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화옹간척지 밭조성 사업의 경제성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화옹간척지 밭조성 사업의 경제성 분석"

Copied!
20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C 2008-29 | 2008. 10.. 화옹간척지 밭조성 사업의 경제성 분석. 신용광 김창길 박영구 윤종열 허윤진 성진근 손용만 김현태.

(2) 연구 담당 신용광 김창길 박영구 윤종열 허윤진 성진근 손용만 김현태. 연구총괄 부연구위원 간척지 개발 방향설정 연구위원 시설화훼 수출가능성과 단지조성 초청연구원 시설원예 수출가능성과 단지조성 초청연구원 간척지 개발현황 및 개발방향 농림수산식품부 국장 바이오에너지작물 활용방안 충북대 명예교수 농어촌연구원 책임연구원 화옹간척지 개발 계획 화옹간척지 개발 방향 농어촌연구원 팀장.

(3) i. 머 리 말. 식량 수급불안과 화석에너지 고갈 등 불확실한 상황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농지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식량과 에너지 자급률이 OECD 국가 가운데 상대적으로 낮은 우리나라에서 농지는 식량 및 에너지 자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원이다. 농지확대 대책의 일환으로 국내에서 간척농지 조성사업이 꾸준히 추진되고 있으며 평택, 개화도, 삽교천, 대호, 영산강, 새만금, 화옹 등 총 9개 간척지구에 서 간척사업이 진행 또는 완료된 상태이다. 2007년 현재 국내 간척지 개발면적 은 52,122ha로 이 가운데 38,588ha가 영농가능면적으로 조성중이다. 초기의 간척농지 개발 사업은 농가소득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쌀을 생산할 목적에서 주로 답 위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쌀은 소비 감소로 과잉 생산이 우려되는 반면에 밭작물 특히 채소나 화훼, 과일, 축산부문은 경쟁력 있는 농지 의 안정적 확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 보고서는 한국농촌공사 농어촌연구원의 용역 과제로 추진된「미래간척지 밭조성사업 경제성분석 및 방안설정」연구의 최종 결과물로써 간척지의 다각 적인 활용 필요성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연구대상인 화옹 간척지를 대상으로 영농단지 활용방안 및 경제성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가 간척지 개발의 지침서 구실을 하고, 나아가 우리나라의 간척농지 개발방향 문제를 해결하는데 실질적으로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연구의 전과정에 걸쳐 연구자문단으로 참여하여 유익한 의견을 제시한 전문가, 관련 단체, 정책 담당자 등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2008. 10. 한국농촌경제연구원장 오 세 익.

(4) ii.

(5) iii. 요 약 문. 이 연구는 농업환경 변화를 고려한 미래 간척지 영농 수요를 예측하고 간척 지 밭조성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국내외 중장기 농산물 수급동향 분석과 전망을 통해 간척지의 다각적 활용 필 요성을 제시하고 둘째 간척농지에 재배 가능한 밭작물의 검토 및 재배목표를 설정하며 셋째 화옹간척지의 영농단지 활용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내외 농산물 수급동향 및 전망을 통하여 국내외 식량수급상 황이 악화되어 곡물가격도 상승하고 있으며 이러한 곡물가격 상승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임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식량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간척지 를 이용한 대체농지의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식량자급률이 낮은 보리, 콩, 밀 등의 밭작물 생산단지 조성이 필요하다. 제3장에서는 국내 간척지 개발과 밭토양 조성방법을 검토하였다. 농지확대 시책의 일환으로 간척농지조성사업이 꾸준히 추진되어 2007년 현재 38,588ha 를 영농단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간척지 토양은 일반 토양에 비해 물리․ 화학적인 측면에서 농지이용에 한계가 있다. 간척지를 밭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는 재배적지의 선정기준이 마련되어야하며 이에 따른 단계별 접근방법이 필요 하다. 특히 간척지는 염류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염이 필요하고 각각의 영 농목적에 맞게 자연적 제염방법과 인공적인 제염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제4장에서는 화옹간척지의 개발현황과 토양특징 및 영농단지 활용을 위한 기본구상을 검토하였다. 화옹간척지는 항구 및 대단지 소비지와 지리적으로 가 까워 농산물 수출, 고부가가치 농산물 생산 등 다양한 개발수요를 충족시키기 에 유리하다. 그러나 미사질토에 가깝고 습해가 우려되는 지역으로 인공적인 배수시설이 필요하다. 화옹간척지를 대상으로 영농단지개발 기본방향을 검토 한 결과, 과수단지가 가장 적합한 영농단지로 검토되었으며 다음으로 시설채소 와 시설화훼의 수출단지, 마지막으로 식량작물과 축산 및 신재생바이오단지가.

(6) iv 적합한 영농단지로 검토되었다. 제5장에서는 간척지 밭작물재배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간 척지 영농단지의 재배여건이 안정화 될 경우 ha당 농가소득은 시설화훼단지가 163백만원으로 가장 높고 시설채소단지가 103백만원, 과수단지가 30백만원, 식 량작물단지, 축산단지, 신재생바이오단지가 2~10백만원으로 추정되었다. 다음 으로 ha당 수입대체효과는 과수단지에서 가장 높은 10백만원으로 전망되며 축 산단지 9백만원, 신재생바이오단지 4백만원, 식량단지 3백만원의 순으로 전망 된다. 제6장에서는 화옹 간척지를 대상으로 시나리오분석을 통하여 단지별 재배면 적을 배정한 후 농산물 생산량과 산출액을 도출하였다. 정부정책, 식량자급, 수 입대체 목표를 고려한 소득최대 시나리오는 시나리오Ⅲ으로 분석되었으며 영 농조건이 안정화되면 연간 680억원(ha당 30백만원)의 농가소득을 확보할 수 있으며 시설투자 이후 4차년도 부터 농가소득이 투자비용을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수입대체효과는 전체 119억원이며 과수단지의 수입대체효과가 77억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류비와 환율 변화에 따른 농가소득과 수입대체효과의 변화를 살펴보면, 농가소득은 유류비가 10%상승할 경우 ha당 29백만원으로 하락하고 유류비가 10% 하락할 경우 ha당 31백만원으로 상승한 다. 화옹 간척지의 수입대체효과는 유류비와 환율이 각각 10% 상승하면 수입 대체금액이 연간 119억원에서 131억원으로 12억원 추가적인 수입대체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간척지를 농지형태로 보존할 경우 ha당 30백만 원의 농가소득과 5백만원의 수입대체효과도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 간척지 농업이 조기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간척농지의 공영화와 논․밭 범 용화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조기 안정을 위한 자금 지원도 검토될 필요가 있 다..

(7) v. ABSTRACT. Economic Analysis of Establishing Upland Fields in the Hwaong Reclaimed La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ssess the needs for farming in a reclaimed land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upland fields in the reclaimed land, considering changing agricultural conditions. Specifically, the first one is to set the goal of cultivating field crops in the reclaimed land and the other is to evaluate the economic efficiency of utilizing the Hwaong reclaimed land as a farming complex. In chapter 2, this study outlined the prospect of the domestic and foreign supply and demand of farm products and indicated that international grain prices will keep rising for a while. In chapter 3,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reclaimed land and the methods of developing the upland soil are examined. A total of 38,588 hectares (in 2007) of the reclaimed land are available as a farming area. But the soil of the reclaimed land is unfavorable compared to a normal one physically and chemically.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reclaimed land as farming fields, removing salt is necessary and desalination methods should be spec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farming. In chapter 4, the development status of the Hwaong reclaimed land and a general plan of the farming complex are investigated. Geographically being close to a harbor and a large consuming area, the reclaimed land has advantages in satisfying various development demands such as exporting farm products and producing high value-added ones. But as this area has sandy soil fine enough to have concerns over damages from being damp, artificial drainage facilities are needed. To develop a farming area in Hwaong reclaimed land, an orchard district i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followed by an export area of greenhouse vegetables and flowering plants. On top of arable crop area, a livestock area and a new renewable bio-district are the less suitable..

(8) vi In chapter 5, the economic efficiency of growing field crops in the reclaimed land is analyzed. First, the following shows estimated incomes that can be earned from cultivating different crops in the reclaimed land: a greenhouse floriculture area shows the highest income level with 163.4 million won per hectare, followed by a vegetable area with 102.7 million won per ha, a fruit growing area with 30.3 million won per ha, a food crop area with 9.8 million won per ha, a livestock area with 9.4 million won per ha, and a new renewable bio-district with 1.9 million won per ha. Second, the import substitution effect is projected to be the highest in an orchard district with 10.3 million won per ha, followed by a livestock area with 9.0 million won per ha, a new renewable bio-district with 4.2 million won per ha, and a food crop area with 2.8 million won per ha in that order. In chapter 6, amount of farm products and their amount of gross revenue are estimated with setting scenarios for the Hwaong reclaimed land. The highest income is acquired with scenario 3, considering the government policies with goals of food self sufficiency and the import substitution. In scenario 3, the guaranteed effects are 64.0 billion won of an annual farm household income (30.0 million won per ha) and 11.9 billion won of import substitution effect a year. Next, the variations in a farm household income and import substitution effects are considered depending on changing oil price and exchange rate. A farm household income decreases to 29.1 million won per ha with a 10% increase of oil price. It increases to 31.0 million won per ha if oil price drops by 10%. An additional amount of 1.2 billion won of import substitution effect is estimated when the import substitution amount increases to 13.1 billion won from 11.9 billion won with a 10% rise in both oil price and exchange rate. In summary, the analytical result showed that case of preserving the reclaimed land as a cultivated land, there were about 30 million won per ha of a farm household income and 5.3 million won per ha of import substitution effect. In order early achieve these goals, the followings are needed: First, keeping a farming area with a proper goal by publicizing the reclaimed farming land. Second, developing a field-crop producing area through the wide use of paddy fields and non-paddy fields. Third, a financial support to early stabilize farming practices in the reclaimed land. Researcher: Yong-Kwang Shin, Chang-Gil Kim, Young-Gu Park, Jong-Yeol Yoon, Yoon-Jin Huh, Jin-Keun Sung, Yong-Man Sohn, Hyun-Tea Kim E-mail Address: ykshin22@krei.re.kr.

(9) vii. 차. 례. 요약문 ABSTRACT 제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선행연구 검토 ······························································································· 3 3. 연구내용 ········································································································· 8 4. 연구방법 ········································································································· 9 제2장 간척지의 다각적 활용 필요성 1. 국내 농산물 수급 동향 ·············································································· 10 2. 국제 곡물 수급 동향 ·················································································· 16 3. 미래 간척지 밭조성 사업의 필요성 ························································· 19 제3장 간척지 개발 현황 및 밭토양 조성 방법 1. 간척지 개발 현황 ························································································ 21 2. 간척지 토양의 종류와 특성 ······································································· 25 3. 간척지의 밭토양 활용 시 고려사항 ························································· 30 4. 밭토양 재배를 위한 기반조성 방법 ························································· 35 제4장 화옹간척지 개발 기본 구상 1. 간척지 개발현황 및 토지이용 계획 ························································· 38 2. 화옹간척지의 특징 ······················································································ 42 3. 화옹간척지 밭작물 도입방향 ····································································· 44.

(10) viii. 제5장 간척지 밭작물 재배의 경제적 효과 1. 경제적 효과분석의 전제조건 ···································································· 52 2. 단지별 생산농가의 경제성 ········································································ 55 3. 단지별 수입대체효과 ·················································································· 73 4. 영농단지별 경제효과 ·················································································· 74 제6장 화옹간척지 밭조성사업의 경제성 1. 화옹간척지 단지면적 배정 ········································································ 75 2. 화옹간척지 작물재배 시나리오별 경제성 ················································ 78 3. 재배여건에 따른 경제성 변화 ··································································· 83 제7장 요약 및 결론. 부록 1: 해외의 간척지 개발현황 ······································································ 90 부록 2: 채소의 국내생산 및 수출 가능성 ······················································· 97 부록 3: 화훼의 국내생산 및 수출 가능성 ····················································· 112 부록 4: 농산물 생산비의 개념 ········································································ 123 부록 5: 바이오에너지 작물도입을 통한 간척지 활용방안 ·························· 127 참고 문헌 ··········································································································· 185.

(11) ix. 표 차 례. 제1장 표 1- 1. 국내 가용 간척지 현황 ··································································· 1 제2장 표 2- 1. 주요 곡종별 수급 상황 ··································································· 11 표 2- 2. 곡물별 자급도 ·················································································· 12 표 2- 3. 주요채소류 자급률 변화 ································································· 13 표 2- 4. 농축산식품 1인당 소비량 추이 ······················································ 13 표 2- 5. 경지이용 추이 ·················································································· 14 표 2- 6. 작물별 경지이용면적 ······································································· 14 표 2- 7. 경지이용 추이와 전망 ····································································· 15 표 2- 8. 작물별 재배면적 추이와 전망 ························································ 15 표 2 -9. 국제곡물 재고비율 추이 ································································· 17 표 2-10. 세계 농산물 가격전망 ····································································· 18 표 2-11. 농산물 소비량 및 생산량 연평균 증감율 전망(2007-2016) ········ 19 제3장 표 3- 1. 대단위 간척사업 현황 ····································································· 22 표 3- 2. 간척지 농지이용 현황 ····································································· 24 표 3- 3. 간척지 농업외 이용 현황 및 계획 ················································ 24 표 3- 4. 간척지 토양의 유형별 구분 ···························································· 25 표 3- 5. 염류토양 분류체계 ··········································································· 28 표 3- 6. 토양염도(ECe) 크기에 의한 염류토양 분류 기준 ························ 28 표 3- 7. 간척지의 밭토양 이용시 고려사항 ················································ 30.

(12) x 표 3- 8. 침출법의 염분농도 감소율에 따른 제염단계 ······························· 37 제4장 표 4- 1. 서남해안 간척개발사업지구 추진현황 ··········································· 39 표 4- 2. 토지이용 계획구상(안) ···································································· 40 표 4- 3. 제염 단계별 도입 가능 작물 ·························································· 45 표 4- 4. 화성시 작물별 재배면적 ································································· 46 표 4- 5. 연도별 포도주 수출입 현황 ···························································· 46 표 4- 6. 농식품 수출실적 ··············································································· 47 표 4- 7. 2008년 농식품 수출목표(품목별) ··················································· 48 표 4- 8. 영농생산단지별 기본방향 부합성 ·················································· 51. 제5장 표 5- 1. 연차별 수량증수 지수 ····································································· 54 표 5- 2. 간척지 ha당 포장조성비 단가 ························································ 54 표 5- 3. 포도 생산단지의 소득 ····································································· 57 표 5- 4. 과수단지의 ha당 연차별 경제성 ···················································· 58 표 5- 5. 시설채소단지 ha당 생산현황 ·························································· 58 표 5- 6. 시설채소의 품목별 경제성 ······························································ 60 표 5- 7. 시설채소단지의 ha당 연차별 경제성 ············································· 60 표 5- 8. 시설화훼단지 ha당 생산현황 ·························································· 61 표 5- 9. 시설화훼류의 품목별 경제성 ·························································· 63 표 5-10. 시설화훼단지의 ha당 연차별 경제성 ············································· 63 표 5-11. 식량작물단지 ha당 생산현황 ·························································· 64 표 5-12. 식량작물의 품목별 경제성 ······························································ 66 표 5-13. 식량작물단지의 ha당 연차별 경제성 ············································· 66 표 5-14. 한우 비육우 생산단지의 경제성 ···················································· 69.

(13) xi 표 5-15. 축산단지의 ha당 연차별 경제성 ···················································· 69 표 5-16. 바이오에너지 작물의 ha당 농가 소득 ··········································· 72 표 5-17. 신재생바이오단지의 ha당 연차별 경제성 ····································· 73 표 5-18. 단지별 ha당 수입대체 효과 분석 ·················································· 73 표 5-19. 영농단지별 ha당 경제효과 ······························································ 74 제6장 표 6- 1. 수출증대 목표에 따른 면적 증가분 추정 ····································· 76 표 6- 2. 주요 작목별 자급도 및 생산목표 ·················································· 76 표 6- 3. 시나리오별 면적 배분 ····································································· 78 표 6- 4. 시나리오Ⅰ의 작물재배 편익 ·························································· 79 표 6- 5. 시나리오Ⅱ의 작물재배 편익 ·························································· 79 표 6- 6. 시나리오Ⅲ의 작물재배 편익 ·························································· 80 표 6- 7. 화옹간척지 영농단지 경제성 변화(시나리오Ⅲ) ··························· 81 표 6- 8. 화옹간척지 영농단지별 경제성 변화(시나리오Ⅲ) ······················· 81 표 6- 9. 화옹간척지 영농단지의 수입대체효과 ··········································· 83 표 6-10. 유가 변화에 따른 시설농가 ha당 소득 변화 ······························· 84 표 6-11. 유류비 변화에 따른 화옹간척지 영농단지별 농가소득 변화 ····· 85 표 6-12. 유가 및 환율 변화에 따른 단지별 ha당 수입대체 효과 ··········· 86 표 6-13. 유가 및 환율 변화에 따른 화옹간척지 영농단지별 수입대체 효과 ·································································································· 86.

(14) xii. 그 림 차 례. 제1장 그림 1- 1. 연구체계도 ······················································································ 8 제2장 그림 2- 1. 국별 곡물 자급률 ········································································· 12 그림 2- 2. 국제곡물 수급 변화 ····································································· 16 제4장 그림 4- 1. 화옹간척지 개발 평면도(1안) ····················································· 41 그림 4- 2. 화옹간척지 개발 평면도(2안) ····················································· 41 그림 4- 3. 화옹간척지의 지리적 위치 ·························································· 42 제5장 그림 5- 1. 포도의 작부체계 ··········································································· 56 그림 5- 2. 파프리카, 브로콜리 재배시기 ····················································· 59 그림 5- 3. 장미, 국화 재배시기 ···································································· 62 그림 5- 4. 식량작물의 재배시기 ··································································· 65 그림 5- 5. 사료작물의 재배시기 ··································································· 68 제6장 그림 6- 1. 화옹간척지 영농단지별 경제성 변화추이 ································· 82.

(15) 1. 제. 1. 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 농지확대시책의 일환으로 간척농지조성사업을 꾸준히 추진하여 2007년 현재 국내 간척지 면적은 52,122㏊에 이르고 있으며, 이 가운데 38,588㏊ 가 영농가능면적이다. 표 1-1. 국내 가용 간척지 현황 단위 : 개소, ㏊. 구분. 지구수. 계. 12. 대단위. 3. 서남해안 미완공. 지구명. 간척농지. 타용도 개발면적 영농가능지. 52,122. 13,534. 38,588. 영산강 3-1, 3-2, 새만금. 40,800. 13,534. 27,266. 8. 화옹, 시화, 남포, 석문, 이원, 고흥, 군내, 삼산. 11,072. 11,072. 1. 진촌. 250. 250.

(16) 2 ◦ 농지조성이 주로 답 위주로 전개되었으나, 최근 농업을 둘러싼 여건변화 로 인하여 미래 간척지 활용을 고려한 다각적 활용, 특히 밭으로의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 간척농지는 국가 목적에 의해 미래 농업생산기지로 조성하는 것이므로 미래 간척지 활용을 고려한 장기적, 국가적 관점에서의 작물 선정 및 농 지조성 형태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 간척지조성은 주로 답 위주로 조성되었으며 이는 쌀 재배 소득이 상대 적으로 타 작물 소득에 비해 안정적이었고 국가적으로는 쌀 증산을 통 한 식량안보에도 기여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 그러나 최근 쌀 소비 감소로 미곡의 과잉생산이 우려되고 있는 반면에 밭작물 특히 채소나 과일, 축산부문에서는 경쟁력 있는 농지의 안정적 확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 간척농지는 농업용수가 상대적으로 풍부한 반면에 염분집적과 토양개량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술적 측면을 고려한 작물선정이 필요하다. - 국내외 간척지 밭조성과 관련된 기술적인 연구사례를 분석하여 간척지 최적작부체계 및 재배방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 밭작물 재배시 염분에 강한 작물을 재배하고 염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영농기술 또는 기반조성의 검토가 필요하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환경 변화를 고려한 미래 간척지의 영농수요를 예 측하고 간척지 밭조성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 국내외 중장기 농산물 수급동향과 전망을 통해 간척지의 다각적 활용 필요성을 제시한다. - 간척농지에 재배 가능한 밭작물을 검토하고 재배목표를 설정한다. - 화옹간척지의 영농단지 활용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경제성을 평가한다..

(17) 3. 2. 선행연구 검토. ◦ 토지개량에 관한 연구 - 김정기(1970)는 낙동강 하류 을숙도의 염해지 사토에서 작물재배를 위 한 토양관리법과 작물선정방법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퇴비와 칼륨 시용이 대두와 육도의 발아와 생육 및 수량에 큰 효과가 있었으며 땅콩 에는 석회시용이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김정기(1974)는 채소작 물의 재배를 위한 시험연구에서 퇴비 시용이 채소의 발아에 가장 효과 적이며 석회시용도 역시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권순국 외 2인(1980)은 간척지에서 대맥을 재배할 경우, 암거배수가 효 과적이며 암거간격이 7.5m일 경우 288㎏/10a, 15m일 경우 253㎏/10a, 그리고 30m일 경우 77㎏/10a의 수량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 고 있다. - 조영길 외 2인(1992)은 점토함량이 28-68%로 많은 간척지 폐염전토양 에서 배수방법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였다. 배수방법은 표면배수처리, 60㎝ 깊이 5m 간격으로 암거배수처리, 그리고 깊이 40㎝에 비닐 차단 막을 처리한 실험구를 설정하고 토양개량제는 식양토, 석고, 비석을 ha 당 각각 250톤, 4톤, 5톤씩 처리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시험 결과 토양용액의 전기 전도도가 암거배수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비닐차단 막처리는 그 중간이라고 보고하였다. 이 시험에서 통페스큐의 수량은 암거구의 객토처리에서 높았고 염농도와 목초 및 면화의 수량과는 높은 상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 김호중․유숙종(1989)은 간척지에서 밭작물 재배시 염분상승을 억제하 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휴립과 비닐 멀칭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들 은 감자와 목화를 재배하면서 휴립, 퇴비 시용 후 휴립, 생고시용 후 휴 립, 휴립 후 비닐 멀칭, 휴립 후 골 관수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그 효과 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감자 생육 기간 중 염농도의 변화는 수확기에.

(18) 4 평휴 재배에서 0.63% 상승하였지만, 휴립후 멀칭재배 지역은 0.42%로 염분 상승이 억제되었다. 감자의 수량도 염분 상승이 억제된 비닐 멀칭 구에서 증수되었으며, 퇴비 시용후 휴립구에서도 증수의 효과가 있었 다. 목화 재배시험구에서도 감자 재배시험구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휴립후 골관수구 지역에서는 습해가 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들은 간척지에서 밭작물을 재배할 경우 고휴를 추천하고 있으며 또한 경운과 휴립은 추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 최송열 외 4인(1983)은 해남지역의 배수가 불량하고 점토함량이 많은 간척지에서 황토를 재료로 하여 두께 20-80㎝로 복토를 하거나 모래 차 단막을 지하에 설치하면 모래 차단막과 복토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주 장하였다. - 농어촌진흥공사(1992)는 기존 간척지에 대한 현장조사와 토양분석 결과 간척지에서 작물재배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염농도와 지하수위라고 지적하였다. 따라서 간척지를 밭으로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지하수위를 지표로부터 60㎝이하 깊이로 낮추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배수조직의 정 비가 무엇보다도 시급하며, 다음으로 투수성의 유지와 염과 토양양분의 균형, 그리고 관개수의 조절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간척지의 작부체 계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대상작물에 대한 내염성뿐만 아니라 내습성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간척지를 밭으로 이용하는 경우 건조기에 강한 바닷바람으로 풍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지피 식물을 재배하고 토양의 유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겨울철 녹비작물의 재 배가 바람직하다고 제언하였다. ◦ 내염성 작물 선정에 관한 연구 - 홍기창․김낙준(1964)은 주요 작물의 내염성 연구에서 밭작물의 발아시 험을 통하여 작물을 분류하였다. 염분함량 0.25%에서 발아하는 보리, 호밀, 밀을 최강군으로, 0.25%에서 발아하지는 않으나 0.2%와 수세간 척토에서 발아하는 옥수수와 완두를 강군으로, 0.2%에서는 발아하지만.

(19) 5 수세간척토에서는 발아하지 않는 수수, 콩, 녹두, 동부를 중간군으로, 0.2%에서 발아하지 않으나 0.15%에서 발아하는 팥을 약군으로, 그리고 0.15%에서 발아하지 않으나 0.1%에서 발아하는 조, 강낭콩을 최약군으 로 분류하였다. 유묘기의 내염성은 보리와 밀을 최강군으로, 조와 동부 를 강군으로, 기장, 호밀, 수수를 중간군으로, 옥수수, 완두, 팥, 콩을 약 군으로, 그리고 강낭콩과 녹두를 최약군으로 분류하였다. - 이승헌 외 5인(2000)은 간척지 제염기간 중에 우선 도입 가능한 작물을 선발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염농도별로 채취한 토양을 이용하여 8가지 작물(배추, 무, 토마토, 고추, 메밀, 콩, 참깨, 들 깨)의 염농도별 장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염류장해가 전혀 없을 때보다 생산량이 50%가 감소하는 염농도는 무 14.2dS/m-1, 배추 11.4dS/m-1, 고 추 10.2dS/m-1, 메밀과 들깨 8.9dS/m-1, 콩 8.6dS/m-1, 그리고 토마토는 6.8dS/m-1이었다. - 이승헌 외 3인(2003)은 대호 간척지에서 도입 가능한 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6가지 작물(쑥갓, 열무, 알타리, 케일, 양상치, 적상치)을 재배하 고 생육정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나누어 염류농도별로 장해 정도를 평 가하였다. 생육저해가 시작되는 토양 염류농도 수준은 열무와 케일이 1dS/m-1이상, 쑥갓이 4dS/m-1이상, 알타리, 양상추, 적상추가 6dS/m-1이 상이며, 50%의 건물이 감소되는 염류농도는 알타리 18.9dS/m-1, 양상추 17.3dS/m-1, 케일 15.4dS/m-1, 적상추 12.0dS/m-1, 그리고 열무와 쑥갓이 -1 -1 각각 11.3dS/m 와 11.0dS/m 이었다. 기타 기능성 채소작물로 간척지에. 도입가능한 작목으로는 케일을 추천하였다. ◦ 조경식물에 관한 연구 - 간척지에서 재배가능한 조경용 식물에 대한 적응성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인천국제공항 식재지반조성 학술연구 보고(1998)에서는 인천 국제공항의 조경 식재지반조성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목 식재시험 을 실시하였다. 교목 11개 수종, 관목 5개 수종 등 16개 조경용 수목에.

(20) 6 대한 적응성 시험결과, 적응성이 4개 군으로 나뉘어지는데, 은행나무, 해송, 해당화, 느릅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왕벚나무, 쥐똥나무의 활 력도가 높았고, 회양목, 모감주나무, 스트로브잣나무, 개나리 등은 활력 도가 낮았다. 특히 생육이 불량한 회양목의 경우 잎에서 다량의 염소 집 적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비산염에 의한 피해라 보고하였다. ◦ 사료작물 및 목초재배에 관한 연구 - 목초는 다른 밭작물보다 상대적으로 내염성이 강한 작물이기 때문에 염 농도가 높은 토양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다. 따라서 간척지에서 밭작물의 생산이 어려운 곳을 초지로 이용하는 방법도 중요한 간척지 토양관리의 한 방법이다. 그러나, 송진달 외 2인(1981), 임형빈 외 6인(1984)에 따르 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목초의 대부분은 내염성이 약한 편이며 톨페스큐 등 일부 목초를 제외하고는 새로 조성된 간척지에서 경제적 재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염분농도가 높은 간척지 조 건에서는 Alkar tall wheatgrass, Jose tall wheatgrass 또는 Fults alkaligrass 등이 초지 조성에 이용될 수 있다. - 임형빈 외 6인(1981)은 간척지에서 초지조성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 여 염농도가 목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 목 초의 피복률은 염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현저히 낮아졌으나, tall fescue, tall wheatgrass, alkaligrass 및 alfalfa는 중염분구에서도 그 피복 도가 48% 이상이었다. 간척지에서 초지를 조성함에 있어 이들을 조합 한 혼파재배가 적절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평탄한 간척지의 배수가 양호한 조건에서 초지를 조성하고 여러 가지 목초의 수량을 조사한 윤여문 외 2인(1985)의 시험에서는 톨페스큐의 수량이 건초 429㎏/10a로 가장 높았고 오차드그라스, 수수, 보리, 호밀 의 순이었다. - 신재순 외 5인(2004)은 여름철 주요 사료작물인 옥수수(2품종), 수수×수 단그라스(2품종), 사료용 피(1품종)를 대상으로 대호간척지에서 2년간.

(21) 7 시험재배를 실시하였다. 건물수량은 사료용 피가 가장 높았고, 조단백 질함량은 수수×수단그라스교잡종이 가장 높았다. 또한 추정 건물소화 율(DDM)과 추정 건물섭취량(DMI)은 NDF함량과 ADF함량이 낮은 옥 수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척지 토양에서의 적응력, 건물 생산성 그리고 사료가치 등을 고려할 때 사료용 피가 재배작목 중 가장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 이상을 종합하면 간척지는 대체로 염류집적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새로 개간되는 간척지에서는 내염성이 강한 보리, 호밀, 밀, 사료작물 등의 작 물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작부체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복토, 시 비 등과 같은 토지개량과 배수시설을 구축하는 것도 작물생육을 향상시키 기 위해 필요하다. ◦ 이와 같이 간척지 토양의 물리적 특성 및 작물실험에 대한 자연과학측면 의 연구는 비교적 오래전부터 이루어지고 있지만 간척지의 개발방향이나 경제성 분석과 같은 사회과학측면의 연구는 상당히 부족하다. ◦ 이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기초로 미래간척지 밭조성 사업의 경제성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간척지 개발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화 옹간척지라는 구체적인 대상을 선정하고 면적배분 시나리오별 경제성을 분석함으로써 현실적으로 도입 가능한 구체적인 재배면적 방향을 제시하 여 다양한 간척지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참조

관련 문서

마지막으로 옵션의 만기에 대해 결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증사업은 실증 운영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큰 규모의

또한 국내 유관기관 및 언론에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기상 산업을 위하여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으로 매일 실시간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기상청의

본 연구에서는 맞춤형 해양기상정보의 상시제공에 대한 요구증대 및 실질적인 현장에 서의 활용성을 갖는 해양기상 서비스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맞춤형 해양기상서비스

현장 및 위성관측을 기반으로 하는 대기경계층 바람 환경의 관측 및 분석 기술과 초고해상도 유체역학 모델링의 지역규모 적용을 위한 계산 및 이론, 그리고

통계 포스터 제작을 위한 매체 속 글 표현과 말하기 전달이 잘 나타나 주제의 분석과 결과가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나타날

또한 현장 자체를 분석하여 증거 능력이 있는 증거물을 채취하는 것은 사건을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현장에 혈흔이 발견된다면 혈흔의 형태를

○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원도심에 스마트 시티 기술을 적용한 재생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14일 하버파크호텔에서 인천대, ㈜포스코건설, 지멘스㈜와 '원도심 스마트

◦ 인천시 부평구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역 내 300세대 이상 공동주택 100개소, 8만5422세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