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외국의 Port Biz Valley 사례 및 시사점

앞에서 Port Biz Valley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본 장에서는 현재 외국에서 운영되고 있 는 Port Biz Valley와 유사한 구축 또는 계획 중인 사례들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 였다. 이는 우리나라에 보다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Port Biz Valley의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Port Biz Valley의 조성과 추진방안 등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배경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미가 있다.

1. 선진외국의 사례검토18) 1) 중국 대련항

(1) 대련항 보세구 및 보세물류원구의 현황

대련 보세구와 보세물류원구는 국제관례를 참작하여 ‘경내관외’자유무역관리 모델을 실시하는 구역으로 면세, 보세, 세금절감 등 인센티브가 제공되며, 중국에 서 대외개발 정도가 가장 높고 정책적 혜택을 가장 많이 제공하는 특수경제구역이다.

대련 보세구의 행정관할면적은 64km2이며 관할구역은 항만지역(港區), 임항산 업구 및 중국 정부가 비준하여 설립한 세관의 특수감독관리구역인 보세구(1.92 km2)와 보세물류원구(1.5km2)를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국제물류를 핵심으로 하고 보세창고, 분류 및 배송물류, 제3자 물류를 중심으로 항만, 항운, 운송, 창고, 대리

18) 참조: 국토해양부 항만건설정책관실 정책안내 블로그 및 블로그 행복누리, 대련경제개발구 웹사이트

등 물류분야별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다.

<그림 4-1> 대련항 현황 및 대련보세물류원구의 기능배치도

대련 보세물류원구는 다야오완 컨테이너 부두 뒤에 위치하며, 면적은 1.5㎢로 국제환적기능, 국제배송기능, 국제구매(조달)기능, 중계무역기능의 4가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2005년 1~ 5월의 대련항의 컨테이너 유동량은 83.7만개 규격 상품 상자에 달하 여19) 2003과 2004년의 같은 시기와 비교해 각각 65%와 17% 성장한 것으로 나타 났다. 유동량이 성장하게 된 요인으로는 우선 대련 세관에서 통관 효율을 향상시 키고, 네트워크의 감독․관리를 확대하고, 특수구를 통해 지역 특성과 우세한 기 능을 이용하여 항만 적하량의 신장을 촉진시켰다.

한편으로는 수입관세의 하향 조정, 수출입 정책의 조정 및 동북 오지의 경제적 회복과 신장, 동북지역으로서 가장 큰 항구 대련만은 남달리 좋은 환경에 처한 지리적 위치와 훌륭한 항만 조건으로 대량의 컨테이너의 자원을 흡수하고 있다.

동시에 국내외 선박회사는 잇따른 원양선의 개척과 원양선의 수량 증가 등 대련

19) 중국대련, 대련뉴스 2007. 5. 27일자

항의 항로가 끊임없이 향상되고, 수준높은 항구를 건설하여 동북아 해상 운송센 터가 되도록 추진하고 있다.

중국 북방의 주요한 항구도시인 대련은 국제항운중심지와 국제 물류중심지이 면서 동북지역의 화물 집산지이다. 특히 대련개발구 주위에는 6대 항구(대련항, 대요만항, 북량항, 점어만 오일항, 화상도석탄항, 대련만어항)가 위치해 있다. 따 라서 하얼빈, 심양, 장춘 등 지방의 85%의 화물을 대련항을 거쳐 동남아, 유럽, 북미주 등 국내외 각지로 직접 운송하는 배편이 있다.

대련항은 중국에서 세번째로 큰 항구이며, 중국의 최대 대외무역항구의 하나 로 각종 부두 정박장을 73개와 만톤급 정박장을 갖고 있다. 또한 대련항은 원유, 정품유, 광석, 석탄, 목재, 알곡, 강철, 설비 및 기타 잡화의 교체 운송이 가능하며 세계 160여개 국가와 지구의 300여개 항구와 무역왕래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동 북지구의 70%이상의 해운화물과 90%이상의 컨테이너를 운송하고 있다. 바다의 수심은 깊고 겨울에는 얼지 않아 컨테이너와 양곡전용 대형선박, 국제, 국내 여 객선박을 접안할 수 있고 하역능력은 연간 9,000만톤에 달하며 여객수는 연간 750만명을 초과한다. 특히 대련항과 한국 인천항의 밀접한 운항으로 한국의 많은 물류가 대련에 운송되며 대련에서는 농산물 등 공상품이 인천에 반입되고 있다.

따야오완항(보세항 지역) 컨테이너 부두는 동북지역의 컨테이너 해상운수 유 통센터로 부두해안선 길이는 3,347 m, 평균수심이 14 m에 달하며 현재 13개 전용 선석이 건설돼 있고 향후 총 100개의 전용선석을 더 건설할 계획이다. 연간 물동 량은 8,000만톤에 달하며 제4, 5세대 컨테이너선박을 정박할 수 있는 규모로 4.1 만TEU의 화물처리능력을 갖춘 따야오완항은 현재 미국과 캐나다, 동남아와 유 럽 등 40여 개국과의 항로가 개통돼 있다.

냰위완(鮎魚灣) 30만톤급원유부두는 중국대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현대적 원 유 수출부두로 수심 25 m에 달하고 30만톤급 초대형 유조선 하역작업 능력을 갖 추고 있다. 냰위완 원유부두를 통해 대련항신항구는 연간 원유하역량이 5000만 톤 이상에 달하는 중국내 최대규모의 원유수송항으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2) 상하이 린강 신항만도시

(1) 개발 개요

갈대밭을 초고층 빌딩숲인 푸동개발구로 변신시킨 상하이시가 다음 단계로 양 산항 인접지역에 린강 신항만도시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 중에 있다. 린강 신항 만도시 건설은 상하이시의 국제도시건설, 선진제조업․서비스업의 종합경쟁력 제고, 도시공간의 확장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상하이는 금융․무역 중심의 푸동과 물류․산업 중심의 린강신항만도시를 양 축으로 거대도시로의 성장을 위한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람을 중심으로 합 리적인 배치계획, 친환경 계획, 기업 유치를 위한 고객중심 그리고 편리한 교통 등을 만족시키기 위한 신도시를 목표로 상하이시의 개발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2년간의 중장기 개발계획 수립 및 검토와 많은 토론을 통해 2004년 1월 상하이 시정부의 승인을 받았으며, 특히, 린강 신항만도시는 양산항과 동해대교(32㎞)로 연결된 항만의 확장된 개념으로 화물의 집산지기능을 담당해 국제 해운항만의 중심지를 계획하고 있다.

<그림 4-2> 린강 신항만도시의 위치 및 주요 기능 배치도

린강 신항만도시 건설계획은 총 300㎢의 개발면적을 5개의 각기 다른 단지별

역의 가장 발전된 위성도시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린강 신항만도시는 사회, 경 제, 환경, 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효율적인 연계를 통해 상해동남부 연안지역의 경제, 문화중심인 종합신도시로 육성할 계획이다.

<그림 4-3> Lingang Harbor NewCity, Dishui Lake

린강 신항만도시의 계획 인구는 약 80만명으로, 이중에서 도시 생활구역 60만 명(주요지역 45만명, 공업핵심구역 5만명, 종합구역 10만명)과 읍생활구역 21만 명으로 계획하고 있다. 린강 신항만도시는 임항지역의 약 20㎢를 중앙 생태지역 로 지정하고 신도시의 보호구 역할을 하는 생태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린강 신도 시 전체의 삼림 녹화율은 5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도시생활구역의 녹화 율은 40% 이상, 공업산업구역의 녹화율은 30%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다.

(3) 린강 신항만도시 개발 조직기관

린강 신항만도시는 시정부 기관인 상하이 린강 관리위원회를 통해 관리하며 주요 기능은 린강 신항만도시 발전계획, 정책, 행정관리 등과 관련한 규정 제정 과 토지이용 심사, 기초시설과 건설공정 등의 행정관리, 신기술개발지원, 기업 및 민원 서비스제공을 담당하고 있다.

상하이 린강 관리위원회는 사무부, 종합계획부, 국토계획부, 건설관리부, 도시 와 읍조정부, 그리고 경제무역부로 구분되어 있다.

(4) 린강 신항만도시 특혜정책 및 기업유치현황

글로벌 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특혜정책은 다음과 같다. 즉, 입 주기업에 맞는 노동력 제공을 위해 맞춤형 기능훈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의 관 리를 받을 수 있다. 다국적 기업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자녀교육비, 언어 학습비, 식비, 이사비용 등을 세무기관의 심의를 통해 소득세를 감면해주고 있다.

다국적기업의 지역본부 설립 시, 수출입에 따른 각종 규제에 대한 적용을 유예하 고, 수출관세 환급의 혜택을 부여하며,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신기술 개발 기업 으로 선정되면 각종 지원 및 특혜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현재 린강 산업지구는 개발 중에 있으나 세계적인 기업들이 입주의사를 밝히 고 있어 향후 개발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에 개최된 린강신항만도시 투자회의에서 Shanghai Electric, Siemens, Maersk, COSCO 등 19개 기업들이 추가 적으로 투자 의사를 밝힌바 있다.

• 자동차 및 전자부문 : Volkswagen, SAIC, VOLVO 등

• 선박산업부문 : Kalmar, CSSC, Wartsila 등

• 건설장비부문 : HIAB, SMV, HHM 등

• 물류부문 : SAINT-GOBAIN, CAT, Caterpillar, Mapletree, ProLogis 등

• 연구부문 : AT Kearney, NIR, Deloitte 등

• 투자부문 : Jones Lang LaSalle, CB Richard Ellis, PricewaterhouseCoopers, DTZ 등

• 기타 : Silorsky, Sterigenics, Lenze 등

<그림 4-4> 입주기업인 Kalmar와 ProLogis 전경

3) 싱가포르항

(1) 싱가포르항의 발전 전략

세계 제1위 컨테이너 항만도시인 싱가포르는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중간 기항지로서의 입지적 우위성을 활용하면서 국가 전체를 물류, 금융, 정보, 관광 등으로 산업 클러스터화 하였다. 특히, 단지별 특성화·집적화를 통하여 동종 산 업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으며, 국가를 선도하는 대표적인 산업중 하나 가 항만물류산업이다.

(2) 싱가포르항의 항만배후지(Port Biz Park)

싱가포르의 PSA항 배후에 Keppel, Tanjong Pagar, Alexandra, Pasir Panjang 등 4개의 Distripark를 가지고 있으며 Jurong항 배후에 Jurong Logisticsonubs가 개발되 어 있으며, Alexandra Distripark에 20만㎡, Pasir Panjang Distripark에 25만㎡, Keppel Distripark에 11만 3천㎡, Tanjong Pagar Distripark에 6만 5천㎡이 조성되어 있다.

(3) 싱가포르 항만배후지(Port Biz Park) 입주 물류업체

싱가포르항의 항만배후지에는 다수의 글로벌 물류업체들이 진출해 있으나,

싱가포르항의 항만배후지에는 다수의 글로벌 물류업체들이 진출해 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