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slurry pit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48-151)

Ⅳ. 결과 및 고찰

4.8 분뇨순환 돈사의 악취저감

4.8.1 slurry pit

분뇨 순환시스템은 돈사에 돼지가 입돈 되기 전에 slurry pit 용량의 30 %정도 를 물로 채운다. 급이용으로 사용한 분말의 환경개선제를 액체로 제조하여 돈사 slurry pit에 주기적으로 살포하여 환경개선제에 함유한 미생물의 우점상태를 확 보해야 하며, 환경개선제 살포는 최종처리수가 순환되어 slurry pit가 활성화 될 때가지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Fig. 4.32의 분뇨순환시스템 적용돈사에 양돈이 입돈 되면 분변은 slurry pit로 배출되고, 돈 분뇨는 미생물의 영양원으로 작용되며, slurry pit는 미생물이 서식될 수 있는 공간적 기능으로 미생물의 대사활동에 의해 속성분해가 이루어진다. 초기 조건에서 돈사관리의 주의사항은 slurry pit 바닥에 돈분의 적체 유무 에 대해 확 인하고 적체 시나 상부에 부유 고형분 발생량이 많을 경우에는 살포량을 증가시키 거나 주기를 단축시켜 미생물의 활성도를 높여 분해를 촉진 시킨다. 그리고 배출 수의 탁도나 고형분 함량이 높거나 악취발생정도가 높을 경우도 동일한 방법을 수 행하여 안정화를 유지시킨다.

또한 분뇨순환시스템이 안정화 된 이후에도 미생물은 지체기 → 대수성장기 → 감소성장기 → 내생성장기 등의 cycle이 이루어지므로 주기적으로 환경개선제를 돈사 및 slurry pit에 살포하여 항상 활성상태를 유지한다.

Fig. 4.32. Picture of manure circulation system at pig house(C pig house).

Fig. 4.33의 C 돈사 분뇨 배설로 slurry pit에 분뇨가 60cm 정도 채워지면 분 뇨처리조로 분뇨가 배출되면서 순환이 이루어진다. 분뇨처리가 안정화되는데 소 요되는 기간은 약 6개월 ~ 1년 정도이고 안정화 이후에는 slurry pit에서 약 70 %정 도가 분해되므로 분뇨의 성상은 대부분 고형분 함량이 낮은 액상으로 배출된다.

(A) Farming environment. (B) condition of slurry pit.

Fig. 4.33. Farming environment and condition of slurry pit of C pig house.

Fig. 4.34와 같이 분뇨처리가 안정화 될수록 탁도는 낮아지며, 악취발생도 줄 어든다. 초기 운전조건에서 순환량은 매우 중요한 운전인자로써, 시설규모에 따 라 순환량이 결정되는데 순환량이 많을 경우 빠른 유속으로 slurry pit에서 미 분해된 분뇨가 배출되어 분뇨처리시설에서 과부하로 분뇨처리 효율이 저하되며, 미처리된 분뇨가 돈사내부로 재 유입되어 돈사 등 순환공법 전체에서 악취가 발 생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조건은 연구 기간 동안 C 돈사에 발생되었으며, 돈사 및 분뇨처리시설 에서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되는 결과가 초래되기도 하였다. C 돈사의 악취발생 원인은 양돈이 입돈 되기 전에 가수량(加水量)이 부족한 상태에서 분뇨의 조기 순환 및 순환량을 필요 이상 높게 운영하여 미 분해된 상태로 분뇨가 배출 되었다.

(A) Before stabilization. (B) After stabilization.

Fig. 4.34. Changes of turbidity at influent manure.

Fig. 4.35와 같이 미 분해된 분뇨의 유입은 분뇨처리시설의 부하량 증가로 이 어지고, 폭기조는 산소가 유입되는 호기발효 조건에서 미생물의 속성분해 작용 으로 다량의 기포 및 악취가 발생 될 수 있으며, 미처리된 순환수가 돈사로 재 유입되어 돈사 및 분뇨처리시설에 악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정상적 운전기간에 악취발생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개선 방안은 분뇨처리시설에서 분뇨를 약 20 %를 제거하고 제거한 분뇨의 양만큼 물 을 가수한 후 환경개선제 추가살포 및 순환수량 조절 등의 방법에 의해 서서히 활성화 되어 안정조건이 확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careless operation. (B)stabilized operating state.

Fig. 4.35. Production of bubble by careless operation and stabilized operating state.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48-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