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화학1(비상)학습지 4단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화학1(비상)학습지 4단원"

Copied!
2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화학 반응에서의 동적 평형

01. 가역 반응과 동적 평형

① 염화 코발트 수화물의 생성과 분해 ■ 코발트 - 전이 금속들은 주기율표 4, 5, 6주기에 있는 3~12족 원소로,  오비탈이 채워지는 구역에 있는 원소 들이다. 전이 금속은 보통 두 개 이상의 안정한 산화 상태를 가지며, 많은 전이 금속이 분자나 이온 과 화합물을 형성하여 특유의 색깔을 띤다. Co는 전이 금속으로, 염소와 결합한 염화 코발트는 ( )색을 띠지만 물을 흡수한 육수화물은 ( )색을 띤다. ■ 염화 코발트 수화물의 생성과 분해 - 푸른색의 염화 코발트가 물과 결합하여 붉은색의 염화 코발트 육수화물을 생성하는 반응과 염화 코발트 육수화물에서 물이 분해되는 반응은 모두 일어날 수 있다. -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만든 염화 코발트 종이로 쉽게 ( )을 확인할 수 있다. 푸른 색의 염화 코발트 종이에 물을 흡수시키면 붉은색이 되고, 붉은색의 염화 코발트 종이를 살짝 가열하 면 다시 푸른색이 된다. ② 가역 반응 ■ 정반응과 역반응 - 화학 반응식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는 반응을 ( ), 왼쪽으로 진행되는 반응을 ( ) 이라고 한다.

화학Ⅰ

Ⅳ.

역동적인 화학 반응

(2)

➜ ■ 비가역 반응 - 정반응은 일어나지만 역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운 반응, 즉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되는 반응이다. - 연소 반응은 대표적인 비가역 반응 중 하나이다. ex) 메테인을 연소시키면 이산화 탄소와 물이 되지만, 이산화 탄소와 물로부터 메테인이 되는 반응은 일어나지 않는다. ➜

(3)

③ 동적 평형 ■ 동적 평형 - 물질의 이동이나 변화가 계속 일어나지만, 서로 반대 방향의 변화가 상쇄되어 변화가 없어 보이는 상태가 동적 평형이다. ■ 액체의 증발과 응축에서의 동적 평형 - 열린 용기 : 액체 분자가 증발하여 기체가 되어 공기 중으로 날아가므로 열린 용기에서는 액체가 모두 없어질 때까지 증발이 일어난다. 이는 열린 용기에서는 주어진 온도에서 액체의 증기 압력에 도 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밀폐 용기 : 일정 온도에서 액체의 증발 속도는 (     )하다. 처음에는 증발하는 분자 수가 응축 하는 분자 수보다 ( 많아 / 적어 )서 액체의 양은 줄어든다. 기체 분자 수가 점점 많아지면서 응축 하는 분자 수가 ( 증가 / 감소 )하다가 증발하는 분자 수와 응축하는 분자 수가 같아지면 액체의 양은 일정해진다. - 시간이 지날수록 물의 증발 속도는 느려지고 응축 속도는 빨라져 증발 속도와 응축 속도가 같아지는 것이 아니다. 온도가 일정한 경우 증발 속도 는 일정한데, 응축 속도가 빨라져 두 속도가 같아지는 것이다.

(4)

( 증가 / 감소 )하다가 용해되는 용질 분자 수와 석출되는 분자 수가 같아지면 용액 속 용질 분자 수 는 일정해진다.

(5)

< 탐구 > 사산화 이질소의 생성 반응과 분해 반응에서의 변화 해석하기

■ 목표 :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을 설명할 수 있다. 적갈색을 띠는 이산화 질소(NO2)가 서로 결합하여 무색의 사산화 이질소(N2O4)를 생성하는 반응은 다음과 같이 가역적으로 일어난다. 적갈색을 띠는 NO2를 밀폐 용기에 넣은 다음 실온에 두었더니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정리 1. (가)에서 (나)로 될 때 적갈색이 점점 옅어지는 까닭을 토의해 보자. ✍ 정반응 속도 ( ) 역반응 속도 ➜ 반응 초기에는 적갈색을 띠는 ( )가 무색인 ( )가 되는 ( )반응 속도가 ( )반응 속도보다 빨라 적갈색이 점점 옅어진다. 2. (나)에서 (다)로 되어도 적갈색이 더 이상 옅어지지 않은 까닭을 토의해 보자. ✍ 정반응 속도 ( ) 역반응 속도 ➜ 적갈색을 띠는 ( )가 무색인 ( )를 생성하는 ( )반응 속도와 무색인 ( )가 적갈색을 띠는 (     )를 생성하는 (   )반응 속도가 같은 ( ) 상태이다. 따라서 NO2가 소모된 것만큼 다시 N2O4가 분해되어 NO2를 생성하여 NO2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색깔 변화가 없다. ➜ 왜냐하면,

(6)

③ 화학 평형 상태 ■ 화학 평형은 가역적인 화학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 ■ 화학 평형 상태에 도달하면 ( ), (     ) 등 외부 조건이 변하지 않는 한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이 변하지 않는다. ■ 화학 평형 상태는 ( )으로, 겉보기에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이 변하지 않지만 실제로는 정반응과 역반응이 계속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화학 평형은 반응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정적 평형 상태와는 구분된다. *** < 참고 > 화학 평형의 특징 *** ․ 화학 평형은 동적 평형으로 거시적인 변화가 없지만 정반응과 역반응이 같은 속도로 일어난다. ․ 화학 평형은 반응물에서 시작하거나, 생성물에서 시작하거나 또는 반응물과 생성물을 모두 넣고 반응시키더라도 항상 자발적으로 도달한다. 즉, 평형에 도달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평형에 도달한다. 평형에 도달한 후에는 외부 조건이 변하지 않는 한 평형을 유지한다. ․ 화학 평형 상태에서 각 물질의 농도를 평형 농도라고 하는데, 반응물의 평형 농도와 생성물의 평형 농도의 비로 나타 내는 값을 평형 상수라고 한다. 어떤 반응의 평형 상수는 특정 온도에서 항상 일정한 값을 가지며, 평형 상수는 그 반응의 반응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기도 하다.

(7)

02. 물의 자동 이온화

① 브뢴스테드 ․ 로리 산 염기 ■ 아레니우스 산 염기 - 아레니우스 산 염기는 ( )에 녹을 수 있는 물질의 수용액 상 태에서만 정의되며, 이온화하여 내놓을 수 있는 ( )이나 수 산화 이온(   )을 포함하지 않는 물질이 산성 또는 염기성을 나타내는 경우를 설명할 수 없었다. ex) 암모니아(NH3)는 염기이지만, 분자 자체에서 ( )를 내놓지 않으므로 아레니우스 정의로는 설명할 수 없다. ■ 브뢴스테드 ․ 로리 산 염기 - 산 : 다른 물질에게 (   )을 주는 물질 - 염기 : 다른 물질로부터 ( )을 받는 물질 ex) 암모니아와 물의 반응 ex) 염화 수소와 물의 반응 ■ 브뢴스테드 ․ 로리 산 염기 정의의 특징 - 브뢴스테드 ․ 로리 산은 아레니우스와 개념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염기는 뚜렷하게 구별된다. ➜ 아레니우스 염기 : 물에 녹아 ( )을 내놓을 수 있는 물질 ➜ 브뢴스테드 ․ 로리 염기 : 반응에서 다른 물질로부터 ( )을 받는 물질 - 기체 상태의 염화 수소와 암모니아가 반응하여 흰색의 염화 암모늄이 생성되는 반응 - 브뢴스테드 ․ 로리 산 염기는 ( )이 이동하지 않는 반응은 설명할 수 없다.

(8)

② 루이스 산 염기 ■ 브뢴스테드 ․ 로리 산 염기 - 수소 이온(H+) : ( ) - 브뢴스테드 ․ 로리 정의에서 산은 양성자 ( ), 염기는 양성자 ( )라고도 한다. - 양성자 주개와 받개 정의를 ( ) 받개와 주개의 정의로 확장한 개념이 루이스 산 염기 정의 ➜ 루이스 ( ) : 전자쌍을 받는 물질 루이스 ( ) : 전자쌍을 주는 물질 ➜ 루이스 정의에 따르면 물질 사이에 ( )이 이동하지 않는 반응에서도 산 염기 반응을 설명할 수 있다. ③ 물의 자동 이온화 ■ 양쪽성 물질 - 어떤 분자와 이온들은 반응 조건에 따라 H+을 받기도 하고, 주기도 한다. ➜ 산이나 염기는 상대적인 것으로, 산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염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 이러한 물질을 ( ) 물질이라고 하는데, H2O, HSO4-, HCO3-, HS-, H2PO4- 등이 있다. ex) ■ 물의 자동 이온화 - 물은 대표적인 양쪽성 물질로, 매우 적은 양이긴 하지만 산 또는 염기로 작용하여 물 분자 사이에 ( )을 주고받으면서 이온화한다. -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은 ( )으로 일어나므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 )에 도달한다.

(9)

■ 수소 이온(H+)과 하이드로늄 이온( )의 차이점 - 염산이나 황산과 같은 산이 물에 녹았을 때 내놓는 H+을 반응식에 나타낼 경우 H+(aq) 표기는 사용 하기에 편리하지만 수용액에서 존재하는 이온의 실제 구조를 반영하지 못한다. ➜ 전자가 없는 수소의 원자핵( )인 H+은 반응성이 너무 커서 홀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H+은 물 분자의 산소가 제공하는 ( )과 결합을 형성하여 더 안정한 하이드로늄 이온 (H3O+)의 형태로 존재한다. ➜ 편의상 화학 반응식을 쓸 때 H+(aq)라고 쓰지만, 실제 존재하는 이온은 H3O+(aq)이다. ■ 물의 이온화 상수 - 동적 평형 상태에서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양이 일정하다. - 이때 일정 온도에서 물속에 존재하는 H3O+의 몰 농도와 OH-의 몰 농도의 곱은 일정한 값을 갖는데, 이를 물의 ( )라고 한다. ➜ H3O+의 몰 농도 : ( ), OH-의 몰 농도 : ( ) ➜ [H3O+][OH-] = 일정 ➜ 특히 물의 온가 ( )℃일 때,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이 동적 평형에 도달한 상태에서 [H3O+]와 [OH-]는 각각 ( )이므로 25℃에서 물의 이온화 상수는 다음과 같다. ■ 수용액의 액성과 [H3O+]와 [OH-]의 비교 - 온도가 일정할 때 물의 이온화 상수는 일정하므로, [H3O+]와 [OH-]는 ( ) 관계이다. (25℃일 때)

(10)

④ 수소 이온 농도와 pH ■ pH - 수용액의 산성이나 염기성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 수용액에 녹아 있는 H3O+의 농도가 매우 작아 [H3O+]의 역수에 상용로그를 취한 값으로 나타낸다. ■ pOH - 수용액에 녹아 있는 OH-의 농도인 [OH-]의 역수에 상용로그를 취한 값 ■ pH와 pOH - 수용액의 액성과 pH, pOH - 25℃에서 물의 이온화 상수 양변에 ­log를 취하면 pH와 pOH의 관계식을 얻을 수 있다.

(11)

- pH는 물의 자동 이온화 반응의 평형 상태에서 [H3O+]로부터 구하므로 온도 함수이다. ➜ 순수한 물의 pH가 7인 경우는 온도가 25℃일 때이다. 물의 온도가 25℃보다 낮거나 높아지면 순수한 물의 pH는 7이 아니다. - 산에 물을 넣어 희석시키면 pH는 점점 ( 증가 / 감소 )하지만 7보다 커질 수 없다. 마찬가지로 염기에 물을 넣어 희석시키면 pH는 점점 ( 증가 / 감소 )하지만 7보다 작아질 수 없다. *** < 참고 > 인체 기관과 pH *** 인체의 소화 장기는 각각 다른 액성을 가진다. 이는 내부 장기를 보호하는 기능도 있 지만 각 장기의 기능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장기에서 분비되는 소화 효소 마다 반응하는 최적의 pH를 가지기 때문이다. 위에서는 염산을 포함한 위액이 분비되어 약 pH 2의 강한 산성을 띠고, 소장에서는 이를 탄산수소 나트륨(NaHCO3)으로 중화한 다. 위벽에 있는 세포들은 염산을 분해해서 음식물에 붙어 있는 미생물을 죽이고, 단백 질의 소화를 돕는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사람의 위는 위산과 효소를 견딜 수 있는 염기 성 점액막과 같은 보호 장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강한 염산이 분비되어도 위벽이 상하지 않는다. 효소는 대체로 단백질과 금속 양이온의 결합체로 구성된다. 단백질은 산 염기에 매우 민감한 물질 중 하나이므로 우리 몸속에서 각 장기들이 최적의 기능을 하려면 pH 조절 이 매우 중요하다. *** < 참고 > pH와 산의 세기 *** pH는 수용액 속에 들어 있는 [H3O+]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용액의 산도를 나타내는 지표이지 산의 세기를 나 타내는 지표는 아니다. 산의 세기는 산이 물에서 이온화하는 정도를 온도 함수로 나타낸 산의 이온화 상수에 의해서 정 해진다. 따라서 산의 세기는 농도와 관계가 없다. 이를테면 염산은 물에서 거의 대부분 이온화하는 강산이고, 아세트산 은 물에서 일부만 이온화하는 약산이지만 묽은 염산의 pH가 진한 아세트산 수용액의 pH보다 클 수 있다.

(12)

- 제산제 : 위에서 분비되어 소화를 돕는 액체인 위산은 0.5%의 염산을 포함하고 있다.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속이 쓰릴 때에는 제산제를 먹는데, 제산제에 들어 있는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등의 (      ) 물질이 위산과 중화 반응하여 속이 쓰린 증상을 완화시켜 준다. - 생선 비린내 제거 : 생선 비린내의 주원인인 트라이메틸아민((CH3)3N)이라는 염기성 물질이다. 레몬은 시트르산이라는 ( ) 물질이 들어 있으므로, 생선에 레몬즙을 뿌려 트라 이메틸아민을 중화하여 생선의 비린내를 제거한다. - 치약 : 음식물 섭취 후 입 안에 남아 있는 설탕이나 전분 등이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산성 물질이 생성되는데, 이 산성 물질이 염기성 물질인 탄산 칼슘과 수산화 인회석으로 이루어진 치아의 바깥 부분을 녹여 치아를 손상시킨다. 따라서 탄산 나트륨, 탄산 칼슘 등의 ( ) 물 질이 들어 있는 치약으로 양치질을 하여 입 속의 산성 물질을 중화시킨다. ■ 중화 반응 - 산의 양이온인 수소 이온(H+)과 염기의 음이온인 수산화 이온(OH-)이 반응하여 물(H 2O)과 염을 생성 하는 반응 - 중화 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 : ( ) ➜ ( ) 이온 : 반응에 직접 참여한 이온 ( ) 이온 : 반응에 참여하지 않고 수용액 속에 그대로 남아 있는 이온 - 염 : 염기의 ( )과 산의 ( )이 결합하여 생성된 이온성 물질 ➜ 여러 가지 반응에 의해 생성되며, 구성하는 이온에 따라 물에 잘 녹기도 하고 녹지 않기도 한다. ➜ 물에 잘 녹는 염에는 대체로 Na+, K+, NH 4+, NO3- 등이 포함되며, 중화 반응에서 생성된 염이 물에 잘 녹는 경우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물을 증발시키면 염을 얻을 수 있다. ②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 산과 염기가 중화 반응할 때에는 산의 H+과 염기의 OH-이 ( )의 몰비로 반응한다.

(13)

- 염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중화 반응 모형과 양적 관계 - 황산과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중화 반응 모형과 양적 관계 ■ 가수 - 산 또는 염기 1몰이 내놓을 수 있는 H+ 또는 OH-의 양(mol)을 가수라고 하며, 산과 염기의 가수는 산이나 염기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가수가 인 산은 가산, 가수가 인 염기는 가 염기라고 한다. ■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 산과 염기가 완전히 중화되려면 산이 내놓는 H+과 염기가 내놓는 OH-의 양(mol)이 같아야 한다.

(14)

➜ 0.1M 황산(H2SO4(aq)) 100mL를 완전히 중화하는데 필요한 0.1M 수산화 나트륨(NaOH) 수용액의 부피 ➂ 중화 적정 ■ 중화 적정 :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를 이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산이나 염기의 농도를 알아내는 실험 방법 - ( ) : 농도를 정확히 알고 있는 용액 ➜ 산을 중화 적정할 때에는 표준 용액으로 ( )를 사용하고, 염기를 중화 적정할 때에는 표준 용액으로 (   )을 사용한다. - 중화 적정에 사용되는 기구 ➜ ( ) : 정확한 농도의 표준 용액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 ( ) : 정확한 부피의 용액을 옮길 때 사용된다. ➜ ( ) : 중화 적정에 사용된 표준 용액의 부피를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 ( ) : 농도를 모르는 산 또는 염기 용액을 넣은 후, 뷰렛으로부터 떨어지는 표준 용액을 받아서 중화 반응 시키는 용기로 사용된다.

(15)

- 중화 적정 실험 장치 및 방법 ■ 중화점 : ( )과 ( )의 몰비가 1 : 1 이어서 산과 염기가 완전히 중화되는 지점 ■ 지시약을 이용한 중화점 확인 - 지시약의 색 변화 지시약 변색 범위(pH) 산성 중성 염기성 메틸 오렌지 3.1~4.4 메틸 레드 4.4~6.2 BTB 6.0~7.6 페놀프탈레인 8.0~10.0 - 지시약 선택 : 일반적으로 강산과 강염기의 적정인 경우 중화점의 pH가 7이므로 대부분의 지시약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 )과 ( ), ( )과 ( )의 적정인 경우 중화점에서 혼합 용액의 액성이 중성이 아니므로 적절한 지시약을 선택해 야 한다. *** < 참고 > 온도, 전류의 세기와 중화점 *** 중화 반응에서는 중화열이 발생하며, 반응하는 H+과 OH-의 수가 증가할수록 많은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혼합 용액의 온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 중화점이다. 또한 중화 반응이 일어나면 혼합 용액 속 이온의 종류와 수가 달라지므로 전기 전 도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혼합 용액의 전류의 세기 변화 경향이 달라지는 지점이 중화점이다.

(16)

■ 목표 : 중화 적정으로 식초에 들어있는 아세트산의 함량을 구하는 실험을 계획하고 수행하여 아세트산의 함량을 구할 수 있도록 한다. ■ 배경지식 - 식초의 주성분인 아세트산과 수산화 나트륨의 중화 반응식 ■ 실험 과정 ① ( )으로 식초 10mL를 취하여 눈금실린더에 넣고, 증류수를 가해 용액의 전체 부피가 100mL 가 되도록 하여 식초를 ( )로 묽힌다. ② 과정 ①의 용액 20mL를 피펫으로 취한 후 ( )에 넣고, ( ) 용 액을 1~2방울 떨어뜨린다. ③ 0.1M 수산화 나트륨 ( )을 ( )에 넣고 스탠드에 고정시킨다. 뷰렛의 꼭지를 열 어 용액을 소량 흘려보낸 후 뷰렛의 눈금을 읽어 표에 기록한다. *** 0.1M 수산화 나트륨 표준 용액 만드는 방법(NaOH의 화학식량 : 40) *** (1) 수산화 나트륨 ( )g을 증류수 100mL가 담긴 비커에 넣어 녹인다. (2) 과정 (1)의 용액을 1L ( )에 넣고, 눈금 선까지 증류수를 채운다. (3) 부피 플라스크의 마개를 닫고 흔들어 용액을 골고루 섞는다. ④ 스탠드 위에 ( )를 깔고 식초가 들어 있는 과정 ②의 삼각 플라스크를 올려놓는다. ⑤ 뷰렛의 꼭지를 열어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 삼각 플라스크에 천천히 떨어뜨린다. 이때 삼각 플라스크 를 흔들어 준다. ⑥ 삼각 플라스크의 용액 전체가 ( )으로 변하는 순간 뷰렛의 꼭지를 잠그고, 뷰렛의 눈금을 읽어 표에 기록한다. ⑦ 과정 ②~⑥을 한 번 더 수행하여 중화 적정에 사용된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평균 부피를 구하고, 식 초에 들어 있는 아세트산의 함량을 구한다. ■ 아세트산의 함량 계산 과정 ① 사용된 0.1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평균 부피 : ( ) ② 식초 속 아세트산의 몰 농도 : 식초 속 아세트산의 몰 농도를 이라고 하면 다음 관계식이 성립된다. ➜ ③ 식초 20mL에 들어 있는 아세트산의 양(mol) : 식초를   로 묽혔으므로 10을 곱하여 계산한다. ➜ ④ 식초의 아세트산 함량 (1) 아세트산의 분자량이 60이므로, 아세트산 ( )몰의 질량은 (     )이다. (2) 식초의 밀도가 1g/mL이므로 식초 20mL의 질량은 ( )이다. (3) 식초의 아세트산 함량(%)은 ( )이다.

(17)

02. 산화 환원 반응

① 전자의 이동과 산화 환원 ■ 산소의 이동과 산화 환원 - 산화 : 어떤 물질이 산소와 ( )는 반응 - 환원 : 어떤 물질이 산소와 ( )되는 반응 ➜ 어떤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면 전기 음성도가 큰 산소에게 ( )를 빼앗긴다. ■ 전자의 이동과 산화 환원 - 산화 : 어떤 물질이 전자를 ( )는 반응 - 환원 : 어떤 물질이 전자를 ( )는 반응

- 철의 부식 : 철(Fe)이 공기 중의 산소, 물과 반응하여 붉은 녹(Fe2O3․ 3H2O)을 생성하는 현상 ➜ 철은 전자를 잃어 ( )도고 산소는 전자를 얻어 ( )된다. - 산화 환원 반응의 동시성 ➜ 한 반응에서 전자를 잃어 산화되는 물질이 있으면 반드시 전자를 얻어 환원되는 물질이 있으므로 산화 환원은 항상 동시에 일어난다. ➜ 산화되는 물질이 잃는 전자 수와 환원되는 물질이 얻는 전자 수가 같다.

< 탐구 > 아연과 황산 구리(Ⅱ) 수용액의 반응 관찰하기

■ 목표 : 금속과 금속 이온의 반응을 산화 환원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 실험 과정 1. 사포로 문지른 아연판을 황산 구리(Ⅱ) 수용액에 넣는다. 2. 일정한 시간이 지난 뒤 수용액의 색과 아연판 표면에서 일어난 변화를 관찰한다. ■ 정리 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용액의 색은 어떻게 변하는가? ➜ 2. 아연판 표면에 붙어 있는 물질은 무엇이라고 생각되는가? ➜ 3. 아연판과 황산 구리(Ⅱ) 수용액 사이에 어떤 반응이 일어났는지 설명해 보자. ➜

(18)

➜ 아연과 구리 이온의 산화 환원 반응식 : ■ 질산 은 수용액과 구리 조각의 산화 환원 반응 - 전체 반응식 : - 각 반응에서의 전자의 이동 ➜ 산화 : ➜ 환원 : - 질산 은 수용액의 은 이온은 전자를 ( 얻 / 잃 )어 금속 은으로 ( 산화 / 환원 )되었고, 구리 조각은 전자를 ( 얻 / 잃 )고 구리 이온으로 ( 산화 / 환원 )되었다. ➜ 산화된 물질 : ➜ 환원된 물질 : ② 산화수 ■ 산화수 - 어떤 물질(분자, 이온 결합 물질, 홑원소 물질 등)에서 전자가 완전히 이동했다고 가정할 때 원자가 갖는 가상적인 전하로, 산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물질을 이루는 원자가 전자를 잃으면 ( )의 산화 수를 가지며, 전자를 얻으면 ( )의 산화수를 갖는다. - 이온 결합 물질에서의 산화수 ➜ 금속 양이온과 비금속 음이온이 결합된 이온 결합 물질에서 금속 양이온은 원자가 전자를 잃고, 비금속 음이온은 원자가 전자를 얻어 형성된 것이다. ➜ 따라서 이온 결합 물질에서 각 이온의 전하가 그 이온의 산화수이다. ex) 염화 나트륨(NaCl) : Na+의 산화수는 ( ), Cl-의 산화수는 ( )이다. 산화 마그네슘(MgO) : Mg2+의 산화수는 ( ), O2-의 산화수는 ( )이다.

(19)

- 공유 결합 물질에서의 산화수 ➜ 공유 결합 물질에서 (         )가 큰 원자 쪽으로 공유 전자쌍이 모두 이동한다고 가정 한다. 따라서 전기 음성도가 큰 원자는 ( )의 산화수를, 전기 음성도가 작은 원자는 ( ) 의 산화수를 갖는다. ➜ 화합물을 형성할 때 같은 원자라도 화합물에 따라 여러 가지 산화수를 가질 수 있는데, 이는 그 원자와 결합하는 원자의 전기 음성도에 따라 전자를 잃을 수도, 얻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 산화수의 주기성 ➜ 화합물을 형성할 때 원자들은 전자를 잃거나 얻어서 비활성 기체와 같은 전자 배치를 이루려는 경향이 있으므로 원자의 산화수는 전자 배치와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주기성이 있다. - 산화수 표시 : 산화수는 가상적인 전하이므로 실제 전하와 구별하여 원소 기호의 위나 아래쪽에 +1, -1 등으로 표시한다.

(20)

3. 다원자 이온은 각 원자의 산화수의 합이 그 이온의 전하와 같다. ➜ ex) SO42- : CO32- : 4. 화합물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의 합은 ( )이다. ➜ 화합물은 전기적으로 중성이므로 구성 원자의 산화수의 합은 0이다. ➜ ex) H2O : Fe2O3 : 5. 화합물에서 1족 금속 원자의 산화수는 ( ), 2족 금속 원자의 산화수는 ( ), 13족 금속 원자의 산화수는 ( )이다. ➜ 금속은 전기 음성도가 매우 작으므로 비금속과 화합물을 형성할 때 항상 전자를 잃는다. ➜ NaCl : MgCl2 : 6. 화합물에서 F의 산화수는 ( )이다. ➜ F은 전기 음성도가 가장 큰 원자이다. 따라서 화합물을 형성할 때 항상 전자쌍을 가져오므로 화 합물에서 F의 산화수는 항상 ­1이다. ➜ HF : H의 산화수는 ( ), F의 산화수는 ( ) 7. 화합물에서 H의 산화수는 ( )이다. (단, 금속의 수소 화합물에서는 ( )이다.) ➜ 비금속 원자 중 H의 전기 음성도가 2.1로 가장 작다. 따라서 화합물을 형성할 때 전자쌍을 잃으 므로 화합물에서 H의 산화수는 +1이다. 그러나 금속의 수소 화합물에서는 H의 전기 음성도가 금속보다 크므로 H의 산화수는 ­1이다. ➜ H2O : LiH : 8. 화합물에서 O의 산화수는 ( )이다. (단, 과산화물에서는 ( )이다.) ➜ O은 전기 음성도가 두 번째로 큰 원자이다. 따라서 F를 제외하고 다른 원자와 화합물을 형성할 때 O는 전자쌍을 가져오므로 O의 산화수는 ­2이다. ➜ CO2 : H2O2 : OF2 : *** < 참고 > 할로젠의 산화수 *** 대부분 화합물에서 Cl, Br의 산화수는 –1이다. 그런데 O와 같이 전기 음성도가 큰 원소와 화합물을 형성하는 경우에 는 Cl, Br의 전기 음성도가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의 산화수를 갖는다. (ex: HCl, HClO3) *** < 참고 > 산화수와 산화 환원 반응 *** 반응 전후 산화수가 변하지 않는 반응은 산화 환원 반응이 아니다. (ex: 중화 반응, 앙금 생성 반응 등)

(21)

③ 산화수 변화와 산화 환원 반응 ■ 산화수 변화와 산화 환원 - 산화 : 산화수가 ( )하는 반응 - 환원 : 산화수가 (     )하는 반응 ■ 산화 환원 반응의 동시성 - 산화 환원 반응에서 한 원자의 산화수가 증가하면 다른 원자의 산화수가 감소하므로, 산화 환원은 항상 동시에 일어난다. 이때 산화수가 감소한 물질이 얻은 전자는 모두 산화수가 증가한 물질이 내놓 은 전자이므로 증가한 산화수의 합과 감소한 산화수의 합은 같다. ④ 산화제와 환원제 ■ 산화제와 환원제 - 산화 환원 반응은 항상 동시에 일어나므로 산화 환원 반응에서 산화제와 환원제는 항상 존재한다. - 산화제 : 다른 물질은 ( )시키고 자신은 ( )되는 물질 ➜ 산소를 잘 내주거나, 전자를 얻기 쉬운 물질 ➜ 전기 음성도가 ( 큰 / 작은 ) 대부분의 ( ) 원소 ➜ ex) F2, Cl2 등의 할로젠 - 환원제 : 다른 물질은 ( )시키고 자신은 ( )되는 물질 ➜ 전자를 내주기 쉬운 물질 ➜ 전기 음성도가 ( 큰 / 작은 ) 대부분의 ( ) 원소 ➜ ex) Na, K 등의 알칼리 금속

(22)

➜ 이산화 황(SO2)이 환원제로 작용한 경우 : 자신보다 산화력이 강한 물질과 반응할 때 환원제로 작용

(23)

⑤ 산화 환원 반응식

■ 산화수법을 이용하여 산화 환원 반응식 완성하기

(24)

*** < 참고 > 산화 환원 반응의 양적 관계 *** 산화 환원 반응에서 환원제가 잃은 전자의 총 양(mol)과 산화제가 얻은 전자의 총 양(mol)은 같으므로 증가산 산화 수는 감소한 산화수와 같다. 따라서 산화 환원 반응이 완결되었을 때 다음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 < 참고 > 이온-전자법을 이용하여 산화 환원 반응식 완성하기 *** Sn2+ + Cr 2O72- + H+ → Sn4+ + Cr3+ + H2O 1) 산화 반쪽 반응과 환원 반쪽 반으로 나눈다. 산화 반쪽 반응 : Sn2+ → Sn4+ 환원 반쪽 반응 : Cr2O72- + H+ → Cr3+ + H2O 2) 각 반응의 모든 원자 수가 같아지도록 계수를 맞춘다. 산화 반쪽 반응 : Sn2+ → Sn4+ 환원 반쪽 반응 : Cr2O72- + 14H+ → 2Cr3+ + 7H2O 3) 반응 전후 전하량이 같도록 전자수를 더해 맞춘다. 산화 반쪽 반응 : Sn2+ → Sn4+ + 2e 환원 반쪽 반응 : Cr2O72- + 14H+ + 6e- → 2Cr3+ + 7H2O 4) 산화 반응의 잃은 전자 수와 환원 반응의 얻은 전자 수가 같도록 계수를 맞춘다. 산화 반쪽 반응 : 3Sn2+ → 3Sn4+ + 6e 환원 반쪽 반응 : Cr2O72- + 14H+ + 6e- → 2Cr3+ + 7H2O 5) 두 반쪽 반응을 더한다. 3Sn2+ + Cr 2O72- + 14H+ → 3Sn4+ + 2Cr3+ + 7H2O

(25)

03.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

①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 ■ 발열 반응 -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방출하는 반응이며, 반응 후 주위의 온도가 ( )진다. - 예) 강산과 강염기의 반응 - 예) 산과 금속의 반응 - 예) 연소 반응 ■ 흡열 반응 -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을 흡수하는 반응이며, 반응 후 주위의 온도가 ( )진다. - 수산화 바륨 팔수화물과 질산 암모늄의 반응 ➜ 수산화 바륨 팔수화물과 질산 암모늄이 반응할 때 열을 흡수한다. 따라서 나무판 위를 물로 적신 다음 수산화 바륨 팔수화물과 질산 암모늄을 넣은 비커를 올려놓고 두 물질을 섞어 반응시키면, 주위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나무판 위의 물이 언다. 따라서 반응 후 비커를 들어 올리면 나무판이 함께 들린다. - 탄산수소 나트륨의 열분해 ➜ 탄산수소 나트륨은 분해될 때 열을 흡수한다. 탄산수소 나트륨은 베이킹 소다의 주성분으로, 빵을 만들 때 베이킹 소다를 넣은 반죽을 따뜻하게 하면 탄산수소 나트륨이 분해되어 이산화 탄소 기 체가 발생하므로 빵이 부풀어 오른다. ② 화학 반응에서 출입하는 열의 측정 ■ 열량계 -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방출하거나 흡수하는 ( )을 측정하는 장치로, 기본적으로 단열 용기, 온도계, 젓개로 구성되어 있다. ■ 통열량계 - 통열량계의 특징 ➜ 매우 단단한 강철 용기인 통(bomb)으로 되어 있어 반응 후 생성물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여 부피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 단열이 잘되어 열 손실이 거의 없으므로 반응열을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주로 연소 반응에서 방출하는 열을 측정할 때 사용한다.

(26)

- 통열량계를 이용한 열량 계산 ➜ 화학 반응에서 방출하는 열량은 통열량계 속의 물과 통열량계가 모두 흡수한다고 가정한다. 온도 상승으로 인해 물이 흡수하는 열량은 물의 양에 따라 다르지만, 통열량계 부분은 질량이 일 정하므로 온도 상승으로 인해 통열량계가 흡수하는 열량은 일정하다. ■ 간이 열량계 - 간이 열량계의 특징 ➜ 용기의 뚜껑이 느슨하게 되어 있어 열량계 내부의 압력이 일정(보통 대기압으로)하게 유지된다. 물질의 연소 반응처럼 기체가 발생하는 반응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주로 ( ) 반응이나 ( ) 반응과 같이 비연소 반응에서 출입하는 열량을 측정할 때 사용한다. ➜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하기는 쉬우나 열 손실이 있으므로 정확한 반응열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 간이 열량계를 이용한 열량 계산 ➜ 간이 열량계를 사용하여 출입하는 열량을 측정할 때에는 간이 열량계가 열의 출입을 차단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화학 반응에서 방출하는 열량은 간이 열량계 속의 ( )이 흡수한 열량과 같다.

(27)

< 탐구 > 화학 반응에서 열의 출입 측정하기

■ 목표 : 염화 칼슘이 물에 용해될 때 출입하는 열을 간이 열량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 배경지식 - 염화 칼슘(CaCl2) : 칼슘 이온과 염화 이온이 이온 결합한 물질로, 상온에서 흰색의 고체이다. 염화 칼슘이 물에 용해되는 반응과 이때 방출하는 열은 다음과 같다. 염화 칼슘 1몰, 즉 111g이 충분한 양의 물에 용해될 때 81.3kJ의 열을 방출한다. ■ 탐구 설계와 수행 1. 열량계의 뚜껑에 구멍을 내고 온도계와 젓개를 꽂는다. 2. 증류수 200g을 열량계에 넣은 뒤 온도()를 측정한다. ● 처음 온도() : ℃ 3. 열량계에 염화 칼슘 10g을 넣고 젓개로 계속 저어 완전히 녹인 뒤 용액의 최고 온도()를 측정한다. (주의) 염화 칼슘은 오븐으로 건조하여 사용한다. ● 최고 온도() : ℃ ■ 자료 해석과 논의 1. 염화 칼슘이 용해될 때 방출한 열이 모두 용액에 흡수되었다고 가정하고, 방출한 열랑(J)을 구해 보자. (단, 용액의 비열은 4.2J/(g․℃)라고 가정한다.) ✍ 2. 1에서 구한 값을 이용하여 염화 칼슘이 물에 용해될 때 방출한 열량(J/g)을 구해 보자. ✍ 3. 실제로 염화 칼슘이 물에 용해될 때 방출하는 열량은 732.4J/g이다. 2에서 구한 값과 비교해 보고 오차가 생긴 까닭을 토의해 보자. ✍ ■ 자료 해석과 논의 1. 염화 칼슘이 물에 용해될 때 방출하는 열을 측정하는 원리를 설명해 보자. ✍

참조

관련 문서

비상임이사가 과반수가 되게 한다 시장형 공기업의 이사회 의장은. 선임비상임이사가 된다 그리고 임원추천위원회의 위원장은 비상. 임이사가 된다 한때 이사회의

어진 이를 보고도 등용하지 못하고 등용하여도 우선하지 못함은 게으른 것이요, 불선한 자를 물리치지 못하고 물리 쳐도 멀리하지 않음은

루이스 정의는 산-염기 반응을 나타내는데, 특히 전자쌍을 주고 받는 반응에서 형성되는 공유 결합과 관련이 있다..

Lewis 산은 전자쌍 받개: 고립 전자쌍을 가진 분자로부터 전자쌍을 받을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원자 궤도함수를 가졌다. Lewis

국내 업체들의 장비는 일본 업체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고, 3원계 배 터리 제조 라인에 납품한 이력 때문에 중국 업체들의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배터리 스펙

그러나 잠재적 문제와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데, 잔류 농약과 수의약품의 기준 초과와 생산지 환경오염 문제는 일부 지역과 품종 , 시기 등에 여전

본 연구에서 생후 10일의 NFI-C K/O 생쥐에서도 법랑모세포에서는 ZO-1 단백질이 법랑모세포의 근위쪽과 원위쪽에서 모두 뚜렷하게

한편,유아기에는 자아개념의 형성과도 관련성을 가지는데 체형,체격에 대한 자 아개념은사춘기에서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하고 놀이 및 운동기능의 수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