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Port Biz Valley 관련이론과 배후지역 연계방향

본 장에서는 우선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Port Biz Valley 에 대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의 이론적 논거를 강화하기 위해 Port Biz Valley의 성숙 및 발전 방향과 항만, 배후단지, 배후도시간 공 간적 구조와 상호활동 유형 및 공간적 상관관계 유형을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항만지 역화와 배후지역 연계 특성을 도출하고 항만도시의 공간적 지역구조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1. 기존연구와의 차별성 1) 선행연구 검토

(1) 국내외 선행연구

Port Biz Valley가 새로운 개념이기 때문에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다만 굳이 관련 연구를 찾자면 항만을 중심으로 하는 클러스터 구축에 관한 연구를 거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토연구원에서 연구한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 스터 창출방안 연구」(2007)와「지역특성화 발전을 위한 혁신 클러스터 육성방 안 연구」(2005),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연구한 「평택항 항만배후도시 종합 개발구상 수립연구」(2007), 그 밖에 Lee, S-W, Song, D-W and Ducruet, C(2008)3),

3) 「 A Tale of Asia's global hub Port cities: The Spatial Evolution of Hong Kong and Singapore」(2008)

Ducruet, C & Lee, S-W(2007, 2006)4) 등이 있다.

먼저 국토연구원의 「한국형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창출방안 연구」(2007)에 서는 물류거점시설에 클러스터 개념을 도입하고 우리나라 여건에 적합한 한국 형 물류클러스터, 특히 효율성이 높은 부가가치물류클러스터 창출방안을 제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국제화물을 주로 취급 하는 임항형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내 물류시설의 효율화 와 동북아 물류거점 확보, 이를 통한 21세기 국가의 성장 동력으로 기능을 확보 할 수 있도록 대외 경쟁력 극대화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토연구원의「지역특성화 발전을 위한 혁신 클러스터 육성방안 연구」

(2005)는 주요 선진국 클러스터 형성사례와 정책을 분석하여 클러스터를 지역 특 성에 맞게 발굴하고 이를 혁신 클러스터화 하여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클러스 터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지방대도시 산업 집적지에 대한 전략산업 특화도를 분석하고 사례지역 전략산업의 혁신 클러스터 수준과 함께 연계된 네트워크 실태를 파악하여 지역특성화를 위한 혁신 클러스터 육성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평택항 항만배후도시 종합개발구상 수립」(2007)에서 는 환황해권 국제물류중심도시로 평택항과 배후단지를 발전시키기 위해 다채로 운 자족기능도시로의 창출과 함께 신개념의 항만도시건설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국내외 물류환경 변화와 여건 분석을 통하여 평택항 배후도시의 비전을 설 정하고, 평택항 배후도시 특화전략구상과 입지선정 및 공간구상, 그리고 그에 따 른 토지이용계획과 시행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그 밖에 Lee, S-W, Song, D-W and Ducruet, C의「A Tale of Asia's world ports:

The spatial evolution in global hub port cities」(2008)에서는 글로벌화에 따른 아시 아의 교통물류혁명, 물류통합, 항만도시의 확장된 개념, 그리고 공급사슬 (Supply-Chain)5)의 기능적 역할 재정립 등을 통한 화물유통의 새로운 패턴을 창

4)「Measuring Intermodalism at European port cities: an Employment-based study」(2007), 그리고 「Frontline soldiers of globalisation:Port-city evolution and regional competition」(2006) 참조

출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공간구조에 영향을 주는 항만지역개발측면과 도 시계획적 측면에서의 종합적이고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아시아의 선진 물류클러스터 형성 사례국가인 홍콩과 싱가포르의 허브(hub) 항만도시를 조사했으며, 미국과 유럽의 공간적․기능적 진화과정과 비교하여 그 특성을 제 시하고 있다.

또한 Lee, S-W, Song, D-W and Ducruet, C의「Measuring intermodalism at European port cities: an Employment-based study」(2007)에서는 유럽의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항만도시의 물류클러스터 패턴을 분석하고 항만도시의 화물과 여객에 대 한 복합운송체계유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76개 항만도시, 9천여 개 업체를 대상으로 업종별 고용현황과 수송수단의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또 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 복합운송(intermodal) 연계특성을 파악하였고 핵심-주변 (core-periphery) 공간지역패턴을 가진 유럽형 항만도시의 차별성을 발견 하였다.

Lee, S-W, Song, D-W and Ducruet, C의「Frontline soldiers of globalisation:

Port-city evolution and regional competition」(2006)에서는 항만도시의 진화가 그 지역의 주요특성과 요인, 그리고 지역경쟁력 강화 전략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항구기능이 도시나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글로벌 차원의 접근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산업집중도를 통해 항만도시의 지역 경쟁 력 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상대적 집중도 지수(Relative Concentration Index, RCI)6)인 인구와 컨테이너 물동량 지표를 활용하여 중심부 및 중간부 항만도시의 적정한 지리적 규모(Scale)7)를 제시하고 있다.

(2) 기존 연구의 한계 및 본 연구의 차별성

기존 연구가 대부분 공․항만배후단지 개발이나 효과 극대화 또는 일반적인

5) 상품의 공급과정을 시장상황에 최적화되도록 함으로써 경영효율을 높이는 e-비즈니스 개념을 말함 (야후경제사전)

6) 공간적 규모나 범위가 어느 정도 집중되어 있는가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말함

7) 지리적 규모(scale)은 대상지역의 공간 크기(size)나 범위(extent)를 말함(대한지리학회, 2006)

산업클러스터 형성을 위한 구성요소와 추진방안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어 본 연구의 Port Biz Valley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만-항만배후단지-물류산업도시가 연계되어 부가가치 를 창출하는 Port Biz Valley를 구축하기 위해, 우리나라가 강점으로 가지고 있는 IT 기술과의 접목, 그리고 물류산업분야에서의 강점과 기회요인을 최대한 활용하여 Port Biz Valley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전략과 실행과제 도출에서 기존 선행 연구와 차별성을 찾을 수 있다. 특히, “Port Biz Valley”를 창출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라는 점에서 독자성을 가질 수 있다.

구 분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A Tale of Asia's world ports:

The spatial evolution in global hub port cities>(2008) 글로벌화에 따른 아시아 European port cities: an Employment-based

2. Port Biz Valley 관련 이론적 접근

Port Biz Valley 특성파악을 위한 이론적 접근을 위해 항만클러스터 구축과 항 만지역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왜냐하면Port Biz Valley는 공간적 범위를 갖 고 있지 않는 항만클러스터를 공간적․기능적 범위를 부여한 것으로 볼 수 있어 이론적 특성상으로는 동일한 개념으로 접근해도 무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 다. 따라서 이하에서는Port Biz Valley 관련 이론적 접근을 항만과 항만지역화와 배후지역 연계, 그리고 항만클러스터의 형성과정과 항만배후단지 발전을 통해 고찰하기로 한다. 우선 항만지역화는 개별항만 수준과 지역 수준에서 모두 진행 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정은 항만도시 및 경제규모의 성장, 배후지역의 도시구 조 및 교통망 발달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림 2-1>과 같이 항만지역화는 항만정착, 항만확장, 항만전문화의 과정을 거 쳐 최종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항만과 배후도시로 구성된 항만도시에 일반화 물이 유통되면서 항만이 정착하게 되고, 여기에 다양한 일반화물들이 유통되면 서 항만이 확장된다. 이렇게 확장된 항만에 재개발 지역과 임해공업단지가 조성 되고 벌크형과 컨테이너형 화물이 유통되면서 항만의 전문화가 이루어진다. 최 종적으로 화물배송센터와 화물운송회랑이 연계되면 항만지역화가 형성된다.

<그림 2-1> 개별항만과 지역수준에서의 항만지역화

출처: 국토연구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전국무역항 항만배후단지개발종합계획, 2006. 12. p28

1) 항만물류회랑과 배후지역 연계 특성

항만지역화는 물류활동이 대형화, 클러스터화 되는 현 상황을 반영한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항만 인접지역에 형성되는 클러스터와 배후지역간 (전용)도로-철도에 의한 물류회랑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항만지역화에 따른 항만세력권의 크기는 항만자체의 능력도 중요하지만, 항만과 연계된 물류회랑이 얼마나 잘 발 달되어 있는가도 중요하다. 이는 배후지 물류회랑이 잘 발달되어 있는 항만은 경 쟁항만에 비해 보다 큰 세력권을 가지고 보다 넓은 배후지역을 서비스할 수 있음 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림 2-2> 항만물류회랑과 배후지역 연계

출처: 국토연구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전국무역항 항만배후단지개발종합계획, 2006. 12. p28

2) 항만지역화 과정과 항만클러스터의 성숙

항만지역화 과정에서 항만환경변화에 부응하면서 항만물류분야의 경쟁력 강화 를 위한 항만클러스터의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 항만클러스터는 기능적․

공간적 집적이 가능한 항만배후단지를 중심으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비용 절감, 정보기능과 교육 및 교류기능 등을 강화하기 위해 더욱 확대되고 있다.

항만클러스터는 4단계의 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1단계는 각각의 물류시 설은 산재해 있고 환적센터에만 밀집되어 있는 단계이고, 2단계는 배후지역에 물 류 Zone이 생기고 항만물류거점이 형성되는 단계이고, 3단계는 물류시설이 통합 되기 시작하며 대형물류거점이 형성되는 단계이며, 4단계는 항만배후단지의 형 성과 함께 항만배후단지를 중심으로 물류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단계이다.

항만클러스터는 4단계의 형성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1단계는 각각의 물류시 설은 산재해 있고 환적센터에만 밀집되어 있는 단계이고, 2단계는 배후지역에 물 류 Zone이 생기고 항만물류거점이 형성되는 단계이고, 3단계는 물류시설이 통합 되기 시작하며 대형물류거점이 형성되는 단계이며, 4단계는 항만배후단지의 형 성과 함께 항만배후단지를 중심으로 물류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단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