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Economy Research Division

문서에서 2009 국토연구원 연차보고서 (페이지 183-191)

04

184KRIHS

주택토지·건설경제연구본부는 정부의 정책방향을 선 도하고, 정책수요에 적시 대응하며, 국가적 연구사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국가경제의 발전을 위해 주택, 토지 및 건설경제와 관련된 시장분석, 정책개발 및 법·제도개 선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첫째, 부동산 시장분석 및 전망, 부 동산 정책개발 및 정책효과 분석 등 부동산 시장연구, 둘째, 주택종합계획 수립, 주거실태조사, 주거복지평가 등 주거복지정책연구, 셋째, 토지정책의 평가 및 개발, 토지이용 및 개발제도, 토지수급 및 관리 등 토지정책 연구, 넷째, SOC·건설경기 동향, SOC 투자 및 정책 평가, 건설산업 및 제도 등 건설경제 연구다. 이를 위해 네 개의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부동산시장연구센터

Center for Real Estate Market Analysis

부동산시장 동향분석 시장분석을 위한 모형개발 부동산 금융 및 세제

부동산정책 개발 및 정책효과 분석

주거복지전략센터

Center for Housing Welfare Policy

중장기적 주택종합계획 수립 국민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개발 주거실태조사 및 주거복지 평가 주택의 수급 및 재고관리 체계 구축

토지전략센터

Center for Land Policy

토지정책의 평가 및 개발 토지개발 및 부동산산업 정책 연구 토지이용 및 계획제도

토지 수급 및 재고 관리

건설경제전략센터

Center for Construction Economy

SOC 투자 및 정책 평가 건설산업 및 제도 SOC·건설 경기 동향 해외건설시장 및 정책 분석 건설산업정보화 관련 연구

185KRIHS 04주택토지·건설경제연구본부부서소개

경제학 박사,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현재 주거복지전략센터장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

정치학 박사,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현재 토지전략센터장이며, 대통령비서실 경제구조조정

04

도시계획학(정책분석) 박사, University of Washington 규제개혁위원회 전문위원, 민주당 소득격차완화 특별

187KRIHS 04주택토지·건설경제연구본부부서소개

04

현재 Newcastle University upon Tyne, Schoo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landscape, Ph.D 과정 중.

189KRIHS 04주택토지·건설경제연구본부부서소개

구(I)」(2008), 「부동산시장 BSI 조사 및 분석체계 구 축 연구」(2007), 「부동산시장의 환경변화에 대응한 정 책방향 연구: 인구와 가계자산 변동을 중심으로」

(2007), 「주거양극화의 현황 및 과제」(2006), 「국민경 제의 안정을 위한 주택산업 발전방향 연구」(2005),

「공공임대주택 배분체계 및 관리제도 개선방안 연구」

(2004), 「주택자금대출시장의 개선방안 연구」(2003) 등이 있다.

전성성제제 연연구구원원

지리학 석사, 서울대학교

주요 연구분야는 주택정책과 부동산시장이며, 주요 연 구실적으로는「주택정책평가모형 개발과 정책효과분 석 연구」(2008), 「주택수급여건 변화에 대응한 주택공 급체계 개편방안: 주택보급률 110% 초과, 고령화 및 저 출산에 대한 대응」(2007), 「주택분양가제도 개선방안 연구」(2007), 「주택종합계획(’03~’12) 수정보완을 위 한 연구」(2007), 「도시주거공간의 사회통합 실현방안 연구」(2006) 등이 있다.

이현현지지 연연구구원원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사, 서울대학교

「공공토지 비축을 위한 계획 수립 연구」(2010), 「저소 득층 주거안정과 내 집 마련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2010), 「주거안전망 구축 방안 연구: 장기공공임대입 주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2010) 등의 연구 에 참여하고 있다.

국토인프라·GIS연구본부

05 c h a p t e r

문서에서 2009 국토연구원 연차보고서 (페이지 183-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