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Copied!
7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관련 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3)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및 관련 요인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ssoci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지도 이 은 현 교수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6월 22일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김 혜 민

(4)

김혜민의 보건학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이 은 현

(인)

심사위원

민 병 현

(인)

심사위원

김 춘 자

(인)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년 6월 22일

(5)

감사의 말씀

우선, 이렇게 감사의 말씀을 쓰고 있으니 감개가 무량합니다. 여러 모로 부족한 저에게 보건 통계 수업부터 이 논문의 마무리 까지 학문에 대한 흥미와 깨달음을 끊임없이 내어 주시며 큰 어려움 없이 마무리 할 수 있 도록 섬세하게 지도해 주신 참 교육인 이은현 교수님, 머리 숙여 감사드 립니다. 또, 저에게 여러 가지 배움과 경험의 기회를 주셨고, 연구의 대상 자를 선정하는 것과 데이터 수집을 흔쾌히 허락해 주신 민병현 교수님 감 사드립니다. 그리고, 간호대학 논문지도 만으로도 바쁘신데 제 논문까지 꼼꼼하게 첨삭 지도 해 주신 김춘자 교수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제 설문 도구를 검토 해주시고, 임상적인 의견과 논문 작성에 대해 도움 주 신 손광현, 이유상 선생님께도 감사드립니다. 또한 빠트릴 수 없는 아주대 학교병원 정형외과 윤일심 선생님 이하 외래 식구들과 골관절염 특화센터 조은혜, 신혜인 선생님, 외래 진료가 정신없이 바쁜데도 불구하고, 제 논 문 데이터 수집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부족함 없이 밝게 키워주시고, 여전히 정신적으로나 물질적으로나 원조 를 아끼지 않으시는 제 삶의 가장 큰 이유인 부모님, 말로 하는 감사의 표현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당신들을 위해 저는 멈춰 있지 않고 항상 더 나은 모습을 보여 드리기 위해 정진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그리고 저와 늦은 시간까지 함께 있어주며 부쩍 힘이 되어 준 하나뿐인 남동생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또, 다양한 방면으로 학문에 대해 공유할 수 있 었던 우리 대학원 10학번 동기들.. 그리고 내 무던한 성격 탓에 살갑게 챙 기지 못해도 언제든 내가 손 뻗으면 닿는 곳에 가까이 있고, 함께 이야기 나누어주는 나의 친구들.. 모두 고맙고 사랑합니다. 마지막으로 제가 이 학위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이자 주

(6)

인공이신 아주대학교 정형외과에 내원 중인 무릎 골관절염 환자분들께 다 시 한번 감사의 말씀 전하며, 여러분의 아픔과 어려움을 함께 나눌 줄 아 는 진정한 보건학자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

차 례

국문 요약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4

3. 용어의 정리 ‧‧‧‧‧‧‧‧‧‧‧‧‧‧‧‧‧‧‧‧‧‧‧‧‧‧‧‧‧‧‧‧‧‧‧‧‧‧‧‧‧‧‧‧‧‧‧‧‧‧‧‧‧‧‧‧‧‧‧‧‧‧‧‧‧‧‧‧‧‧‧‧‧‧‧‧‧‧‧‧‧‧‧‧‧‧‧‧‧‧‧‧‧‧‧‧‧‧‧‧‧‧‧‧‧‧‧‧‧‧‧‧‧4

Ⅱ. 문헌 고찰 ‧‧‧‧‧‧‧‧‧‧‧‧‧‧‧‧‧‧‧‧‧‧‧‧‧‧‧‧‧‧‧‧‧‧‧‧‧‧‧‧‧‧‧‧‧‧‧‧‧‧‧‧‧‧‧‧‧‧‧‧‧‧‧‧‧‧‧‧‧‧‧‧‧‧‧‧‧‧‧‧‧‧‧‧‧‧‧‧‧‧‧‧‧‧‧‧‧‧‧‧‧‧‧‧‧‧‧‧‧‧‧‧‧‧‧‧‧‧‧‧‧‧‧‧‧6

1.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 ‧‧‧‧‧‧‧‧‧‧‧‧‧‧‧‧‧‧‧‧‧‧‧6

Ⅲ. 연구 방법 ‧‧‧‧‧‧‧‧‧‧‧‧‧‧‧‧‧‧‧‧‧‧‧‧‧‧‧‧‧‧‧‧‧‧‧‧‧‧‧‧‧‧‧‧‧‧‧‧‧‧‧‧‧‧‧‧‧‧‧‧‧‧‧‧‧‧‧‧‧‧‧‧‧‧‧‧‧‧‧‧‧‧‧‧‧‧‧‧‧‧‧‧‧‧‧‧‧‧‧‧‧‧‧‧‧‧‧‧‧‧‧‧‧‧‧‧‧‧‧‧‧‧11

1. 연구 설계 ‧‧‧‧‧‧‧‧‧‧‧‧‧‧‧‧‧‧‧‧‧‧‧‧‧‧‧‧‧‧‧‧‧‧‧‧‧‧‧‧‧‧‧‧‧‧‧‧‧‧‧‧‧‧‧‧‧‧‧‧‧‧‧‧‧‧‧‧‧‧‧‧‧‧‧‧‧‧‧‧‧‧‧‧‧‧‧‧‧‧‧‧‧‧‧‧‧‧‧‧‧‧‧‧‧‧‧‧‧‧‧‧‧‧‧‧11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과정 ‧‧‧‧‧‧‧‧‧‧‧‧‧‧‧‧‧‧‧‧‧‧‧‧‧‧‧‧‧‧‧‧‧‧‧‧‧‧‧‧‧‧‧‧‧‧‧‧‧‧‧‧‧‧‧‧‧‧‧‧‧‧‧‧‧‧‧‧‧11

3. 연구 도구 ‧‧‧‧‧‧‧‧‧‧‧‧‧‧‧‧‧‧‧‧‧‧‧‧‧‧‧‧‧‧‧‧‧‧‧‧‧‧‧‧‧‧‧‧‧‧‧‧‧‧‧‧‧‧‧‧‧‧‧‧‧‧‧‧‧‧‧‧‧‧‧‧‧‧‧‧‧‧‧‧‧‧‧‧‧‧‧‧‧‧‧‧‧‧‧‧‧‧‧‧‧‧‧‧‧‧‧‧‧‧‧‧‧‧‧‧12

4. 윤리적 고려 ‧‧‧‧‧‧‧‧‧‧‧‧‧‧‧‧‧‧‧‧‧‧‧‧‧‧‧‧‧‧‧‧‧‧‧‧‧‧‧‧‧‧‧‧‧‧‧‧‧‧‧‧‧‧‧‧‧‧‧‧‧‧‧‧‧‧‧‧‧‧‧‧‧‧‧‧‧‧‧‧‧‧‧‧‧‧‧‧‧‧‧‧‧‧‧‧‧‧‧‧‧‧‧‧‧‧‧‧‧‧14

5. 분석 방법 ‧‧‧‧‧‧‧‧‧‧‧‧‧‧‧‧‧‧‧‧‧‧‧‧‧‧‧‧‧‧‧‧‧‧‧‧‧‧‧‧‧‧‧‧‧‧‧‧‧‧‧‧‧‧‧‧‧‧‧‧‧‧‧‧‧‧‧‧‧‧‧‧‧‧‧‧‧‧‧‧‧‧‧‧‧‧‧‧‧‧‧‧‧‧‧‧‧‧‧‧‧‧‧‧‧‧‧‧‧‧‧‧‧‧‧‧15

Ⅳ. 연구 결과 ‧‧‧‧‧‧‧‧‧‧‧‧‧‧‧‧‧‧‧‧‧‧‧‧‧‧‧‧‧‧‧‧‧‧‧‧‧‧‧‧‧‧‧‧‧‧‧‧‧‧‧‧‧‧‧‧‧‧‧‧‧‧‧‧‧‧‧‧‧‧‧‧‧‧‧‧‧‧‧‧‧‧‧‧‧‧‧‧‧‧‧‧‧‧‧‧‧‧‧‧‧‧‧‧‧‧‧‧‧‧‧‧‧‧‧‧‧‧‧‧‧‧16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17

(8)

3. 대상자의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건강관련 삶의 질의

기술통계 ‧‧‧‧‧‧‧‧‧‧‧‧‧‧‧‧‧‧‧‧‧‧‧‧‧‧‧‧‧‧‧‧‧‧‧‧‧‧‧‧‧‧‧‧‧‧‧‧‧‧‧‧‧‧‧‧‧‧‧‧‧‧‧‧‧‧‧‧‧‧‧‧‧‧‧‧‧‧‧‧‧‧‧‧‧‧‧‧‧‧‧‧‧‧‧‧‧‧‧‧‧‧‧‧‧‧‧‧‧‧‧‧‧‧‧‧‧‧‧‧‧‧‧‧‧‧18

4.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 ‧‧‧‧‧‧‧‧‧‧‧‧‧19

5.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과의 단순 상관관계 ‧‧‧‧‧‧‧‧‧‧‧‧‧‧21

6.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22

7.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척도 별 추가 분석 ‧‧‧‧‧‧‧‧‧‧‧‧‧‧‧‧‧‧‧‧‧‧‧‧‧‧‧‧‧‧‧‧26

Ⅴ. 고찰 ‧‧‧‧‧‧‧‧‧‧‧‧‧‧‧‧‧‧‧‧‧‧‧‧‧‧‧‧‧‧‧‧‧‧‧‧‧‧‧‧‧‧‧‧‧‧‧‧‧‧‧‧‧‧‧‧‧‧‧‧‧‧‧‧‧‧‧‧‧‧‧‧‧‧‧‧‧‧‧‧‧‧‧‧‧‧‧‧‧‧‧‧‧‧‧‧‧‧‧‧‧‧‧‧‧‧‧‧‧‧‧‧‧‧‧‧‧‧‧‧‧‧‧‧‧‧‧‧‧‧‧‧‧30

Ⅵ. 결론 ‧‧‧‧‧‧‧‧‧‧‧‧‧‧‧‧‧‧‧‧‧‧‧‧‧‧‧‧‧‧‧‧‧‧‧‧‧‧‧‧‧‧‧‧‧‧‧‧‧‧‧‧‧‧‧‧‧‧‧‧‧‧‧‧‧‧‧‧‧‧‧‧‧‧‧‧‧‧‧‧‧‧‧‧‧‧‧‧‧‧‧‧‧‧‧‧‧‧‧‧‧‧‧‧‧‧‧‧‧‧‧‧‧‧‧‧‧‧‧‧‧‧‧‧‧‧‧‧‧‧‧‧‧‧‧‧37

참고 문헌 ‧‧‧‧‧‧‧‧‧‧‧‧‧‧‧‧‧‧‧‧‧‧‧‧‧‧‧‧‧‧‧‧‧‧‧‧‧‧‧‧‧‧‧‧‧‧‧‧‧‧‧‧‧‧‧‧‧‧‧‧‧‧‧‧‧‧‧‧‧‧‧‧‧‧‧‧‧‧‧‧‧‧‧‧‧‧‧‧‧‧‧‧‧‧‧‧‧‧‧‧‧‧‧‧‧‧‧‧‧‧‧‧‧‧‧‧‧‧‧‧‧‧‧‧‧‧‧‧‧‧‧38

부록 ‧‧‧‧‧‧‧‧‧‧‧‧‧‧‧‧‧‧‧‧‧‧‧‧‧‧‧‧‧‧‧‧‧‧‧‧‧‧‧‧‧‧‧‧‧‧‧‧‧‧‧‧‧‧‧‧‧‧‧‧‧‧‧‧‧‧‧‧‧‧‧‧‧‧‧‧‧‧‧‧‧‧‧‧‧‧‧‧‧‧‧‧‧‧‧‧‧‧‧‧‧‧‧‧‧‧‧‧‧‧‧‧‧‧‧‧‧‧‧‧‧‧‧‧‧‧‧‧‧‧‧‧‧‧‧‧‧‧‧‧‧‧‧‧‧‧52

영문 초록 ‧‧‧‧‧‧‧‧‧‧‧‧‧‧‧‧‧‧‧‧‧‧‧‧‧‧‧‧‧‧‧‧‧‧‧‧‧‧‧‧‧‧‧‧‧‧‧‧‧‧‧‧‧‧‧‧‧‧‧‧‧‧‧‧‧‧‧‧‧‧‧‧‧‧‧‧‧‧‧‧‧‧‧‧‧‧‧‧‧‧‧‧‧‧‧‧‧‧‧‧‧‧‧‧‧‧‧‧‧‧‧‧‧‧‧‧‧‧‧‧‧‧‧‧‧‧‧‧‧‧‧‧62

(9)

표 차 례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표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17

표 3. 대상자의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건강관련 삶의 질의

기술통계 ‧‧‧‧‧‧‧‧‧‧‧‧‧‧‧‧‧‧‧‧‧‧‧‧‧‧‧‧‧‧‧‧‧‧‧‧‧‧‧‧‧‧‧‧‧‧‧‧‧‧‧‧‧‧‧‧‧‧‧‧‧‧‧‧‧‧‧‧‧‧‧‧‧‧‧‧‧‧‧‧‧‧‧‧‧‧‧‧‧‧‧‧‧‧‧‧‧‧‧‧‧‧‧‧‧‧‧‧‧‧‧‧‧‧‧‧‧‧‧‧‧‧‧‧‧‧‧‧‧‧‧‧‧‧‧19

표 4.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 ‧‧‧‧‧‧‧‧‧‧‧‧‧20

표 5.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과의 단순 상관관계 ‧‧‧‧‧‧‧‧‧‧‧‧‧‧21

표 6. 다중회귀분석 ‧‧‧‧‧‧‧‧‧‧‧‧‧‧‧‧‧‧‧‧‧‧‧‧‧‧‧‧‧‧‧‧‧‧‧‧‧‧‧‧‧‧‧‧‧‧‧‧‧‧‧‧‧‧‧‧‧‧‧‧‧‧‧‧‧‧‧‧‧‧‧‧‧‧‧‧‧‧‧‧‧‧‧‧‧‧‧‧‧‧‧‧‧‧‧‧‧‧‧‧‧‧‧‧‧‧‧25

표 7.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5

표 8.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신체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6

표 9.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7

표 10.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사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8

표 11. 건강관련 삶의 질 중 독립 문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9

(10)

그 림 차 례

그림 1. 히스토그램 ‧‧‧‧‧‧‧‧‧‧‧‧‧‧‧‧‧‧‧‧‧‧‧‧‧‧‧‧‧‧‧‧‧‧‧‧‧‧‧‧‧‧‧‧‧‧‧‧‧‧‧‧‧‧‧‧‧‧‧‧‧‧‧‧‧‧‧‧‧‧‧‧‧‧‧‧‧‧‧‧‧‧‧‧‧‧‧‧‧‧‧‧‧‧‧‧‧‧‧‧‧‧‧‧‧‧‧23

그림 2. P-P 도표 ‧‧‧‧‧‧‧‧‧‧‧‧‧‧‧‧‧‧‧‧‧‧‧‧‧‧‧‧‧‧‧‧‧‧‧‧‧‧‧‧‧‧‧‧‧‧‧‧‧‧‧‧‧‧‧‧‧‧‧‧‧‧‧‧‧‧‧‧‧‧‧‧‧‧‧‧‧‧‧‧‧‧‧‧‧‧‧‧‧‧‧‧‧‧‧‧‧‧‧‧‧‧‧‧‧‧‧‧‧‧‧‧‧23

그림 3. 산점도 ‧‧‧‧‧‧‧‧‧‧‧‧‧‧‧‧‧‧‧‧‧‧‧‧‧‧‧‧‧‧‧‧‧‧‧‧‧‧‧‧‧‧‧‧‧‧‧‧‧‧‧‧‧‧‧‧‧‧‧‧‧‧‧‧‧‧‧‧‧‧‧‧‧‧‧‧‧‧‧‧‧‧‧‧‧‧‧‧‧‧‧‧‧‧‧‧‧‧‧‧‧‧‧‧‧‧‧‧‧‧‧‧‧‧‧‧‧‧‧24

부 록 차 례

부록 1. 피험자 설명문 및 동의서 ‧‧‧‧‧‧‧‧‧‧‧‧‧‧‧‧‧‧‧‧‧‧‧‧‧‧‧‧‧‧‧‧‧‧‧‧‧‧‧‧‧‧‧‧‧‧‧‧‧‧‧‧‧‧‧‧‧‧‧‧‧‧‧‧‧‧‧‧‧52

부록 2. 설문조사 도구 ‧‧‧‧‧‧‧‧‧‧‧‧‧‧‧‧‧‧‧‧‧‧‧‧‧‧‧‧‧‧‧‧‧‧‧‧‧‧‧‧‧‧‧‧‧‧‧‧‧‧‧‧‧‧‧‧‧‧‧‧‧‧‧‧‧‧‧‧‧‧‧‧‧‧‧‧‧‧‧‧‧‧‧‧‧‧‧‧‧‧‧‧‧‧‧‧‧‧54

부록 3.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서 ‧‧‧‧‧‧‧‧‧‧‧‧‧‧‧‧‧‧‧‧‧‧‧‧‧‧‧‧‧‧‧‧‧‧‧‧‧‧‧61

(11)

국문요약

본 연구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이에 영향을 미치 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 요인이라고 생각되는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 보고 이를 지역사회 및 병원 외래 방문 골관절염 환자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자 교육과 간호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 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경기 수원 소재 A대학병원에서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기 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113부의 자료를 IBM SPSS version 19.0으로 통계분석 하였다.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단순 상관관계 분석결과 에서는 건강관련 삶의 질은 통증, 우울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 으며,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무릎 골관절염 환 자의 삶의 질의 예측변수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주요 예측 변수는 통증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척도 별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척도인 신체 활동은 통증과 자기효능감이, 하위척도 사회 활동은 우울이, 하위척도 정신 건강은 우울과 통증이, 하위척도 독립적 문항에 대 해서는 직업 유무와 통증이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의 통증과 우울을 감소시키며, 자기효능감 을 증진 시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 및 중재 프로 그램 개발과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실증적 기반이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 의 의의가 있다. 핵심어: 무릎 골관절염, 건강관련 삶의 질,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12)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건강관련 삶의 질은 개념적 범위 정도에 따라 수입, 주거장소, 환경, 정 치 등과 같은 속성까지 포함하여 인간의 안녕에 관련된 모든 영역을 반영 한 포괄적(global) 삶의 질과 건강에 국한된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로 분류할 수 있다. 의료보건 분 야에서는 전자보다 후자인 HRQOL 이 주요 관심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보건 영역이 주요 관심사라면 혼동을 피하기 위해 QOL이라 는 표기보다 HRQOL 이라는 표현이 더 적합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이 은현, 2007). 건강관련 삶의 질은 기능적 장애, 정서적 ․ 사회적 안녕과 건강에 대한 인지, 질병과 치료 관련 증상을 포함한 여러 영역의 개념으 로 정의된다(Wallander & Varni, 1998). 의학연구에서 환자들의 삶의 질 이 갖는 의미는 의사만이 알 수 있는 의학적 모형으로 치료의 효과를 제 시하기 보다는, 환자가 이해하기 쉬운 의료행위 결과의 측정방법이며, 질 병에 대한 접근 방식이 신체, 정신, 사회적 요소를 모두 다루고 있기 때문 에, 환자가 인지한 건강관련 삶의 질은 환자가 인지하는 의료행위의 결과 로서 환자들의 질병 경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김정연, 2001). 인구가 점차 노령화되고 만성 질환이 증가함에 따라 삶의 양보다는 삶의 질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만성질환의 예방이나 치료 뿐 만 아니라 재활과 건강증진에도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다(Brandt & Pope, 1997). 질적인 삶의 대한 권리가 인정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만성 퇴행성 질환의 효율적 관리가 절실한 문제이며(이경숙, 최정숙 등, 2001), 건강하게 오래 살고자 하는 욕구에 부합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관 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조민우, 2007).

(13)

특히, 골관절염은, 만성질환 유병률 중에서 세 번째를 차지하고 있으며, 성인의 활동제한을 일으키는 원인 1위로 조사되었다(보건복지부, 2009). 골관절염의 발생은 40대부터 발생률이 현저히 증가하여 50-60대 비율이 가장 높으며 65세 이상의 노인 80%는 골관절염을 가지고 있고, 이들 중 24%는 일상생활의 지장을 받고 있다(Shephard, 1997). 골관절염이 가장 호발이 잘 되는 부위는 슬관절 부위로 우리나라의 생활문화가 서양인에 비해서 대부분의 일상생활 중 쪼그려 앉거나, 무릎 사용이 많은 좌식 생 활이 주를 이루므로 슬관절 손상 위험이 매우 높아(김효숙, 2002), 골관절 염과 관련된 통증이나 신체적 장애는 대부분 슬관절에서 기인되고 있고 (Baker, 2000), 50세 이상의 성인에서 절반이 증상과 함께 방사선학적 무 릎 골관절염을 보여주며, 25% 가량은 심각한 무릎 통증을 가지고 있다 (Peat, 2006). 또한, 지속적인 통증으로 고통을 받게 되는데 통증은 대상자 의 활동범위나 정도를 제한하는 요소로도 작용하게 되며, 통증과의 계속 되는 투쟁은 과다한 에너지 소실을 초래하여 일상생활의 무기력함을 느끼 게 한다. 이와 같이 관절염 환자는 다른 어떤 질환 보다 많은 통증과 신 체적 장애를 경험하게 되고 완치는 현실적으로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관절염을 가진 환자에게 삶의 질은 중요한 이슈가 되어 왔으며 (Burchhardt, 1985), 다양한 증상들이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골관절염 환자 에서 낮은 삶의 질을 초래 하는데(Jakobsson, 2002), 증상 정도에 따라 차 이는 있지만 대체로 다른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다. 이는 다른 어떤 질환에서도 관절염과 같이 오랜 기간에 걸친 장애 를 일으키지는 않으며, 대개의 경우 완치를 바라는 것이 비현실적인 기대 이기 때문에 관절염을 대처함에 있어 개인의 삶의 질에 좀 더 큰 강조점 이 있으며(Labord & power, 1985), 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은 골관절염 을 가진 개개인에게 중요한 목표이다(Carol, 2006).

(14)

부담감, 노동력 감소, 우울, 분노, 삶의 질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되며 (Mahat, 1997), 불안, 자존감 저하와 자기효능감 감소 등과 같은 문제를 경험하기도 한다(Hurley, Mitchell & Walsh, 2003). 일상 활동 정도와 자 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낮을수록, 질병으로 고통 받는 기간이 짧을수록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나타내므로, 만성관절염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요인과 삶의 질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문명자, 1998). 관절염 환 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통증이나 우울을 감소시키고 기능정 도를 증진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된다(오현수, 김영란, 1999).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과 관계가 있는 요인으로는 자기 효능감, 건강증 진행위, 통증, 우울, 가족지지 등으로 선행연구(김종임, 1995, 문미숙, 1994, 임난영, 1998, Borman, 1999, Hurley, 2003, Nity, 2007) 들에서 확인 되었으나 연구자의 관점, 목적에 따라 연구 결과가 일치하지 않고 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 만성 관절염, 노인 관절염 등을 대상으로 삶의 질 에 대해 실시한 연구(Labord & Power, 1985, 문명자, 1998, Hill, 1999, Jakobsson, 2002, 김은정, 2011)들이 있었으나,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 으로 실시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줄 것으로 신체적 요인인 통증과, 인지적 요인인 자기 효능감, 정서적 요 인인 우울이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 련 삶의 질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 한다.

(15)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서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은 건 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있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3. 용어의 정리

1) 건강관련 삶의 질 건강관련 삶의 질은 다차원적이며, 신체적 기능, 심리적 안녕 상태, 사회 적 역할 기능, 그리고 건강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다(Guyatt, 1991). 본 연구 에서는 Francis(2005)가 하지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측정 도구 인 Osteoarthritis Knee and Hip Quality of Life(OAKHQOL)를 사용해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2) 통증

통증은 개인적인 심리적 경험이며(Huskisson, 1974), 실제적이거나 잠재 적인 조직 손상과 관련 되거나, 이러한 손상으로 인해 지각된 불쾌한 감 각적, 정서적인 경험을 말한다(Internatinal association for study of pain, 1979) 본 연구에서는Huskisson(1983)의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16)

3) 우울

우울 감정은 슬프고, 외로운 감정을 포함하고, 신체 및 행동 둔화로 힘들 고 귀찮은 기분을 나타내며, 대인관계는 타인이 나를 부정적으로 생각하 는 것 같다는 느낌을 의미한다(Radloff, 1977). 본 연구에서는 Radloff(1977)가 개발한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CES-D)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4) 자기 효능감 자기효능감은 어떤 결과를 야기하는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 력에 대한 신념(Bandura, 1986)으로 본 연구에서는 Lorig, 등(1989)이 개발 한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김종임(1994)이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 를 말한다.

(17)

Ⅱ. 문헌 고찰

1.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

1) 통증과 건강관련 삶의 질

통증은 기능적인 장애와 함께 골관절염 환자에게서 중요한 증상으로, 만 성적인 통증은 관절 사용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것이 근력을 약화시키고 관절을 불안정하게 하여, 이 불안정한 관절에 가해진 스트레스가 통증과 장애를 가져오게 되고, 결국 근력 약화, 통증 및 장애의 악순환이 지속된 다(Dekkr, 1992). 골관절염의 가장 주요한 증상은 이환된 관절에 나타나는 통증이며 질병의 과정이 만성적으로 진행이 되면서 통증은 점점 심해지는 데(Lozada, 2001), 통증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에 (Borman, 1999), 관절염의 증상 가운데 통증은 관절염 환자들이 가장 먼 저 치료받기를 원한다(Anderson & Bradley, 1994). 춥거나 습기가 많은 날씨에 악화되고 운동 시 쉽게 피로감을 호소하며 관절에 운동장애나 경 도의 종창 및 관절 주위의 압통증을 호소한다(인주철, 1994). 이와 같은 골관절염 환자의 통증은 신체적 장애를 가져오고, 신체적 장애는 사회적 기능 감소를 가져와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Greamer, 2000). 골관절염은 노인들에게 만성적 통증을 유발하고, 이러한 근골격계 통증 은 다양한 장애를 일으키는 특징과 함께 상실감, 사회적 고립감 등의 정 신적 어려움을 유발하여 우울과 관련되어 있다(이경옥, 2002). 또, 통증으 로 인해 우울, 정서적 변화. 사기저하. 무력감, 고립감, 활동 제한이 초래 되고, 치료 결과 관절염의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약 70%의 환자에서는 관절의 통증과 종창이 지속되며 이로 인해 운동 제한이 나타난다고 보고

(18)

되고 있으며(Young, 1992), 만성 관절염 환자들이 경험하는 통증이나 일 상 활동은 때로 객관적인 질병 상태나 건강 행위의 변화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Lenker, 1992; Ward, 1994). 즉 질병 기 간이나 통증 있는 관절의 수, 검사 결과 등이 같다 하더라도 대상자 마다 통증정도나 일상 활동 정도, 심리적인 상태가 다르다고 보고되고 있다 (Hagglund, 1989). 관절염은 만성질환으로 질병 양상이 진행됨에 따라 만 성적인 통증을 경험하게 되고, 병변 부위의 운동장애와 손상으로 인해 일 상생활 의존성을 증가시키게 되며, 통증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치 료방법을 사용해 보지만 적절한 치료법을 찾아내지 못하고 체념하게 때문 에 우울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하였고(길숙영, 2006), 통증 클리닉에 입원한 100명의 만성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3주간 의 통증 치료후 98%의 환자에게서 우울이 없어졌다고 하였다(Maruta, 1989). 만성관절염 환자에서 우울증상이 62.6%에서 나타났으며, 통증정도 가 높을수록 우울정도도 높았다고 하였고(문미숙, 1994), 이은영(2002)의 연구에서는 퇴행성 관절염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통증 지각 이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고 하였다. 이에 무릎 골관절염의 주요 증상 인 만성적인 통증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 할 수 있다.

2) 우울과 건강관련 삶의 질

골관절염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을 포함한 광범위한 신체 질환들은 흔히 이차적인 우울과 연관되어 있다(Buckwalter, 1990). 골관절염의 2가지 주 요 증상인 통증과 장애가 우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이 만성 통증을 좀 더 경험하고 있고, 50퍼센트 이상의 만성 통 증 환자들은 우울을 경험 한다(Thomas, 2007). 그래서 관절염과 같은 만

(19)

성질환의 우울은 생명을 위협하거나 무능하게 하는 장기적인 성인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경험하는 정서적인 합병증으로서 회복을 지연시키거나 질 병을 악화 시키며(신경림 등, 2005), 우울은 그 자체만으로 질병에 대한 적응력을 감소시키기도 한다(송병은, 2000). 특히 골관절염 환자는 일반인 에 비해 우울 점수가 세 배 이상 높고,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Maisiak, 1990), Nity(2007)의 연구에서는 관절염과 우울증세의 상관성이 보고되었다. 이 밖에도 Lin(2008)의 연구에서는 골관절염과 같은 퇴행성 만성 질환 환자는 최적 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자기관리가 반드시 요구되며 특히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만성 관절염 환자에게 자기관리의 기반이 될 뿐 아 니라 우울 치료의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또, 만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 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결과에서 우울은 일상생활과는 유의한 음의 관 계를 나타내었고(김종임, 1995),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관절염 환자들을 대 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중간 혹은 심각한 우울과 불안을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HAQ)로 측정한 결과 32.7%로 보고되었고, EuroQol로 측정한 결과 54.8%가 중간 혹은 심각한 우울과 불안 증상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Wolfe, 1997). 만성통증과 우울의 관계를 알아본 이은옥 외(1993)의 연구에서도 만성통증은 우울의 증상을 일으키고 우울 은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키는 악순환을 야기 시키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 외에 60개국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 세계건강조사(The WHO World Health Survey) 자료 분석을 통해 후두염, 관절염, 천식 및 당뇨병 환자 집단에서 질병이 없는 집단에 비해 우울 증세 비율이 높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Moussavi, 2007). 위와 같이 최근 여러 연구에서 우울 증이 만성 질환과 연관되어 이환 위험성이 가장 높은 질병으로 보고되고 있다(이미숙, 2010). 이에 우울은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주요 증상인 통증 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 한 동시에, 통증으로 유발된 우울은 무

(20)

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상당히 중요한 변 수임을 알 수 있다.

3) 자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

자기효능감은 개인의 실천사회인지 이론에서 Bandura(1985)가 제시한 개 념으로 지식과 실제 행동과의 관계를 설명하며, 건강증진 행위 수행에 중 요한 역할을 한다. 또 개인이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념, 즉 효능기대로서 행위의 선택과 지속에 중요한 영 향을 준다고 하였다(Bandura, 2001). 자기효능감은 어떤 행동을 하고 그 행동을 얼마나 오래 지속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을 하게하며, 어떤 문제에 부딪쳤을 때 얼마나 많은 노력을 하 고 얼마나 그 행동을 지속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또 자신의 성격적 결함 에 집착하거나 상황에 필요한 노력에 집중하는 것, 실패의 원인을 자신의 능력부족이나 노력부족으로 생각하는 것과 관련된 사고와 정서 반응에 영 향을 주며, 미래의 행동을 수동적으로 예견하기 보다는 그 행동을 스스로 만들어 내게 한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지가 낮으면 본인의 성격 적인 결함에 집착하게 되고 잠재적인 어려움을 실제 이상으로 두려워하여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없게 되고 이와 반대로, 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지가 높은 경우에는 더 많은 노력을 하도록 자극을 받게 되어 그 상황 에 필요한 집중력을 갖고 노력하게 된다(Bandura, 1986).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행위 예측 변수로 보고되고 있고, 건강행위를 증진시키는 매개변수로 보고되고 있다 (구미옥, 1994). 또, 건강관련 행위의 수행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는 인지 요소이고(오현수, 1993), 자기효능감의 증진은 자신의 문제행위를 성공적 으로 변화 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높여줌으로써 바람직한 행위를 수행

(21)

하고 유지하는데 필요하다고 보고되고 있다(서남숙, 2005). 또, 공동체에서 거주하는 노인 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효능감과 기능적 수행의 관계를 보여주는 연구에서 높은 자기효능감은 높은 기능적 수행을 예측한 다고 하였고(Rejeski, 1996), 만성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난영(1998) 의 연구에서도 자기효능감과 일상 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낮 았고, 일상 활동 정도가 높고 통증이 적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은옥(1996)의 연구에서도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면 우울 을 감소시켜 간접적으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고 직접 일상 활동도 증진 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또, 류마티스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통 증행위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통증행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통증이 적어진다고 하였고 (Buescher, 1991), 운동이 필요한 관절염 환자에서, 자기효능은 운동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으며(서길희, 2000),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 보다 질병상태가 좋아지고, 일상 활 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기효능감이 독립변수로서 제변수들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이혜란, 2000). 따라서,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자기효능감 역할이 골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과 자기 관리 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하게 규명이 된다면 이 를 강화하는 환자 교육의 이론적 근거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22)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요인과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과정

본 연구는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e Review Board)의 승인을 받 은 후(AJIRB-MED-SUR-11-308), 2012년 01월 31일 부터 05월 29일까지 골 관절염 진단을 받고 경기 수원 A대학 정형외과에 내원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조사자가 자료를 수집하였다. 정형외과 전문 의가 대상자 선정 기준에 적합한 환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 의사를 밝힌 환자를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이 대상자를 간호사가 연 구 조사자에게 안내하면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실시하였다. 만약 대상자가 연구 참여를 수락하면 서면 동의를 받고 설문지를 배부하여 스 스로 기입 하게 하였다. 응답에 소요된 시간은 15~20분 정도였으며, 최종 적으로 11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Cohen(1987)의 공식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 보통의 효과크기(R2=0.15), 검정력 .80, 독립변수 3개일 때 약 75명의 대상자가 요구되므로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적정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자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1) 무릎에 통증이 있는 환자.

(23)

2) Bone scan 검사를 통해 0~1등급의 진단을 받은 환자 3) 의사의 무릎 골관절염 진단을 받은 환자.

3. 연구 도구

1)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측정도구는 Francis 등(2005)이 무릎이나 엉덩 이 관절 골관절염이 있는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을 위해 개발한 Osteoarthritis of Knee and Hip Quality of Life(OAKHQOL)를 사용하였 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기 위해 원저자로부터 사용승인을 받고 영어로 된 버전을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번역은 영어와 한국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정형외과 임상의의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쳤다. 개발 당시 46문항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43문항을 도출 하였다. 이 설문지는 자가 기입 설문지로, 15-20분 정도 소요 되며, 신체활동 16문항, 정신건강 13문항, 통증 4문항, 사회적 지지 4문항, 사회적 활동 3문항, 독립적인 문항(배우자, 성생활, 직 업과 관련 된) 3문항의 총 43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0점에서부터 10점까 지 11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총점은 각 항목의 점수를 표준화하여 0점 (최악의 삶의 질)에서 100점(가능한 최고의 삶의 질)으로 나타냈다. 개발 당시 도구의 질적, 양적인 확인을 위해 개념의 정의, 항목의 일반화, 표본 조사, 목차 일반화, 목차 분석 및 항목 설계, 항목 선택의 절차를 거쳤고, 구성 타당도, 검사-재검사 등의 절차를 통해 심리 계량적 속성을 검증 하 였다. 각 하위척도의 Chronbach's alpha는 신체활동이 .96, 정신건강이 .93, 통증이 .90, 사회적 활동이 .72, 사회적 지지가 .80으로 나타났으며 (Goetz, 등 2011), 본 연구에서는 나타난 Chronbach's alpha=.95 이었다.

(24)

2) 통증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통증 정도는 양극단에 전혀 아프지 않다(0)와 매우 아프다 (10)가 쓰여진 100mm의 선으로 된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 VAS)로 대상자에게 현재 느끼는 통증을 표시하도록 하여 점수를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Huskisson, 1983).

3) 우울 측정도구

우울에 대한 측정도구는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 (CES-D)를 사용하였다. CES-D는 미국 지역사회 정신건강 사정 프로그램 의 일환으로 개발된 것이며(Radolff, 1977), 척도의 문항은 4점 척도로 구 성되었다. ‘거의 드물게’ 0점, ‘때로’ 1점, ‘상당히’ 2점, '대부분‘ 3점으로, 최저 0점에서 최고 60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 정도가 높은 것 을 의미한다. 전체 20문항 가운데 4문항(4, 8, 12, 16 문항)은 긍정적 문항 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역환산하여 채점하였으며, 한국판 CES-D(전겸구, 2001) 개발 당시 Chronbach's alpha=.89로 나타났고, 간이 정신 진단 검사 와의 관계에서 최소한의 만족할 만한 수준의 공존 타당도를 보여주었다. 이후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4요인 구조로 나타났고, 이 4요인 에 의하여 설명되는 변량이 62.3%로 나타나 충분한 변량이 설명되었으며, Chronbach's alpha=.91로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Chronbach's alpha=.89로 나타났다.

4) 자기효능감 측정도구

(25)

자기효능감에 대한 측정도구는 Logic 등(1989)이 만성 관절염 환자의 자 기효능감 측정을 위해 개발한 도구로, 4그룹의 환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하였다. 개발 당시에는 3개의 하부척도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하위척도의 신뢰도는 통증이 .75, 기능 상태가 .90, 심리적 문제해결이 .87로 나타났다. 이를 김종임(1994)이 수정한 도구로, 14문항으로 구성 되 었고, Chronbach's alpha=.92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10점 ‘전혀 자신 없다.’에서 100점 ‘완전히 자신 있다.’의 10점 척도로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Chronbach's alpha=.84이었다.

4. 윤리적 고려

연구에 대한 윤리적 고려를 위하여 본 연구는 A대학병원의 기관윤리심 의위원회(Institusional Review Borad, IRB)에 연구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 (AJIRB-MED-SUR-11-308)을 받고 진행한 연구로<부록3>, 연구의 선정기준 과 탈락기준에 벗어나지 않고, 의사로부터 골관절염 진단을 받은 외래 내 원 중인 연구 대상자들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자율적으로 선택을 할 수 있게 했으며, 동의 의사를 밝히면 서면 동의를 구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철저한 비밀 보장을 약속했고, 본 연구 참여로 인해 겪게 될 위험요인이나 지출해야 할 비용은 전혀 없 었다. 또한 설문조사에 참여해주신 대상자에게는 감사의 표시로 소정의 기념품을 전달했다.

(26)

5.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다 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수, 백분율, 평 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관련 요인과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 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범위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 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독립표본 t 검정 (Independent t-test)를 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통증, 우울, 자 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을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27)

Variables Category n % Mean(SD) 성별 남 24 21.2 여 89 78.8 연령 만 50세 이하 20 17.7 57.8±8.59 만 50세 초과 93 82.3 직업 유무 유 44 38.9 무 69 61.1

Ⅳ.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연구대상자는 총 113 명으로 남자가 24명(21.2%), 여자가 89명(78.8%)로 여성이 3배 이상 많았 다. 나이는 만 50세 이하가 20명(17.7%), 만 50세 초과가 93명(82.3%)으로, 50대 초과가 역시 3배 이상 많았고, 평균 57.8(±8.59)세 이었다. 직업 유무 에 대해서는 직업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44명(38.9%), 없다고 응답한 사 람이 69명(61.1%)로 나타났다.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13)

(28)

Variables Category n % Mean(SD) 골관절염 등급 (K-L grade) grade 2 84 74.3 grade 3 25 22.1 grade 4 4 3.5 BMI(kg/m2) <25 50 44.3 25.19±2.42 25 63 55.7 유병기간 (year) 5년 이하 96 85.0 3.63±4.04 5년 초과 17 15.0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은 <표 2>와 같다. 무릎 골관절염의 방 사선학적 진단 방법에 의한 K-L grade에서는 grade 2가 84명(74.3%)로 가 장 많았다. 비만 정도를 확인 할 수 있는 BMI를 살펴보면 정상이 50명 (44.3%), 과체중이 63명(55.7%)으로, 평균이 25.19(±2.42)로 나타났으며, 과 체중인 대상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유병기간은 5년 이하가 96명(85.0%), 5년 초과가 17명(15.0%)이었으며, 평균 유병기간은 3.63(±4.04)년으로 나타났다. <표 2>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N=113)

(29)

3. 대상자의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건강관련 삶의 질의

기술통계

연구 변수 중 연속 변수인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을 한 결과 <표3>과 같다. 통증은 최저 0점, 최고 10 점이며, 평균 평점 3.63(±2.07)점 이었고, 우울은 최저 0에서 최고 36점으 로 평균은 19.68(±7.48)점 이었다. 자기효능감은 최저 430점에서 최고 1,300점으로 평균 평점은 1,044.42(±159.29)점 이었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 전체 점수는 최저 18점에서 최고 98점이었으며, 평균은 58.09(±16.88)점으 로 나타났다. 추가로 건강관련 삶의 질 하부척도별 기술통계 분석을 시행 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신체 활동에 대한 점수는 최저 11점에서 최 고 98점이었으며, 평균 평점은 64.87(±19.92)점 이었다. 정신 건강에 대한 점수는 최저 16점에서 최고 100점으로 평균은 61.70(±21.67)점 이었으며, 통증에 대한 점수는 최저 0점에서 최고 100점으로 평균 69.47(±19.15)점 이었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점수는 최저 0점에서 최고 100점으로 평균 39.03(±21.67)점 이었고, 사회 활동에 대한 점수는 최저 0점에서 최고 100 점으로 53.72(±23.54)점 이었다. 마지막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중 독립적 문항은 최저 0점에서 최고 100점으로 평균 58.64(±30.14)점 이었다.

(30)

Variables Mean SD Actual Range 통증 3.63 2.07 0 - 10 우울 19.68 7.48 0 - 36 자기효능감 1044.42 159.29 430 - 1300 건강관련 삶의 질(전체) 58.09 16.88 18 - 98 건강관련 삶의 질(신체 활동) 64.87 19.92 11 - 98 건강관련 삶의 질(정신 건강) 61.70 21.67 16 - 100 건강관련 삶의 질(통증) 69.47 19.15 0 - 100 건강관련 삶의 질(사회적 지지) 39.03 21.67 0 - 100 건강관련 삶의 질(사회 활동) 53.72 23.54 0 - 100 건강관련 삶의 질(독립적 문항) 58.64 30.14 0 - 100 <표 3> 대상자의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건강관련 삶의 질의 기술통계 (N=113)

4. 일반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 계를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분석하였다<표 4>. 그 결과 연 령, 최종학력, 직업유무, 유병기간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연령에서는 만 50세 이하와(64.55±12.37점), 만 50 세 초과(56.70±17.44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t=2.38, p=.02), 직 업에 있어서는 직업이 있는 대상자(64.46±14.90점)와 직업이 없는 대상자 (54.03±16.91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34, p=.00). 마지막으로 유병기간에서는 5년 이하(59.61±16.29점)와 5년 초과(48.49±17.41점) 사이에

(31)

Variables Category M±SD t p 성별 남 63.08±18.53 1.65 .10 여 56.74±16.26 연령 만 50세 이하 64.55±12.37 2.38 .02 만 50세 초과 56.70±17.44 직업 유무 직업 유 64.46±14.90 3.34 .00 직업 무 54.03±16.91 유병 기간 5년 이하 59.61±16.29 2.57 .01 5년 초과 48.49±17.41 비만도 <25 59.07±17.00 .63 .53 25 57.04±16.88 골관절염 등급 경증 59.04±16.60 1.02 .31 중증도 이상 55.34±17.69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57, p=.01). <표 4>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 (N=113)

(32)

건강관련 삶의 질 통증 우울 자기 효능감 건강관련 삶의 질 통증 -.539** 우울 -.317** .365** 자기효능감 .421** .-.553** -.511**

5.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과의 단순 상관관계

대상자의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단순 상관관계 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 과, <표5>와 같았다. 건강관련 삶의 질과 통증(r=-.539, p<.01)은 유의한 중등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과 우울(r=-.317, p<.01)은 유의한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과 자기 효능감(r=.421, p<.01)은 유의한 중등도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통증과 우울(r=.365, p<.01)은 유의한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통증과 자기 효능감(r=-.553, p<.01) 또한 유의한 중등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 울과 자기효능감(r=-.511, p<.01)은 유의한 중등도의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 다. <표 5>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 요인과의 단순 상관관계 (N=113) *p<.05 **p<.01

(33)

6.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요인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이전에 다중회귀진단을 먼저 실시하였다. 독립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를 확인 한 결과 <표 5>와 같이 상관계수 r=.008 -.553으로 .80이상인 변수가 없어 각 예측 변수들은 독립적임을 확인 하였 다. 또한 정규성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히스토그램과 P-P 도표를 시행한 결과, fan 현상이 없어 정규성을 만족하였다<그림 1,2>. 등분산 검 정(homogeneity)을 위해 산점도를 그린 결과, 등분산의 가정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 또한 적합한 회귀모형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 해 Cook's distance 통계량을 본 결과, .000 - .093으로 모두 1.0미만으로 나타나 안정성을 확보하였다. 또, 개체간의 독립성(자기상관)을 나타내는 Durbin-Waston 통계량은 2.069로 독립성의 문제는 없었으며, 다중 공선성 (multicollinearity)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는데, 공차한계가 .582 - .586로 모 두 0.1이상의 수치를 보였고, 분산팽창인자는 1.105 - 1.873으로 모두 8이 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다중 회귀식의 가정이 모두 충족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직업 유무와 질병관련 특성인 유병 기간 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기 때문에 이 변수들과 통 증, 우울, 자기효능감이 동시에 건강관련 삶의 질을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 다. 건강관련 삶의 질 분산의 37.3%가 설명 되었고(R2=.373),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F=10.512, p<.01)<표 6>. 여러 독립 변수들 중에 통증이 건강 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7>.

(34)

<그림 2> P-P 도표 <그림 1> 히스토그램

(35)
(36)

Variables B SE β t p (상수) 82.836 19.761 연령 -.202 .197 -.103 -1.023 .309 직업 유무 -4.747 3.302 -.138 -1.438 .153 유병 기간(yrs) -.665 .429 -.124 -1.551 .124 통증 -3.427 .797 -.421 -4.301 .000 우울 -.148 .208 -.065 -.710 .479 자기효능감 .007 .011 .068 .648 .519 Variables R R2 F p 연령, 직업 유무, 유병 기간,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 .611 .373 10.512 .00 <표 6>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N=113)

<표 7>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13)

(37)

Variables B SE β t p (상수) 77.120 22.006 연령 -.345 .220 -.149 -1.570 .119 직업 유무 -.369 3.686 -.009 -.100 .921 유병 기간(yrs) 5.338 4.176 .096 1.278 .204 통증 -4.866 .870 -.506 -5.592 .000 우울 -.030 .231 -.011 -.131 .896 자기효능감 .024 .012 .194 1.953 .053

7.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척도 별 추가 분석

추가분석으로 어떤 독립변수가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척도에 영향을 미 치는 지 확인하기 위해 건강관련 삶의 질의 각 하위척도 별 다중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로, 건강관련 삶의 질 하부척도인 신체 활동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령, 직업 유무, 유병 기간,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신체 활동을 넣어 다중회귀분석을 하 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신체 활동의 44.5%가 설명 되었고(R2=.445),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F=14.190, p<.01). 여러 독립 변수들 중에 통증과 자기효능감이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신체 활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 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8>. <표 8>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신체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13) Note : 직업(있음=0, 없음=1)

(38)

Variables B SE β t p (상수) 89.866 22.135 연령 -.310 .221 -.123 -1.402 .164 직업 유무 1.820 3.708 .041 .491 .624 유병 기간(yrs) -3.848 4.201 -.064 -.916 .362 우울 -.685 .232 -.236 -2.951 .004 통증 -4.790 .875 -.458 -5.473 .000 자기효능감 .019 .013 .141 1.536 .127 다음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 하였다. 연령, 직업 유무, 유병 기간,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정신 건강을 넣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정신 건강의 52.6%가 설명 되었고(R2=.526),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F=19.615 p<.01). 여러 독립 변수들 중에 통증과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정신 건강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9>. <표 9>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13) Note : 직업(있음=0, 없음=1) 다음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 인하였다. 연령, 직업 유무, 유병 기간,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

(39)

Variables B SE β t p (상수) 31.004 31.856 연령 .556 .318 .203 1.748 .083 직업 유무 -5.797 5.322 -.121 -1.089 .279 유병 기간(yrs) -.609 .691 -.081 -.881 .380 통증 .498 1.285 .044 .387 .699 우울 .688 .335 .218 2.051 .043 자기효능감 -.018 .018 -.124 -1.014 .313 련 삶의 질 중 사회적 지지를 넣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건강관련 삶 의 질 중 사회적 지지의 9.7%가 설명 되었지만(R2=.097), 회귀모형은 유의 하지 않았다(F=1.907 p=.086). 이어서,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사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 하였다. 연령, 직업 유무, 유병 기간,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사회 활동을 넣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사회 활동의 16.2%가 설명 되었고(R2=.162),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F=3.420, p<.01). 여러 독립 변수들 중에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사 회 활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10>. <표 10>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사회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13) Note : 직업(있음=0, 없음=1)

(40)

Variables B SE β t p (상수) 101.646 36.831 연령 -.500 .368 -.142 -1.358 .177 직업 유무 -13.836 6.154 -.225 -2.248 .027 유병 기간(yrs) -1.035 .799 -.108 -1.295 .198 통증 -3.313 1.485 -.228 -2.231 .028 우울 -.413 .388 -.102 -1.065 .289 자기효능감 .017 .021 .092 .837 .404 다음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중 독립적 문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 인 하였다. 연령, 직업 유무, 유병 기간,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 련 삶의 질 중 독립 문항을 넣어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중 독립적 문항의 31.7%가 설명 되었고(R2=.317), 회귀모형은 유의하였 다(F=8.196, p<.01). 여러 독립 변수들 중에 직업 유무와 통증이 건강관련 삶의 질 중 독립적 문항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의하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 났다<표 11>. <표 11> 건강관련 삶의 질 중 독립적 문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13) Note : 직업(있음=0, 없음=1)

(41)

Ⅳ. 고 찰

본 연구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인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건강관련 삶의 질을 예측하는 변수를 알아보았다.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독립변수들의 상관관계를 확 인 한 결과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이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 울과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 이 높을수록 우울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난 Lorig 등(1989), 이은옥 (1996), 황인옥(2004)의 연구와 일치하였고,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건강관 련 삶의 질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오현수(1993)의 연구에서는 자기 효능감은 건강증진행위를 통해 간접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보고 하였다. 삶의 질과 우울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삶의 질이 높 을수록 우울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문명자(1998)의 연구와 우울정도 가 높으면 삶의 만족이 낮다는 Carol(1999)의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통증과 우울 사이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여러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문미숙, 1994, 이은옥, 1993, 이경 옥, 2002, Nity, 2007). 통증과 자기효능감에서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통증이 심하지 않은 환자가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결과는 통증과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고 한 연구들과 일치한다(Lorig, 1989, Buescher, 1991, 이은옥, 1996, 황인 옥, 2004). 통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관계 결과를 보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통증이 심할수록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42)

이는 통증 지각이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다고 한 이은영(2002)의 연구와 일치하며 통증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한 Greamer(2000)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세 독립변수들은 종속변수인 건강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건강관련 삶의 질 과 통증, 우울, 자기효능감은 유기적인 관계에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통증이 무릎 골관절염 환자 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기여를 하는 예측 변수 이었다. 즉, 통증이 심할수 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만성통증을 가진 노인들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장애정도, 신체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을 확인 하였는데, 통증이 가장 영향력 높은 요인이라고 한 손정태 등 (2002)의 연구와도 일치하였으며,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오현자 (2000)의 연구에서도 삶의 질과 통증정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 로 나타났다. 통증이 증가할수록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에 (Borman, 1999), 관절염의 증상 가운데 통증은 관절염 환자들이 가장 먼 저 치료받기를 원하며(Anderson & Bradley, 1994), 이들은 통증 대처를 위해 무엇이든 하기, 종교,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 청하기, 약물이나 물리 치료, 긍정적인 재평가, 휴식, 다른 사람과의 비교, 울거나 비관적인 생각, 질병에 대한 정보 추구 등을 시행하는데(Abraido 등, 1996), 이와 같이 무 분별한 통증 관리는 통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또, 반대로 만성 통증 에 대해 무력하고 수동적인 통증 대처는 통증의 치료, 장애, 우울과 관련 되어 있음을 시사한다(Samwel, 2006). 이에 통증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으로 통증 관리를 할 수 있게 하는 환자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환자 교육은 환자가 그들의 치료에 관한

(43)

결정을 만들도록 도우며 질병 결과를 다루는데 필요한 자기 관리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 또한 지식의 변화를 초래 할 뿐 아니라 행위와 건강 상태 의 변화를 초래해야 한다(Taal, 1995). 따라서 무릎 골관절염 환자를 위한 교육은 일회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환자 지식을 변화 시 키며, 통증에 대해 적극적이며, 적절한 대처를 도울 수 있는 실질적인 교 육 시스템 개발이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위와 같이 전체 건강관련 삶의 질의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구체적인 관 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위척도 별로 추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첫 번 째로 하위척도 중 신체 활동은 자기효능감과 통증이 예측변수로 나타났 다. 신체 활동은 건강유지 및 체력 단련은 물론 일상생활에서 오는 스트 레스를 해소하여 에너지를 재충전하게 하고 심리적으로도 자기 자신에 대 한 강한 자신감을 가지게 한다는 것을 의심할 여지가 없다(현승권, 2004). 또, 규칙적인 신체 활동은 신체 기능을 증진 시킬 뿐 아니라 심리, 사회적 건강을 증진시킨다(왕명자, 2010) 다발성 경화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에서 신체 활동은 우울, 피로, 통증,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환 자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련이 있다고 한 결과(Motl, 2009) 또한 무 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신체 활동 영역에서 중요한 예 측 변수는 자기효능감과 통증이라는 것을 주지시킨다. 자신의 삶을 계획 하고 목표를 실현하며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체적인 활동 능력과 인지기능 이 좋아야 하며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실현시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상 의 것을 해낼 수 있는 자기효능감이 받쳐주어야 한다(왕명자, 2010) 자기 효능감은 개인이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 는 신념, 즉 효능기대로서 행위의 선택과 지속에 중요한 영향을 주며, 낮 은 자기효능감을 가진 환자는 일상생활 중 신체 활동을 줄일 가능성이 높

(44)

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Bandura, 1986). 통증과 신체 활동에 대한 선행 연구를 보면,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에서 만성 통증이 신체 활동을 감소시키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로 요통이 발생한지 1년 후 요통 환자의 신체 활동과 체중이 유의 하게 감소되었음을 보고 하여(Bousema 등, 2007), 통증과 신체 활동의 관 련성을 입증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신체 활동에 대 한 연구에서는 신체 활동 감소는 통증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하며, 노화 및 통증과 기능 제한이 동반되면 신체 활동의 재개와 기능 회 복을 더 힘들게 하는 악순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2)고 하였다. 골관절염 환자들은 대부분 통증을 호소하며, 노 년층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노년층들은 건강에 관심이 매우 높은 반면 운 동의 실천 및 지속적인 참여도는 낮다. 이에 대해 자기효능은 운동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으므로(서길희, 2000), 자기효능감의 증진과 통증 감소를 주 목적으로 하여, 무릎 골관절염 환자 의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신체 활동을 높여 줄 수 있는 운동 및 교육 프로 그램 개발이 필요 하다. 두 번째로,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중 정신 건강은 우 울과 통증이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골관절염의 2가지 주요 증상인 통증과 장애가 우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통증에 관한 연구에서 우울 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이 만성 통증을 좀 더 경험하고 있고, 50퍼센트 이 상의 만성 통증 환자들은 우울을 경험 한다(Thomas, 2007)는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만성 관절염 환자에서 주요 증상은 통증이며, 통증이 지 속되고 질병의 과정이 길어짐에 따라 역할 상실, 경제적 부담, 노동력 감 소, 우울, 삶의 질 저하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Mahat, 1997). 특히 통증 이나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준다(Laborde & Power, 1985). 이를 통해

(45)

통증과 상호작용하는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효과적인 통증 대처를 선택 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건강관련 삶의 질을 증진 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 함을 알 수 있다. 세 번째로, 건강관련 삶의 질의 하위척도 중 사회 활동은 우울이 예측변 수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 활동에 참여한 노인집단이 참여하지 않는 집 단 보다 생활 만족도가 높아 결과적으로는 우울이나 소외감 혹은 외로움 을 감소시켜준다는 Bull(1975)의 결과와 일맥상통 한다. 또, 여성 독거노인 의 사회 활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남기민, 2011)에서도 여성 독거노인의 사회 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우울이 감소되 어 간접적으로도 삶의 질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고 하였고, 고령기에 사회 활동에 참여를 많이 하면 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우울 성향 이 낮아지며,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빈도가 높고 사회 활동과 여행, 운동, 자원 봉사활동 등을 활발히 하는 노인이 우울정도가 낮다는 김도환(2001) 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의 우울을 낮추며, 사회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여러 각도의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 하였으며, 사회적 교류와 활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 수 있도록 사회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 다. 지역사회를 위주로 하여 무릎 골관절염 환자들의 기분 전환을 돕는 여가나 취미 활동 프로그램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직업 상태와 배우자와의 관계를 묻는 독립적 문항은 직업 유 무와 통증이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직업 유무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해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 또한 직업이 있는 사람에 비해 없는 사람의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한미아(2008)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강현옥(2008)의 연구에서는 노년기 활동 지향 성이 높을수록 직업 활동 참여 동기와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했다. 직업은

(46)

사회참여 활동의 일부이며, 이를 통해 가족, 직장 동료들과 돈독한 유대감 형성과 경제적 여유 등을 이유로 삶의 만족감을 얻게 된다. 각 개인의 적 성과 능력에 맞는 역할을 부여해서 사회활동 참여를 지지하면,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결과를 가져 올 것이라고 생각되므로, 교육 프로 그램의 일환으로 직업 및 사회 참여에 대한 부분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 근골격계 질환과 관절염, 골절과 같은 정형외과적 질환은 성기능에 영향을 주고, 통증과 활동 제한은 성생활을 어렵게 만들고(Kaiser, 2003), 골관절염 환자의 25%가 그들의 성생활에 대해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Newman, 2007). 성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을수록 삶의 만족 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김윤정, 2003), 성생활 유무와 성생활 만족도 는 삶의 질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진선희(2008)의 연구 결과와도 일 치하여,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성생활은 부부관계의 원활함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배우자는 가족 지지를 통해 관계 형성을 강화 시키며(Morris, 2006), 가족의 지지는 만성 질환자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와 우울, 불안, 무기력증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Okkenon, 2005), 배우자와의 원활한 관계 유지 또한 무릎 골관절 염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증과 우울, 자기효능감이 무릎 골관절염 환자의 건강관 련 삶의 질의 예측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 평생 동안 질병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무릎 골관절염 환자에게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통증과 우울을 감소시켜주고, 사회 활동 참여로 인해 주변 사람들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정신 건강의 안녕 상태를 유지해, 결과적으로는 건강관련 삶의 질을 긍정적으로 향상 시켜 줄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이미

수치

표 차 례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6 표 2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에서는 척추측만증이 있는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하타요가 프로그 램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연구자의 전체 8명의 측만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19c m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집단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 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사후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High complication rate in locking plate fixation of lower periprosthetic distal femur fractures in patients with total knee arthroplasties.. Management and

85%로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집단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사후검사에서는

골다공증은 성별 연령 체중 흡연 여부 등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 , , 연구에 등록된 환자를 대상으로 골다공증점수와의 관계를 단순상관관계 분석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quality of life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and as reflected in this popular desire, kiosks provide various forms of food-related information and hav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