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학Ⅱ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해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수학Ⅱ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해설"

Copied!
5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Ⅰ. 집합과 명제

Ⅱ. 함수

Ⅲ. 수열

Ⅲ. 지수와 로그

®

[수학Ⅱ]

내신・모의고사

대비

T

E

S

T

[정답 및 해설]

(2)

Ⅰ- 1. 집합 본문 350~355쪽 01020304 12 05 16 0607 64 0809 10 1011 6 12 {2} 13 6 14151617 7 18192021 112 22②, ⑤ 23 110 24 63 25 2 26 31 272829 128 S U M M A C U M L A U D E

0

1

① {1, 2, 3, 5, 6, 10, 15, 30} ② {1, 2, 3, 4, 5, 6, 7, 8, 9, 10} ③‘가까운’은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집합이 아니다. ④ 백두산과 한라산의 높이는 명확한 기준이므로 집합이다. ⑤ {2, 4, 6, y} ③

0

2

{x|x는 7의 양의 약수}={1, 7}이고 {1, 7};A=0이므로 두 집합 {1, 7}과 A는 서로소이다.

0

3

A'(AÇ ;B)=(A'AÇ );(A'B) =U;(A'B) =A'B

0

4

A={2, 3, 4, 5, 6}이고 A-B={2, 6}이므로 A;B={3, 4, 5} 따라서 모든 원소의 합은 3+4+5=12 12

0

5

두 집합 {{3, 4}}와 {3, 4}는 서로 다르므로 집합 안에 1에서 7까지의 자연수가 모두 들어 있다고 해서 부분 집합의 개수가 2‡ =128인 것은 아니다. 전자의 경우는 원 소가 1개 있는 것으로 취급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원 소가 2개 있는 것으로 취급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집합 A의 원소는 4개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2› =16이다. 16

0

6

집합 A의 원소의 개수가 5이므로 부분집합의 개수는 2fi =32이고, 이 중에서 홀수인 원소 1, 3, 5를 제외 한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 {2, 4}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 =4이므로 홀수가 한 개 이상 속해 있는 부분집합의 개 수는 32-4=28

0

7

집합 C의 원소 c를 구해 보면 a=1, b=-2 Δ c=1_(-2)+(-2)¤ =2 a=1, b=0 Δ c=1_0+0¤ =0 a=1, b=2 Δ c=1_2+2¤ =6 a=2, b=-2 Δ c=2_(-2)+(-2)¤ =0 a=2, b=0 Δ c=2_0+0¤ =0 a=2, b=2 Δ c=2_2+2¤ =8 a=3, b=-2 Δ c=3_(-2)+(-2)¤ =-2 a=3, b=0 Δ c=3_0+0¤ =0 a=3, b=2 Δ c=3_2+2¤ =10 집합 C={-2, 0, 2, 6, 8, 10}으로 원소의 개수는 6이 므로 C의 부분집합의 개수는 2fl =64이다. 64

(3)

수학Ⅱ

Ⅰ- 1. 집합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03

Ⅰ- 1. 집합

0

8

a+b이므로 A는 완전제곱수를 원소로 가진다. 집합 {1, 4, 9}의 부분집합 중 두 개의 원소를 가지는 집합 은 조건을 만족하므로 이들 집합의 개수는 3이고, 또한 집 합 {2, 8}도 조건을 만족하므로 구하는 집합 A의 개수는 3+1=4이다.

0

9

A={2, 3, 5, 7}의 부분집합 중에서 원소의 개 수가 소수가 되려면 집합 A의 부분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2 또는 3이어야 한다. 원소의 개수가 2인 A의 부분집합은 {2, 3}, {2, 5}, {2, 7}, {3, 5}, {3, 7}, {5, 7}로 6개이 고, 원소의 개수가 3인 A의 부분집합은 {2, 3, 5}, {2, 3, 7}, {2, 5, 7}, {3, 5, 7}로 4개이다. ∴ 6+4=10 10

10

1이 포함된 원소가 2개 이상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2fi —⁄ -1=15 1은 포함되지 않고 2는 포함된 원소가 2개 이상인 부분집 합의 개수는 2fi —¤ -1=7 1, 2는 포함되지 않고 3은 포함된 원소가 2개 이상인 부분 집합의 개수는 2fi —‹ -1=3 1, 2, 3은 포함되지 않고 4는 포함된 원소가 2개 이상인 부 분집합의 개수는 2fi —› -1=1 1, 2, 3, 4는 포함되지 않고 5는 포함된 원소가 2개 이상인 부분집합은 없다. ∴ 15_1+7_2+3_3+1_4=42

11

A={4, 8, 12, y, 48}, B={6, 12, 18, y, 48}, C={8, 9, 10, y, 19}이므로 A;BÇ ={4, 8, 16, 20, 28, 32, 40, 44}이다. ∴ (A;BÇ );CÇ ={4, 20, 28, 32, 40, 44} 따라서 (A;BÇ );CÇ 의 원소의 개수는 6이다. 6

12

가장 작은 소수는 2이므로 a=2이다. 따라서 b=a¤ =2¤ =4이므로 A={1, 2, 3}, B={2, 4, 6} ∴ A;B={ 2 } {2}

13

A;B={2}에서 x¤ -2ax+a¤ =0에 x=2를 대입하면 4-4a+a¤ =0 ∴ a=2 ∴ A={2} 그런데 A'B={1, 2}이므로 B={1, 2}이다. 즉, x¤ -bx+2=0의 두 근이 1, 2이므로 근과 계수의 관 계에 의하여 b=1+2+3 따라서 ab=2_3=6이다. 6

14

두 집합 A'BÇ , (A;B)Ç 을 벤 다이어그램으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U A B (A;B)Ç U A B A'BÇ

(4)

ㄱ. 위의 벤 다이어그램이 나타내는 집합을 보면 두 집합 의 합집합이 전체집합과 같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을 식 으로 구해 보면 (A'BÇ )'(A;B)Ç =(A'BÇ )'(AÇ 'BÇ ) =(A'AÇ )'(BÇ 'BÇ ) =U'BÇ =U ㄴ. ∴ U=(A'BÇ )'(A;B)Ç ={2, 4, 5, 8, 12}'{1, 3, 5, 9} ={1, 2, 3, 4, 5, 8, 9, 12} (참) ㄴ. 위의 벤 다이어그램에서 A;B=(A'BÇ )-(A;B)Ç 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A;B={2, 4, 5, 8, 12}-{1, 3, 5, 9} ={2, 4, 8, 12} (거짓) ㄷ. 드모르간의 법칙에 의해 AÇ ;B=(A'BÇ )Ç 이므로 AÇ ;B=(A'BÇ )Ç =U-{2, 4, 5, 8, 12} ={1, 3, 9} ㄷ.따라서 집합 AÇ ;B의 원소의 개수는 3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15

주어진 벤 다이어그램의 색칠된 영역이 나타내 는 집합은 A-B, 즉 A;BÇ 이다. ① A-B=A;BÇ

② A;(A-B)Ç =A;(A;BÇ )Ç =A;(AÇ 'B) =(A;AÇ )'(A;B)=A;B ③ A-(A;B)=A;(A;B )Ç =(A;AÇ )'(A;BÇ )

=A;BÇ

④ AÇ ;A=A;BÇ

⑤ A;(A;B)Ç =A;(AÇ 'BÇ )

=(A;AÇ )'(A;BÇ )=A;BÇ 따라서 벤 다이어그램이 나타내는 집합이 아닌 것은 ②이다.

16

ㄱ. A-BÇ =A;(BÇ )Ç =A;B (참) ㄴ. (A-B)-C=(A;BÇ )-C =A;BÇ ;CÇ =A;(B'C)Ç =A-(B'C) (참) ㄷ. A;(B-A)Ç =A;(B;AÇ )Ç =A;(BÇ 'A) =A (∵ A,(BÇ 'A)) (B-A);A=(B;AÇ );A=0이므로

{A;(B-A)Ç }'{(B-A);A}=A'0=A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17

A,C,B를 만족시켜야 하므로 집합 C는 집 합 B의 부분집합으로 A의 원소인 1과 2를 반드시 원소 로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집합 C의 개수는 2‹ =8이다. 그런데 B+C이므로 만족시키는 집합 C의 개수는 8-1=7이다. 7

18

ㄱ. 3 이하의 소수는 2, 3이므로 A£={2, 3} 4의 양의 약수는 1, 2, 4이므로 B¢={1, 2, 4} ∴ A£;B¢={2} (참)

(5)

수학Ⅱ

Ⅰ- 1. 집합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05

Ⅰ- 1. 집합

a…n<n+1이고 a는 소수이므로 a<A«≠¡ ∴ A«,A«≠¡ (참) ㄷ. (반례) m=4, n=8이면 B¢={1, 2, 4}, B•={1, 2, 4, 8}이므로 B¢,B• ㄷ. 그런데 4는 8의 배수가 아니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②

19

{(A;B)'(A-B)};B=B HjK {(A;B)'(A;BÇ )};B=B HjK {A;(B'BÇ )};B=B HjK (A;U);B=B HjK A;B=B HjK B,A ㄱ. B,A (참) ㄴ. (반례) U={1, 2, 3, 4, 5}라 하고 A={1, 2, 3}, B={1, 2}라 하면 A-B={3}이므로 A-B+0 (거짓) ㄷ. A'BÇ =U (참) 따라서 항상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20

ㄱ. A={1}일 때 S(A)=1,

A=U일 때 S(A)=15이므로 1…S(A)…15이다. (참) ㄴ. A'B=B이면 A,B이므로 S(A)…S(B)이다. (거짓) ㄷ. S(A;B)= =3, S(A'B)=15이므로 ㄷ. S(A)+S(B)=S(A'B)+S(A;B)=18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④ S(U) 1115

21

이과 학생의 총 수는 600-300-20=280이다. 물리를 듣는 학생의 집합을 A, 화학을 듣는 학생의 집합 을 B라 했을 때, 물리나 화학 중 적어도 한 과목을 듣는 학생의 수는 n(A'B)=280_0.9=252이고 물리를 듣는 학생의 수는 전체 이과 학생의 50 %인 n(A)=280_0.5=140이다. 따라서 화학만 듣는 학생의 수는 n(B)-n(A;B)=n(A'B)-n(A) =252-140=112 112

22

딸기와 사과는 좋아하지만 수박은 좋아하지 않 는 사람의 집합:A;B;CÇ ②와 ⑤는 위의 벤 다이어그램과 결과가 같지만 나머지 ①, ③, ④는 다음과 같다. ① (A'B)-C ③ (A△C);(B△C) ④ A△B△C 따라서 옳은 것은 ②, ⑤이다. ②, ⑤ A B C A B C A B C A B C

(6)

23

바나나 우유를 좋아하는 사람의 집합을 A, 딸기 우유를 좋아하는 사람의 집합을 B라 하자. n(A;B)의 최댓값은 n(A)나 n(B)보다 클 수 없으 므로 최댓값 b는 90이다. 그리고 n(A'B)…200이어야 하므로 n(A;B)의 최솟값 a는 130+90-200=20이다. 따라서 a+b=110이다. 110

24

x는 자연수이므로 xæ1, 7-xæ1을 만족한다. ∴ 1…x…6 만약 x=1이 A의 원소라면 7-1=6도 A에 속해야 하 고, x=6이 A의 원소가 되려면 1도 A에 속해야 한다. 즉, 1과 6은 동시에 A에 속하거나 속하지 않아야 한다. 같은 원리로 2와 5, 3과 4도 동시에 A에 속하거나 속하 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집합 A는 {1, 6}, {2, 5}, {3, 4}의 세 집합을 넣느냐 마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집합 A의 개수는 a=2‹ -1=7 (∵ A+0) 그러면 집합 B={2, 3, 4, 5, 6, 7}이 되므로 집합 B의 진부분집합의 개수는 2fl -1=63이다. 63

25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직사각형, 마름모, 정사 각형의 포함 관계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그려 보면 다음 그 림과 같다. 30개의 사다리꼴 중 7개는 평행사변형이 아니므로 평행사 변형은 23개이다. 즉, A:직사각형 모양의 집합, B:마름모 모양의 집합 일 때, n(A'B)가 23 이하이어야 한다. n(A'B)=n(A)+n(B)-n(A;B)이고 n(A)æ10, n(B)=15이므로 n(A;B)가 2 이상일 때, n(A'B)가 23 이하가 될 수 있다. (단, A;B는 정사각형 모양의 집합) 따라서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 수의 최솟값은 2이다. 2

26

A△B=(A-B)'(B-A)이므로 n(A△B)=n(A)+n(B)-2n(A;B)임을 알 수 있 다. 따라서 n(A)+n(B)-2n(A;B)=52 n(B)+n(C)-2n(B;C)=43 n(A)+n(C)-2n(A;C)=63 이고, 위의 세 식을 모두 더하면 2{n(A)+n(B)+n(C)-n(A;B) 2{-n(B;C)-n(A;C) }=158 ∴ n(A)+n(B)+n(C)-n(A;B) -n(B;C)-n(A;C)=79 yy㉠ 사다리꼴 평행사변형 직사각형 마름모 정사 각형 ○ ○ ○ ○ ○ × ○ × ○ × ○ ○ ○ × × × ○ × × × ○ {1, 2, 3, 4, 5, 6} {1, 2, 5, 6} {1, 3, 4, 6} {2, 3, 4, 5} {1, 6} {2, 5} {3, 4} {1, 6} {2, 5} {3, 4} A

(7)

수학Ⅱ

Ⅰ- 1. 집합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07

Ⅰ- 1. 집합 포제의 원리에 의하여 n(A'B'C) =n(A)+n(B)+n(C)-n(A;B) =-n(B;C)-n(A;C)+n(A;B;C) HjK 110=79+n(A;B;C) (∵ ㉠) ∴ n(A;B;C)=31 31

27

ㄱ. A¡(3)={x|N(3, x)=1}이고 3과 4는 서 로소이므로 공약수의 개수가 1이다. ∴ 4<A¡(3) (참) ㄴ. A£(4)={x|N(4, x)=3}이고 4의 약수의 개수가 3 이므로 A£(4)는 4의 배수의 집합이다. ∴ n(A£(4))=25 (거짓) ㄷ. A™(a)={x|N(a, x)=2}이고 a가 소수이면 약수의 개수가 2이므로 A™(a)는 a의 배수의 집합이다. ㄷ. ∴ n(A™(a))=[ ]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28

A△B={x|-3…x<1 또는 3<x…5}에서 (A△B)△C={x|-3…x…-2 또는 1…x<2 또는 3<x…5} 그리고 (A△B)△C=A△(B△C)이므로 A△(B△C)도 위와 같다. ∴ (A△B)△C=A△(B△C) ={x|-3…x…-2 또는 1…x<2 또는 3<x…5 } 따라서 보기 중에서 공통 원소로 옳은 것은 ② 1이다.100 11a

29

조건 ㈎에서 A'X=X이므로 집합 A는 집합 X의 부분집합이다. 즉, A,X이다. 그러므로 집합 A의 두 원소 1과 2는 집합 X의 원소이다. 또, 두 집합 A와 B에서 A={1, 2}이고 B={2, 3, 5, 7} 이므로 B-A={3, 5, 7} 조건 ㈏에서 (B-A);X={5, 7}이므로 {3, 5, 7};X={5, 7} ∴ 5<X, 7<X, 3≤X 즉, 1, 2, 5, 7은 반드시 집합 X에 속해야 하고 3은 속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전체집합 U={x|1…x…12, x는 자연수}의 원소 의 개수는 12이므로 주어진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X의 개수는 2⁄ ¤ —› —⁄ =2‡ =128 128

(8)

Ⅰ- 2. 명제 본문 356~363쪽 010203040506 ;4(; 07 81 08②, ③ 09풀이 참조 1011121314 16 15161718192021 72 22 ;5!; 232425 22 2627 1 28 32

0

1

① 3은 12의 약수이므로 참인 명제이다. ② 3x+4=7은 x의 값에 따라 참, 거짓이 달라지므로 명 제가 아니다. ③ 마름모는 평행사변형이므로 참인 명제이다. ④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이므로 거짓인 명제 이다. ⑤ 0.H3은 무한소수이지만 유리수이므로 주어진 문장은 거 짓인 명제이다. ②

0

2

‘p이면 q이다.’가 거짓임을 보이는 원소는 P의 원소이면서 Q의 원소가 아닌 것이다. 따라서 반례가 속하는 집합은 ④ P;QÇ

0

3

두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1<x<3}, Q={x|x>a} 명제 p⁄ q가 참이 되려면 P,Q 이어야 하므로 오른쪽 그림에서 a…-1 따라서 a의 최댓값은 -1이다.

0

4

ㄱ. 역:x¤ =4이면 x=-2이다. (반례) x=2이면 x¤ =4이지만 x+-2이다. (거짓) ㄴ. 역:xy=0이면 x=0이다. (반례) x=1, y=0이면 xy=0이지만 x+0이다. (거짓) ㄷ. 역:x¤ -x-2<0이면 -1…x…2이다. (참) (∵ x¤ -x-2<0 HjK -1<x<2) ㄹ. 역:x=0이고 y=0이면 x¤ +y¤ =0이다. (참) 따라서 역이 참인 명제는 ㄷ, ㄹ이다. ⑤

0

5

rjjK ~q이므로 qjjK ~r 또한 pjjK q이므로 pjjK ~r ∴ rjjjjKK ~p

0

6

{x+;]!;}{ +y}=;4!;+xy+ +1 æ2æ≠xy_ +;4%; =1+;4%;=;4(; 단, 등호는 xy= , 즉 (xy)¤ =;4!;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최솟값은 ;4(;이다. ;4(; 1 1224xy 1 1224xy 1 1224xy 1 124x x -1 a P Q 3

(9)

수학Ⅱ

Ⅰ- 2. 명제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09

Ⅰ- 2. 명제

0

7

주어진 명제의 부정은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x¤ -18x+kæ0’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모든 실수 x에 대하여 이차부등식 x¤ -18x+kæ0이 성립하려면 이차방정식 x¤ -18x+k=0의 판별식 D가 D…0이어야 한다. 즉, =9¤ -k…0 ∴ kæ81 따라서 k의 최솟값은 81이다. 81

0

8

가능한 진리집합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여러 가 지가 있다. 따라서 항상 참인 명제는 ②, ③이다. ②, ③

0

9

대우‘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ab가 홀수이면 a¤ +b¤ 은 짝수이다.’가 참임을 보이면 된다. ab가 홀수이면 a, b가 모두 홀수이므로 a=2m-1, b=2n-1(m, n은 자연수)이라 하면 a¤ +b¤ =(2m-1)¤ +(2n-1)¤ a¤ +b¤=4m¤ -4m+1+4n¤ -4n+1 a¤ +b¤=2(2m¤ -2m+2n¤ -2n+1) 이므로 a¤ +b¤ 은 짝수이다. R P=Q Q R P R Q P Q R P D 124 따라서 주어진 명제의 대우가 참이므로 주어진 명제도 참 이다. 풀이 참조

10

㈎에서 A¯B이고, ㈏에서 B의 모든 원소 x에 대하여 x는 C의 원소가 아니므로 B와 C는 서로소, 즉 B;C=0이므로 ①, ④, ⑤번은 답이 될 수 없다. ②번의 경우 A의 모든 원소가 B에 속하므로 ㈎를 만족 시키는 x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벤 다이어그램 중 두 명제가 참이 되도록 하는 것은 ③ ③

11

'2 가 무리수가 아니라고 가정하자. 즉, '2 가 유 리수라고 가정하면 '2= (m, n은 서로소인 자연수) yy㉠ 꼴로 나타낼 수 있다. ㉠의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m¤ =2n¤ yy㉡ 여기서 이 2의 배수이므로 도 2의 배수이다. m=2k(k는 자연수)로 놓고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n¤ =2k¤ 이때, 이 2의 배수이므로 도 2의 배수이다. 즉, m, n이 모두 짝수이므로 라는 가 정에 모순이다. 따라서 '2는 무리수이다.m, n이 서로소 n m m 12n U C A B

(10)

15

p, q, r의 진리집합 P, Q, R 사이의 포함 관계 는 Q,P, R,P이다. 따라서 qjjK p이므로 q는 p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16

A, B, C, D가 검출되는 것을 각각 조건 a, b, c, d로 나타내면 Ⅰ, Ⅱ, Ⅲ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Ⅰ. cjjK ~a Ⅱ. ~cjjK ~d Ⅲ. bjjK a Ⅱ의 대우는 djjK c이고, Ⅲ의대우는 ~a jjK ~b이므로 djjK c jjK ~a jjK ~b 가 성립한다. 따라서 djjjjKK`~b임을 알 수 있다.

17

A가 빨강 모자를 쓰고 있다고 하면 Ⅰ에서 모순 이 발생한다. 또한 A가 초록 모자를 쓰고 있다고 하면 Ⅱ에서 모순이 발생하므로 A는 노랑 모자를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Ⅲ에서 노랑 모자를 쓴 사람, 즉 A는 항상 참만을 말 하므로 C가 초록 모자를 쓰고 있다. 그러면 B는 빨강 모자를 쓰고 있다. 따라서 A는 노랑 모자, B는 빨강 모자, C는 초록 모자를 쓰고 있다. ②

18

남녀 선생님이 한 명씩 짝을 지어 배정되었다는 점을 이용하여 각 조건을 차례대로 고려하면 된다. Ⅰ에서 A가 G와 같은 날의 감독일 경우 Ⅱ와 모순이 발 생하므로 A와 E가 같은 날의 감독이다. Ⅳ에서 A는 H

12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할 때, p 가 q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되지 않으려면 Q,P, P+Q이어야 한다. ㄱ. P={-5, -1}, Q={-1}이므로 Q,P ㄴ. P={x|-1<x<1}, Q={x|x<1}이므로 P,Q ㄷ. P={(x, y)|x>y>0 또는 y<x<0}, Q={(x, y)|x>y>0}이므로 Q,P 따라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이 아닌 것은 ㄱ, ㄷ이다. ③

13

조건 p, q의 진리집합을 각각 P, Q라 하면 P={x||x-1|<3}={x|-2<x<4}, Q={x|a-1…x…b+2} 이때, p가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므로 P,Q이다.

a-1…-2에서 a…-1이므로 a의 최댓값은 -1, b+2æ4에서 bæ2이므로 b의 최솟값은 2이다. 따라서 a의 최댓값과 b의 최솟값의 합은 1이다.

14

P={2, 3, 5, 7}이고 명제 ~p2⁄ q가 참이 되기 위해서는 PÇ ,Q이어야 한다. 따라서 {1, 4, 6, 8, 9, 10},Q,U를 만족시키는 집합 Q의 개수는 2⁄ ‚ —fl =2› =16 16 x -2 a-1 P Q 4 b+2

(11)

수학Ⅱ

Ⅰ- 2. 명제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11

Ⅰ- 2. 명제 와 같은 날의 감독일 수 없으므로 H와 D가 같은 날의 감 독이다. 따라서 ④ D, H는 같은 요일의 감독이라고 추측할 수 있 다. ④

19

A:수학이 90점 이상, B:영어가 80점 이상, C:물리가 40점 이상, D:수학이 80점 이상, E:국어가 90점 이상, F:영어가 70점 이상 인 학생의 집합이라고 하자. 조건Ⅰ에서 A,B, 조건Ⅱ에서 CÇ ,DÇ , 조건 Ⅲ에서 EÇ ,FÇ 가 되고, 수학이 90점 이상이면 당 연히 수학은 80점 이상이므로 A,D, 영어가 80점 이상 이면 당연히 영어는 70점 이상이므로 B,F이다. ∴ A,D,C, A,B,F,E 주어진 보기들은 ① E,D ② B,C ③ A,E ④ BÇ ,D ⑤ A,CÇ 를 나타내므로 옳은 것은 ③이다. ③

20

㈎~㈑의 사실로부터 몇 가지 가능한 경우를 생 각하여 적절한 것을 찾으면 된다. 가능한 네 가지의 경우에서 B는 항상 2급에 포함되는 것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는 2급에 합격하였다.

21

직사각형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각각 x, y라 하 면 넓이는 xy이고 대각선의 길이는 12이므로 "√x¤ +y¤ =12 ∴ x¤ +y¤ =144 x¤ >0, y¤ >0이므로

x¤ +y¤ æ2"√x¤ ¥y¤ =2xy HjK 144æ2xy HjK xy…72 단, 등호는 x=y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직사각형의 넓이의 최댓값은 72이다. 72

22

코시-슈바르츠의 부등식에 의하여 (a¤ +b¤ +c¤ +d¤ +e¤ )(1¤ +1¤ +1¤ +1¤ +1¤ ) æ(a+b+c+d+e)¤ 이므로 양변을 5로 나누면

(a¤ +b¤ +c¤ +d¤ +e¤ )æ (a+b+c+d+e)¤

이것은 절대부등식이므로 보다 작은 n에 대해서도 항 상 성립한다. 따라서 실수 n의 최댓값은 이다. ;5!;

23

pjjK q이므로 P,Q yy`㉠ ~pjjK q이므로 PÇ ,Q yy`㉡ ~rjjK p이므로 RÇ ,P yy`㉢ ㉠, ㉡에서 P'PÇ ,Q이므로 U=Q yy`㉣ ㉠, ㉢에서 RÇ ,P,Q ㄱ. ㉡에서 PÇ ,Q이다. (참) ㄴ. (반례) P={1, 2}, R={2, 3}, Q={1, 2, 3}일 때, ㄴ. R-PÇ =R;P={2}+0 (거짓) ㄷ. ㉣에서 RÇ 'PÇ ,Q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1 1 15 1 15 1 15 1급 2급 3급 A B, D C C A, B D C B, D A D A, B C

(12)

24

조건 p : |a|+|b|=0 HjK a=b=0 조건 q : a¤ -2ab+b¤ =0 HjK (a-b)¤ =0

조건 q : a¤ -2ab+b¤ =0 HjK a=b

조건 r : |a+b|=|a-b| HjK |a+b|¤ =|a-b|¤ HjK ab=0

조건 q : a¤ -2ab+b¤ =0 HjK a=0 또는 b=0

ㄱ. p는 q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참) ㄴ. ~p : a+0 또는 b+0 ㄴ. ~r : a+0 이고 b+0 이므로 ~p는 ~r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참) ㄷ. q이고 r이면 a=b=0이므로 ㄴ. q이고 r은 p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 ㄷ이다. ⑤

25

(x+y)(y+z)=xy+xz+y¤ +yz =y(x+y+z)+xz æ2'ƒxyz(ƒx+y∂+ßzå)=22 단, 등호는 y(x+y+z)=xz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x+y)(y+z)의 최솟값은 22이다. 22

26

㈎ p가 참이거나 ~q가 참, 즉 q가 거짓일 때 이다. ㈏ p가 거짓이고 ~q가 거짓, 즉 q가 참이므로 p∨~q는 거짓이다. 즉, 이다. ㈐ 모든 가능한 p, q의 진릿값에 대하여 두 명제의 진릿값 이 일치하므로 . 즉, 두 명제는 동치이다. ∴ ㈎ 참 ㈏ F ㈐ 같다 ④ 같다 F

27

점 P의 좌표를 P{a, }이라 하면 OQPR의 넓이는 이 된다. 그런데 OQPR의 둘레의 길이가 4로 일정하므로 2=a+ æ2æa¥– — =2æ ∴ …1 단, 등호는 a= 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 OQPR의 최대 넓이는 1이다. 1

28

x¤ +4xy=k라 하면 y= - x 이것을 x¤ +y¤ =4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x¤ +{ - + x¤ }=4 4+ k= x¤ + x¤ + æx¤ _≠ ≠ = k 4+ k ∴ k…32 단, 등호는 x= , y= 일 때 성립한다. 따라서1215x¤ +4xy의 최댓값은 32이다. 32 2 2 11 '1å7 8 11 '1å7 17 1216 15 1216 17 1216 11416x¤ 289 1164 11416x¤ 289 1164 11416x¤ 289 1164 15 1216 225 1164 15k 1116 11416x¤ 15 128 k 124x 15 122 1 13 1 1a 1 1a 1 13 1 13 1 1a 1 13 y=f{x} 1 a@ x y O R Q {a, } P

(13)

13

Ⅱ- 1. 함수 Ⅱ- 1. 함수 본문 364~370쪽 0102 {3, 5, 7, 13, 19, 37} 03ㄱ, ㄷ 0405 13+ 06 -6x-5 07 -4 08 0 09 h(x)=;4!;x+2 10 3« x+n 111213 -2 1415 24 16 3 17 -4<a<0 18 490 192021 25 222324 ;3$; 2526ㄱ, ㄴ 27 134 '6 1442

Ⅱ. 함수

S U M M A C U M L A U D E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수학Ⅱ

0

1

ㄱ. 집합 X의 원소 3에 대응하는 집합 Y의 원소가 없으므로 함수가 아니다. ㄴ. 집합 X의 원소 1에 대응하는 집합 Y의 원소가 a, c로 두 개이므로 함수가 아니다. ㄷ. 집합 X의 각 원소에 대하여 12⁄c, 2 2⁄d, 3 2⁄a와 같이집합Y의원소가하나씩만대응하므로함수이다. 따라서 함수인 것은 ㄷ이다. ㄷ

0

2

18의 양의 약수는 1, 2, 3, 6, 9, 18이므로 f(1)=2_1+1=3 f(2)=2_2+1=5 f(3)=2_3+1=7 f(6)=2_6+1=13 f(9)=2_9+1=19 f(18)=2_18+1=37 따라서 구하는 치역은 {3, 5, 7, 13, 19, 37}이다. {3, 5, 7, 13, 19, 37}

0

3

y축에 평행한 직선과 두 점 이상에서 만나는 것은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므로 다음과 같이 ㄴ, ㄹ은 함수의 그래프가 아니다. ㄴ. ㄹ. 따라서 함수의 그래프인 것은 ㄱ, ㄷ이다. ㄱ, ㄷ

0

4

함수 f(x)=ax+1은 실수 전체의 집합 R에서 R 로의 일대일 대응이므로 역함수가 존재한다. y=ax+1에서 x를 y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면 ax=y-1 ∴ x= 이때, x와 y를 바꾸면 y= , 즉 f—⁄ (x)= ∴ a=3

0

5

g(-x+9)=f(2x+8)에 의해서 x=4일 때 g(5)=f(16)이고, x=-1일 때 g(10)=f(6)이므로 f(16)=11111'1å6+|16|=10 2 x-1 1444444a x-1 1444444a y-1 1444444a O x y O x y

(14)

f(6)= =3+g(5)+g(10)=f(16)+f(6) =13+ 13+

0

6

=t로 치환하면 x+4=3t HjK x=3t-4 f { }=4x+8에서 f(t)=4(3t-4)+8 =12t-8 ∴ f { }=12_ -8 =3(1-2x)-8 =-6x-5 -6x-5

0

7

x¤ -7x-8=-11x+13 x¤ +4x-21=0 (x+7)(x-3)=0 ∴ x=-7 또는 x=3 따라서 구하는 원소의 합은 -7+3=-4 -4

0

8

fΩg=gΩf이므로 f(g(x))=g(f(x)) 3(x+k)+9=(3x+9)+k 2k=0 ∴ k=0 0 1-2x 11154 1-2x 11154 x+4 11253 x+4 11253 '6 122 '6 1 1222 '6 122 '6+|6| 111152

0

9

두 함수 f(x)=7x+29,g(x)=4x-8에 대 하여 (hΩgΩf)(x)=h(g(f(x)))=f(x) HjK g(f(x))=h—⁄ (f(x)) 이므로 h(x)와g(x)는 역함수 관계이다. 이때,g(x)=4x-8에서 g(x)+8=4x HjK x= g(x)+2 ∴ h(x)= x+2(∵ h=g—⁄ ) h(x)= x+2

10

fΩf=f¤ 이라 하면 f : x 2⁄ x+1이므로 f(x)=x+1, f¤ (x)=(x+1)+1=x+2, f ‹ (x)=(x+2)+1=x+3, y ∴ f« (x)=x+n 또, h:x 2⁄ 3x이므로 h(x)=3x, h¤ (x)=3(3x)=3¤ x, h‹ (x)=3(3¤ x)=3‹ x, y ∴ h« (x)=3« x ∴ (fΩfΩyΩfΩhΩhΩyΩh)(x)=f « (h« (x))=3« x+n 3« x+n

11

y=f(x)에서 점 (1, 2), (3, 3)을 생각해 보면 y=( fΩf )(1)=f( f(1))=f(2)>2 y=( fΩf )(3)=f( f(3))=f(3)=3 즉, f(x)의 함숫값을 다시 f(x)에 넣으면 조금씩 그 함숫 값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하는 그래프는 점 (1, f(2))(2<f(2)<3)를 지나는 그래프이므로 ③이다. ③ 1 14 1 1 14 1 14 n개 n개

(15)

15

Ⅱ- 1. 함수

수학Ⅱ

Ⅱ- 1. 함수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12

f(1)=2, f(2)=3, f(3)=4, f(4)=1이므로 f › (1)=f( f( f( f(1))))=f( f( f(2)))=f( f(3)) =f(4)=1 f › (2)=f( f( f( f(2))))=f( f( f(3)))=f( f(4)) =f(1)=2 f › (3)=f( f( f( f(3))))=f( f( f(4)))=f( f(1)) =f(2)=3 f › (4)=f( f( f( f(4))))=f( f( f(1)))=f( f(2)) =f(3)=4 ∴ f › (x)=x 즉, f › =I(항등함수)이므로 f ¤ ‚ ⁄ ¤ (2)=f ›_ fi ‚ ‹(2)=I(2)=2 f ¤ ‚ ⁄ ¤ (3)=f( f ¤ ‚ ⁄ ¤ (3))=f(I(3))=f(3)=4 ∴ f ¤ ‚ ⁄ ¤ (2)+ f ¤ ‚ ⁄ ‹ (3)=2+4=6

13

x=2일 때 f(3g(2)+4)=2이고 g(x)=f —⁄ (x)이므로 g(f(3g(2)+4))=g(2) 3 g(2)+4=g(2) 2 g(2)=-4g(2)=-2 -2

14

( fΩg—⁄ )(1)=f( g—⁄ (1)) =f(2)(∵ g(2)=1) =3 (gΩf)—⁄ (4)=( f—⁄ Ωg—⁄ )(4) =f—⁄ (g—⁄ (4)) =f—⁄ (3)(∵ g(3)=4) =2(∵ f(2)=3) ∴ ( fΩg—⁄ )(1)+(gΩf)—⁄ (4)=3+2=5

15

함수 f의 역함수가 존재하면 f는 일대일 대응이 된다. X={a, b, c, d}, Y={1, 2, 3, 4}에서 원소 a가 대응될 수 있는 Y의 원소는 4가지, 원소 b가 대응될 수 있는 Y의 원소는 a에 대응된 원소를 제외한 3가지, 원소 c가 대응될 수 있는 Y의 원소는 a, b에 대응된 원소를 제 외한 2가지, 원소 d가 대응될 수 있는 Y의 원소는 나머 지 1가지이다. ∴ 4_3_2_1=24 24

16

( f —⁄ Ωg)(12)=f —⁄ (g(12)) =f —⁄ (13) (∵ g(12)=13) f —⁄ (13)=k라고 하면 f(k)=13이므로k<0일 경우 f(k)=k+4=13 ∴ k=9 그러나 k<0이므로 만족하는 k는 존재하지 않는다. ¤kæ0일 경우 f(k)=k¤ +4=13, k¤ =9 ∴ k=3(∵kæ0) ⁄, ¤에 의해 ( f —⁄ Ωg)(12)=3 3

17

f(x)=(a¤ +4a)x에서 a¤ +4a는 xæ0에서 직선 y=f(x)의 기울기이다.

이때, x<0에서 f(x)=-x의 함숫값이 양의 실수이므 로 기울기 a¤ +4a가 0보다 크면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f(x)는 일대일 대응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a¤ +4a<0이므로

(16)

18

함수 y=x¤ -6x (xæ3)의 그래프가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도 증가하므로 그 역함수 y=f—⁄ (x)의 그래프와의 교점은 함수 y=x¤ -6x (xæ3)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이때, 함수 y=x¤ -6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의 x좌표를 구하면 x¤ -6x=x HjK x¤ -7x=0 HjK x(x-7)=0 ∴ x=0 또는 x=7 그런데 xæ3이므로 x=7이다. 따라서 a=b=7이므로 10ab=490 490

19

( fΩf )(x)=x HjK f(x)=f —⁄ (x) 즉, f(x)는 자기 자신이 자신의 역함수라는 뜻이다. 따라서 보기의 그래프 중에서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인 그래프를 찾으면 ⑤이다. ⑤

20

그림에서 f(c)=b이므로 g—⁄ ( f(c))=g—⁄ (b) 이때, g—⁄ (b)=k라 하면 g(k)=b이고 그림에서 g(a)=b이므로 k=a이다.g—⁄ ( f(c))=g—⁄ (b)=aa a b c b c O x y y=f{x} y=x y=g{x}

21

함수 f : A 22⁄ A가 모든 원소 x(<A)에 대하여 f(-x)=-f(x)를 만족하므로 f(-2)=-f(2) f(-1)=-f(1) f(0)=-f(0) HjK f(0)=0 즉, f(-2), f(-1)의 값만 정해지면 f(2), f(1)의 값 은 자동으로 정해진다. f(x)<A이므로 f(-2)가 될 수 있는 값은 -2, -1, 0, 1, 2로 5가지이 고 f(-1)이 될 수 있는 값도 -2, -1, 0, 1, 2로 5가 지이다. 따라서 구하는 함수 f의 개수는 5_5=25 25

22

x의 값이 커질수록 소금물의 농도는 점점 높아 지지만 결코 72%보다 높은 농도의 소금물이 될 수는 없 다. 따라서 y=72를 점근선으로 하고 계속 증가하는 그래 프는 ②이다. ②

23

0…2x…2이므로 다음과 같이 나누어 계산할 수 있다. ⁄0…2x< 인 경우, ⁄0- <0…2x<0+ 이므로 < 2x>=0∴ f(x)=|2x-0|=2x ¤ …2x<1인 경우,1-2x<1+11이므로 < 2x>=1 2 1 12 1 12 1 12 1 12 1 12

(17)

17

Ⅱ- 1. 함수

수학Ⅱ

Ⅱ- 1. 함수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 ∴ f(x)=|2x-1|=1-2x1…2x< 인 경우, ⁄1-2x<1+ 이므로 < 2x>=1∴ f(x)=|2x-1|=2x-1 › …2x…2인 경우,2-2x…2<2+ 이므로 < 2x>=2∴ f(x)=|2x-2|=2-2x~›에 의하여 함수 f(x)의 그래프의 개형은 ④이다.

24

집합 X에서 X로의 함수이므로 함수 f(x)=ax-2a+4의 함숫값은 0<f(x)<8을 만족한 다. 한편, f(x)=ax-2a+4=a(x-2)+4이므로 이 그래프는 항상 점 (2, 4)를 지난다. 즉, f(x)가 함수가 되도록 하는 a의 최댓값은 y=f(x) 의 그래프가 점 (8, 8)을 지날 때이므로 f(8)=6a+4=8 ∴ a= a의 최솟값은 y=f(x)의 그래프가 점 (8, 0)을 지날 때 이므로 f(8)=6a+4=0 ∴ a=-123 2 13 x y O 8 4 2 8 4 y=a{x-2}+4 1 12 1 12 3 12 1 12 1 12 3 12 따라서 구하는 a의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는 -{- }=

25

ㄱ. f(12)=f(3_4)=f(3_2_2) =f(3)+ f(2)+ f(2) =3+2+2=7 (참) ㄴ. f(27)=f(3)+f(3)+f(3) =3+3+3=9 (거짓) ㄷ. f(pμ q« )=f(p)+f(p)+y +f(p) =+f(q)+f(q)+ y +f(q) =mp+nq (∵ p, q는 소수)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뿐이다. ①

26

f(x)= 에서 ㄱ. f(a)…0이므로 항상 f(f(a))æ1이고, f(b)æ2이 므로 항상 f(f(b))…-1이다. ∴ (fΩf)(a)>(fΩf)(b) (참) ㄴ. fΩf=f ¤ , fΩfΩf=f ‹ , y 이라고 정의할 때 f(1)=0, f ¤ (1)=f(0)=1, f ‹ (1)=f(1)=0, y ∴ f ¤ « (1)=1 f(-1)=2, f ¤ (-1)=f(2)=-1, f ‹ (-1)=f(-1)=2, y ∴ f ¤ « ±⁄ (-1)=2 ∴ (fΩyΩf)(1)+(fΩyΩf)(-1)=3 (참) 1-x (xæ0) gx¤ +1 (x<0) 4 13 4 1 13 2 13 2 13 m개 n개 2n개 (2n+1)개

(18)

ㄷ. (반례) x=3인 경우 ( fΩf )(3)=f( f (3))=f(-2)=5 이므로 (fΩf)(x)=x가 성립하지 않는다. (거짓)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ㄴ이다. ㄱ, ㄴ

27

f(1)=1 f(2)=f(1)=1 f(3)=f(1)+1=2 f(4)=f(2)=f(1)=1 f(5)=f(2)+1=f(1)+1=2 f(6)=f(3)=f(1)+1=2 f(7)=f(3)+1=f(1)+1+1=3 f(8)=f(4)=f(2)=f(1)=1 f(9)=f(4)+1=f(2)+1=f(1)+1=2 f(10)=f(5)=f(2)+1=f(1)+1=2f(128)=f(64)=f(32)=f(16) =f(8)=f(4)=f(2) =f(1)=1 1…n…128인 n에서 f(1)=1 f(3)=f(1)+1=2 f(7)=f(3)+1=3 f(15)=f(7)+1=4 f(31)=f(15)+1=5 f(63)=f(31)+1=6 f(127)=f(63)+1 =f(31)+1+1 =f(15)+1+1+1 =f(7)+1+1+1+1 =f(3)+1+1+1+1+1 =f(1)+1+1+1+1+1+1 =7 f(n)은 n=127일 때 최댓값 7을 갖는다. ∴ a+M=127+7=134 134

(19)

19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수학Ⅱ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본문 371~376쪽 01~05풀이 참조 06⑴ -07 y= +3 08 a=2, b=1 09⑴ 4…y…7 ⑵ -1…x…0 10㉠=1, ㉡=2 11⑴ x=1, y=1 ⑵ x=-;2!;, y=1 12 3+2'2 13풀이 참조 14 x=15, y=6 15 4 16 -17⑴ —'5 ⑵ —8'5 ⑶ 47 18⑴ 3 ⑵ -6 19 7 2021제`1`사분면 22 -9 23 ;3%; 24 ;1¡0; 25 f —⁄ (x)= {1<x<;3%;} 26 27 '2-1 28 2 29 :£4£: '2 1348 x+1 1344444x-1 24 1325 1 1444444x-2 29 122106 1 15

0

1

⑴ ⑵

0

2

⑴ ⑵ ⑶11111111125(x+3)(x-3)(x-4)-x¤ +13x-1 3x+1 11111111125(x+1)(x-1)(x-4) 2bc-3ca-4ab 11111123abc x+4 121x-4 2acd 121b

0

3

⑴ ⑵ ⑶ ⑷ 1

0

4

⑴ ⑵ ⑶ - {= }

0

5

⑴ -1 ⑵

0

6

x=2k, y=3k, z=4k (k=1, 2, y) 로 놓고 각각을 대입하여 식의 결과를 알아보자. ⑴ = =- =-⑵ = = ⑴ -

0

8

y=- 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1만큼, y축의 방향으로 2만큼 평행이동하면 y=- +2= ∴ a=2, b=1 a=2, b=1 2x-4 111x-1 2 113x-1 2 1x 29 122106 1 15 29 1 1223344106 4k¤ +9k¤ +16k¤ 111111126k¤ +36k¤ +64k¤ x¤ +y¤ +z¤ 1111115xy+3yz+4z¤ 1 1 15 5k 12225k 4k-9k 11111154k+9k+12k 2x-3y 1111122x+3y+3z 1 12122x+1 1 13 3 51111x(x+3) 1 112x+3 1 1x 6 32111111111111(x+2)(x+3)(x+4)(x+5) -6x 32111111111111(x-1)(x+1)(x-2)(x+2) x-6 1125x-3 (x-1)(x+1) 11111125(x-4)(x-7) 1 11111125(x-1)(x-5)

(20)

0

9

⑴ y= HjK x= +1이므로 2… +1…5 ∴ 4…y…7 ⑵ y= =3+ 이므로 -1…3+1 ∴ -1…x…0 ⑴ 4…y…7 ⑵ -1…x…0

10

y= =2+ =㉡+ ∴ ㉠=1, ㉡=2 ㉠=1, ㉡=2

11

⑴ y= =1+ ∴ x=1, y=1 ⑵ y= =1+ ∴ x=- , y=1 ⑴ x=1, y=1 ⑵ x=- , y=1

12

주어진 식을 정리하면 = 이고, 주어진 x=-1+'2를 대입하면 = = =3+2'2 3+2'2 1 11123-2'2 2 11126-4'2 ('2 )¤ 11114('2-2)¤ (x+1)¤ 11123(x-1)¤ 2x 1123+11+x¤ 111112x 1-1123 1+x¤ 1 12 1 1 12 1 112341 x+1 2 2x+3 1112x+1 -2 113x-1 x-3 113x-1 1 111x-㉠ 1 113x-1 2x-1 111x-1 4 113x-1 4 113x-1 3x+1 111x-1 4 113y-3 4 113y-3 3x+1 111x-1

13

+ =x-3+ -x+3-= = -= = = = =_ _ _ _ = = ⑷ 부분분수의 변형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 + + = + + = - + - + -= -= =11111111131112222 (x-1)(x+2) x+2-x+1 11111134(x-1)(x+2) 1 112x+2 1 112x-1 1 113x+1 1 1x 1 113x+2 1 113x+1 1 1x 1 113x-1 1 111234x(x+1) 1 11111134(x+1)(x+2) 1 111234x(x-1) 1 1123x¤ +x 1 111132x¤ +3x+2 1 1123x-x¤ 1 1 11y(x-1)1111133 a‹ bx¤ y(x-2)(a-2)(a-3) 11111111111111134a‹ bx¤ y¤ (x-1)(x-2)(a-2)(a-3)

a 112a-3 a¤ -5a+6 111122x¤ -3x+2 x-2 112a-2 x¤ y 123a‹ b a¤ b 1124(xy)¤ 1 1 11x+113333 (x-1)(x¤ -x+1) 1111111111134(x+1)(x-1)(x¤ -x+1) x‹ -2x¤ +2x-1 1111111111134(x+1)(x-1)(x¤ -x+1) x‹ -x¤ +x-1-x¤ +x 1111111111134(x+1)(x-1)(x¤ -x+1) (x¤ +1)(x-1)-{(x¤ -x-2)+2} 111111111111111(x+1)(x-1)(x¤ -x+1) (x-2)(x+1)+2 1111111132(x¤ -1)(x¤ -x+1) x¤ +1 1123x‹ +1 8 1 11(x+2)(x+3)11111111111 8(x+3)-8(x+2) 1111111133(x+2)(x+3) 8 112x+3 8 112x+2 1-x¤ 1123x+3 x¤ -x+2 11112x+2

(21)

21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수학Ⅱ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⑴ ⑵ ⑶ ⑷

14

x : y=5 : 2를 이용하여 x=5k, y=2k (k+0) 라고 하면 = = 이고, 이 값이 -1이 되려면 =-1 14k-20k¤ +16k+10k¤ =0 30k-10k¤ =0 ∴ k=3 (∵ k+0) 따라서 x=15, y=6이다. x=15, y=6

15

x : y=4 : k를 이용하여 x=4m, y=km (m+0) 이라고 하면 = = 이고, 이 값이 이 되려면 = k¤ -7k+12=0, (k-3)(k-4)=0 ∴ k=3 또는 k=4 따라서 k의 값 중 가장 큰 값은 4이다. 4 3 17 3k 111312+k¤ 3 17 3k 111212+k¤ 12km¤ 1111123448m¤ +4k¤ m¤ 3xy 1112343x¤ +4y¤ 14k-20k¤ 11112316k+10k¤ 14k-20k¤ 11112316k+10k¤ 20k-6k-20k¤ 111111110k+6k+10k¤ 4x-3y-2xy 11111142x+3y+xy 3 11111134(x-1)(x+2) 1 111234y(x-1) 1 112x+1 8 11111134(x+2)(x+3)

16

=-4에서 3x+7y=-4x+8y ∴ y=7x= = = = =-=-

-17

⑴ {x- }2 ={x+ }2 -4=3¤ -4=5 ∴ x- =—'5 ⑵ x‹ - ={x- } {x¤ +1+ } ={x- }[{x+ }2 -1] =—'5¥(9-1) =—8'5 ⑶ x¤ + ={x+ }2 -2=9-2=7∴ x› + ={x¤ + }2 -2 =49-2=47 ⑴ —'5 ⑵ —8'5 ⑶ 47 1 14 1 14x› 1 1x 1 14 1 1x 1 1x 1 14 1 1x 1 14x‹ 1 1x 1 1x 1 1x 24 1225 24 1 12225 48x 1150x x-7(7x) 111124x+7(7x) x-7y 1115x+7y 1 7 1-1y x 111251 7 1+1y x 1 7(x+1) 1-11115y x(x+1) 111111231 7 1+1y x 1 7x+7 1-111y x¤ +x 11111231 7 1+1y x 3x+7y 1112x-2y

(22)

18

⑴ 분자, 분모 모두 이차식이므로 분자 (x-2)(x-1)=x¤ -3x+2가 분모로 나누어떨어져 야 주어진 식이 다항식이 된다. 따라서 a=3이다.+ = = 이 식이 다항식이어야 하므로 분자는 분모로 나누어떨 어져야 한다. 즉, 분모를 f(x)라 하면 f(2)=0, f(-3)=0 f(2)=4(2a+5)+2(a-1)+42=0 10a+60=0 ∴ a=-6 f(-3)=9(2a+5)-3(a-1)+42=0 15a+90=0 ∴ a=-6 ⑴ 3 ⑵ -6

19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의 점근선의 방정식이 x=1, y=1이므로 주어진 함수는 f(x)=1+ (단, d+0) 이때, 주어진 그래프가 점 (0, 5)를 지나므로 5=1+ ∴ d=-4 따라서 f(x)=1+ = 이므로 a=1, b=-5, c=-1 ∴ a-b-c=1+5+1=7 7

20

y=a+112x+b1 꼴로 나타내면 x-5 112x-1 -4 112x-1 d 1120-1 d 112x-1 (2a+5)x¤ +(a-1)x+42 1123333333112333333333333(x-2)(x+3) (x+3)(x¤ +ax+8)-(x-2)(x¤ -ax+9) 11233333331123333333112333333311233333(x-2)(x+3) x¤ -ax+9 1123333333x+3 x¤ +ax+8 1123333333x-2 ① y=1+ ② y= + ③ y=1- =1+ ④ y=1+ ⑤ y=-1+ 따라서 평행이동하여 y= 의 그래프와 겹쳐지는 것은 ①이다. ①

21

함수 y= =-2+ 의 그래프는 x=-1, y=-2를 점근선으로 가지는 분수함수의 그래 프로 좌표축과 {-;2!;, 0}, (0, -1)과 만나므로 다음 그 림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1 사분면에는 함수의 그래프가 지나지 않는다. 제1사분면

22

점근선의 방정식이 x=3, y=-1이므로 y=112x-3d -1 (d+0)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x y O -2 -1 -1 y=-2+x+11 1 112x+1 -2x-1 1111x+1 1 1x -3 112x-1 2 112x-1 2 -1 3 1114 x+1 3 2 1113x+4 1 -1 4 1111 x+1 2 1 12 1 112x-1

(23)

23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수학Ⅱ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이때,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가 점 (1, 2)를 지나므로 -1=2 ∴ d=-6 따라서 y= -1= 이므로 a=-1, b=-3, c=-3 ∴ abc=-9 -9

23

함수 f(x)의 그래프가 점 (-1, 2)에 대하여 대칭이므로 점근선의 방정식은 x=-1, y=2이다. 즉, y= +q (k+0)꼴로 나타내면 y= +2= = ∴ a=2, b=1 따라서 f(x)= 이므로 f(2)= =

24

두 직선 y=mx+1, y=nx+1은 m, n의 값 에 관계없이 점 (0, 1)을 지난다.x…4에서 부등식 mx+1…nx+1을 만 족시키려면 직선 y=nx+1의 기울기는 점 { , 3}을 지 날때 최소가 되고, 직선 y=mx+1의 기울기는 점 {4, } 을 지날 때 최대가 된다. 3 12 5 12 x-1 112x-2 5 12 5 13 5 1 13 4+1 1122+1 2x+1 11234x+1 ax+1 11234x+b 2x+k+2 111125x+1 k 112x+1 k 112x-p -x-3 11135x-3 -6 112x-3 d 11451-3 따라서 m의 최댓값은 이고, n의 최솟값은 이므로 _ =

25

=t 라고 하면 x+4=tx-4t (1-t)x=-4t-4 ∴ x= 즉, f(t)= _ = 이므로 f(x)= {x>4, 1<y< } f(x)=y라 하면 y= {x>4, 1<y< } y(x-1)=x+1 ∴ x= {x>4, 1<y< } x와 y를 서로 바꾸면 y= {1<x< , y>4} ∴ f —⁄ (x)= {1<x< } f —⁄ (x)= {1<x<15} 3 x+1 112x-1 5 1 13 x+1 1 11x-112255 5 13 x+1 112x-1 5 13 y+1 112y-1 5 13 x+1 112x-1 5 13 x+1 112x-1 t+1 113t-1 4(t+1) 11123t-1 1 14 4(t+1) 11123t-1 x+4 112x-4 1 1310 1 1 12210 4 15 1 18 4 15 1 18 x y y=nx+1 y=mx+1 y= O 5 4 2 x-1 x-2 3 3 2 1

(24)

26

1+ -= -= -= -= -= = a="1√+'3Ωå2이므로 = =

27

+ + + -1 = + + + -= + + + = - + + - + {∵ = - } = + = a= (1+'2)를 대입하면 =1111343 ='2-1 '2 -1 3(1+'2) 3 124a 3 14 3 124a 1 134a 1 132a 1 1B 1 1A B-A 11235AB 1 1133a¤ +4 1 1133a¤ +4 1 134a 1 1133a¤ +1 1 11331+a¤ 1 132a 1 1133a¤ +4 (a-2)¤ 1111254a(a¤ +4) 1 1133a¤ +1 (a-1)¤ 1111252a(1+a¤ ) a¤ +4 1133a¤ +4 a¤ +5 1133a¤ +4 (a-2)¤ 1111254a(a¤ +4) 1 1133a¤ +1 (a-1)¤ 1111252a(1+a¤ ) a¤ +5 1111123(a+2)¤ -4a (a-2)¤ 111144a‹ +16a 1 1133a¤ +1 a¤ -2a+1 1111252a+2a‹ '2 128 '2 1 1228 1 122 '3å2 1 1111111 ("1√+'3Ωå2 )¤ -1 1 1132a¤ -1 a¤ +a+1-a¤ -a 111111125(a-1)(a+1) a(a+1) 11111125(a-1)(a+1) a¤ +a+1 1111112(a-1)(a+1) a 112a-1 a¤ +a+1 1111112(a-1)(a+1) a(a¤ +a+1) 111111113(a-1)(a¤ +a+1) a¤ +a+1 1111112(a-1)(a+1) a(a¤ +a+1) 1111122a‹ -1 a¤ +a+1 11113a¤ -1 a{(a+2)¤ -3(1+a)} 1111111112a‹ -1 a+2 1132a¤ -1

28

집합 BÇ 의 영역은 xy…0, 즉 제2, 4사분면의 영역을 나타내므로 집합 A;BÇ 의 영역을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다. 이때, xy=k HjK y= (x+0) 라 하면 집합 A;BÇ 을 만족시키는 k는 0보다 작거나 같 으므로 y= (x+0, k…0)의 그래프와 집합 A;BÇ 의 영역의 경계선이 접할 때 k는 최소가 된다. 또, y= 의 그래프는 직선 y=-x에 대하여 대칭이다. 이로부터 교점을 구하기 위해 먼저 제2사분면에서 집합 A;B Ç 의 영역의 경계선의 식인 (x+1)¤ +(y-1)¤ =4 와 y=-x를 연립하면 (x+1)¤ +(-x-1)¤ =4 x¤ +2x-1=0 ∴ x=-1—'2 구하는 접점의 좌표는 제2사분면의 점이므로 (-'2-1, '2+1) 이 접점을 지날 때 k는 최소가 되므로 k=xy =(-'2-1)('2+1) =-3-2'2 따라서 구하는 값은 (4'2-6)(-3-2'2)=2 2 k 1x k 1x k 1x O x y xy=k

(25)

25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수학Ⅱ

Ⅱ- 2. 유리식과 유리함수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29

xy-5x=k HjK y= +5이므로 A;B의 영역을 좌표평면에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k의 값이 점점 작아질수록 쌍곡선은 점 (0, 5)에 다가가므로 쌍곡선이 점 (-3, 4)를 지날 때 k는 최소가 된다. (∵ k>0) ∴ k=(-3)_4-5_(-3) =-12+15=3 한편, 주어진 유리식을 간단히 정리한 후 k=3을 대입하면 + + y`+ = { - + - + y+ - } = { - }= == 1233 4 33 1 1224 1 11111111111111111113341 1 1 1111+1111112+y+1111245k(k+2) (k+2)(k+4) 3k(3k+2) 4 1233 k+1 11121k(3k+2) 1 1113k+2 1 1k 1 12 1 1113k+2 1 123k 1 112k+4 1 112k+2 1 112k+2 1 1k 1 12 1 1112123k(3k+2) 1 1112111(k+2)(k+4) 1 1111k(k+2) 4 5 O -3 3 5 -5 x y y= +5xk k 1x

(26)

Ⅱ- 3. 무리식과 무리함수 본문 377~380쪽 01⑴ x…2 ⑵ x…-1 또는 xæ2 01⑶ x…-1 또는 1…x…5 02 —4 03⑴ x+3-"(√x+4√)(√x+2Ω) 01⑶ 'ƒx+1-'ßx 04정의역:{x|xæ-2}, 치역:{y|y…4} 05정의역:{x|x…3}, 치역:{y|yæ5} 06 a=4, b=2 0708 —3 091011 y='ƒ2(x+2)-3 12제`1, 2, 3`사분면 1314 36 151617x+2+2'ƒx+1 11111125x

0

1

무리식의 값이 실수가 되려면 근호 안의 값이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⑴ 2-xæ0 ∴ x…2 ⑵ (x-2)(x+1)æ0 ∴ x…-1 또는 xæ2 ⑶ x¤ -1æ0, 5-xæ0 ∴ x…-1 또는 1…x…5 ⑴ x…2 ⑵ x…-1 또는 xæ2 ⑶ x…-1 또는 1…x…5

0

2

x¤ -ax+4가 완전제곱식의 꼴이 되면 주어진 식은 무리식이 아니므로 x¤ -ax+4={x- }2 - +4 에서 - +4=0 ∴ a=—44 154 154 a 12

0

3

⑴ x+3-"(√x+4√)(√x+2Ω)⑶ 'ƒx+1-'ßx

0

4

y=-'2ƒx+4+4=-"2√(x+≈2Ω)+4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2ß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4만큼 평행이 동한 것과 같다. 이것은 점 (-2, 4)에서부터 x의 값이 증가할 때 y의 값 이 감소하는 함수이므로 정의역:{x|xæ-2}, 치역:{y|y…4} 정의역:{x|xæ-2}, 치역:{y|y…4}

0

5

y=2'ƒ-x∂+å3+5=2"√-(xç-≈3Ω)+5 이므로 주어진 함수의 그래프는 y=2'∂-ß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3만큼, y축의 방향으로 5만큼 평행이동 한 것과 같다. 이것은 점 (3, 5)에서부터 x의 값이 감소할 때 y의 값이 증가하는 함수이므로 정의역:{x|x…3}, 치역:{y|yæ5} 정의역:{x|x…3}, 치역:{y|yæ5}

0

6

y="√-3(√x-aΩ)+b='ƒ-3xƒ+3a+b y='ƒ-3xƒ+12+2 ∴ a=4, b=2 a=4, b=2 x+2+2'ƒx+1 11111125x

(27)

27

Ⅱ- 3. 무리식과 무리함수

수학Ⅱ

Ⅱ- 3. 무리식과 무리함수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0

7

"√(x+1)¤ +"√(x-1)¤ ="√(3-'5)¤ +"√(1-'5)¤ =|3-'5|+|1-'5| =(3-'5)-(1-'5) =2

0

8

근호가 있으므로 다항식이 되기 위해서는 근호 안이 완전제곱식이어야 한다. 최고차항의 계수가 4이므로 근호 안의 식이 완전제곱식이 려면 근호 안이 (2x+k)¤ (k는 실수) 의 꼴이 되어야 한다. 즉, 4x¤ +12x+a¤ =4x¤ +4kx+k¤ 이 모든 x에 대해 참이기 위해서는 k=3이고 a¤ =k¤ HjK a¤ =9이어야 한다. 따라서 a=—3이다.3

0

9

3a+(a-b)'2=4'2+b-2 좌변으로 이항하면 3a+a'2-b'2-4'2-b+2=0 정리하면 3a-b+2+(a-b-4)'2=0 무리수가 서로 같기 위하여 3a-b+2=0, a-b-4=0이므로 3a-b=-2, a-b=4 이것을 연립하여 풀면 a=-3, b=-7 ∴ ab=21

10

+ = + = =

11

y='∂a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래프와 같으므로 y='ƒa(x+2)-3 또, 점 (0, -1)을 지나므로 -1='∂2a-3 ∴ a=2 ∴ y='ƒ2(x+2)-3 y='ƒ2(x+2)-3

12

y='3ƒx+6-2="3√(x+≈2Ω)-2는 -2 이상인 실수 전체의 집합을 정의역으로 갖는 무리함수이다. 함수의 그래프는 점 (-2, -2), (0, '6-2) 를 지나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다. 따라서 주어진 함수의 그래 프는 제1, 2, 3 사분면을 지나며 제4사분면은 지나지 않 는다. 제1, 2, 3사분면

13

O x -4 -4 1 1 3 3 y y=x y= y={x-1}@-4 {xæ1} x+4+1 1 154444 '∂ab 'a+'b 1544444444444444444444 '∂ab('a+'b) 1 1544444444444444444 'b('a+'b) 1 1544444444444444444 'a('a+'b) 1 154444444444 b+'∂ab 1 154444444444 a+'∂ab x y O -2 -2 y= 3x+6-2

(28)

그림에서 a=4, b=1이므로 f(x)='ƒx+4+1이고 f(x)의 역함수 f—⁄ (x)=(x-1)¤ -4 (xæ1)이다. 함수 y=f(x)의 그래프와 그 역함수 y=f—⁄ (x)의 그래 프의 교점은 역함수 y=f—⁄ (x)의 그래프와 직선 y=x의 교점과 같다. (x-1)¤ -4=x, x¤ -3x-3=0 ∴ x= (∵ xæ1) 따라서 교점은 { , }이므로 p+q=3+'∂21

14

a-1-b=2'b에서 a, b가 자연수이므로 a-1-b는 정수이다. 따라서 'b도 정수이므로 b는 제곱수이다. 50 이하의 제곱수는 1, 4, 9, 16, 25, 36, 49이다. b의 최댓값을 구하기 위해 큰 수부터 대입해 보면b=49인 경우a-1-49=2'∂49=14∴ a=64a가 50 이하이므로 b+49 ¤ b=36인 경우a-1-36=2'∂36=12∴ a=49 따라서 b의 최댓값은 36이다. 36

15

주어진 그래프에서 점근선은 x=3, y=2이므로 y= +2로 나타낼 수 있고, 점 (4, 1)을 지나므로 1=b+2 ∴ b=-1 ∴ a=-3, b=-1, c=2 b 112x-3 3+'∂21 12444444442 3+'∂21 12444444442 3+'∂21 12444444442 즉, y=a+'bƒx+c=-3+'ƒ-x∂+ß2 =-3+"√-(xç-≈2Ω) 따라서 y=a+'bƒx+c는 y='∂-ßx의 그래프를 x축의 방향으로 2만큼, y축의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그 래프이므로 옳은 것은 ①이다. ①

16

x>3일 때, f(x)= = =2+ 이고 조건 ㈎에서 함수 f의 치역이 {y|y>2}, 조건 ㈏에서 함수 f는 일대일 대응이므로 함수 f의 그래프는 다음 그림 과 같아야 한다. f(3)=9에서 a=9 f(2)='ƒ3-2+9=10이므로 f(2)f(k)=10f(k)=40 ∴ f(k)=4 f(k)= =4에서 2k+3=4k-8 ∴ k=:¡2¡:

17

이차함수 f(x)=ax¤ +bx+c의 그래프의 꼭짓 점의 좌표가 {;2!;, ;2(;}이므로 f(x)=a {x-;2!;}2 +;2(; 이다. 이때, 그래프가 점(0, 4)를 지나므로 2k+3 k-2 y x O 2 2 3 9 y=2x+3x-2 {x>3} y=´3-x+9 7 x-2 2(x-2)+7 x-2 2x+3 x-2

(29)

29

Ⅱ- 3. 무리식과 무리함수

수학Ⅱ

Ⅱ- 3. 무리식과 무리함수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4=;4!;a+;2(; ∴ a=-2 ∴ f(x)=-2{x-;2!;}2 +;2(;=-2x¤ +2x+4 따라서 a=-2, b=2, c=4이므로 무리함수g(x)는 g(x)=a"ç√x+b+c=-2"√x+2+4 ㄱ. 무리함수g(x)의 정의역은 {x|xæ-2}이고 ㄱ. 치역은 {y|y…4}이다. (참) ㄴ. 함수 y=g(x)의 그래프의 개형은 다음 그림과 같다. ㄱ. 즉, 그래프는 제`3`사분면을 지나지 않는다. (거짓) ㄷ. 방정식 f(x)=0 jjK -2x¤ +2x+4=0을 풀면 ㄱ. x¤ -x-2=0, (x+1)(x-2)=0 ㄱ. ∴ x=-1 또는 x=2 ㄱ. ∴ a=-1, b=2 ㄱ. 따라서 -1…x…2에서 함수g(x)의 최댓값을 구하g(-1)=2 (참) 따라서 옳은 것은 ㄱ, ㄷ이다. ③ 2 4 -2 O x y y=g{x}

(30)

S U M M A C U M L A U D E a+ar+ar¤ =3 HjK a(1+r+r¤ )=3 yy㉠ a¥ar+a¥ar¤ +ar¥ar¤ =-6 HjK a¤ r(1+r+r¤ )=-6 yy㉡ a¥ar¥ar¤ =k HjK (ar)‹ =k yy㉢ ㉡을 ㉠으로 나누면 =-2 ∴ ar=-2 ar=-2를 ㉢에 대입하면 k=(ar)‹ =-8 -8

0

4

점 C(y)는 선분 AB를 1:2로 내분하는 점이므로 점 C의 좌표는 y= 이다. x, , 8이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 }¤ =8x가 성립한다. =8x, x¤ -10x+16=0 따라서 (x-2)(x-8)=0이므로 x=2 (∵ x<8)

0

5

f(x)=x‡ +xfl +y+x+1 =(x-1)Q(x)+R x=1을 대입하면 R=8 x=2를 대입하면 2‡ +2fl +y+2+1=Q(2)+8 =Q(2)+8 ∴ Q(2)=2° -1-8=247 247 1¥(2° -1) 1111232-1 4x¤ +32x+64 11111129 8+2x 1113 8+2x 1113 8+2x 1113 a¤ r(1+r+r¤ ) 1111112a(1+r+r¤ ) Ⅲ- 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본문 381~383쪽 0102 32 03 -8 0405 247 06070809101112 1 1314 31

0

1

수열 {a«}은 첫째항이 0, 공차가 3인 등차수열이 므로 a«=0+(n-1)¥3=3n-3 수열 {b«}은 첫째항이 500, 공차가 -7인 등차수열이므로 b«=500+(n-1)¥(-7)=-7n+507 이때, a˚=b˚를 만족시키려면 3k-3=-7k+507 10k=510 ∴ k=51

0

2

등비수열이므로 가운데 항(등비중항)의 제곱은 양옆으로 이웃한 항의 곱과 같다.

a¡a£=a™¤ =16, a™=4=2¤ (∵ a«>0) a™a¢=a£¤ =64, a£=8=2‹ (∵ a«>0)a«=2«

∴ a∞=2fi =32 32

0

3

세 실근이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세 근을 a, ar, ar¤ 으로 놓자.

(31)

수학Ⅱ

Ⅲ- 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내신・모의고사 대비 TEST

31

Ⅲ- 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0

6

10=2_5이므로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 가운 데 소인수로 2 또는 5를 포함하는 모든 수를 제거하면 서 로소만 남는다.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의 합) =1+2+3+y+100 = =5050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 가운데 2의 배수의 합) =2+4+6+y+100= =2550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 가운데 5의 배수의 합) =5+10+15+y+100= =1050 1에서 100까지의 합에서 2의 배수의 합과 5의 배수의 합 을 빼면 2와 5의 공배수의 합이 한 번씩 더 빼지는 꼴이 되 므로 이를 다시 더해 주어야 한다.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 가운데 10의 배수의 합) =10+20+30+y+100= =550 따라서 구하려는 1~100까지의 자연수 가운데 10과 서로 소인 수들의 합은 5050-(2550+1050-550)=5050-3050=2000

0

7

AC”, OC”, BC”가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로 AC”=a, OC”=ar, BC”=ar¤ 이라 하자.

△ABC에서 ∠ACB=90˘이므로

a¤ +(ar¤ )¤ =(2ar)¤ 에서 r› -4r¤ +1=0 ∴ r¤ =2—'3 10(10+100) 1111112 20(5+100) 1111122 50(2+100) 1111122 100(1+100) 1111112 { }¤ ={ }¤ =r¤ >1 (∵ AC”<OC”<BC”) ∴ { }¤ =2+'3

0

8

15‡ =3‡ ¥5‡ 이므로 15‡ 의 양의 약수 가운데 3‹ 의 배수이면서 3fi 의 배수가 아니려면 3‹ 또는 3› 을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가능한 모든 약수의 합은 (3‹ ¥1+3‹ ¥5⁄ +3‹ ¥5¤ +y+3‹ ¥5‡ ) +(3› ¥1+3› ¥5⁄ +y+3› ¥5‡ ) =(3‹ +3› )(1+5⁄ +5¤ +y+5‡ ) =

0

9

{a«} : a, a+2, a+4, y, b-4, b-2, b

항의 개수는 +1= 따라서 수열의 합을 계산하면 S= S= (b-a+2)(a+b)=100 (b-a+2)(a+b)=400 이때, 0<a<b에서 2<b-a+2<a+b이므로 가능한 (b-a+2, a+b)의 순서쌍은 (4, 100), (8, 50), (10, 40) 따라서 a+b의 최솟값은 40이다.1 14 b-a+2 {1111}_(a+b)2 31111111112 b-a+2 11112 b-a 1122 (3‹ +3› )(5° -1) 1 1111111141111122 OC” 113 AC” ar 12a OC” 113 AC”

(32)

10

카트의 길이가 80 cm이고 두 개의 카트를 겹쳐 놓을 때, 카트 길이의 인 60 cm가 겹쳐지므로 한 개의 카트를 추가하여 겹칠 때마다 전체 길이는 20 cm씩 늘어 난다. 따라서 카트 n개를 겹칠 때 전체의 길이를a«이라 하면 수열 {a«}은 첫째항이 80, 공차가 20인 등차수열과 같다. a«=80+(n-1)_20=20n+60a£º=660 따라서 30개의 정돈된 카트 전체의 길이는 660 cm=6.6 m

11

=0.4이므로 a«=0.4n이다. b«=[a«+ ]=[0.4n+0.4]이므로 b™ºº•=[a™ºº•+0.4] b™ºº•=[2008_0.4+0.4] b™ºº•=[803.6] b™ºº•=803 [참고]b«은 a«을 반올림한 것이다. b« : 0, 1, 1, 2, 2, 2, 3, 3, 4, 4, 4, 5, 5, 6, 6, 6, y 같은 숫자끼리를 하나의 군으로 설정하여 묶으면 다음과 같다. (0), (1, 1), (2, 2, 2), (3, 3), (4, 4, 4), (5, 5), (6, 6, 6), y 이 군수열의 특징을 살펴보면 제1군을 제외한 제 n(næ2) 군의 배열이 n이 짝수일 때, (n-1)이 2개 n이 홀수일 때, (n-1)이 3개 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 15 2 15 3 14 이 군수열에서b™ºº•은 제 804군의 제2항이다. b™ºº•=803

12

점 P와 Q의 좌표를 구하면 P{ , }, Q { , } 세 점 P, B, Q의 x좌표가 이 순서대로 등차수열을 이루므+ =2a ∴ a=2 세 점 P, B, Q의 y좌표가 이 순서대로 등비수열을 이루므{ }{ }=b¤ ∴ b=-1 (∵ A, B는 서로 다른 점) ∴ a+b=1 1

13

볼록 n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180˘(n-2) 이다. 130˘부터 170˘까지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나열한 n개의 항이 등차수열을 이루므로 이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은 =150˘n 이며 이것이 180˘(n-2)와 같다. 150˘n=180˘n-360˘ ∴ n=12 따라서 이 도형은 12각형이다.n(130˘+170˘) 111111232 3b-1 1112 3b+1 1114 3a-2 1112 3a+2 1114 3b-1 1112 3a-2 1112 3b+1 1114 3a+2 1114

참조

관련 문서

포맷 구입자에게 포맷의 모든 제작 노하우가 담겨 있는 포맷 바이블을 제공.. 포맷 원 형을 따르되 지역에 적합한 변형에

파트나 박물관 소장 야크시 입상 세부... 인도 고대

여러 나라에 있는 나무의 경우는 나라마 다 부르는 이름이 다를 수가 있고 사용하 는 언어가 다를 경우는 필연적으로 다름... 학명은 속명과 종명을 붙여 부르는데 뒤에 처음으로

그러나 우리 주위의 여러 물체 들은 한 가지 재료로만 만들어져 있는 경우는 거의 없 고 대부분 다양한

또한 굴의 입구와 출구가 나누어진 것으로 보아 굴의 형태는 한국깔때기거미의 몸의 형태에 가장 적합한 것이고, 위협을 느꼈을 때 반대쪽에 있는 출구를 통해 달아나는

개인기술부족원인으로는 현대무용 3. 05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후검증 을 실시한 결과 한국무용전공과 발레전공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는

영역의 모든 단순 닫힌 경로가 오직 영역의 점들만 둘러싸고 있는 영역 영역의 모든 단순 닫힌 경로가 오직 영역의 점들만 둘러싸고 있는 영역 Ex. 원,

추출된 요소들은 소비자이론, 생산자이론, 게임이론이 었고 이를 바탕으로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맞춰나갔다.. 경제학의 요 소가 추출되고 , 성취기준을 마련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