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장 집합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1장 집합론"

Copied!
2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생각열기

무엇이 집합인가

?”

집합의 정의는 공리적 정의를 하지 않고 중, ∙고등학교 때 배운 집합의 개념을 받아들여서 내용을 진행하려 합니다 즉 다음 칸토어의 직관적 정의를 가지고 내용 전개를 하였습니다. , . 우리의 직관 또는 사고의 대상으로서 서로 뚜렷이 구분되는 원소의 모임을 집합이라 한다 “ .”

제 장 집합

1

1 - 1

집합과 부분집합(Set and Subset)

칸토어의 직관적 정의를 가지고 집합의 생각하면 다음과 같은 경우를 모두 집합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다음과 같은 경우 집합이다. 대기업 의 자동차의 모임 (1) ○○ 대학교의 학생의 모임 (2) S

집합의 포함과 확장 공리

0

1

두 집합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 집합 (1) 가 집합 에 포함(inclusion)된다고 한다. ∀ ∈,  ∈  ⇔ ⊆ 다음과 같은 경우 집합 (2) 가 같다고 한다. 확장공리( ) ∀ ∈,  ∈  ∧ ∀ ∈,  ∈  ⇔ 

(2)

앞과 같이 정의하는 것이 합당한지 여러분과 같이 생각해보겠습니다. 집합 가 집합 에 포함된다는 것은 집합 의 모든 원소가 모두 집합 의 원소라는 뜻이기 때문에 ∀ ∈,  ∈  ⇔ ⊆ 로 정의를 내리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생각할수 있습니다. ⊆, ⊆를 동시에 성립하면 라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포함이라는 정의를 활용하면 다음과 같이 정의하는 것이 합당하다 생각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이 때, ⊆인 경우, ‘ 집합 를 집합 의 부분집합이다라 합니다. 특히, ⊆∧인 경우 ‘집합 를 집합 의 진부분집합이다라 하고 ⊂로 표기합니다.

정리 1.1.1

(

포함관계

)

임의의 집합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가정에 의하여 ∀ ∈ ⇒  ∈, ∀ ∈ ⇒  ∈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 ⇒  ∈ 그러므로 ⊆이다.

분류공리

0

2

주어진 집합 , 의 원소 에 대한 명제 에 대하여 의 원소로서 가 참인 것으로만 이루어진 집합  ∈ 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정한다. 위와 같이  ∈ 표시방법을 중∙고등학교때 배운 ‘조건제시법’이라 합니다. 조건제시법을 통해서 수의 집합를 다음과 같이 일반적으로 표기합니다.

(3)

정의 1.1.2

수(Numbers)의 집합(set) 수의 집합을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ℝ    는 실수 ℚ    는 유리수 ℤ    는 정수 ℕ    는 자연수 ℝ       1 다음 집합의 실수 ℝ에 대해 다음이 사실이다. (1) ∈ ℝ      ∅ (2)

 ∈ ℝ    

   

(3)

 ∈ ℝ    

 ∅ (4)

 ∈ ℚ    

 ∅ (5)

 ∈ ℂ      

   

     

 

정의 1.1.3

공집합 ∅ 어떠한 원소도 포함하지 않는 집합을 공집합이라 하고 ∅로 표기한다. 그러면 중학교때 공집합은 모든 집합의 부분집합이라는 것을 배운 적이 있을 겁니다. 다음 정리를 통해서 증명해 보겠습니다.

정리 1.1.4

(

공집합의 성질

)

공집합 ∅는 임의의 집합의 부분집합이다. 가정의 모순은 항상 참인 명제이고 공집합의 원소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  ∈ ∅는 거짓이다 그러므로.  ∈는 참이다.

(4)

정의 1.1.5

멱집합  (Power Set ) 주어진 집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의 모든 부분집합을 집합을 원소로 갖는 집합 을 집합의 멱집합이라고 한다. 다음 예제를 통해서 멱집합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2

다음과 같이 성립한다 (1)  ∅  (2)  ∅  1 집합  라 할 때 다음 명제에 대하여 참 거짓을 판별하시오, , . (1) ∈  (3)∈  (5)∅ ⊆  (7)∅∈  (2)⊆  (4) ⊆  (6)∅⊆  집합  이므로 멱집합  ∅이다. 거짓 (1) 거짓 (2) 참 (3) 참 (4) 참 (5) 참 (6) 참 (7)

정리 1.1.6

(

멱집합의 원소의 개수

)

집합 가 개의 원소를 갖고 있으면 는 정확히 개의 원소를 갖는다. 집합 가 개의 원소를 갖고 있다 가정하자. 원소가 개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개의 원소중 개를 선택하는

의 개수와 같다. 그러므로 모든 부분집합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5)

2 집합 가 10개의 원소를 갖는다 가정할 때 다음을 구하시오, . (1) 의 원소의 개수 원소의 개수가 개인 부분집합의 개수 (2) 3 원소의 개수가 홀수인 부분집합의 개수 (3) 정리 에 의하여 (1) 8 의 원소의 개수는 이다. 원소의 개수가 개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개의 원소 중 개의 원소를 선택하는 (2) 3 10 3 경우의 수와 같기 때문에

 

     이다. (3)



 

 

 

 

 

 

 

 

 

 

의 사실을 이용하면  ×



 

 

 

 

 



   임을 만족하므로 원소의 개수가 홀수인 부분집합의 개수는 이다.

(6)

1 - 2

집합의 연산(Operation of Sets)

두 숫자의 연산에 사칙연산이 있는 것처럼 집합 상에서도 연산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연산으로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을 들 수 있습니다, , .

정의 1.2.1

합집합(Union), 교집합(Intersection) 두 집합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합집합 (1) ∪ ∀ ∈∪ ⇔  ∈∨  ∈ 교집합 (2) ∩ ∀ ∈∩ ⇔  ∈∧  ∈ 특히, ∩ ∅인 경우 는 서로소(disjoint)라 한다.

1

집합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       (2)∩  1 다음 집합을 구하시오 단.( ,   ∈ ℝ  ≤  ≤ ) (1)∩ℤ (2)∩ℕ (3)ℤ∪ℚ (4)ℤ∩ℚ 임의의 집합 (5) 에 대하여 ∩, ∪ (1) ∩ℤ    (2) ∩ℕ   (3) ℤ∪ℚ  ℚ (4) ℤ∩ℚ  ℤ (5) ∩, ∪

(7)

집합위에서의 연산들 또한 대수적 구조를 이룰 수 있습니다 집합이 무슨 대수적 구조인가 싶을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법칙들이 성립함을 보면서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리 1.2.2

(

집합의 연산의 성질

)

집합 , 집합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단위원 (1) (Unities) ∪∅ , ∩ 멱등법칙 (2) (Idempotency laws) ∪, ∩ 교환법칙 (3) (Commutative laws) ∪∪, ∩∩ 결합법칙 (4) (Associative laws) ∪∪ ∪∪, ∩∩ ∩∩ 분배법칙 (5) (Distirbutive laws) ∪∩ ∪∩∪, ∩∪ ∩∪∩ 첨가법칙 (6) (Adjunctive laws) ∪∩, ∩∪ 생략 (1) (2)  ∈∪ ⇔  ∈∨ ∈ ⇔  ∈ ∴∪  ∈∩ ⇔  ∈∧ ∈ ⇔  ∈ ∴∩ (3)  ∈∪ ⇔  ∈∨ ∈ ⇔  ∈∨ 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습문제 (5) 연습문제 (6)

(8)

정의 1.2.3

차집합(Difference Set) 두 집합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차집합을 정의한다.    ∈  ∉ 2 집합      ,    에 대하여 다음을 구하시오. (1)     (2) ∩ (1)     (2)∩ 이므로  ∩     

정의 1.2.4

여집합(Complements set) 집합 , 집합의 부분집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여집합 을 정의한다.  3 집합 , 집합의 부분집합,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이다.

(9)

정리 1.2.5

(

여집합의 성질

)

전체집합 와 그 부분집합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

 (2)∅,  ∅ (3)∩ ∅, (4)⊆ ⇔⊆ (1)



     ∵ ∈  ⇔  ∈∧  ∉⇔  ∈ (2)∅ ∅ ,  ∅ (3)∩∩ ∅, ∪∪ (4)⊆ ⇔  ∈ ⇒  ∈ ⇔  ∉⇒  ∉ ∵대우 ⇔  ∈ ⇒  ∈ ⇔

 ∈⇒  ∈

⇔⊆

4

전체집합 와 그 부분집합,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이다.

(10)

정리 1.2.6

(

드모르간의 법칙

)

집합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2)∩ (1)  ∈ ∪ ⇔  ∉∪ ⇔  ∉∧ ∉ ⇔  ∈∧ ∈ 그러므로 ∪이다. (2) ∈ ∩ ⇔  ∉ ∩ ⇔  ∉∨ ∉ ⇔  ∈∨ ∈ 그러므로 ∩이다. 5 전체집합 와 그 부분집합,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드모르간의 법칙 

∩∩

∩∩

 ∅∪

∩∩

∩∩ ∩

∩

∩

(11)

1 - 3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s)

벤 다이어그램(Venn Diagrams)는 집합들의 관계를 이해하기에 용이하게 하기 위해 고안된 그림 표기방법입니다 벤 다이어그램을 통해서 도움을 받을 수는 있지만 증명이 되는 것은. 아니니 유념하셔야 합니다. 집합이 개일 때 벤 다이어그램은 다음과 같이,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영역 집합  집합  영역의 집합 표현 1 × × ∩ 2 ○ × ∩ 3 × ○ ∩ 4 ○ ○ ∩ 집합이 개일 때 벤 다이어그램은 모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영역 집합  집합  집합  영역의 집합 표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러한 개념을 일반화하여 생각하시면 됩니다.

(12)

1 - 4

첨수된 집합의 족(Indexed Families of Sets)

정의 1.4.1

집합의 족(Families of Sets)

집합을 원소로 갖는 모임을

(1) 족(Family or Class)이라 한다.

족의 각 원소에 인덱스를 매긴 족을

(2) 첨수된 족(Indexed family of set)이라 한다.

1

각 자연수 에 대하여 집합    라 하면 는 첨수된 족이다.  

  ∈ ℕ

1 집합 ∅ ℕ ℤ ℚ ℝ ℂ의 첨수된 족 을 구하시오. ∅ ℕ ℤ ℚ ℝ ℂ라 하면  

  ≤  ≤   ∈ ℕ

는 첨수된 족이다.

정의 1.4.2

집합족 의 합집합(The union of the sets )

전체집합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1) 집합족 의 합집합

 ∈  

  ∈  적당한∈  에 대하여  ∈ (2) 인덱스의 집합 에 대한 합집합 인덱스의 집합 에 대하여

 ∈  

 ∈  적당한  ∈  에 대하여  ∈

(3) 유한개의 인덱스의 집합 에 대한 합집합 유한개의 인덱스의 집합     ⋯  에 대하여

    

 ∈  적당한  ∈ 에 대하여  ∈

2 다음 합집합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정의 1.4.3

집합족 의 교집합(The intersection of the sets ) 전체집합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1) 집합족 의 교집합

 ∈  

  ∈  모든∈  에 대하여  ∈ (2) 인덱스의 집합 에 대한 교집합 인덱스의 집합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 모든  ∈  에 대하여  ∈

(3) 유한개의 인덱스의 집합 에 대한 교집합 유한개의 인덱스의 집합     ⋯ 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  모든  ∈  에 대하여  ∈

3 다음 교집합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라 가정하여 모순됨을 보이자.      인 고정점 이지만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의하여 충분히 큰 이 존재하여서     을 만족시킨다. 이는 모든 자연수 에 대하여      라는 사실에 모순이다. 그러므로

   ∞

 

 ∅이다. 특수한 경우의 무한 교집합과 무한 합집합은 상식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정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4)

정리 1.4.4

집합족

  ∈ 

에 대하여   ∅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단. ( , 는 전체집합)

 ∈   ∅,

 ∈    (1)∀ ∈ ,  ∉

 ∈   ⇔ ∼

 ∈

 ∈  

(∵표기) ⇔ ∼

적당한  ∈   ∅가 존재해서  ∈

(∵정의) ⇔ ∀ ∈   ∅  ∉ 그러므로

 ∈   ∅이다. (2)∀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  이다.

(15)

1 - 5

데카르트 곱 (Cartesian Product)

이제 서로 다른 집합들을 가지고 확장시키는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집합들의 곱을. 정의합니다.

정의 1.5.1

데카르트 곱(Cartesian product) 공집합이 아닌 임의의 두 집합 에 대하여  ∈,  ∈의 순서쌍  의 집합을 와 의 데카르트 곱이라 하고 이것을  ×로 표기한다.  ×      ∈∧  ∈       그림1

1

집합      에 대하여 데카르트 곱  ×, ×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   이 때,  ×≠×이므로 순서는 항상 중요합니다.

(16)

정리 1.5.2

임의의 집합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1) × ∩ ×∩× (2) × ∪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이다. 같은 방법으로 증명 (2) .

정리 1.5.3

임의의 집합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이다.

(17)

1 - 6

관계 (Relations)

정의 1.6.1

관계(Relations) 집합 에서 집합 로의 관계 은 데카르트 곱  ×의 한 부분집합을 뜻한다. 특히,  ∈를 로 표기하고, “는 에 따라 와 관계된다.”라고 한다.

집합      에 대하여   라 하자. 그러면 는 에서 로의 관계이다.

정의 1.6.2

역관계(Inverse Relations) 집합 에서 집합 로의 관계 의 역관계  는 에서 로의 관계로서  ⇔   이다 기호로는 다음과 같다. .     ∈

1

집합     에 대하여     라 할 때 역관계,  를 구하시오. 역관계  는 다음과 같다.   ⊂ ×

(18)

정의 1.6.3

정의역 상, (Domain, Image) 정의역 (1) (Domain)   ∈ 적당한  ∈에 대하여 ∈ 상 (2) (Image)   ∈ 적당한  ∈에 대하여  ∈

정의 1.6.4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 , (reflexive, symmetric, transitive)

반사적 (1) (Reflexive) ∀ ∈  ⇔de f 는 반사적이다. 대칭적 (2) (Symmetric)  ⇒  ⇔de f 는 대칭적이다. 추이적 (3) (Symmetric)  ∧  ⇒  ⇔de f 는 추이적이다. 특히, 이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인 경우, , 은 동치관계라고 한다.

2

집합            에 대하여 ×위에서 관계            라 하고, ×위에서 관계         라 하자.  의 합성을  ∘라 정의할 때,  ∘를 구하시오.  ∘    ∈  ∈ ∃ ∈ ∈∧∈ 이므로 조건에 맞는 원소를 찾아보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  이다.

(19)

3

자연수의 집합 ℕ에 대하여 ℕ × ℕ위에서의 관계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 ⇔de f        관계 가 동치관계임을 보이시오. 반사적 (1)       이므로  이다. 대칭적 (2)        ⇔        이므로   이다. 추이적 (3)   라 가정하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러므로  이다. 을 모두 만족하므로 (1), (2), (3) 는 동치관계이다.

(20)

1 - 7

분할과 동치관계 (Partitions and Equivalence Relations)

정의 1.7.1

분할 (Partitions) 집합 ≠ ∅의 임의의 부분집합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고 하자. 이 때 를 , ℘ 의 분할이라고 한다. (1)∈℘이고, ≠이면 ∩ ∅ (2)

 ∈   

이 양의 정수일 때 각 정수   ≤   에 대하여 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ℤ  ∈ ℤ  적당한  ∈ ℤ에 대하여      집합

 ℤ ℤ ⋯  ℤ  

은 집합 ℤ의 하나의 분할이다.

정의 1.7.2

동치류 (Equivalence Class) 집합 ≠ ∅위의 하나의 동치관계를 ℰ라고 할 때 각  ∈에 대하여 ℰ   ∈ ℰ 로 정의된 집합을 에 따른 동치류라고 한다. 이 같은 에서의 동치류의 집합 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ℰ  ℰ   ∈

(21)

정리 1.7.3

집합  위의 동치관계 ℰ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각 동치류 (1) ℰ는 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다. (2) ℰ ⇔ ℰ∩ℰ ≠ ∅ (3) ℰ  ℰ ⇔ ℰ 집합 (4)  위의 동치관계 ℰ에 대하여 ℰ는 의 분할이다. 증명은 간단하므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정리 1.7.3에 의하여 아래의 정의가 타당하다는 생각을 하실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타당성에 대하여 직접 증명하시기 바랍니다.

정의 1.7.4

 집합 의 분할 에 대하여 위의 하나의 관계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de f∃ ∈    ∈ 이제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서 함수(function)를 정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의 1.7.5

함수 (Function) 함수 (1) 를 임의의 집합이라 하자.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를 에서 로 대응되는 함수라고 한다. 는 에서 로 대응되는 관계이고 그 때 다음을 만족한다. ( )ⅰ  ( )ⅱ  ∈ ,  ∈  ⇒   

(2) 단사 혹은 일대일 함수 (Injective or one to one function)

∀ ∈ 



 



⇒  인 경우 를 단사 함수라 한다. (3) 전사함수 (Surjective)

인 경우 를 전사 함수라 한다.

(4) 전단사 혹은 일대일 대응 (Bijective or one to one correspondence) 가 단사함수 이면서 전사함수인 경우 전단사함수라고 한다.

(22)

정리

1.7.6 (

함수의 성질

)

 →를 함수에 대하여

  ∈ 

를 의 부분집합들의 모임,

  ∈ 

를 의 부분집합들의 모임이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한다. (1) ∅ ∅ (2) ∀ ∈   (3) ⊆⊆ ⇒ ⊆  (4) ⊆⊆ ⇒  ⊆   (5) 

 ∈  

 ∈  

(6) 

 ∈  

 ∈  



(등호는 가 단사일 때 성립한다.) (7)  

 ∈  

 ∈   

(8)  

 ∈  

 ∈   



책의 취지는 위상수학이므로 증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상수학에서 함수와 역상들의 관계는 많이 이용되는 내용이므로 집합론이 잘 숙지가 안되신 분들은 꼭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1

함수  →에 대하여  ⊆ ⊆일 때 다음이 성립함을 증명하여라. (1) ⊆   (2) 

 

⊆ (1)  ∈ ⇒  ∈  ⇒  ∈   그러므로 ⊆  이다. (2)  ∈ 

 

이므로 적당한  ∈  가 존재해서 다음이 성립한다.    이 때,  ∈  ,   ∈이기 때문에 

 

임을 만족한다.

1

함수 f : X → Y에 대하여 A X, B Y⊆ ⊆ 일 때 다음 명제가 거짓인 보기를 각각 하나씩 들어라. (1) ≠ ∅이면  ≠ ∅ (2)   (3) 

 

 (4)  반례 (1) ) B={d, e} ⇒f-1({c})=∅ 반례

(2) ) A={u}, f-1(f(A))=f-1(f({u}))=f-1({b})={u, y} {u}=A

반례

(3) ) B={c, d}, f(f-1(B))=f(f-1({c, d}))=f({w, z})={c} {c, d}=B

반례

(23)

1 - 8

유한집합과 무한집합 (Finite set and Infinite set)

정의 1.8.1

유한집합과 무한집합 (Finite set and Infinite set)

집합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 : 무한집합 ⇔de f ∃ ⊊ s.t (∃  → 는 일대일 대응) (2)  : 유한집합 ⇔de f 가 무한집합이 아닌 경우

예시

다음 명제에 대하여 성립한다. 자연수 집합 (1) ℕ은 무한집합이다. 공집합 (2) ∅와 한 점 집합 은 유한집합이다.

정리

1.8.2 (

유한집합과 무한집합

)

무한 집합을 포함하는 모든 집합은 무한집합이다 (1) . 유한 집합은 모든 부분집합은 유한집합이다 (2) . 무한집합을 포함하는 유한집합 (1) 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모순됨을 보이자. 가정에 의하여 는 모든 무한집합을 포함하므로 적당한 무한집합  또한 포함한다. 무한집합의 정의에 의하여 적당한 ⊊이 존재하여 다음을 만족한다. 일대일 대응  →가 존재한다. 가정에 의하여 가 유한집합이므로 

   

이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집합을 정의하자. ′ ∪

  

이제 다음 함수에 대해 고려하면, 1-1대응 함수가 되어서 가 유한집합이라는 사실에 모순이 된다.    ∪  ′→ ( ,   는 항등함수)

(24)

정의 1.8.3

집합의 대등 (Equipotence of set) 집합 , 에 대하여 ‘두 집합 가 대등하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de f ∃  → 는 일대일 대응

1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      →   를    이라 하자. 이제, 가 전단사 함수임을 보여서 두 집합이 대등함을 보이자. 전사(Surjection) ➊ ∀  ∈   ,        이라 하면          이다 그러므로. 는 전사이다. 단사(injection) ➋ 

 

⇔      ⇔   그러므로 는 단사이다.

1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   ∼ ℝ,   ∼ ℝ (1)  tan

  

예제 에 의하여 성립한다 (2) 1 .

(25)

정의 1.8.4

가부번집합 (Denumerable set)과 비가부번 집합 집합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 ∼ ℕ ⇔de f  : 가부번집합(Denumerable set) (2)  : 가산집합 ⇔de f  : 유한집합 혹은 가부번집합 (3)  : 비가부번집합(Nondenumerable set) ⇔de f  이 가부번집합이 아닌 경우

2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두 가부번집합의 합집합은 가부번집합이다. ➊∩ ∅ 를 비가부번집합이라 하면 ∼ ℕ, ∼ ℕ이다. ∪∼ ℕ∪ℕ  ℕ 이므로 두 가부번집합의 합집합은 가부번집합이다. ➋∩≠ ∅  라 하면 ∪∪∩ ∅이다. 이 때, ⊆는 유한집합 혹은 가부번집합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ⅰ 를 유한집합이라 하면 ∪ 또한 가부번집합 ( )ⅱ 를 가부번집합이라 하면 ➊에 의해서 ∪ 또한 가부번집합 그러므로 ∪는 가부번집합이다.

2

다음이 성립함을 보이시오. ℤ는 가부번집합이다. 다음과 같이 정의한 함수 에 대해 고려하자. 

         ′    ′     ⋯ 즉   ℕ→ ℤ는 일대일 대응 함수이므로 ℕ과 ℤ는 대등한 상태이다.

(26)

정리 1.8.5

집합 ℕ × ℕ은 가부번집합이다. 함수   ℕ × ℕ →ℕ를   으로 정의하자. ( )ⅰ  단사  



 



  ⇔      ⇔

 

 

에 의하여 ( ) ( )ⅱ ⅰ 는 단사함수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ℕ × ℕ ∼ ℕ × ℕ⊆ ℕ 이 때, ℕ × ℕ이 무한집합이므로 ℕ × ℕ또한 무한집합이고 가부번집합의 무한 부분집합이므로 가부번집합이다 그러므로. ℕ × ℕ 또한 가부번집합이다. 상황을 일반화하여 다음과 같이 무한의 크기의 관계를 만들기도 합니다. ℕ ℵ

ℕ

 ℝ ℵ

ℕ

 ℵ ⋯

참조

관련 문서

 삭제를 하려는데 큐가 empty 이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내보내고 삭제를 멈춘다..  다음과

 삭제를 하려는데 큐가 empty 이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내보내고 삭제를 멈춘다..  다음과

일반적인 디자인에는 Bard Button, MICKey, Copak, Entristar 가 있습니다.. 내시경을

 열공간은 주어진 행렬에 대한 열벡터들의 모든 선형결합의 집합이 다.  행공간은 주어진 행렬에 대한 행벡터들의 모든

덧셈에 관한 교환, 결합범칙이 성립함을 보여라.. 곱셈에 관한 교환,

그러나 디락 델타 신호 δ(ˆ ω)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산시간 복소 지수 신호의 이산시간 푸리에 변환을

카르다노는 제자인 로도비코 페라리와 얻은, 일반적인 사차 방정식의 대수적 해법과 아울러, 3차 방정식의 대수적 해법을 출판하고 싶다고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통해 유아는 스스로 음악적 개념이나 구조를 발견하거나 이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험은 자연스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