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설중방우인불우(雪中訪友人不遇) - 이규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설중방우인불우(雪中訪友人不遇) - 이규보"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명고등학교 오인석 1 -1. 본문 눈빛이 종이보다 더욱 희길래 雪色白於紙 채찍 들어 내 이름을 그 위에 썼지. 擧鞭書姓字 바람아 불어서 땅 쓸지 마라. 莫敎風掃地 주인이 올 때까지 기다려 주렴. 好待主人至 2. 핵심 정리 • 갈래 : 오언절구, 한시 • 성격 : 서정적, 애상적 • 주제 : 친구를 만나지 못한 상황에 대한 아쉬움과 안타까움 • 특징 : ① 의인화된 표현과 돈호법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전달하고 있음 ② 명령형 어조를 통해 화자의 안타까움을 표현함 ③ 동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화자의 모습을 표현함 ④ 눈빛과 종이의 비교를 활용함 • 구성 : 기: 하얗게 쌓인 눈을 보고 종이를 떠올림. 승: 채찍을 들어 자신의 이름을 눈 위에 씀. 전: 바람에게 불지 말 것(이름을 지우지 말 것)을 부탁함. 결: 주인(친구)이 자신이 왔다 갔음을 알기를 바람. 3. 작품 해설 이 작품은 고려의 유명한 문인 이규보가 지은 한시로, 오언 절구에 해당한다. 어느 겨울 친구의 집을 방문한 화자 는 친구를 만나지 못하고 종이보다 하얀 눈 위에 자신의 이름을 남겨 방문 소식을 알리려 한다. 바람이 불면 이름 이 지워질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굳이 눈 위에 이름을 남김으로써 친구를 만나지 못한 절절한 아쉬움을 효과 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 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4. 심화 내용 연구 1. 화자의 상황과 대응방식(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시적 화자는 눈 내리는 날, 말을 타고 친구를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였다. 이에 눈 위에 자신의 이름을 쓰는 행 위를 통해 자신이 다녀갔다는 흔적을 남기려고 하였다. 하지만 바람이 불어 눈 위에 쓴 자신의 이름이 지워질 수 있음을 깨달았고, 이에 바람에게 요청하는 형식으로 친구를 만나지 못한 안타까움을 드러내고 있다. 2. 표현상 특징(수능특강 사용설명서 참고) - 시각적 심상과 비교법 : ‘눈빛’과 ‘종이’의 흰 정도를 비교하면서 눈빛이 더욱 희길래 자신의 이름을 적게 되었다 고 밝히고 있다. 이는 쌓인 눈 위에 이름을 적는 멋스러움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 의인법과 명령형 어미 : 돈호법을 활용하여 ‘바람’을 부른 화자는 ‘바람’을 의인화한 후 청자로 삼아 말을 건네고 있다. 또한 ‘~마라’와 ‘~렴’이라는 명령형 어미를 활용하여 주인을 만나지 못한 아쉬움과 안타까움을 효과적으로

설중방우인불우(雪中訪友人不遇)

/ 이규보 고전운문 > 한시 출전 : 《》

(2)

정명고등학교 오인석 2 -표현하고 있다. 5. 작가 소개 이규보 – 문학 작가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51285

참조

관련 문서

松下問童子 言師採藥去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

그 물품들을 만든 사람들은 세련된 직업인으로서 어느 이름 없는 장인이거 나 혹은 규방에서 바깥 세상 모르는 여인들이었다. 또한 그것을 만든 동기도

예술에 있어서 표현은 시대에 따라 끝없이 변화를 거듭했다.현 대미술은 자연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고정관념을 거부하고 예술 가 자신의 독창성과 개성을

– 표준품셈: 노무 또는 장비를 사용하여 무엇을 만드는데 필요한 단위당 노무 및 장비의 능력, 재료량을 구분하여 집계하는 물량 산정표로서 공사의 단위당 비용, 즉

食少, 腹脹, 腹中冷痛, 喜溫喜按, 四肢不溫, 大便稀薄, 形寒, 口淡不渴, 肢體浮 腫, 小便不利, 女性白帶淸稀量多, 舌質淡嫩, 苔白滑,

중국의 베이징을 중심으로 중국인들의 철학과 정방형 우주관이 녹아 있는 가장 대표적인 상류 주택 형태의 하나이다.. 특히 북방 사람들은 자신들의 문화를 고수하고,

오늘 오후에 걔랑 치엔먼에 가기로 약속했는데.. 너도

脣亡齒寒 2000년대 이후 북한과 중국의 경제관계 현황 을 살펴보고 북한경제의 중국예속화에 대한 전망과 우리의 대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