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문서에서 기업도시 개발의 경제적 효과 (페이지 113-151)

제3장 기업도시의 경제적 파급효과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그림 3-18> 원주 기업도시가 강원 GRDP에 미치는 효과

-100 -50 0 50 100 150 20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그림 3-19> 원주 기업도시가 서울 GRDP에 미치는 효과

0 50 100 150 200 25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그림 3-20> 원주 기업도시가 경기 GRDP에 미치는 효과

-60 -50 -40 -30 -20 -10 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그림 3-21> 원주 기업도시가 충남 GRDP에 미치는 효과

-15 -10 -5 0 5 10 15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그림 3-22> 원주 기업도시가 충북 GRDP에 미치는 효과

-250 -200 -150 -100 -50 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그림 3-23> 원주 기업도시가 호남 GRDP에 미치는 효과

-50 -40 -30 -20 -10 0 10 20 30 40 5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그림 3-24> 원주 기업도시가 경북 GRDP에 미치는 효과

-250 -200 -150 -100 -50 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그림 3-25> 원주 기업도시가 경남 GRDP에 미치는 효과

<표 3-35> 시나리오 1: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76.4 124.1 -36.7 1.9 -204.5 152.9 5.2 -183.6 -64.4 2010 26.0 97.5 -41.5 -3.9 -212.6 155.7 -10.9 -196.1 -185.8 2012 -10.8 74.5 -48.4 -9.0 -222.4 158.2 -27.2 -210.7 -295.8 2014 -30.0 66.6 -45.9 -9.7 -221.1 180.3 -31.9 -209.4 -301.0 2016 -40.6 62.5 -45.0 -9.6 -221.2 202.5 -36.9 -210.2 -298.5 2018 -43.6 65.6 -41.8 -7.2 -217.8 232.8 -37.7 -206.4 -256.0 2020 -44.3 70.9 -38.7 -3.8 -215.0 265.5 -37.3 -203.8 -206.5

<표 3-36> 시나리오 2: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98.5 140.0 -32.8 3.8 -203.6 154.8 11.9 -179.6 -7.0 2010 58.4 117.7 -35.5 -1.0 -208.2 158.4 -1.7 -188.0 -99.9 2012 29.6 98.8 -40.1 -5.0 -214.7 161.9 -15.2 -198.6 -183.4 2014 13.9 91.7 -37.5 -5.7 -212.8 184.1 -19.6 -196.7 -182.5 2016 5.5 88.2 -36.4 -5.6 -212.2 206.6 -24.2 -196.9 -174.9 2018 2.8 90.9 -33.7 -3.4 -209.3 236.8 -25.3 -194.0 -135.1 2020 2.2 95.5 -31.2 -0.4 -207.0 269.4 -25.3 -192.3 -89.1

<표 3-37> 시나리오 3: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120.2 155.5 -28.8 5.7 -202.0 156.5 18.5 -175.0 50.6 2010 90.4 137.4 -29.4 1.8 -203.2 161.1 7.4 -179.4 -13.8 2012 69.6 122.5 -31.8 -1.1 -206.4 165.6 -3.4 -185.8 -70.8 2014 57.5 116.3 -29.0 -1.7 -203.9 187.9 -7.4 -183.4 -63.9 2016 51.2 113.5 -27.7 -1.5 -202.7 210.7 -11.5 -183.1 -51.2 2018 48.8 115.6 -25.6 0.3 -200.1 240.8 -13.1 -181.0 -14.1 2020 48.2 119.5 -23.6 3.0 -198.3 273.3 -13.5 -180.3 28.4

<표 3-38> 시나리오 4: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141.4 170.2 -24.8 7.5 -199.4 158.3 24.8 -169.6 108.5 2010 121.8 156.5 -23.2 4.6 -197.4 163.7 16.4 -169.9 72.4 2012 109.0 145.7 -23.4 2.8 -197.2 169.2 8.3 -172.4 42.0 2014 100.4 140.2 -20.5 2.2 -194.2 191.7 4.6 -169.5 54.9 2016 96.2 138.1 -18.9 2.5 -192.3 214.8 1.0 -168.6 72.6 2018 94.2 139.7 -17.4 4.1 -190.2 244.8 -1.0 -167.2 107.0 2020 93.7 142.8 -16.0 6.3 -188.9 277.3 -1.8 -167.5 145.9

<표 3-39> 시나리오 5: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161.9 184.2 -20.6 9.3 -195.9 159.9 31.0 -163.3 166.5 2010 152.5 174.7 -16.9 7.4 -190.6 166.3 25.1 -159.6 159.0 2012 147.8 168.1 -14.9 6.6 -187.1 172.8 19.7 -158.0 155.0 2014 142.7 163.3 -11.9 6.0 -183.5 195.6 16.4 -154.7 173.9 2016 140.6 161.8 -10.1 6.5 -181.0 218.8 13.3 -153.3 196.6 2018 138.9 162.8 -9.1 7.7 -179.3 248.9 11.0 -152.7 228.2 2020 138.4 165.2 -8.3 9.6 -178.6 281.3 9.7 -153.9 263.5

<표 3-40> 시나리오 6: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181.6 197.2 -16.4 11.1 -191.1 161.5 36.8 -155.9 224.9 2010 182.5 192.2 -10.6 10.1 -182.6 168.9 33.5 -148.3 245.7 2012 185.7 189.6 -6.3 10.4 -175.9 176.5 30.9 -142.7 268.2 2014 184.1 185.6 -3.2 9.9 -171.7 199.4 27.9 -138.9 293.0 2016 184.1 184.7 -1.2 10.4 -168.7 222.9 25.3 -136.9 320.7 2018 182.8 185.1 -0.8 11.4 -167.4 253.0 22.7 -137.1 349.5 2020 182.3 186.6 -0.5 12.9 -167.1 285.3 21.0 -139.3 381.1

나. 지역별 고용에 미치는 효과

원주 기업도시 개발은 일차적으로 강원지역의 고용을 증가시킨 다. <표 3-41>에서 보듯이 시나리오 1에서 강원지역의 고용증가는 2008년에 2,121명, 2012년에 2,066명, 2020년에는 2,100명에 달해, 2020년까지 강원지역의 누적 취업자 수는 1만4,614명에 달할 것으 로 추정된다. 그러나 타 지역의 고용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2008년을 제외하고는 매기 총고용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이다. 따 라서 2020년까지 누적된 전국의 총고용은 4,649명 감소할 전망이 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2008년에 일시적으로 고용이 증가하는 이 유는 투자의 초기연도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투자의 구축효과가 작기 때문이다.

시나리오 2의 경우 강원지역의 고용증가는 미미하나마 시나리 오 1보다 더 증가하여, 2020년까지의 누적 고용효과는 1만4,784명 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지역의 고용도 시나리오 1에 비해 감소폭이 크게 줄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지역은 고용이 증가하여 2020년까지 누적된 총고용 증가는 1,144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 다. 호남과 경남, 경북지역의 고용 감소폭도 줄어들어 호남은 2020년까지 총 5,167명 감소하고, 경남은 4,905명, 경북은 1,292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나리오 2에서 2020년까지 전국의 총고 용은 235명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외국인 투자비중이 증가할수록 타 지역의 투자 감소효과가 점차 줄어들어 시나리오 3부터는 전국의 총고용이 모든 연도에서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2020년까지 누적된 전국의 총고용은 시나리오 3에서 5,114명, 시나리오 4에서 9,987명, 시나리오 5에서 1만4,851명, 시나리오 6에서 1만9,706명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원주 기업도시의 개발계획안에 따르면 원주 기업도시 개발의 고

용 유발효과는 총 2만1,345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12년까지의 누적 고용효과는 강원지역이 6,280~

6,610명에 달하며, 전국이 -1,785~7,947명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표 3-41> 시나리오 1: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취업자 수에 미치는 효과

(단위: 명)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347 57 -201 -1 -699 2,121 -158 -642 130 2010 -557 -60 -266 -18 -789 2,094 -243 -748 -588 2012 -773 -190 -332 -36 -879 2,066 -330 -854 -1,328 2014 -727 -124 -316 -28 -853 2,072 -311 -834 -1,121 2016 -705 -70 -308 -23 -839 2,075 -301 -825 -995 2018 -605 58 -277 -11 -792 2,088 -261 -780 -579 2020 -509 197 -246 -1 -749 2,100 -222 -738 -169 합계 -4,221 -132 -1,946 -117 -5,600 14,614 -1,827 -5,421 -4,649

<표 3-42> 시나리오 2: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취업자 수에 미치는 효과

(단위: 명)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187 179 -167 10 -657 2,137 -104 -590 620 2010 -354 98 -219 -4 -730 2,116 -171 -676 60 2012 -524 8 -272 -18 -801 2,094 -240 -763 -517 2014 -486 76 -260 -12 -781 2,099 -224 -748 -335 2016 -466 137 -254 -7 -769 2,102 -216 -743 -216 2018 -384 257 -229 2 -732 2,113 -184 -708 136 2020 -305 388 -204 10 -697 2,123 -152 -676 486 합계 -2,705 1,144 -1,605 -18 -5,167 14,784 -1,292 -4,905 235

<표 3-43> 시나리오 3: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취업자 수에 미치는 효과

(단위: 명)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29 299 -133 21 -614 2,153 -49 -537 1,110 2010 -151 254 -172 10 -668 2,138 -100 -603 707 2012 -277 204 -212 0 -722 2,122 -151 -670 294 2014 -245 274 -204 5 -707 2,127 -139 -661 450 2016 -228 340 -199 8 -698 2,129 -132 -659 562 2018 -164 454 -180 15 -670 2,138 -107 -635 850 2020 -102 577 -163 21 -644 2,146 -83 -613 1,139 합계 -1,196 2,403 -1,264 80 -4,723 14,953 -760 -4,379 5,114

<표 3-44> 시나리오 4: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취업자 수에 미치는 효과

(단위: 명)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128 417 -99 31 -569 2,169 4 -482 1,600 2010 50 408 -125 24 -605 2,160 -28 -529 1,355 2012 -31 398 -152 18 -641 2,150 -62 -576 1,104 2014 -7 469 -147 21 -630 2,154 -53 -572 1,235 2016 8 541 -144 23 -624 2,157 -48 -573 1,339 2018 55 647 -132 28 -605 2,163 -31 -560 1,563 2020 99 761 -121 32 -588 2,168 -14 -548 1,790 합계 302 3,641 -920 178 -4,263 15,121 -233 -3,840 9,987

<표 3-45> 시나리오 5: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취업자 수에 미치는 효과

(단위: 명)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283 532 -64 42 -521 2,185 58 -424 2,090 2010 249 559 -78 38 -539 2,182 42 -452 2,001 2012 213 588 -92 35 -557 2,178 26 -479 1,913 2014 230 661 -90 37 -551 2,181 32 -481 2,019 2016 243 737 -89 38 -548 2,183 35 -485 2,115 2018 271 835 -84 41 -538 2,187 45 -483 2,274 2020 299 941 -78 43 -529 2,191 54 -481 2,440 합계 1,789 4,854 -575 275 -3,785 15,287 291 -3,284 14,851

<표 3-46> 시나리오 6:

원주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취업자 수에 미치는 효과

(단위: 명)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436 645 -30 52 -471 2,201 110 -365 2,579 2010 446 707 -31 52 -470 2,203 112 -372 2,647 2012 456 774 -32 53 -470 2,206 114 -379 2,721 2014 465 848 -33 53 -470 2,208 115 -387 2,801 2016 476 930 -34 54 -469 2,210 117 -395 2,889 2018 486 1,018 -35 54 -469 2,212 119 -403 2,983 2020 496 1,115 -36 54 -468 2,213 121 -410 3,086 합계 3,261 6,038 -228 372 -3,286 15,452 808 -2,711 19,706

4) 태안 기업도시의 경제적 파급효과

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태안 기업도시 개발은 충남지역의 문화․관광산업의 투자가 증 가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19) 앞서 언급하 였듯이 지역별 파급효과는 문화․관광산업의 생산비중에 따른 투 자 구축정도, 지역 간 수출입 구조 및 지역 간 수출입 재화 간의 대체효과 등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문화․관광산업의 2000년도 지역별 생산량은 <표 3-47>에서 찾 을 수 있다. 문화․관광산업의 총생산액은 60조5,259억 원에 달하 다. 태안 기업도시 투자 대상지역인 충남지역의 문화․관광산업 생산액은 2조5,164억 원으로 전체 생산액에 4.3%를 차지하고, 나 머지 96.6%는 타 지역에서 생산된다. 특히 서울지역의 생산액은 30조8,066억 원으로 총생산액의 52.6%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서울지역의 투자 구축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 된다. 서울 다음으로 생산비중이 높은 지역은 경기지역으로 12.9%

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남은 11.4%, 호남은 7.8%, 경북은 7.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태안 기업도시 개발을 위해 투자된 호남지 역의 투자증가는 이와 같은 생산량 비중에 따라 타 지역의 투자를 감소시킬 것이다. 결국 충남지역의 투자증가가 타 지역의 GRDP 에 미치는 효과는 이러한 구축효과와 충남지역의 투자증가에 따른 경기활성화 효과의 크기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른 기업도시 개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태안의 기업도시 개 발은 충남지역의 GRDP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그림 3-26>에 서 보듯이 충남지역의 투자가 증가하여 자본이 축적될수록 충남

19) 문화․관광산업은 정보통신 서비스산업도 포함하고 있다.

구분 생산액 (10억 원)

비중 (%) 

서울 30, 806.6 52.6

경기 7, 531.0 12.9

충남 2, 516.4 4.3

충북 1, 051.5 1.8

호남 4, 585.2 7.8

강원 1, 238.6 2.1

경북 4, 190.7 7.2

경남 6, 685.0 11.4

합계  58, 605.0 100.0

<표 3-47> 문화․관광산업의 지역별 생산액과 비중

(2000년 기준)

자료: 모형의 입력 데이터로 사용된 MRIO 데이터

지역의 GRDP 증가폭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이 된다. 외국인 투자비율이 증가할수록 GRDP 증가추세는 더욱 강화된다. 시나리 오 1에서 충남의 GRDP 증가는 2008년에 1조287억 원, 2012년에 1조1,244억 원, 2020년에 2조167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전적으로 외국인 투자로 기업도시가 건설되는 시나리오 6에서는 GRDP가 2008년에 1조369억 원, 2012년에 1조2,040억 원, 2020년에 2조685 억 원 증가할 전망이다.

외국인 투자가 낮을 경우 태안 기업도시 개발로 인해 GRDP가 감소하는 곳은 서울, 경기, 경남, 호남, 경북지역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이들 지역의 문화․

관광산업의 생산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투자 구축효과가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의 경우 시나리오 1에서 GRDP 감 소는 2008년에 2,449억 원, 2012년에 1조2,266억 원, 2020년에 1조 638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문화․관광산업의 생산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충북과 강원지 역은 외국인 투자비중이 낮아도 GRDP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 다. 이는 충남지역의 투자증가가 이들 지역의 투자를 구축하는 효 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경제활성화 효과가 크게 작용하기 때 문이다.

외국인 투자가 증가할수록 지역별 투자 구축효과가 감소하여, 외국인 투자비중이 60% 이상이 되면 서울지역, 경기, 경북지역의 GRDP가 증가하기 시작할 것으로 예측된다.

시나리오 1에서 총GRDP는 상대적으로 투자액이 낮은 2008년 에는 증가하지만, 이후 연도에는 GRDP가 감소하여 2010년에 4,523억 원, 2012년에 9,192억 원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총 GRDP 감소효과는 외국인 투자가 증가할수록 축소되어 외국인 투자비중이 40%를 넘어서면 총GRDP가 모든 기간에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0 500 1000 1500 2000 250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10억원

<그림 3-26> 태안 기업도시가 충남 GRDP에 미치는 효과

-1400 -1200 -1000 -800 -600 -400 -200 0 200 400 60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10억원

<그림 3-27> 태안 기업도시가 서울 GRDP에 미치는 효과

-500 -400 -300 -200 -100 0 100 200 300 400 50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10억원

<그림 3-28> 태안 기업도시가 경기 GRDP에 미치는 효과

0 20 40 60 80 100 120 14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10억원

<그림 3-29> 태안 기업도시가 충북 GRDP에 미치는 효과

-250 -200 -150 -100 -50 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10억원

<그림 3-30> 태안 기업도시가 호남 GRDP에 미치는 효과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10억원

<그림 3-31> 태안 기업도시가 강원 GRDP에 미치는 효과

-150 -100 -50 0 50 10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10억원

<그림 3-32> 태안 기업도시가 경북 GRDP에 미치는 효과

-400 -350 -300 -250 -200 -150 -100 -50 0

2008 2010 2012 2014 2016 2018 2020

FDI 0 FDI 20 FDI 40 FDI 60 FDI 80 FDI 100 10억원

<그림 3-33> 태안 기업도시가 경남 GRDP에 미치는 효과

<표 3-48> 시나리오 1:

태안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244.9 279.5 1,028.7 133. 3 -111.0 10.2 19.2 -139.0 975.8 2010 -948.8 -70.5 1,008.4 91. 4 -178.4 6.6 -70.0 -291.0 -452.3 2012 -1,226.6 -239.1 1,124.4 74. 6 -209.5 7.1 -106.7 -343.4 -919.2 2014 -1,239.8 -295.6 1,318.5 70. 7 -216.7 11.1 -112.8 -339.2 -803.6 2016 -1,200.0 -339.6 1,531.2 69. 0 -220.8 15.8 -116.5 -329.4 -590.2 2018 -1,136.4 -379.7 1,763.4 69. 5 -225.3 21.2 -119.8 -317.2 -324.3 2020 -1,063.8 -420.9 2,016.7 72. 3 -231.7 27.6 -123.0 -304.4 -27.2

<표 3-49> 시나리오 2:

태안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187.3 307.0 1,030.9 133.3 -108.1 10.2 24.0 -131.9 1,078.0 2010 -712.6 -4.2 1,020.9 98.8 -156.0 14.2 -43.2 -248.5 -30.6 2012 -917.0 -156.4 1,140.1 84.4 -179.0 17.3 -72.0 -288.2 -370.7 2014 -921.2 -210.6 1,333.5 80.3 -185.2 21.4 -77.9 -284.1 -243.7 2016 -882.7 -255.4 1,545.3 78.1 -189.4 26.2 -82.0 -275.8 -35.6 2018 -824.6 -297.5 1,776.4 78.0 -194.5 31.6 -86.1 -265.8 217.6 2020 -758.5 -341.3 2,028.8 80.1 -201.7 38.0 -90.1 -255.6 499.6

<표 3-50> 시나리오 3:

태안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131.0 334.4 1,032.8 133.1 -103.9 10.2 28.7 -123.7 1,180.6 2010 -477.2 61.5 1,033.3 106.0 -132.4 21.6 -16.6 -204.9 391.4 2012 -608.0 -74.4 1,155.8 94.1 -147.4 27.5 -37.5 -231.9 178.2 2014 -603.3 -126.4 1,348.7 89.7 -152.6 31.7 -43.2 -228.0 316.7 2016 -566.1 -171.8 1,559.7 87.0 -157.0 36.5 -47.9 -221.2 519.3 2018 -513.7 -215.9 1,789.9 86.3 -162.8 42.0 -52.7 -213.4 759.7 2020 -454.2 -262.4 2,041.4 87.6 -170.8 48.3 -57.6 -205.6 1,026.7

<표 3-51> 시나리오 4:

태안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76.0 361.6 1,034.5 132.8 -98.2 10.2 33.1 -114.2 1,283.6 2010 -242.7 126.5 1,045.7 113.1 -107.5 29.1 9.6 -160.1 813.8 2012 -299.9 6.7 1,171.7 103.6 -114.5 37.5 -3.4 -174.4 727.5 2014 -286.2 -43.1 1,364.2 98.9 -118.8 41.9 -9.0 -170.6 877.4 2016 -250.5 -89.1 1,574.5 95.7 -123.5 46.8 -14.2 -165.3 1,074.5 2018 -203.8 -135.3 1,803.9 94.3 -130.0 52.4 -19.8 -159.6 1,302.1 2020 -151.0 -184.5 2,054.6 94.9 -138.9 58.7 -25.7 -154.2 1,553.9

<표 3-52> 시나리오 5:

태안 기업도시 투자가 지역별 GRDP에 미치는 효과

(단위: 10억 원)

구분 서울 경기 충남 충북 호남 강원 경북 경남 합계

2008 -22.8 388.6 1,035.8 132.3 -90.8 10.2 37.1 -103.4 1,387.0 2010 -9.3 190.8 1,058.1 120.0 -80.9 36.4 35.4 -113.8 1,236.7 2012 7.3 86.8 1,187.8 112.9 -80.1 47.6 30.3 -115.5 1,277.1 2014 29.8 39.2 1,380.0 107.9 -83.6 52.1 24.8 -111.8 1,438.4 2016 64.1 -7.5 1,589.7 104.1 -88.6 57.1 19.1 -108.0 1,630.0 2018 104.9 -55.7 1,818.4 102.1 -95.9 62.7 12.6 -104.4 1,844.7 2020 150.9 -107.6 2,068.5 101.9 -105.8 69.1 5.7 -101.4 2,081.3

문서에서 기업도시 개발의 경제적 효과 (페이지 113-1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