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lean blood from site using antiseptic agent (chlorhexidine), apply sterile dressing

Verify placement by x-ray (tip in SVC/RA

자료원 : Central Line Insertion Care Team Checklist. November 2014.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Rockville, MD.

http://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patient-safety-resources/resource s/cli-checklist/index.html. Accessed 30, 12, 2014.

2) 기초 연구 수행

○ 배경 및 현황

- 환자안전은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도 개념이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그 근거가 매우 미약하며, 특히 우리나라는 공식적으로 파악된 현황조차 없어 전체적인 환자안전관리계획을 세우기가 어려움.

- 환자안전 개선을 위해서는 위해 측정, 원인 이해, 해결안 개발, 효과 평가 등 여러 유형의 연구가 필요하며, 모든 환자안전 활동은 이러한 연구 결 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음.

- Pronovost 등(2009)

59)

는 환자안전 연구와 향상을 위한 분석 틀을, ① 환자 안전에서 과정을 평가하는 연구, ② 근거를 실행방안으로 전환하는 연구,

③ 문화를 평가하고 향상시키는 연구, ④ 위험을 확인하고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 ⑤ 조직의 특성과 진료 결과 간의 관련성을 평가하는 연구 등 5개 도메인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로 과학적인 연구 수행을 위한 접 근법을 제시하였음.

∙ 또한, 향후 환자안전 개선 노력을 위해 진행해야 할 연구 방향 9가지를 제안하였음.

① 환자안전 과정을 평가하기 위한 타당한 측정방법 개발

② 근거를 실행방안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신뢰성 있는 방법 개발

③ 문화, 행동, 환자 결과 간의 관련성 조사

④ 팀워크와 리더쉽 행동 평가

⑤ 팀워크와 기술적 업무를 평가하고, 근거를 실행방안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담당자를 훈련시키며, 위해 확인 및 해결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시 뮬레이션 이용

⑥ 산업의 변화를 이행하고 조사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노력 연계 방안

59) Pronovost PJ, Goeschel CA, Marsteller JA, Sexton JB, Pham JC, Berenholtz SM. Framework for patient safety research and improvement. Circulation 2009;119:330-337.

⑦ 조, 부서, 병원, 보건시스템 수준에서 환자안전 자원을 효과적, 효율적 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 탐색

⑧ 보건의료에서 진단 오류를 측정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과학적 방법 개발

⑨ 현장에서(예; 심장수술) 환자안전과 의료의 질에 대해 좀 더 포괄적인 시각을 제공하기 위한 환자안전 측정방법 개발

- WHO도 환자안전 분야의 연구 우선순위를 개발국, 과도국, 선진국으로 구분하여 제시함.

60)

- 우리나라의 경우 환자안전 문제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정책 의제 화가 필요하므로 환자안전 문제의 정도와 특성에 관한 주제가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되나,

61)

WHO의 연구 우선순위에 따르면 과도국의 연구과제 중 8번째 순위로 제시되었음.

○ 사업목적

- 환자안전 관련 연구를 수행을 통해 환자안전 활동의 근거 자료 마련

○ 추진전략

- 환자안전 연구 수행의 우선선위 선정 및 연구 수행을 통해 환자안전에 대한 정보 제공 및 연구 결과의 공개․확산

○ 실행방안

- 환자안전 관련 연구수요 조사

- 환자안전 관련 연구수행 우선순위 설정 - 환자안전 관련 연구과제 계획 수립 - 환자안전 연구과제 수행 및 결과 공유

60) Bates DW, Larizgoitia I, Prasopa-Plaizier N, Ja AK, Global priorities for patient safety research, BMJ 2009;338:b1775.

61) 의료기관평가인증원․서울대학교병원. 의료기관의 환자안전활동 지원을 위한 방안. 2011.

○ 기대효과

- 의료기관의 환자안전 활동의 근거 마련

- 근거 기반 환자안전 활동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수용성 제고 - 환자안전 관련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

순위 과도국(transitional country) 선진국(developed country) 1 효과적이고 부담가능한 해결방안의

발견, 확인, 검증

의사소통과 연계 부족(조직 연계와 단 절 포함)

2 위험 감소 전략의 비용 효과성 잠재적인 조직 실패

3 적절한 지식의 부족과 지식의 이전 안전문화 부족과 비난 위주의 과정 4 부적절한 역량, 훈련과 기술 위험 감소 전략의 비용 효과성 5 의사소통과 연계 부족(조직 연계와

단절 포함) 더 나은 안전 지표 개발

6 안전문화 부족과 비난 위주의 과정 설계와 운영에 포함된 인간요소 고려 가 부족한 절차

7 보건의료 관련 감염 보건정보기술/정보시스템(OCS 포함) 8 환자안전 문제의 정도와 특성 연구주제 형성에서 환자의 역할 9 잠재적인 조직 실패 설계와 운영에 포함된 인간요소 고려

가 부족한 도구

10 더 나은 안전 지표 개발 위해 약물 사건/약물 오류

자료원 : Bates DW, Larizgoitia I, Prasopa-Plaizier N, Ja AK, Global priorities for patient safety research, BMJ 2009;338:b1775.

<표 30> WHO의 환자안전 분야의 연구 주제 우선순위

3. 국민의 환자안전 역할과 참여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