 = 21 cos θ =𝐴 ㆍ𝐴𝐵𝐵 = 3 218

(7)

7-3-2. θ 에 따른 스칼라적의 변화  𝐴 와 𝐵 가 평행 (즉, θ = 0°) 일 때: 𝐴 ㆍ𝐵 = 𝐴𝐵  𝐴 와 𝐵 가 직각 (즉, θ = 90°) 일 때: 𝐴 ㆍ𝐵 = 0  이것을 기본벡터에 적용하면, 𝑖 ㆍ𝑖 = 𝑗 ㆍ𝑗 = 𝑘ㆍ𝑘 = 1 𝑖 ㆍ𝑗 = 𝑗 ㆍ𝑘 = 𝑘ㆍ𝑖 = 0  벡터의 성분을 이용하여 두 벡터 𝐴 , 𝐵의 스칼라적을 구하면, 𝐴 ㆍ𝐵 = (𝐴𝑥𝑖 + 𝐴𝑦𝑗 + 𝐴𝑧𝑘)ㆍ(𝐵𝑥𝑖 + 𝐵𝑦𝑗 + 𝐵𝑧𝑘) = 𝐴𝑥𝐵𝑥 + 𝐴𝑦𝐵𝑦 + 𝐴𝑧𝐵𝑧

(8)

7-3-3. 스칼라적의 응용  스칼라적은 물리적 현상에서 변위방향의 유효성분을 나타내는데 응용됨. - 오른쪽 그림에서 지점 0에 위치한 물체에 일정한 힘 𝐹 가 작용하여 ℓ만큼 이동하는 경우, 이때 한 일을 구하면, 물체의 이동방향 ℓ에 대한 힘 𝐹 의 유효성분은 𝐹 cos θ 그러므로 이때 한 일은 ?  일의 단위 및 정의 - 일의 정의: 물체에 힘을 작용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시킬 때 필요한 에너지 - 힘의 단위: 1N = 1kgㆍm/𝑠2 - 일의 단위: Joule (J) = Nㆍm ℓ 𝐹 𝑂 𝐹 cos θ θ ℓ

(9)

7-3-4. 벡터적 (vector product)  벡터적 (or 외적)의 정의 - 두 벡터 A와 B의 벡터적은 𝐴 × 𝐵 로 표기하며, 그 결과는 크기와 방향을 갖는 벡터 량. - 벡터적의 크기: 𝐴 × 𝐵 = 𝐴𝐵 sin θ 즉, 두 벡터 A와 B를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면적 ※ θ는 두 벡터 A와 B의 사이각 - 벡터적의 방향: 두 벡터 A와 B가 이루는 평행사변형에 수직이며, A에서 B로 회전하는 오른나사의 진행방향. - 벡터적의 방향의 단위벡터를 𝑛 이라 하면,

𝐴 × 𝐵 = 𝑛𝐴𝐵 sin θ

- 두 벡터의 곱 𝐴 × 𝐵 의 순서를 바꾸면, 벡터적 정의에 의해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벡터적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음:

𝐴 × 𝐵 ≠ 𝐵 × 𝐴

𝐴 𝐵 𝑂 θ 𝐵 𝑠𝑖𝑛 θ 𝑛

𝐴 × 𝐵 = 𝑛𝐴𝐵 sin θ

(10)

7-3-5. θ 에 따른 벡터적의 변화  𝐴 와 𝐵 가 평행 (즉, θ = 0°) 일 때, 𝐴 × 𝐵 = 0  𝐴 와 𝐵 가 직각 (즉, θ = 90°) 일 때, 𝐴 × 𝐵 = 𝐴𝐵  이것을 기본벡터에 적용하면, 𝑖 × 𝑖 = 𝑗 × 𝑗 = 𝑘 × 𝑘 = 0 𝑖 × 𝑗 = 𝑘 , 𝑗 × 𝑘 = 𝑖 , 𝑘 × 𝑖 = 𝑗 𝑗 × 𝑖 = −𝑘 , 𝑘 × 𝑗 = −𝑖 , 𝑖 × 𝑘 = −𝑗

𝑖

𝑗

𝑘

+

𝑖

𝑗

𝑘

(11)

 벡터의 성분을 이용하여 두 벡터 𝐴 , 𝐵의 벡터적을 구하면,

𝐴 × 𝐵 = (𝐴

𝑥

𝑖 + 𝐴

𝑦

𝑗 + 𝐴

𝑧

𝑘) × (𝐵

𝑥

𝑖 + 𝐵

𝑦

𝑗 + 𝐵

𝑧

𝑘)

= 𝐴

𝑥

𝑖 × (𝐵

𝑥

𝑖 + 𝐵

𝑦

𝑗 + 𝐵

𝑧

𝑘) + 𝐴

𝑦

𝑗 × (𝐵

𝑥

𝑖 + 𝐵

𝑦

𝑗 + 𝐵

𝑧

𝑘) + 𝐴

𝑧

𝑘 × (𝐵

𝑥

𝑖 + 𝐵

𝑦

𝑗 + 𝐵

𝑧

𝑘)

= (𝐴

𝑥

𝐵

𝑥

𝑖 × 𝑖 + 𝐴

𝑥

𝐵

𝑦

𝑖 × 𝑗 + 𝐴

𝑥

𝐵

𝑧

𝑖 × 𝑘) + (𝐴

𝑦

𝐵

𝑥

𝑗 × 𝑖 + 𝐴

𝑦

𝐵

𝑦

𝑗 × 𝑗 + 𝐴

𝑦

𝐵

𝑧

𝑗 × 𝑘) +

(𝐴

𝑧

𝐵

𝑥

𝑘 × 𝑖 + 𝐴

𝑧

𝐵

𝑦

𝑘 × 𝑗 + 𝐴

𝑧

𝐵

𝑧

𝑘 × 𝑘)

= (𝐴

𝑥

𝐵

𝑦

𝑖 × 𝑗 + 𝐴

𝑥

𝐵

𝑧

𝑖 × 𝑘) + (𝐴

𝑦

𝐵

𝑥

𝑗 × 𝑖 + 𝐴

𝑦

𝐵

𝑧

𝑗 × 𝑘) + (𝐴

𝑧

𝐵

𝑥

𝑘 × 𝑖 + 𝐴

𝑧

𝐵

𝑦

𝑘 × 𝑗 )

= (𝐴

𝑥

𝐵

𝑦

𝑘 − 𝐴

𝑥

𝐵

𝑧

𝑗 ) + (−𝐴

𝑦

𝐵

𝑥

𝑘 + 𝐴

𝑦

𝐵

𝑧

𝑖 ) + (𝐴

𝑧

𝐵

𝑥

𝑗 − 𝐴

𝑧

𝐵

𝑦

𝑖 )

= (𝐴

𝑦

𝐵

𝑧

− 𝐴

𝑧

𝐵

𝑦

) 𝑖 + (𝐴

𝑧

𝐵

𝑥

− 𝐴

𝑥

𝐵

𝑧

)𝑗 + (𝐴

𝑥

𝐵

𝑦

− 𝐴

𝑦

𝐵

𝑥

)𝑘

=

𝑖

𝑗

𝐴

𝑥

𝐵

𝑥

𝐴

𝑦

𝐵

𝑦

𝐴

𝑘

𝑧

𝐵

𝑧

𝑖

𝑗

𝑘

+

𝑖

𝑗

𝑘

(12)

예제) 두 벡터 A, B가 다음과 같을 때

𝐴 = 𝑖 − 2𝑗 + 4𝑘

,

𝐵 = 2𝑖 − 1𝑗 − 𝑘

1-1) 벡터적 𝐴 × 𝐵 를 구하라.

𝐴 × 𝐵 =

𝑖

𝑗

1

2

−2

−1

𝑘

4

−1

= 6𝑖

+ 9𝑗 +

3𝑘

1-2) A와 B를 두 변으로 하는 평행사변형의 면적, S S = 𝐴 × 𝐵 = 62+ 92 + 32 = 126 1-3) A와 B의 사이각, θ 𝐴 × 𝐵 = AB sin θ

sin θ =

𝐴 ×𝐵 AB

=

126 12+(−2)2+42× 22+(−1)2+(−1)2

=

126 21× 30

θ = sin

−1

(

126 21× 30

)

𝐴 𝐵 𝑂 θ 𝐵 𝑠𝑖𝑛 θ 𝑛

𝐴 × 𝐵 = 𝑛𝐴𝐵 sin θ

(13)

예제) 세 점 A(3, 4, 6), B(6, -4, 3), C(5, 4, 0)를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 ABC의 면적을 구하라.  세 점 A, B, C의 위치벡터 (즉, 𝑂𝐴 , 𝑂𝐵 , 𝑂𝐶 ) 𝑂𝐴 = 3𝑖 + 4𝑗 + 6𝑘 𝑂𝐵 = 6𝑖 − 4𝑗 + 3𝑘 𝑂𝐶 = 5𝑖 + 4𝑗  변위벡터 𝐴𝐵 와 𝐴𝐶 𝐴𝐵 = 𝑂𝐵 − 𝑂𝐴 = 6𝑖 − 4𝑗 + 3𝑘 − 3𝑖 + 4𝑗 + 6𝑘 = 3𝑖 − 8𝑗 − 3𝑘 𝐴𝐶 = 𝑂𝐶 − 𝑂𝐴 = 5𝑖 + 4𝑗 − 3𝑖 + 4𝑗 + 6𝑘 = 2𝑖 − 6𝑘  삼각형 ABC의 면적, S S = 12 𝐴𝐵 × 𝐴𝐶 𝐴𝐵 × 𝐴𝐶 = (3𝑖 − 8𝑗 − 3𝑘) × (2𝑖 − 6𝑘) = 3𝑖 𝑗 2 −80 −3𝑘 −6 = 48𝑖 − 6𝑗 − −16𝑘 − 18𝑗 = 48𝑖 + 12𝑗 + 16𝑘 S = 12 𝐴𝐵 × 𝐴𝐶 = 12 48𝑖 + 12𝑗 + 16𝑘 = 12 482 + 122 + 162 = 26

(14)

예제) 세 벡터 A, B, C 가 아래와 같을 때 스칼라 3중적 𝐴 ㆍ(𝐵 × 𝐶 ) 를 구하라 𝐴 = 𝐴𝑥𝑖 + 𝐴𝑦𝑗 + 𝐴𝑧𝑘, 𝐵 = 𝐵𝑥𝑖 + 𝐵𝑦𝑗 + 𝐵𝑧𝑘, 𝐶 = 𝐶𝑥𝑖 + 𝐶𝑦𝑗 + 𝐶𝑧𝑘, 𝐵 × 𝐶 = 𝑖 𝑗 𝐵𝑥 𝐶𝑥 𝐵𝑦 𝐶𝑦 𝑘 𝐵𝑧 𝐶𝑧 𝐴 ㆍ 𝐵 × 𝐶 = 𝐴𝑥𝑖 + 𝐴𝑦𝑗 + 𝐴𝑧𝑘 ㆍ 𝑖 𝑗 𝐵𝑥 𝐶𝑥 𝐵𝑦 𝐶𝑦 𝑘 𝐵𝑧 𝐶𝑧 = 𝐴𝑥 𝐴𝑦 𝐵𝑥 𝐶𝑥 𝐵𝑦 𝐶𝑦 𝐴𝑧 𝐵𝑧 𝐶𝑧  스칼라 3중적의 기하학적 의미 𝐴 𝐵 𝑂 θ 𝐵 × 𝐶 𝐶 (스칼라 3중적)

(15)

7-6. 벡터의 미분연산 7-6-1. 미분연산자 (del)  벡터계의 미분계산에는 𝑥, 𝑦, 𝑧 방향으로의 변화율과 방향으로 표시되는 미분연산자 (del)를 사용함. 𝛻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  기울기 (gradient)  스칼라함수 𝑉 𝑥, 𝑦, 𝑧 의 공간영역에서 기울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𝑉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 𝑉 = 𝜕𝑉𝜕𝑥𝑖 +𝜕𝑉𝜕𝑦𝑗 +𝜕𝑉𝜕𝑧𝑘  이것은 스칼라함수 V의 𝑥, 𝑦, 𝑧 각 방향의 거리에 대한 변화율을 나타내며, 벡터량으로 얻어진다.

(16)

예제) 스칼라함수 V = 1 2𝑥 2𝑦𝑧4 의 점 p(2, 2, 1)에서의 기울기를 구하라.  스칼라함수 V의 기울기 식은: 𝛻𝑉 = 𝑔𝑟𝑎𝑑 𝑉 𝛻𝑉 = 𝑔𝑟𝑎𝑑 𝑉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 𝑉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 (12𝑥2𝑦𝑧4) = 𝜕𝑥𝜕 (12𝑥2𝑦𝑧4)𝑖 + 𝜕 𝜕𝑦( 1 2𝑥2𝑦𝑧4)𝑗 + 𝜕 𝜕𝑧( 1 2𝑥2𝑦𝑧4)𝑘 = 𝑥𝑦𝑧4𝑖 +1 2𝑥2𝑧4𝑗 + 2𝑥2𝑦𝑧3𝑘 = (2 × 2 × 14)𝑖 + (1 2× 22× 14)𝑗 + (2 × 22× 2 × 13)𝑘 = 4𝑖 + 2𝑗 + 16𝑘

(17)

7-6-2. 벡터의 발산(Divergence)  미분연산자 (del)  벡터계의 미분계산에는 𝑥, 𝑦, 𝑧 방향으로의 변화율과 방향으로 표시되는 미분연산자 (del)를사용함. 𝛻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  임의의 벡터 𝐸 = 𝐸𝑥𝑖 − 𝐸𝑦𝑗 + 𝐸𝑧𝑘 와의 미분연산자와의 스칼라적 계산 𝛻ㆍ𝐸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 ㆍ𝐸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ㆍ 𝐸𝑥𝑖 − 𝐸𝑦𝑗 + 𝐸𝑧𝑘 = 𝜕𝐸𝑥 𝜕𝑥 + 𝜕𝐸𝑦 𝜕𝑦 + 𝜕𝐸𝑧 𝜕𝑧  이 관계식은 벡터 E 방향으로 진행하는 단위체적에서 발산하는 선속수의 물리적 의미를 가지며, 스칼라 량이 된다.  즉, 공간에 분포하고 있는 임의의 한 점에서 단위 체적당 발산하는 선속수를 의미하므로, 공간전하 분표에서 발생하는 전기력선의 수를 계산하는데 이용됨..

(18)

예제) 𝐴 = 𝑥2𝑖 − 𝑦2𝑗 + 𝑧2𝑘 일 때 점 P(1, 2, 3)에서의발산을 구하라.  벡터 A의발산은 𝛻ㆍ𝐴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 ㆍ𝐴 = 𝜕𝑥𝜕 𝑖 +𝜕𝑦𝜕 𝑗 +𝜕𝑧𝜕 𝑘 ㆍ(𝑥2𝑖 − 𝑦2𝑗 + 𝑧2𝑘) = 𝜕𝑥𝜕 (𝑥2) +𝜕𝑦𝜕 (𝑦2) +𝜕𝑧𝜕 (𝑧2) = 2𝑥 + 2𝑦 + 2𝑧  점 P(1, 2, 3)을 대입하면, 𝛻ㆍ𝐴 = 2𝑥 + 2𝑦 + 2𝑧 = 2 + 2 × 2 + 2 × 3 = 12

(19)

7-6-3. 벡터의 회전(Rotation or Curl)  미분연산자 (del)와 임의의 벡터 𝐻 = 𝐻𝑥𝑖 − 𝐻𝑦𝑗 + 𝐻𝑧𝑘 와의 외적은

𝛻 × 𝐻 = (

𝜕 𝜕𝑥𝑖 + 𝜕 𝜕𝑦𝑗 + 𝜕 𝜕𝑧𝑘) × 𝐻𝑥𝑖 − 𝐻𝑦𝑗 + 𝐻𝑧𝑘 = 𝑖 𝑗 𝜕 𝜕𝑥 𝐻𝑥 𝜕 𝜕𝑦 𝐻𝑦 𝑘 𝜕 𝜕𝑧 𝐻𝑧  이 관계식은 벡터 장 H가 회전하는 원천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적 의미를 가지며, 회전의 성격을 갖는 벡터 량이 된다.  전류에 의한 자력 선이 전류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양을 수식화하는데 이용됨.

(20)

예제) 𝐴 = 𝑥𝑦𝑖 + 𝑦𝑧𝑗 + 𝑧𝑥𝑘 일 때 점 P(1, 2, 3)에서의 회전을 구하라.  벡터 A의회전은

𝛻 × 𝐴 = (

𝜕 𝜕𝑥𝑖 + 𝜕 𝜕𝑦𝑗 + 𝜕 𝜕𝑧𝑘) × (𝑥𝑦𝑖 + 𝑦𝑧𝑗 + 𝑧𝑥𝑘) = 𝑖 𝑗 𝜕 𝜕𝑥 𝑥𝑦 𝜕 𝜕𝑦 𝑦𝑧 𝑘𝜕 𝜕𝑧 𝑧𝑥 = 𝜕 𝜕𝑦 𝑧𝑥 𝑖 + 𝜕 𝜕𝑧 𝑥𝑦 𝑗 + 𝜕 𝜕𝑥 𝑦𝑧 𝑘 − ( 𝜕 𝜕𝑦 𝑥𝑦 𝑘 + 𝜕 𝜕𝑥 𝑧𝑥 𝑗 + 𝜕 𝜕𝑧 𝑦𝑧 𝑖 ) = −(𝑥𝑘 + 𝑧𝑗 + 𝑦𝑖 )  점 P(1, 2, 3)를대입하면,

𝛻 × 𝐴 = −(𝑥𝑘 + 𝑧𝑗 + 𝑦𝑖 )= − 𝑘 − 3𝑗 − 2𝑖

(21)

8. 미분방정식(differential equation)  미분방정식의 계수(order): 미지함수의 최고계 도함수의 계수.  미분방정식의 차수(degree): 최고계 도함수의 차수 𝑑𝑦 𝑑𝑥 = 5𝑥 : 1계 1차 상미분방정식 𝑑𝑑𝑥2𝑦2 + 3𝑑𝑦𝑑𝑥+ 4𝑦 = 0 : 2계 1차 상미분방정식 (𝑑𝑑𝑥2𝑦2)3+3(𝑑𝑦 𝑑𝑥)4+4𝑦 = 0 : 2계 3차 상미분방정식 𝜕2𝑧 𝜕𝑥2 + 𝜕2𝑧 𝜕𝑦2 = 𝑥𝑦 : 2계 1차 편미분방정식

 선형 미분방정식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22)

8-2-4. 1계 선형 미분방정식

 선형 미분방정식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 미지함수 𝑦 및 그 도함수 𝑦′, 𝑦" , … 등에 관하여 1차인 미분방정식  특히, 1계 도함수 (즉, 𝑦′ ) 와 𝑦 로 주어지는 선형 미분방정식을 1계 선형 미분방정식 이라 함. 𝑑𝑦 𝑑𝑥 + 𝑃 𝑥 𝑦 = 𝑄 𝑥 𝑜𝑟 𝑦′ + 𝑃 𝑥 𝑦 = 𝑄(𝑥) ※ 이때, 𝑄 𝑥 = 0 : 1계 제차 선형 미분방정식 𝑄 𝑥 ≠ 0 : 1계 비제차 선형 미분방정식  1계 제차 선형 미분방정식의 해 𝑑𝑦 𝑑𝑥+ 𝑃 𝑥 𝑦 = 0  case 1) 변수분리형  case 2) 동차형  case 3) 완전 미분방정식

(23)

8-2-1. 변수 분리형  변수 𝑥 와 𝑦 및 𝑦 의 함수 𝑓(𝑥) 가 각각 좌우로 분리 가능한 형태  변수분리 𝑑𝑦𝑑𝑥+ 𝑃 𝑥 𝑦 = 0 𝑑𝑦𝑦 = −𝑃 𝑥 𝑑𝑥  양쪽을 적분하면, 𝑑𝑦𝑦 = − 𝑃 𝑥 𝑑𝑥 + 𝐶 𝑦 = 𝑒− 𝑝 𝑥 𝑑𝑥+𝐶 = 𝐴𝑒− 𝑝 𝑥 𝑑𝑥 예제) 다음 1계 선형 미분방정식의 일반해를 구하라 𝑑𝑦 𝑑𝑥+ 2𝑥𝑦 = 0  변수분리 𝑑𝑦 𝑑𝑥 = −2𝑥𝑦 𝑑𝑦 𝑦 = −2𝑥𝑑𝑥 적분: 𝑑𝑦𝑦 = − 2𝑥𝑑𝑥 + 𝐶 𝑦 = 𝐶𝑒−𝑥2

(24)

 1계 비제차 선형 미분방정식의 해  일반형: 𝑑𝑦𝑑𝑥+ 𝑃 𝑥 𝑦 = 𝑄 𝑥 𝑜𝑟 𝑦′ + 𝑃 𝑥 𝑦 = 𝑄(𝑥)  1계 비제차 선형미분방정식의 해: 𝑦 = 𝑒− 𝑝 𝑥 𝑑𝑥 { 𝑄 𝑥 𝑒 𝑝 𝑥 𝑑𝑥𝑑𝑥 + 𝐶} 예제) 다음의 미분방정식을 풀어라 𝑦 = 𝑥(3 −𝑑𝑦𝑑𝑥)  1계 선형 미분방정식의 형태로 변형: 𝑑𝑦 𝑑𝑥 + 𝑃 𝑥 𝑦 = 𝑄 𝑥 𝑑𝑦 𝑑𝑥+ 1 𝑥𝑦 = 3 1계 선형 비제차 미분방정식  𝑃 𝑥 와 𝑄(𝑥) 를 확인: 𝑃 𝑥 = 1𝑥, 𝑄 𝑥 = 3  1계 선형 비제차 미방의 해: 𝑦 = 𝑒− 𝑝 𝑥 𝑑𝑥 { 𝑄 𝑥 𝑒 𝑝 𝑥 𝑑𝑥𝑑𝑥 + 𝐶} 𝑝 𝑥 𝑑𝑥 = 1 𝑥𝑑𝑥 = 𝑙𝑛 (𝑥) 𝑦 = 𝑒−𝑙𝑛 (𝑥) { 3𝑒𝑙𝑛 (𝑥)𝑑𝑥 + 𝐶} = 𝑥−1 { 3𝑥𝑑𝑥 + 𝐶} = 1 𝑥 { 3𝑥2 2 + 𝐶) = 3𝑥 2 + 𝐶 𝑥

(25)

8-3. 2계 선형 미분방정식

 선형 미분방정식 (linear differential equation)

- 미지함수 𝑦 및 그 도함수 𝑦′, 𝑦" , … 등에 관하여 1차인 미분방정식  2계 선형 미분방정식: 2계 도함수 (즉, 𝑦′′ ), 1계 도함수 및 𝑦 로 주어지는 선형 미분방정식. 𝑑2𝑦 𝑑𝑥2 + 𝑃 𝑥 𝑑𝑦 𝑑𝑥+ 𝑄 𝑥 𝑦 = 𝑅 𝑥 𝑜𝑟 𝑦′ ′ + 𝑃 𝑥 𝑦+ 𝑄 𝑥 𝑦 = 𝑅(𝑥) ※ 이때, R 𝑥 = 0 : 2계 제차 선형 미분방정식 R 𝑥 ≠ 0 : 2계 비제차 선형 미분방정식 ※ 또한, 𝑃 𝑥 & 𝑄 𝑥 = 상수 : 2계 상계수 제차 선형 미분방정식  2계 상계수 제차 선형 미분방정식

𝑑2𝑦 𝑑𝑥2 + 𝑎 𝑑𝑦 𝑑𝑥+ 𝑏𝑦 = 0 (𝑎, 𝑏 는 상수)

(26)

8-3-1. 2계 제차 선형 미분방정식의 해  2계 상계수 제차 선형 미분방정식

𝑑2𝑦 𝑑𝑥2 + 𝑎 𝑑𝑦 𝑑𝑥+ 𝑏𝑦 = 0 (𝑎, 𝑏 는 상수) --- (1)  위 식1에서, 2계 도함수 𝑑2𝑦 𝑑𝑥2가 0이 되기 위해서는 (즉, 𝑑2𝑦 𝑑𝑥2 = 0) 𝑎𝑑𝑦 𝑑𝑥+ 𝑏𝑦 = 0, (단 𝑎, 𝑏 는 상수)  변수분리: 𝑑𝑦 𝑑𝑥 = − 𝑏 𝑎𝑦 𝑑𝑦 𝑦 = − 𝑏 𝑎𝑑𝑥  적분: 𝑑𝑦𝑦 = − 𝑏𝑎𝑑𝑥 + 𝐶 𝑙𝑛 𝑦 = −𝑎𝑏𝑥 + 𝐶 𝑦 = 𝑒−(𝑏 )𝑥+𝑐𝑎 = 𝐴𝑒λ𝑥, 단, −𝑏 𝑎 = λ  1계 제차선형미분방정식의 해 𝑦 = 𝐴𝑒λ𝑥 를 주어진 방정식 (식1) 에 대입하여 λ 를 구함.  1계 도함수: 𝑑𝑦 𝑑𝑥 = 𝐴λ𝑒λ𝑥  2계 도함수: 𝑑2𝑦 𝑑𝑥2 = 𝐴λ2𝑒λ𝑥  식(1)에 대입: 𝐴λ2𝑒λ𝑥 + 𝑎𝐴λ𝑒λ𝑥+ 𝑏𝐴𝑒λ𝑥 = 0 𝐴𝑒λ𝑥 λ2 + 𝑎λ + 𝑏 = 0  특성방정식: 𝐴 ≠ 0, 𝑒λ𝑥 ≠ 0 이므로 (λ2+ 𝑎λ + 𝑏) = 0

(27)

8-3-2. 특성방정식(characteristic equation)의 근  특성방정식: λ2+ 𝑎λ + 𝑏 = 0 근의 공식: λ = −𝑎± 𝑎2−4𝑏 2  판별식: 𝑎2− 4𝑏  두 개의 서로 다른 실근: 𝑎2−4𝑏 > 0  중근: 𝑎2− 4𝑏 = 0  두 개의 허근: 𝑎2− 4𝑏 < 0  1계 선형 미분 방정식의 해: 𝑦 = 𝐴𝑒λ𝑥  두 개의 서로 다른 실근: λ1, λ2 𝑦 = 𝐴1𝑒λ1𝑥 𝑜𝑟 𝑦 = 𝐴 2𝑒λ2𝑥 일반해는 두 개의 합으로 표현됨: 𝑦 = 𝐴1𝑒λ1𝑥 + 𝐴2𝑒λ2𝑥  중근: λ = λ1 = λ2 𝑦 = 𝐴1𝑒λ𝑥 + 𝐴 2𝑒λ𝑥 = (𝐴1+ 𝐴2) 𝑒λ𝑥 = 𝐴𝑒λ𝑥 그러나 2계 미분방정식은 임의의 상수가 두 개 인 항을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나머지 하나의 근도 생각해야 함. 이 경우 나머지 근은 적분인수법에 의해 𝑦 = 𝐵𝑥𝑒λ𝑥 가 얻어진다. 따라서, 𝑦 = 𝐴1𝑒λ𝑥 + 𝐴2𝑥𝑒λ𝑥 = 𝐴1+ 𝐴2𝑥 𝑒λ𝑥

(28)

 두 개의 허근: λ = α ± 𝛽𝑖, (단, 𝛽 ≠ 0) 𝑦 = 𝐵1𝑒(α+β𝑖)𝑥 + 𝐵 2𝑒(α−𝛽𝑖)𝑥 = 𝑒α𝑥(𝐵1𝑒𝛽𝑖𝑥+ 𝐵2𝑒−𝛽𝑖𝑥)  오일러의 공식: 𝑒±𝛽𝑖 = 𝑐𝑜𝑠𝛽 ± 𝑗𝑠𝑖𝑛𝛽 𝑦 = 𝑒α𝑥{𝐵 1(𝑐𝑜𝑠𝛽𝑥 + 𝑗𝑠𝑖𝑛𝛽𝑥) + 𝐵2(𝑐𝑜𝑠β𝑥 − 𝑗𝑠𝑖𝑛β𝑥)} = 𝑒α𝑥{(𝐵1+ 𝐵2)𝑐𝑜𝑠𝛽𝑥 + 𝑗(𝐵1− 𝐵2)𝑠𝑖𝑛𝛽𝑥}  𝐵1 + 𝐵2 = 𝐴1 & 𝑗 𝐵1− 𝐵2 = 𝐴2 라 하면, 𝑦 = 𝑒α𝑥 (𝐴 1𝑐𝑜𝑠𝛽𝑥 + 𝐴2𝑠𝑖𝑛𝛽𝑥)

(29)

예제) 𝑑2𝑦 𝑑𝑥2 + 𝑑𝑦 𝑑𝑥− 2𝑦 = 0 의 미분방정식을 풀어라.  1계 제차선형미분방정식의 해 𝑦 = 𝐴𝑒λ𝑥 를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여 λ 를 구함.  1계 도함수: 𝑑𝑦 𝑑𝑥 = 𝐴λ𝑒 λ𝑥  2계 도함수: 𝑑2𝑦 𝑑𝑥2 = 𝐴λ2𝑒λ𝑥  식에 대입: 𝐴λ2𝑒λ𝑥+ 𝐴λ𝑒λ𝑥− 2𝐴𝑒λ𝑥 = 0 𝐴𝑒λ𝑥 λ2+ λ − 2 = 0  특성방정식: 𝐴 ≠ 0, 𝑒λ𝑥 ≠ 0 이므로 (λ2+ λ − 2) = 0  미분연산자: 𝑑 𝑑𝑥 = 𝐷, 𝑑2 𝑑𝑥2 = 𝐷2 를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𝑑2𝑦 𝑑𝑥2 + 𝑑𝑦 𝑑𝑥 − 2𝑦 = 0 𝐷 2𝑦 + 𝐷𝑦 − 2𝑦 = 0 (𝐷2+ 𝐷 − 2)𝑦 = 0  이것은 특성방정식과 같은 형태로 나타남.  그러므로 미분연산자를 활용하여 특성방정식을 쉽게 구할 수 있음.

 특성방정식은

: λ2 + λ − 2 = λ − 1 λ + 2 = 0 λ1 = 1, λ2 = −2 𝑦 = 𝐴1𝑒λ1𝑥 + 𝐴 2𝑒λ2𝑥 = 𝐴1𝑒𝑥 + 𝐴2𝑒−2𝑥

(30)

예제) 다음의 미분방정식을 풀어라. (1) 𝑑2𝑦 𝑑𝑥2+ 𝑑𝑦 𝑑𝑥 − 2𝑦 = 0  미분연산자: 𝑑 𝑑𝑥 = 𝐷, 𝑑2 𝑑𝑥2 = 𝐷2 를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𝑑2𝑦 𝑑𝑥2 + 𝑑𝑦 𝑑𝑥 − 2𝑦 = 0 𝐷2𝑦 + 𝐷𝑦 − 2𝑦 = 0 (𝐷2+ 𝐷 − 2)𝑦 = 0  이것은 특성방정식과 같은 형태이며, 미분연산자를 활용하여 특성방정식을 쉽게 구할 수 있음.

특성방정식은: λ2 + λ − 2 = λ − 1 λ + 2 = 0 λ1 = 1, λ2 = −2 𝑦 = 𝐴1𝑒λ1𝑥 + 𝐴2𝑒λ2𝑥 = 𝐴1𝑒𝑥 + 𝐴2𝑒−2𝑥 (2) 𝑑2𝑦 𝑑𝑥2 + 4 𝑑𝑦 𝑑𝑥 + 4𝑦 = 0  미분연산자 활용: 𝑑2𝑦 𝑑𝑥2 + 4 𝑑𝑦 𝑑𝑥+ 4𝑦 = 0 𝐷 2𝑦 + 4𝐷𝑦 + 4𝑦 = 0 (𝐷2+ 4𝐷 + 4)𝑦 = 0

 그러므로 특성방정식은: λ2+ 4λ + 4 = λ + 2 2 = 0 𝜆 = −2  중근 이므로, 𝑦 = 𝐴1𝑒−2𝑥 + 𝐴 2𝑥𝑒−2𝑥 = 𝐴1+ 𝐴2𝑥 𝑒−2𝑥

(31)

(3) 𝑑2𝑦 𝑑𝑥2 − 2 𝑑𝑦 𝑑𝑥 + 10𝑦 = 0  미분연산자: 𝑑 𝑑𝑥 = 𝐷, 𝑑2 𝑑𝑥2 = 𝐷 2 를 주어진 방정식에 대입하면, 𝑑2𝑦 𝑑𝑥2 − 2 𝑑𝑦 𝑑𝑥+ 10𝑦 = 0 𝐷 2𝑦 − 2𝐷𝑦 + 10𝑦 = 0 (𝐷2 − 2𝐷 + 10)𝑦 = 0  특성방정식: λ2− 2λ + 10 = λ + 2 2 = 0 𝜆 = 1 ± 3𝑖 (두 개의 허근) 𝑦 = 𝐵1𝑒(1+3𝑖)𝑥 + 𝐵 2𝑒(1−3𝑖)𝑥 = 𝑒𝑥(𝐵1𝑒3𝑖𝑥 + 𝐵2𝑒−3𝑖𝑥)  오일러의 공식: 𝑒±3𝑖 = 𝑐𝑜𝑠3𝑥 ± 𝑖𝑠𝑖𝑛3𝑥 𝑦 = 𝑒𝑥{𝐵 1(𝑐𝑜𝑠3𝑥 + 𝑖𝑠𝑖𝑛3𝑥) + 𝐵2(𝑐𝑜𝑠3𝑥 − 𝑖𝑠𝑖𝑛3𝑥)} = 𝑒𝑥{(𝐵1+ 𝐵2)𝑐𝑜𝑠3𝑥 + 𝑖(𝐵1 − 𝐵2)𝑠𝑖𝑛3𝑥}  𝐵1+ 𝐵2 = 𝐴1 & 𝑗 𝐵1− 𝐵2 = 𝐴2 라 하면, 𝑦 = 𝑒𝑥 (𝐴 1𝑐𝑜𝑠3𝑥 + 𝐴2𝑖𝑠𝑖𝑛3𝑥)

(32)

8-3-3. 2계 상계수 비제차 선형 미분방정식

𝑑2𝑦

𝑑𝑥2 + 𝑎

𝑑𝑦

𝑑𝑥+ 𝑏𝑦 = 𝑄(𝑥) (𝑎, 𝑏 는 상수)

 비제차 미분방정식의 일반해(general solution)는 보조해(complimentary solution) 와 특수해(particular solution)로 구성됨.

일반해 (𝑦) = 보조해 (𝑦𝑐) + 특수해 (𝑦𝑝)

 보조해: 제차미분방정식의 해법과 같은 방법의 특성방정식으로 부터 구함.

 특수해: 미정계수를 포함한 특수해 𝑦𝑝 를 추정하여, 이를 비제차 미분방정식에 대입하여

(33)

예제 1) 𝑑2𝑦 𝑑𝑥2 + 4 𝑑𝑦 𝑑𝑥+ 3𝑦 = 6 의 미분방정식을 풀어라 (1) 주어진 식의 제차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함.  미분연산자: 𝑑2𝑦 𝑑𝑥2 + 4 𝑑𝑦 𝑑𝑥+ 3𝑦 = 0 𝐷2𝑦 + 4𝐷𝑦 + 3𝑦 = 0 (𝐷2 + 4𝐷 + 3)𝑦 = 0  특성방정식: λ2+ 4λ + 3 = λ + 1 λ + 3 = 0 𝜆1 = −1, 𝜆2 = −3 (두 개의 실근): 𝑦𝑐 = 𝐴1𝑒−𝑥 + 𝐴2𝑒−3𝑥  추정 특수해: 𝑦𝑝 = 𝐴 𝑑𝑦𝑝 𝑑𝑥 = 0 & 𝑑2𝑦𝑝 𝑑𝑥2 = 0  이를 주어진 미분방정식에 대입하여 미정계수 𝐴 를 결정. 𝑑2𝑦𝑝 𝑑𝑥2 + 4 𝑑𝑦𝑝 𝑑𝑥 + 3𝑦𝑝 = 6 3𝐴 = 6 𝐴 = 2 ∴ 𝑦𝑝 = 2  일반해는 보조해와 특수해의 합으로 구함. 𝑦 = 𝑦𝑐 + 𝑦𝑝=𝐴1𝑒−𝑥 + 𝐴2𝑒−3𝑥 + 2

(34)

예제 2) 3𝑑𝑑𝑥2𝑦2 +𝑑𝑦𝑑𝑥− 4𝑦 = 2𝑒−3𝑥 의 미분방정식을 풀어라 (1) 주어진 식의 제차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함.  미분연산자: 3𝑑𝑑𝑥2𝑦2 +𝑑𝑦𝑑𝑥 − 4𝑦 = 0 3𝐷2𝑦 + 𝐷𝑦 − 4𝑦 = 0 (3𝐷2 + 𝐷 − 4)𝑦 = 0  특성방정식: 3λ2+ λ − 4 = λ − 1 3λ + 4 = 0 𝜆1 = 1, 𝜆2 = −43 (두 개의 실근): 𝑦𝑐 = 𝐴1𝑒𝑥 + 𝐴 2𝑒− 4 3𝑥  추정 특수해: 𝑦𝑝 = 𝐴𝑒−3𝑥 𝑑𝑦𝑝 𝑑𝑥 = −3𝐴𝑒−3𝑥 & 𝑑2𝑦𝑝 𝑑𝑥2 = 9𝐴𝑒−3𝑥  이를 주어진 미분방정식에 대입하여 미정계수 𝐴 를 결정. 3𝑑𝑑𝑥2𝑦2 +𝑑𝑦𝑑𝑥− 4𝑦 = 2𝑒−3𝑥 27𝐴𝑒−3𝑥− 3𝐴𝑒−3𝑥− 4𝐴𝑒−3𝑥 = 2𝑒−3𝑥 20𝐴𝑒−3𝑥 = 2𝑒−3𝑥 ∴ A = 101 𝑦𝑝 =101 𝑒−3𝑥  일반해는 보조해와 특수해의 합으로 구함. 𝑦 = 𝑦𝑐 + 𝑦𝑐 = 𝐴1𝑒𝑥 + 𝐴 2𝑒− 4 3𝑥 + 1 10𝑒−3𝑥

(35)

 추정 특수 해  일반적으로 주어진 함수 𝑄(𝑥) 로 부터 선택할 특수해의 형식은 아래표와 같으며, 추정한 특수해(1안)가 보조해에 포함된 경우에는 대안 특수해(2안)를 적용하여 구함. 𝑄(𝑥) 추정 특수해 (1안) 대안 특수해 (2안) 𝑎 (상수) 𝑦𝑝 = 𝐴 𝑦𝑝 = 𝐴𝑥 𝑘𝑥3 𝑦 𝑝 = 𝑎𝑥3 + 𝑏𝑥2+ 𝑐𝑥 + 𝑑 - 𝑎𝑒𝑎𝑥 𝑦𝑝 = 𝐴𝑒𝑎𝑥 𝑦 𝑝 = 𝐴𝑥𝑒𝑎𝑥, 𝑦𝑝 = 𝐴𝑥2𝑒𝑎𝑥 𝑎 cos 𝑝𝑥 𝑜𝑟 𝑏 sin 𝑝𝑥 𝑎 cos 𝑝𝑥 + 𝑏 sin 𝑝𝑥

𝑦𝑝 = 𝐴1cos 𝑝𝑥 +𝐴2sin 𝑝𝑥 𝑦𝑝 = 𝐴1cos 𝑝𝑥 +𝐴2sin 𝑝𝑥

𝑥 + 1 − 𝑒−𝑥 𝑦

𝑝 = 𝑎𝑥 + 𝑏 + 𝑐𝑒−𝑥

2𝑥2+ 5 cos 3𝑥 𝑦𝑝 = 𝑎𝑥2+ 𝑏𝑥 + 𝑐 + 𝑑cos 3𝑥 + 𝑘 sin 3𝑥

3𝑒2𝑥sin 4𝑥 𝑦

(36)

예제 3) 𝑑2𝑦 𝑑𝑥2 − 𝑑𝑦 𝑑𝑥− 2𝑦 = 6𝑒 −𝑥 의 미분방정식을 풀어라 (1) 주어진 식의 제차 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함.  미분연산자: 𝑑𝑑𝑥2𝑦2 −𝑑𝑦𝑑𝑥− 2𝑦 = 0 𝐷2𝑦 − 𝐷𝑦 − 2𝑦 = 0 (𝐷2− 𝐷 − 2)𝑦 = 0  특성방정식: λ2− λ − 2 = λ − 2 λ + 1 = 0 𝜆1 = 2, 𝜆2 = −1 (두 개의 실근): 𝑦𝑐 = 𝐴1𝑒2𝑥 + 𝐴2𝑒−𝑥  추정 특수해: 𝑦𝑝 = 𝐴𝑒−𝑥 이나, 보조해 𝑦 𝑐 에 포함되어있어 이를 적용하지 못함. ∴ 𝑦𝑝 = 𝐴𝑥𝑒−𝑥 𝑑𝑦𝑝 𝑑𝑥 = 𝐴𝑒−𝑥(1 − 𝑥) & 𝑑2𝑦𝑝 𝑑𝑥2 = −𝐴𝑒−𝑥(2 − 𝑥)  이를 주어진 미분방정식에 대입하여 미정계수 𝐴 를 결정. 𝑑2𝑦 𝑑𝑥2 − 𝑑𝑦 𝑑𝑥 − 2𝑦 = 6𝑒 −𝑥 − 𝐴𝑒−𝑥 2 − 𝑥 − 𝐴𝑒−𝑥 1 − 𝑥 − 2𝐴𝑥𝑒−𝑥 = 6𝑒−𝑥 −3𝐴𝑒−𝑥 = 6𝑒−𝑥 ∴ A = −2 𝑦 𝑝 = −2𝑥𝑒−𝑥  일반해는 보조해와 특수해의 합으로 구함. 𝑦 = 𝑦𝑐 + 𝑦𝑝 = 𝐴1𝑒2𝑥+ 𝐴2𝑒−𝑥− 2𝑥𝑒−𝑥

참조

관련 문서

손잡이가 받침대에 놓 이면 받침대 원통의 내부 솔레노이드의 충전 전류는 손잡이 내부의 코일에 전류를 유도 한다.. 이 유도

2015년 2학기 프로그래밍개론및 실습 과목으로 본 내 용은 강의 교재인 생능출판사 , 두근두근 C 언어 수업,..

• 존재성(existence): n개의 미지수에 대한 m개의 선형연립방정식이 모순이 없기 위한(consistent), 다시 말해서 해를 가지기 위한 필요 충분조건은 계수행렬 A와 첨가행렬

지수분포가 확률밀도함수임을

벡터공간에서 정의된 벡터합과 스칼라곱에 관하여 닫혀있는 부분집합.. 행렬의 행렬의 계수 계수.. 행렬의 행렬의 계수 계수.. Cramer’s Rule .7 Determinants..

또한, 부가가치수출에 미치는 환율효과는 계수 값은 모든 모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성이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전체국가-산업

- Bridge 회로의 출력 전압 v i 는 작기 때문에 증폭하여 전압계로 읽는다. Strain Gauge Bridge

• Many physical behavior can be expressed as differential equation (containing derivatives of unknown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