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진국의 식중독 발생동향 분석 및 향후 정책방향: 미국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선진국의 식중독 발생동향 분석 및 향후 정책방향: 미국을 중심으로"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들어가는 말

생활환경과 주변 환경위생의 지속적인 향상 에도 불구하고 주요 선진국을 포함한 전세계적 으로 여전히 식인성 질환(식중독; 食中毒, Food-borne Disease, Food poisoning)은 발생 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인간의 건강 위해요인은 식중독을 포함하여 오염된 식품에 의한 발병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물론 이는 오 염된 식품의 섭취로 인한 위해가능성 뿐만 아니 라 조리과정이나 보관상의 취급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특히 야 외활동이 잦아지고 여름휴가가 본격적으로 시 작되는 6~8월은(하절기)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특히 높아지고 위생안전을 위협하는 위해요인 으로서의 식중독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는 시점 이다. 이번 원고에서는 선진국인 미국의 최근 수년 간의 식중독 발생현황 분석을 통해서 식중독 발 생위험에 대한 경각심 고취와 더불어 식중독 발 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향후 식중독 관리정책 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분석 및 향후 정책방향:

미국을 중심으로

Policy Directions and Trends Analysis of

Food-borne Diseases Outbreaks in Developed Country:

Concerning about U.S.A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식중독사고에 대한 대응체계로서의 정책방향으로, 웹기반의 식중독발생 신고시스템 DB자료를 전문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식품관련 전공기반의 통계분석 전문가 확보, 이러한 DB자료를 지속적인 분석하고 책임지고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관 (센터 등)의 설립, 『식중독지수』의 제공기간을 하절기(6~8월)에만 국한할 것이라 발생위험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5~10월까지 확대하여 정보제공, 미생물 번식가능성이 높은 다소비 및 위험식품군(특히 수산물, 육류 등)과 위험균에 대한 관리 및 보관방법, 시설위생 관리, 안전한 조리방법 등에 대한 정보제공(매뉴얼 등), 그리고 상대적으로 발생위험이 높은 취약연령층(4세 이하 유아 및 중장년층 이상)에 대한 저감화 방안으로 다부처 협력체계(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행정안전부, 지방자치단체 및 소비자단체 등)의 다자간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교육홍보, 현재 운영 중인“기후변화대응 식품안전관리 사업단”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강화 및 다양한 과제개발, 구축 DB의 세분 화된 통계분석을 통한 정기간행물(백서 등)로 발간을 통해서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대국민 정보제공을 기반으로 하여 향후 식중독 관리 정책에 대한 개선을 위한 초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윤시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전문연구원

(2)

2. 본론

1) 정의 및 최근 발생 동향

식중독에 대한 각 국가 및 기관별 용어사용이 조금은 상이하지만 정리해보면, 미국과 WHO 에서는 food-borne disease, 영국에서는 food poisoning, 한국과 일본에서는 식중독(食中毒)이 라는 용어로 보편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의 식중독의 발생경향을 개략적 요 약해 보면 각 지역과 국가의 기후조건, 생활양 상, 음식물의 섭취방법 등 외부요인과 개인적 연령・체질・건강상태 차이 등 내부요인에 따 라 다르며 언제, 어디서나 발생할 수 있다는 것 이다. 최근 우리나라 식중독 발생 건수는 해마 다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점심은 대부분 학교와 회사 등에서 급식하 고 있고 외식문화, 배달음식 등의 시장 확대로 대형 식중독에 노출될 확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 는 추세이다. 식중독 발생의 대부분은 집단급식소에서 주 로 발생하는데 지하수, 정수기 등의 물과 김밥・ 비빔밥・볶음밥 등 복합조리식품, 돼지고기・ 닭고기・계란 등 육류요리, 채소・배추겉절 이・샐러드 등 가열공정이 없는 신선식품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어린이, 노 약자의 경우 면역이 약해 노출 시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최근 우리 표 1. 식중독에 관한 각 기관 및 국가별 개념정의 구분 식중독 용어 개념정의 비고 미국 한국 WHO 일본 foodborne disease (식품원인성 질환) foodborne disease outbreak

(집단식중독) 식중독 foodborne disease

(식품원인성 질환) foodborne disease outbreak

(집단식중독) single/sporadic case (1인 환자) 식중독 식품의 섭취에 의해 발생된 또는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 동일한 식품섭취로 인해 2인 이상에게 동일한 질병이 발생한 경우로 역학적 분석에 의해 질병의 원인이 식품으로 확인된 사건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 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 식품 또는 물의 섭취에 의해 발생된 또는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는 감염 성 또는 독소형 질환 동일한 식품의 섭취 또는 동일한 공급원의 물섭취후 2인 이상의 사람 이 동일한 질병을 경험한 건으로 역학적 조사에서 질병의 원인이 식품 또는 물로 확인된 사건 식품이나 물의 섭취 또는 물과의 접촉에 있어 다른 환자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1인 환자 법적인 정의는 현재 규정되어 있지 않으나, 일반적인 개념으로 음식물 로 인한 건강상의 피해전반을 식중독의 범주로 해석 (환자수 2인 이상과 1인의 식중독 사례를 구분하여 보고하고 통계생산) 수인성 제외 수인성 포함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자료

(3)

나라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은 노로바이러스, 병 원성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균이다. 그리고 주요 선진국의 경우 개인위생 기준의 향상, 안전한 물 공급, 효과적인 백신 프로그램, 식품관리 인프라 확보, 살균기술 적용 증가로 식중독의 상당한 감소를 가져왔다. 그럼에도 불 구하고 여전히 위협으로 남아 있는데, 가장 위 생적으로 안전한 국가로 취급받는 미국에서도 해마다 약 9,000명이 사망한다고 한다. 주로 살 모넬라증, Hepatitis A(A형 간염), 쉬겔라균, 캠필 로박터균 등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면, 개발도상국은 다양한 식중독 질환이 발생 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유아와 어린이의 높 은 설사병이 심각한데 오염된 물, 식품, 식품제 조 및 조리환경 등 총체적으로 문제라고 판단된 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많이 발생했던 자연발생 곰팡이독과 자연독 등의 중독이 여전히 빈번하 게 발생한다. 이제 미국의 식중독 발생동향을 분석하고 국 내 관리정책에 있어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시사 점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2) 미국의 식중독 발생현황 (1) 연도별 발생현황 미국의 경우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다 가 2000년대 초반부터는 식중독발생 건수와 환 자수 모두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1993년부터 2008년도까지의 미국의 식중독 발생동향을 분석해 보면 발생건수와 환자수의 변동폭은 보이고 있으나 건당 발생환자수 (Outbreak Size)는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식중독 사고가 발생할 경우 점차 대형식중독 사 그림 1. 미국의 식중독 발생건수와 발생환자수 추이(1999~2008년)

자료: 『Outbreak Alert! 1999-2008』, CSPI White paper, 2012.01.19 재인용 (http://www.cspinet.org/foodsafety/PDFs/Outbreak_Alert_1999-2008.pdf)

(4)

고로 발생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림 2〕는 1998년도 이후부터 식중독발생 신고가 의무화 되면서부터 발생신고건수가 급 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했고 2000년까지 문서로 보고되던 식중독 발생신고현황과 2001년도 이 후부터 시작된 전산보고 시스템(eFORS)에 의 해 신고되는 발생현황을 비교한 것으로 1998년 이후 전산보고 시스템 도입이후 조금 감소한 것 으로 나타났다. 식품기인 여부에 따른 CDC에 보고된 식중독 표 2. 미국의 연도별 식중독 발생동향(1993~2008년) 분석 (단위: 건, 명) 연도 1993~1997 1998~2002 2003~2007 2008 2,751 6,647 1,151 1,034 550.2 1,329.4 230.2 1,034.0 17,211 25,074 24,400 23,152 6.3 3.8 21.2 22.4 건수 연 평균 발생건수 연 평균 환자수(5년 평균) 건당 환자수 주: 건수는 해당기간동의 총 발생건수를 의미하며 연평균 발생건수 및 연평균 환자수는 단위기간중 연평균 수치를 나타냄.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자료(미국 CDC 홈페이지 http://www.cdc.gov 통계자료 재분석) 그림 2. 미국내 식중독 신고시스템별 발생현황 비교(1999~2008년) (단위: 건) 자료: 미국 CDC 홈페이지 자료 재인용 (http://www.cdc.gov/mmwr/preview/mmwrhtml/ss5510a1.htm?s_cid=ss5510a1_e#top)

(5)

발생현황을 살펴보면〔그림 3〕과 같다. 한국의 연도별 식중독 발생건수와 건당 발생 환자수의 분석결과 매년 건수와 더불어 건당 발 생환자수 역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8~ 2009년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 다가 2010년 이후부터 다시 증가추세를 나타내 고 있음을 알수 있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국내 의 식중독 발생추이가 증가추세임은 틀림없는 사실인 셈이다. 그림 3. 미국 CDC 보고되는 식중독 발생현황(1999~2008년) (단위: 건)

자료: 『Outbreak Alert! 1999-2008』, CSPI White paper, 2012.01.19 재인용 (http://www.cspinet.org/foodsafety/PDFs/Outbreak_Alert_1999-2008.pdf)

그림 4. 한국의 연도별 식중독 발생동향(1991~2011년) - 발생건수 및 건당 발생 환자수

(단위: 건, 명)

(6)

(2) 월별 발생현황 월별 식중독 발생현황에 대한 연도별 세부통 계자료가 1993~2002년까지만 공개되어져 있어 2002년까지의 자료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통상적인 하절기(6~8월)뿐만 아니라 5~10월 1) 미국의 월별 식중독 발생건수 현황(1993~2002년) (단위: 건) 구분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489 29 22 44 42 54 42 48 36 51 33 46 42 653 22 38 40 56 75 66 55 59 48 58 54 82 628 47 36 52 59 64 51 62 59 38 53 60 47 477 34 34 35 40 51 56 43 48 35 26 43 32 504 41 31 50 49 48 49 28 51 36 38 47 36 2,751 173 161 221 246 292 264 236 253 208 208 250 239 6,647 457 469 567 613 680 638 565 550 439 491 547 631 9,398 630 630 788 859 972 902 801 803 647 699 797 870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3~1997년 1998~2002년 합계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자료(미국 CDC 홈페이지 http://www.cdc.gov 통계자료 재분석) 표 3. 미국의 월별 식중독 발생건수 분석(1993~2002년)1) (단위: 건) 구분 합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751 173 161 221 246 292 264 236 253 208 208 250 239 229.3 34.6 32.2 44.2 49.2 58.4 52.8 47.2 50.6 41.6 41.6 50.0 47.8 6,647 457 469 567 613 680 638 565 550 439 491 547 631 553.9 91.4 93.8 113.4 122.6 136.0 127.6 113.0 110.0 87.8 98.2 109.4 126.2 9,398 630 630 788 859 972 902 801 803 647 699 797 870 939.8 63.0 63.0 78.8 85.9 97.2 90.2 80.1 80.3 64.7 69.9 79.7 87.0 1993~1997년(5년) 합계 연 평균 합계 연 평균 합계 연 평균 1998~2002년(5년) 1993~2002년(10년)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자료(미국 CDC 홈페이지 http://www.cdc.gov 통계자료 재분석)

(7)

기간에도 식중독사고가 많이 나타났으며 미국 의 각 주별(洲別) 지리적 특성과 기후조건을 고 려한 세분화된 분석이 필요하겠지만 10월 이후 부터 역시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1993~1997년 기간대비 1998~2002년 기간 동안의 식중독 발생건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음 을 알수 있다. 다만, 하절기 이전까지(2~6월) 식 중독의 발생건수가 통상적으로 분류되고 있는 하절기(6~8월)보다 더 많이 발생되고 있음을 그 림으로 알수 있었다. 하절기 경우 집중적인 위 생관리가 이뤄지고 있지만 하절기 이전시기에 대한 식중독 관리대책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으 로 여겨진다. (3) 원인식품별 발생현황 수산물, 가공식품, 가금류, 육류 및 그 가공품 류 등의 순으로 발생빈도가 높았다. 미국인의 다소비식품군과 연관되긴 하지만 수산물과 육 류 등의 식중독 발생위험(특히 환자발생수)이 높다는 점은 관리대상 식품군 선정에 있어 좋은 정보라고 볼수 있을 것이다. FDA와 USDA의 관리대상 품목별로 식중독 발생현황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대체적으 로 육류 등의 USDA 관리대상 품목보다는 특히 가공식품, 유가공품류인 FDA 관리대상 폼목의 발생이 다소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림 5. 미국의 월별 건당 식중독 환자수 발생추이(1993~2002년) (단위: 명)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내부자료(미국 CDC 홈페이지 http://www.cdc.gov 통계자료 재분석)

(8)

1999년~2008년 기간동안의 FDA 관리대상 품목의 식중독 발생비율은 65.3%로 나타났고, USDA 관리대상 품목의 식중독 발생비율은 28.3%로 분석되었고 두 기관의 공통관리 품목 의 발생비율은 6.4%로 조사되었다. (4) 원인균별 발생현황 2010년도까지 추세를 살펴보면 1996~1998 년 기간대비 대체적으로 모든 원인균의 상대적 발생비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비브 리오균의 상대적 발생비는 증가추세를 나타내 고 있어 비브리오균에 대한 집중관리가 되어야 하는 근거라고 판단된다. 앞선 원인식품별 발생 현황에서도 나타났지만 수산물에 대한 발생이 높은 것과 많은 관련성이 있다고 하겠다. 미국의 2010년도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1996~1998년 동안에 전체적으로는 23%가 감소 되었음 알수 있다. 원인균별로는Campylobacter 균이 27%, Listeria균이 38%, E coli O-157균이 44%, Shigella균이 57%, Yersinia균이 52% 감소 되었고, Vibrio균의 발생은 115%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빈도 발생원인균을 분석함으로서 차년도 중점관리대상 원인균을 관리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한 점은 시사점으로 여겨진다. 비브 리오균에 대한 중점관리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 료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대목 이다. 그림 6. 미국의 원인식품별 식중독 발생동향(1999~2008년) (단위: 건, 명)

자료: 『Outbreak Alert! 1999-2008』, CSPI White paper, 2012.01.19 재인용 (http://www.cspinet.org/foodsafety/PDFs/Outbreak_Alert_1999-2008.pdf)

(9)

그림 7. 미국의 원인식품별 식중독 발생동향(1999~2008년)

(단위: 건, 명)

FDA 관리 USDA 관리

자료: 『Outbreak Alert! 1999-2008』, CSPI White paper, 2012.01.19 재인용 (http://www.cspinet.org/foodsafety/PDFs/Outbreak_Alert_1999-2008.pdf)

(10)

표 4. 미국의 식품분류별 식중독 발생동향(1999~2008년)

(단위: 건, 명) FDA-Regulated Foods

Category Outbreaks Illnesses Category Outbreaks Illnesses

USDA-Regulated Foods

Produce 717 27,849 Poultry 550 12,873

Fruits 126 4,618 Chicken 206 4,105

Vegetables 230 11,954 Turkey 87 2,775

Produce Dishes 361 11,277 Poultry Dishes 252 5,968

Seafood 792 6,337 Other Poultry 5 25

Finfish 476 2,168 Beef 450 10,350

Molluscan Shellfish 118 1,444 Ground Beef 160 2,584

Seafood Dishes 149 2,232 Beef Dishes 128 3,180

Other Seafood 49 493 Other Beef 162 4,586

Dairy 209 6,116 Pork 203 4,905

Cheese 60 1,215 Ham 39 1,095

Ice Cream 41 708 Pork Dishes 30 669

Milk 77 3,362 Other Pork 134 3,141

Other Diary 31 831 Luncheon && OOther MMeat 137 3,289

Breads && BBakery 161 3,880 Luncheon 41 1,229

Bakery 130 3,405 Meat dishes 52 907

Breads 31 475 Other Meats 44 1,153

Eggs 121 3,330

Eggs 50 1,008 USDA TTotal 1,340 31,417

Egg Dishes 71 2,322

Beveragges 78 2,892 Multi-Ingredient(Meat)

Juices 22 1,263 Category Outbreaks Illnesses

Other Beverages 56 1,629 Both(FDA && UUSDA) 304 12,131

Game 14 95

Multti-Ingredient 1006 26,523 Percent oof TTotal OOutbreaks

Salads 216 8,515 Both 6%

Sandwiches 169 3,702 FDA 65%

Sauces/Dressings/Oils 60 1,828 USDA 28%

Rice/Beans/Stuffing/ Pasta Dishes 194 3,649 Total 100%

Ethnic Foods 271 5,444

Nuts/Dried Spices 10 1,705

Other Foods 86 1,680 Total OOutbreaks 4,742

Total IIllnesses 120,570

FDA TTotal 3,098 77,022

자료: 『Outbreak Alert! 1999-2008』, CSPI White paper, 2012.01.19 재인용 (http://www.cspinet.org/foodsafety/PDFs/Outbreak_Alert_1999-2008.pdf)

(11)

그림 8. 1996~1998년 발생율 대비 1996~2010년도 주요 원인균별 식중독 발생현황 비교 (Foodborne Diseases Active Surveillance Network, 1996~2010)

자료: 미국 CDC 홈페이지(www.cdc.gov). 통계자료 재구성

(http://www.cdc.gov/foodborneburden/trends-in-foodborne-illness.html)

그림 9. 미국 원인규명된 식중독 원인균 비교

자료: 미국 CDC 홈페이지(www.cdc.gov). 통계자료 재구성.

(12)

FoodNet에 접수된 2009년도 미국내 10개 주 (洲)의 식중독 발생원인균 현황을 살펴보면 다 음과 같다. 세균과 기생충에 의한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해 본 결과 세균이 전체 17,528건 중 92.1%인 16,151건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 서 살모넬라균에 의한 발생이 40.1%인 7,023건 으로 가장 높았다. 기생충에 의한 식중독 발생 건수는 7.9%인 1,377건으로 분석되었다. (5) 섭취장소별 발생현황 섭취장소별 식중독 발생현황을 분석해 보면 집단급식을 띠고 있는 장소에서 식중독 발생환 자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고(특히, 장소의 특성 상 발생시 대형화) 장애, 노인, 영아시설 그리고 종교 및 사회시설에서의 식중독 환자 발생이 많 다는 점은 조심스럽게 분석해야 할 대목이다. 위생적으로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을 전제로 한 급식제공이 답보되지 않는다면 취약계층이나 취약시설에서의 대형식중독의 발생가능성은 항상 존재한다는 점에서 말이다. FoodNet에 접수된 2009년도 미국내 10개 주 (洲)의 인구특성별 식중독 발생원인균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령대별로는 4세 이하 표 5. 미국의 FoodNet에 등록된 10개 주(洲)별 원인균별 식중독 발생현황(2009년) (단위: 건) Bacterial Campylobacter 967 386 535 740 479 899 331 490 718 513 6,058 Listeria 15 7 26 31 14 3 3 24 19 15 157 Salmonella 587 324 432 2,375 756 578 334 425 415 797 7,023 Shigella 183 65 43 653 275 79 92 46 43 375 1,854 STEC† O157 38 63 44 20 24 130 9 29 66 38 461 STEC nnon-O157 5 42 22 30 33 78 26 17 11 22 286 Vibrio 20 9 27 27 30 9 1 11 18 8 160 Yersinia 10 4 22 37 11 13 2 13 17 23 152 Parasitic Cryptosporidium 55 45 38 324 44 348 146 69 198 78 1,345 Cyclospora 0 0 18 6 3 1 1 1 0 2 32 Total 1,880 945 1,207 4,243 1,669 2,138 945 1,125 1,505 1,871 17,528 CA§ CO§ CT GA MD MN NM NY§ OR TN Total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This FoodNet site includes only selected counties. California: Alameda, San Francisco, and Contra Costa;

Colorado: Adams, Arapahoe, Denver, Douglas, Jefferson, Boulder, and Broomfield; New York: Albany, Allegany, Cattaraugus, Chautauqua, Chemung, Clinton, Columbia, Delaware, Erie, Essex, Franklin, Fulton, Genesee, Greene, Hamilton, Livingston, Monroe, Montgomery, Niagara, Ontario, Orleans, Otsego, Rensselaer, Saratoga, Schenectady, Schoharie, Schuyler, Seneca, Steuben, Warren, Washington, Wayne, Wyoming, Yates

(13)

와 40대 이상의 연령군에서 발생비율이 높게 나 타났다. 우리나라에서도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 대적으로 취약한 계층(예로, 4세 이하 유아 및 중년이상 연령층)에 대한 식중독 발생저감화를 위한 방향모색이 요구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 는데 이에 앞서 우선 식중독발생 DB의 세부적 인 분석변수가 등록되어져 있는지 그리고 이러 한 세부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인프라가 있는지 검토가 되어야 할 것이다.

3. 맺음말

1) 시사점 최근 수년간의 미국내 식중독 발생동향을 분 석해 본 결과 몇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연도별 세계에서 가장 선진국이라고 하는 미국에서 조차도 식중독 발생은 여전히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2) 월별 미생물학적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하절기 뿐 만 아니라 5~10월 사이의 발생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표 6. 미국의 장소별 식중독 발생동향(1999~2008년) (단위: 건, 명) 구분 합계 감옥소 급식제공(Catered event) 장애, 노인, 영아시설 학교 종교 및 사회시설 다중지점(복합지점)/불명 캠핑 등(Camping/picnic/farm) 직장 음식점 및 식품시설 가정집 기타 건수 4,742 76 221 86 184 177 335 141 331 2,057 991 143 120,570 10,539 10,592 3,709 7,912 6,575 11,920 4,849 8,373 38,606 11,979 5,516 25.4 138.7 47.9 43.1 43.0 37.1 35.6 34.4 25.3 18.8 12.1 38.6 환자수 건당 환자수

자료: 『Outbreak Alert! 1999-2008』, CSPI White paper, 2012.01.19 재구성 (http://www.cspinet.org/foodsafety/PDFs/Outbreak_Alert_1999-2008.pdf)

(14)

표 7. 미국의 FoodNet에 등록된 10개 주(洲)별 인구특성별 원인균별 식중독 발생현황(2009년) - 인구 10만명당 현황 및 비 율 (단위 : 명 , %) Ag e <1 185 29.07 17 2.67 761 119.56 30 4.71 6 0.94 9 1.41 1~4 639 25.02 0 0.00 1,232 48.25 502 19.66 104 4.07 70 2.74 5~9 345 11.11 0 0.00 610 19.64 426 13.72 75 2.42 28 0.90 10~19 530 8.47 4 0.06 663 10.60 166 2.65 101 1.61 51 0.82 20~29 869 13.35 8 0.12 690 10.60 223 3.42 60 0.92 38 0.58 30~39 752 11.97 6 0.10 609 9.69 168 2.67 26 0.41 21 0.33 40~49 846 12.29 7 0.10 688 9.99 151 2.19 20 0.29 24 0.35 50~59 843 13.25 14 0.22 683 10.74 89 1.40 30 0.47 13 0.20 60~69 568 13.39 31 0.73 492 11.60 58 1.37 22 0.52 16 0.38 70~79 288 12.06 29 1.21 347 14.53 24 1.00 14 0.59 11 0.46 80+ 191 11.67 41 2.51 245 14.97 17 1.04 3 0.18 5 0.31 Unknown 2 -3 -Se x Male 3,336 14.46 68 0.29 3,318 14.39 983 4.26 208 0.90 142 0.62 Female 2,721 11.44 89 0.37 3,701 15.55 870 3.66 253 1.06 143 0. 60 Unknown 1 -0 -4 -1 -0 -1 -Et hn ici ty Hispanic 506 10.21 22 0.44 641 12.93 280 5.65 35 0.71 44 0.89 Non-Hispanic 3,462 8.26 118 0.28 4,901 11.70 1,046 2.50 395 0.9 4 207 0.49 Unknown 2,090 -17 -1,481 -528 -31 -35 -Ra ce White 3,649 10.13 120 0.33 4,338 12.05 814 2.26 376 1.04 215 0. 60 Black 243 3.31 19 0.26 984 13.39 511 6.95 27 0.37 10 0.14 Asian/Pacific Islander 204 9.27 3 0.14 329 14.94 43 1.95 14 0.6 4 5 0.23 Indian/Native Alaskan 65 13.19 0 0.00 62 12.58 19 3.85 3 0.61 3 0 .6 1 Multiple 31 3.87 0 0.00 62 7.73 10 1.25 1 0.12 3 0.37 Other 144 -2 -171 -62 -10 -14 -Unknown 1,722 -13 -1,077 -395 -30 -36 -To ta l 6,058 12.93 157 0.34 7,023 14.99 1,854 3.96 461 0.98 286 0.61 Campylobacter # Rate Listeria # Rate Salmonella # Rate Shigella # Rate

STEC O157 # Rate

STEC non O157 # Rate

Vibrio # Rate 0 0.00 40 6.28 17 2.67 0 0.00 3 0.12 21 0.12 135 0.12 1 0.12 2 0.06 11 0.35 90 2.90 0 0.00 8 0.13 7 0.11 128 2.05 2 0.03 16 0.25 9 0.14 197 3.03 2 0.03 16 0.25 12 0.19 191 3.04 5 0.08 29 0.42 14 0.20 197 2.86 6 0.09 29 0.46 8 0.13 155 2.44 8 0.13 28 0.66 10 0.24 104 2.45 6 0.14 20 0.84 8 0.33 78 3.26 2 0.08 9 0.55 12 0.73 52 3.18 0 0.00 - - -1 -113 0.49 70 0.30 616 2.67 15 0.07 47 0.20 82 0.34 728 3.06 17 0.07 0 - 0 - 1 - 0 -8 0.16 14 0.28 103 2.08 1 0.02 126 0.30 101 0.24 998 2.38 27 0.06 26 -37 -244 -4 -114 0.32 76 0.21 982 2.73 25 0.07 19 0.26 27 0.37 138 1.88 3 0.04 10 0.45 16 0.73 19 0.86 1 0.05 0 0.00 0 0.00 12 2.43 0 0.00 1 0.12 1 0.12 11 1.37 0 0.00 2 - 5 - 18 -0 -14 -27 -165 -3 -160 0.34 152 0.32 1,345 2.87 32 0.07 Yersinia # Rate Cryptosporidium # Rate Cyclospora # Rate 자 료 : 미 국 CDC, 『 2009 Surveillance Report 』, FoodNet, 2010. 재 인 용

(15)

(3) 원인식품별 미국인과 한국인의 다소비 식품군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해산물, 육류 등에 대한 미생물 번 식 가능성이 높아 식중독 발생위험이 높았다. (4) 원인균별 원인균 중에서 세균, 특히 살모넬라의 발생빈 도가 가장 높았고(2009년) 비브리오균의 상대 적 발생비가 1996~1998년 대비해서 지속적으 로 증가추세(1996~2010년)를 보이고 있었다. (5) 섭취장소별 취약계층이 많은 사회복지 관련시설이나 집 단급식시설(학교, 교도소 등)의 식중독발생시 대형화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들 시설에 대한 집중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6) 인구특성별 미국에서는 성별, 연령대별, 인종별 등의 식 중독발생현황을 세부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 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인구특성별로 위험요인 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었다. (7) 기타 기존의 문서(paper form)를 통한 접수때보다 전산신고(Web based-eFORS)시스템 도입이후 식중독발생 통계생산이 증가하였고 DB 관리뿐 만 아니라 효율적인 자료분석이 가능할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2) 향후 식중독 관리정책의 방향 지속적인 식중독 발생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대응방안의 마련이 요구 되어지는 시점이다. 이러한 시사점을 근거로 향 후 국내의 식중독 관리정책의 새로운 방향을 제 안하고자 한다. 첫째, 식중독발생시 온라인기반의 식중독발 생 신고시스템 DB자료를 전문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식품관련 전공분야에 기반을 둔 통계분 석 전문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이러한 DB자료를 지속적인 분석하고 책임지고 수행할수 있는 전문기관(센터 등)의 설립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 기상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청이 함 께 공개하고 있는『식중독지수』의 제공기간을 하절기(6~8월)에만 국한할 것이라 특히 발생위 험이 높아지기 시작하는 5~10월까지로 확대하 여 일반국민은 물론 관련업종 종사자들에게 위 험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켜 발생빈도를 줄여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미국인과 한국인의 다소비 식품군에 차 이가 있긴 하지만 미생물 번식가능성이 높은다 소비 및 위험식품군(특히 수산물, 육류 등) 및 원 인균에 대한 관리 및 보관방법, 시설위생 관리, 안전한 조리방법 등에 대한 관리매뉴얼 제공 등 을 통해서 발생저감화이 노력이 요구된다. 다섯째, 상대적으로 발생위험이 높은 취약연 령층(4세 이하 유아 및 중장년층 이상)에 대한

(16)

식중독 발생저감화를 모색할 수 있는 방안모색 이 필요할 것이다. 4세이하의 유아의 경우 보육 시설이나 가정내의 위생관리가 필요하므로 식 품의약품안전청 뿐만 아니라 다부처 협력체계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행정안전부, 지방자 치단체 및 소비자단체 등)의 다자간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홍보 및 지도가 필요하다고 하겠 다. 새로운 경제모델로 모색되고 있는 지역단위 소비자생활협동조합 등을 통해서도 접근이 가 능하다고 여겨진다. 여섯째, 전세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인해 이상현상이 발현되고 있고 기상이변에 따 른 미생물학적 위험과 식중독을 비롯한 건강위 해요인이 계속 증가될 것으로 분석되어지고 있 어 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진행중인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기후변화대응 식품안전관리 사업단”에 대한 지속적인 예산지원과 더불어 다양한 사업개발 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일곱째, 마지막으로 식중독 DB의 구체적이 고 세분화된 통계분석 결과자료를 정기간행물 (백서 등)로 발간하여 대국민 정보제공에 앞장 서야 할 것이다.

수치

그림 4. 한국의 연도별 식중독 발생동향(1991~2011년) - 발생건수 및 건당 발생 환자수
그림 7. 미국의 원인식품별 식중독 발생동향(1999~2008년)
표 4. 미국의 식품분류별 식중독 발생동향(1999~2008년)
그림 9. 미국 원인규명된 식중독 원인균 비교

참조

관련 문서

● 중소기업이 ①「중소기업기본법」의 규정에 따른 중소기업 외의 기업과 합병하는 경우 ②유예 기간 중에 있는 기업과 합병 ③독립성기준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r]

[r]

우리 정부는 향후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대처할 수 있는 만반의 대비태세 ㅇ. 를 강화함은 물론 유엔 및 관련국들과의 협의하에 이번 발사에

미국의 경우, 통조림에 대한 소비 지출액은 증 가하지만 전체 과일과 채소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추세는

z 변수계수를 갖는 선형미분 방정식을 풀이하는 표준적인 방법인 변수계수를 갖는 선형미분 방정식을 풀이하는 표준적인 방법인 power series method (멱급수

자격을 개발하고자 하는 자격관리희망자는 선진국의 자격 종목을 고찰 함으로써, 개발중이거나 개발하려고 하는 자격에 적합한 명칭과 등급 및 해 당 정부부처를 파악할 수

전국 도서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활용한 도서관 분야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에 대한 요구사항 증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