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대수명 변화의 연령별 기여도

제 3 장 한국의 사망력 변동

3. 기대수명 변화의 연령별 기여도

제3장 한국의 사망력 변동

61

〔그림 3-6〕 연령별 사망률 성비(남성/여성) 표면도: 1970~2019년

자료: 통계청. (2021a). 국가통계포털: 온라인간행물-주제별-보건-생명표[데이터파일]. https://

kosis.kr/publication/publicationThema.do에서 2021. 4. 20. 인출.

1989, p. 12; Horiuchi, 1999, p. 54). 사망원인 통계 자료상의 제약이 있지만, 사인 구조의 변화에 대해서는 이 장의 제2절에서 간략히 살펴보 기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Arriaga 분해 방법(Arriaga, 1984, pp. 87-89; Preston, Heuveline, & Guillot, 2001, pp. 64-65)을 사용하여 1970~2019년 기간의 기대수명 증가의 연령별 기여도를 살펴본다. Arriaga 분해 방법 은 아래에서 살펴보는 것과 같이 전통적인 생명표 자료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Preston et al., 2001, p. 64). 참고로 아래의 분해 절차는 기대수 명(life expectancy at birth) 차이에 대한 분해이다. 만일 0세(기대수 명) 대신

세 기준 기대여명 차이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관련 산식에서

로 대체하면 된다.

아래의 산식이 Arriaga 분해식이다. 여기에서

는 [

,

  

) 연령 구간의 사망률 변화가 기대수명에서 초래하는 총효과를 표시한다. 분해 식 오른쪽 첫 번째 항이 사망률 변화의 직접 효과(direct effect), 두 번째 항이 간접 효과(indirect effect)와 상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 의 합을 표시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직접 효과는 [

,

  

) 연령 구간의 생존 인년(人年) 수(number of person-years lived) 변화로 인한 기대수명 변화량를 의미하며, 간접 효 과와 상호작용 효과는 [

,

  

) 연령 구간의 사망률 감소로 인해

  

세까지 ‘추가적으로’ 생존한 개인들에 의한 생존 인년 수 변화가 기대수 명에 미친 효과를 의미한다. 간접 효과는

  

세 이후의 사망률이 과거

제3장 한국의 사망력 변동

63

와 동일한 상태에서 추가되는 기대수명에서의 변화를, 상호작용 효과는

  

세 이후의 사망률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기대수명에서의 변화를 의 미한다. 상한 연령 구간(open-ended age interval)에서는 직접 효과만 이 발생하는데,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산출 가능하다.

  

 

  

 

〈표 3-2〉~〈표 3-3〉은 1970~2019년 전체 및 하위 기간별로 구분하여 산출한 남성과 여성의 기대수명 변화의 연령별 기여도를 분해한 결과이 며(절대적 및 상대적 기여도), 〔그림 3-7〕은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 이다(백분비 기준). 〈표 3-2〉와 〈표 3-3〉의 연령은 간이생명표의 양식을 따라 5세 단위로 구분하였다(5세 미만은 0세와 1~4세로 구분).

1970~2019년에 걸쳐 남성의 기대수명은 21.53년, 여성의 기대수명 은 20.49년 증가하였다.9)백분비 기준으로 연령별 기여도를 살펴보면 남 녀 모두 0세 사망률 감소가 기대수명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 타난다(남성 14.53%, 여성 16.29%). 전반적으로 10~30대 연령 구간의 기여도가 낮은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남성은 50~60대, 여성은 50~70대의 사망률 감소가 기대수명 증가에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하였음 을 살펴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기여도 분해 결과는 1970~2019년 전체 기간에 걸친 기 대수명 증가와 관련된다. 하위 기간별로 연령별 기여도는 차이를 보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림 3-7〕에서 하위 기간별로 구분하여 기대수명 증가에

9) 이는 통계청이 공표하는 기대수명에서 직접 계산한 것이 아니라 연령별 기여도를 합산한 값이다.

대한 연령대별 기여도의 전반적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1970~1979년 기간(1970년 → 1979년)에도 남녀 모두 0세의 기여도가 가장 높다(남성 21.78%, 여성 16.21%). 그러나 다른 연령 구간에서는 기여도가 성별로 다소 큰 차이를 보인다. 상대적으로 5~9세, 20~24세의 기여도가 남녀 모두 높지만, 남성의 경우 35~39세 구간의 기여도는 음(-)의 값을 갖는 다. 이는 앞의 〔그림 3-2〕에서 1970~1979년 동안 30대 후반 남성의 사 망률이 악화된 것과 동일한 맥락이다. 50~60대 구간의 기여도는 남성에 서 더 높은 반면, 70대 이상 연령대의 기여도는 여성에서 더 높게 관측된 다.

1980~1989년 기간에 걸친 기대수명 증가의 연령대별 기여도 분석 결 과는 상대적으로 여성에서 0세의 기여도가 크게 높아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남성 21.41%, 여성 26.25%). 전반적으로 여성의 경우 40대 이 하 연령대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남성은 여성에 비해 50~60 대의 기여도가 더 높은 모습을 보인다.

1990년도 이후에 관측되는 기대수명 증가에 대한 연령별 기여도 패턴 은 남녀 모두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다만 남성에 비해 여성의 경우 상대 적으로 고연령대의 기여도가 높은 패턴을 보인다. 특히 2000년대 이후에 는 이전 기간에 비해 고연령대의 기여도가 크게 높아진 반면 0세의 기여 도가 크게 낮아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앞에서 1970~2019년에 걸쳐 남성은 50~60대, 여성은 50~70대의 사망률 감소가 기대수명 증가에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하였음을 살펴보았 는데, 이는 1990년대 이후, 특히 2000년대 이후의 사망력 변화와 관련됨 을 시사한다. 2000년대 이후 영유아 사망률이 상당한 수준으로 낮아졌음 을 고려할 때 향후 기대수명 증가에서 고연령대의 기여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임을 전망하게 한다.

제3장 한국의 사망력 변동

65

〈표 3-2〉 전체 및 기간별 기대수명 증가의 연령별 기여도: 남성

연령 1970~2019년 1970~1979년 1980~1989년 1990~1999년 2000~2009년 2010~2019년

% % % % % %

0 3.13 14.53 .58 21.78 1.10 21.41 .51 11.97 .19 4.48 .06 1.74 1 .98 4.55 .18 6.62 .34 6.61 .16 3.71 .08 1.79 .02 .66 5 .84 3.91 .28 10.49 .19 3.76 .12 2.84 .04 .96 .01 .42 10 .54 2.51 .16 6.13 .12 2.39 .08 1.93 .03 .60 .02 .48 15 .76 3.53 .19 7.01 .17 3.37 .14 3.21 .06 1.45 .04 1.10 20 .94 4.36 .28 10.53 .18 3.59 .13 3.02 .07 1.66 .05 1.55 25 .67 3.13 .11 4.15 .12 2.39 .17 4.01 .06 1.39 .06 1.77 30 .68 3.16 .10 3.93 .10 2.05 .19 4.47 .09 2.02 .05 1.54 35 .63 2.92 -.08 -2.96 .14 2.64 .23 5.40 .16 3.64 .06 1.84 40 1.06 4.91 .07 2.65 .23 4.48 .23 5.36 .21 4.92 .15 4.36 45 1.36 6.34 .10 3.62 .21 4.14 .33 7.70 .28 6.51 .19 5.67 50 1.67 7.74 .12 4.56 .36 7.06 .36 8.32 .29 6.74 .22 6.47 55 2.02 9.39 .26 9.54 .44 8.62 .29 6.68 .42 9.65 .26 7.68 60 2.00 9.28 .16 6.17 .44 8.66 .34 7.91 .54 12.43 .29 8.57 65 1.82 8.47 .13 4.76 .42 8.22 .34 7.87 .54 12.51 .39 11.30 70 1.20 5.58 .00 .19 .26 5.13 .31 7.28 .51 11.80 .54 15.80 75 .79 3.65 .01 .35 .17 3.35 .20 4.57 .41 9.52 .48 14.11 80 .33 1.55 .01 .33 .08 1.56 .11 2.58 .22 5.13 .32 9.27

85 .09 .40 .00 .12 .02 .46 .04 .92 .09 2.14 .15 4.28

90 .01 .07 .00 .03 .00 .09 .01 .22 .02 .57 .04 1.20

95 .00 .01 .00 .00 .00 .01 .00 .03 .00 .10 .01 .17

1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1 .00 .01

합계 21.53 100 2.67 100 5.12 100 4.30 100 4.34 100 3.43 100 자료: 통계청. (2021a). 국가통계포털: 온라인간행물-주제별-보건-생명표[데이터파일]. https://

kosis.kr/publication/publicationThema.do에서 2021. 4. 20. 인출.

〈표 3-3〉 전체 및 기간별 기대수명 증가의 연령별 기여도: 여성

연령 1970~2019년 1970~1979년 1980~1989년 1990~1999년 2000~2009년 2010~2019년

% % % % % %

0 3.34 16.29 .66 16.21 1.29 26.25 .47 13.87 .21 5.51 .03 1.13 1 1.03 5.01 .20 4.93 .40 8.07 .16 4.80 .05 1.38 .01 .51 5 .83 4.04 .30 7.49 .23 4.63 .10 2.97 .04 1.07 .01 .41 10 .52 2.54 .17 4.21 .15 2.98 .07 1.96 .02 .58 .01 .47 15 .66 3.20 .22 5.52 .20 4.03 .06 1.72 .03 .74 .00 .18 20 .99 4.82 .48 11.85 .19 3.91 .08 2.42 .00 .07 .02 .79 25 .86 4.20 .35 8.54 .20 4.14 .08 2.50 -.02 -.62 .05 1.85 30 .71 3.49 .24 5.91 .21 4.21 .08 2.24 .00 -.06 .03 1.08 35 .64 3.11 .14 3.56 .19 3.81 .10 2.88 .02 .67 .03 1.16 40 .79 3.85 .21 5.13 .20 4.16 .12 3.67 .06 1.53 .04 1.36 45 .88 4.32 .17 4.13 .21 4.25 .21 6.19 .08 2.23 .06 2.20 50 1.04 5.08 .16 4.03 .27 5.43 .23 6.86 .13 3.58 .08 2.87 55 1.22 5.94 .21 5.13 .26 5.29 .25 7.45 .20 5.26 .08 3.18 60 1.38 6.74 .17 4.23 .29 5.97 .29 8.57 .29 7.75 .16 5.95 65 1.42 6.93 .08 1.98 .28 5.78 .31 9.30 .44 11.70 .25 9.37 70 1.40 6.84 .04 1.01 .19 3.95 .32 9.47 .58 15.56 .38 14.36 75 1.34 6.55 .08 2.05 .12 2.42 .24 7.25 .63 17.03 .50 18.60 80 .93 4.52 .09 2.20 .04 .90 .14 4.04 .53 14.15 .49 18.27 85 .40 1.95 .05 1.32 .00 .02 .05 1.52 .30 8.17 .30 11.26 90 .10 .50 .02 .47 -.01 -.13 .01 .30 .11 3.00 .11 4.19

95 .01 .07 .00 .09 .00 -.05 .00 .01 .02 .63 .02 .76

100+ .00 .01 .00 .01 .00 -.01 .00 .00 .00 .07 .00 .04

합계 20.49 100 4.04 100 4.90 100 3.37 100 3.72 100 2.67 100 자료: 통계청. (2021a). 국가통계포털: 온라인간행물-주제별-보건-생명표[데이터파일]. https://

kosis.kr/publication/publicationThema.do에서 2021. 4. 20. 인출.

제3장 한국의 사망력 변동

67

〔그림 3-7〕 전체 및 기간별 기대수명 증가의 연령별 기여도(%): 1970~2019년

-4 0 4 8 12 16 20 24 28

Percent

1970-2019

Male Female

-4 0 4 8 12 16 20 24 28

Percent

1970-1979

Male Female

-4 0 4 8 12 16 20 24 28

Percent

1980-1989

Male Female

-4 0 4 8 12 16 20 24 28

Percent

1990-1999

Male Female

-4 0 4 8 12 16 20 24 28

Percent

2000-2009

Male Female

-4 0 4 8 12 16 20 24 28

Percent

2010-2019

Male Female

자료: 통계청. (2021a). 국가통계포털: 온라인간행물-주제별-보건-생명표[데이터파일]. https://

kosis.kr/publication/publicationThema.do에서 2021. 4. 20. 인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