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otal_PS Good_PS Poor_PS Total_HS Good_HS Poor_HS Total_UV Good_UV Poor_UV

자료: 한국고용정보원. (2021).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데이터파일]. https://survey.keis.

or.kr/klosa/klosa01.jsp에서 2021. 2. 19. 인출.

제4장 한국의 사망력 불평등

187

전반적인 패턴을 확인하기 위해 〔그림 4-20〕을 살펴보면(‘보통’ 범주 는 생략), 남성과 여성 그리고 2006년과 2014년 표본을 모두 아울러 교 육 수준이 낮을수록 전체 기대여명(Total_Life Expectancy)이 짧은 동 시에 건강이 좋은 상태에서 보내는 기간(Good_Life Expectancy)이 짧 고, 건강이 나쁜 상태에서 보내는 기간(Poor_Life Expectancy)이 긴 모 습이 관측된다. 남녀 모두 전체 기대여명에 비해 건강 상태가 ‘좋음’ 범주 에서 보낼 것으로 추정되는 기간에서 관측되는 교육 수준별 격차가 더욱 뚜렷하다. 다만 연령이 증가할수록 이러한 교육 수준별 격차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교육 수준과 건강기대여명의 이러한 관계는 절대적 차원(〈표 4-13〉~

〈표 4-14〉 참고)은 물론 상대적 차원에서도 관측된다. 분석 결과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차원에서 〈표 4-15〉는 50세와 65세를 기준으로 전체 기 대여명 대비 건강 상태별 기대여명의 백분비를 보여 준다. 〔그림 4-21〕

은 동일하게 전체 기대여명 대비 건강 상태별 기대여명의 백분비를 전체 연령(0~100세)에 걸쳐 시각적으로 보여 준다. 남성과 여성 그리고 2006 년과 2014년 표본을 모두 아울러 일관되게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전체 (total) 기대여명 대비 건강이 ‘좋음’(good) 상태에서 보내는 기간의 구성 비가 높은 반면, 건강이 ‘나쁨’ 상태에서 보내는 구성비는 낮은 모습을 확 인할 수 있다.

〔그림 4-20〕이 교육 수준별 차이에 초점을 맞춘 자료 제시 형식을 취 하지만, 성별 격차 또한 뚜렷이 관측된다(〈표 4-13〉~〈표 4-14〉도 참고).

남성과 여성의 기대여명 패턴을 살펴보면(〔그림 4-20〕의 위아래 교육 수 준별 비교) 2006년과 2014년 표본 모두에서 여성의 ‘전체’ 기대여명이 더 길지만, 건강이 ‘나쁨’ 상태에서 보내는 기간이 더 긴 모습이 관측된 다. 기간별로 다소간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건강이 ‘좋음’ 상태에서

의 기대여명 또한 비슷하거나 남성이 더 긴 패턴이 관측된다. 참고로, 남 성에 비해 여성의 생존 기간이 더 길지만, 이러한 연장된 생존 기간의 건 강 상태가 좋지 않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다만, 여성은 전체 기대여 명 증가에 맞춰 절대적 및 상대적 측면에서 건강 상태가 개선된 모습을 보이지만, 남성은 여성에 비해 전체 기대여명이 더 크게 증가했음에도 이 에 맞춰 생존 기간의 건강 상태가 뚜렷하게 개선되었는지는 불명확하 다.38)이에 따라 2006년 표본에 비해 2014년 표본에서 성별 건강기대여 명(좋음/나쁨) 격차는 모든 교육 수준 범주에서 일관되게 감소하는 모습 을 보인다(〈표 4-15〉 참고).

〈표 4-15〉 전체 기대여명 대비 건강 상태별 기대여명의 구성비

(단위: %)

성별 교육

수준 연령 건강 상태: 2006~2010년 건강 상태: 2014~2018년

좋음 보통 나쁨 좋음 보통 나쁨

남성

초졸 50세 31.78 38.70 29.52 27.76 45.27 26.98

65세 19.84 40.05 40.11 17.65 44.32 38.03

고졸 50세 40.54 36.81 22.65 34.42 45.36 20.23

65세 27.88 40.47 31.65 23.32 47.65 29.03

대졸 50세 46.48 34.84 18.67 39.16 44.38 16.46

65세 33.95 39.63 26.42 27.80 48.44 23.75

여성

초졸 50세 20.50 40.74 38.75 22.78 44.02 33.19

65세 11.70 39.20 49.10 13.57 41.56 44.88

고졸 50세 27.54 41.01 31.45 29.19 45.46 25.35

65세 17.07 41.87 41.06 18.82 46.25 34.93

대졸 50세 32.72 40.34 26.94 33.84 45.33 20.83

65세 21.50 42.75 35.74 23.04 48.04 28.92

자료: 한국고용정보원. (2021).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데이터파일]. https://survey.keis.

or.kr/klosa/klosa01.jsp에서 2021. 2. 19. 인출.

38) 만일 이 연구에서 정의한 상태 범주 중 ‘보통’을 ‘좋음’으로 분류한다면 건강기대여명이 증가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도 있다.

제4장 한국의 사망력 불평등

189

〔그림 4-21〕 전체 기대여명 대비 건강 상태별 기대여명의 구성비

0 10 20 30 40 50 60 70 80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oflifeexpectancy

Males: y2006-y2010

%(Good)_ES %(Mod)_ES %(Poor)_ES

%(Good)_HS %(Mod)_HS %(Poor)_HS

%(Good)_UV %(Mod)_UV %(Poor)_UV 0 10 20 30 40 50 60 70 80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oflifeexpectancy

Females: y2006-y2010

%(Good)_ES %(Mod)_ES %(Poor)_ES

%(Good)_HS %(Mod)_HS %(Poor)_HS

%(Good)_UV %(Mod)_UV %(Poor)_UV

0 10 20 30 40 50 60 70 80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oflifeexpectancy

Males: y2014-y2018

%(Good)_ES %(Mod)_ES %(Poor)_ES

%(Good)_HS %(Mod)_HS %(Poor)_HS

%(Good)_UV %(Mod)_UV %(Poor)_UV 0 10 20 30 40 50 60 70 80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oflifeexpectancy

Females: y2014-y2018

%(Good)_ES %(Mod)_ES %(Poor)_ES

%(Good)_HS %(Mod)_HS %(Poor)_HS

%(Good)_UV %(Mod)_UV %(Poor)_UV

자료: 한국고용정보원. (2021).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데이터파일]. https://survey.keis.

or.kr/klosa/klosa01.jsp에서 2021. 2. 19.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