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악취물질 발생경향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3-107)

Ⅳ. 결과 및 고찰

4.3 악취물질 발생경향

구 분

Ammonia

최대배출농도 최소배출농도 평균배출농도

A 돈사 69.7 4.6 22.1

B 돈사 47.1 7.5 19.3

C 돈사 47.0 0.04 15.0

Table 4.7. Measurement results of ammonia by automatic measuring equipment Unit : ppm

Fig. 4.7. Odor(Ammonia) monitoring results at each pig house.

4.3.2 Hydrogen sulfide

돈사에서 발생하는 Hydrogen sulfide의 배출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자동측정 장 비로 측정한 결과를 Table 4.8과 Fig. 4.8에 나타내었으며, Hydrogen sulfide를 측정한 결과는 Ammonia와 동일하게 low-data를 일별 매 시간단위로 평균값을 산정 하여 결과로 활용하였다.

Hydrogen sulfide는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최소감지농도가 0.00041 ppm로 매우 낮은 악취물질로 축산시설에서 낮은 농도로 발생이 되더라도 전체 악취기여도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치므로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한 악취물질 중의 하나이다.

Hydrogen sulfide의 돈사별 배출농도는 A 돈사의 경우 0.4 ~ 2.8 ppm의 범위로 발생하고 평균 1.4 ppm이 발생하여 연구대상시설 중에 가장 높게 발생하는 추이를 보였으며, 이는 축사 내의 분뇨slurry pit의 분뇨와 바닥의 분뇨 및 누출된 사료 등이 부패하는 과정에서 Ammonia와 동일하게 Hydrogen sulfide가 지속적으로 발생 하여 양돈의 성장조건에 지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최소감지농도가 낮아 전체 악취발생률을 높이는데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B 돈사의 경우 0.1 ~ 2.4 ppm의 범위로 발생하고 평균 0.9 ppm이 발생하여 A 돈 사와 비교 시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소감지농도가 낮아 A 돈사와 마 찬가지로 전체 악취발생률을 높이는데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C 돈사의 경우 0.3 ~ 2.5 ppm의 범위로 발생하고 평균 0.7 ppm이 발생하여 연구 대상시설 중에 Ammonia와 마찬가지로 가장 낮게 발생하는 추이를 보였으며, 이는 축사 내의 분뇨slurry pit의 분뇨와 바닥의 분뇨 및 누출된 사료 등이 사료에 급 이한 환경개선제와 slurry pit에 살포한 환경개선제에 의해 반응이 촉진되어 Hydrogen sulfide 발생률을 감소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사료 급이와 살포 를 병행할 경우 악취 저감효율이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최저배출농도는 B 돈사, 평균배출농도는 C 돈사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Fig. 4.8과 같이 배출경향은 A 돈사는 후반기로 갈수록 배출농도가 점진적으 로 높아졌으며, 배출농도의 범위도 커짐을 알 수 있고, B 돈사는 A 돈사와 유사한 경향으로 조사되었다. C 돈사는 비교돈사 중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구 분

화화수소 (ppm)

최대배출농도 최소배출농도 평균배출농도

A 돈사 2.8 0.4 1.4

B 돈사 2.4 0.1 0.9

C 돈사 2.5 0.3 0.7

Table 4.8. Measurement results of hydrogen sulfide by automatic measuring equipment Unit : ppm

Fig. 4.8. Odor(Hydrogen sulfide) monitoring results at each pig house.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0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