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CIS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Ⅲ. 진출전략

3. 한-CIS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2020년 진출전략

분야 경제협력을 통한 진출전략

산업기술 협력

◦ 일본 수출 규제 영향 산업의 대체 공급선을 CIS로 전환 검토

◦ 한국의 상용화 기술력과 CIS의 풍부한 자원 및 기초과학기술의 협력으로 한-유라시아 GVC 실현, 경제협력의 장기 지속 도모

한-러 서비스・투자

FTA

◦ 서비스・투자 협정 체결을 통한 제도적 기반 구축, 경협 강화 * 서비스 분야 정부 규제 완화, 특혜를 통해 서비스 산업 진출 활성화

한-러・한-몽 수교 30주년

◦ 경제・문화・사회 융복합 사업을 정부부처-유관기관 협력으로 개 최, 각 분야 교류를 통해 경제・외교 협력 지속 및 확대

* 한류 박람회, Korea Festival 등 K-Beauty, K-Food, 문화, 관광, CSR 등 융복합, 지역 통합 사업 개최

KSP・CSR

◦ 한국중소기업의 수출 증진에 초점을 둔 KSP 사업 발굴, 진출기반 마련

◦ 한국기업의 국제사회 공헌에 대한 요구 확대 및 CIS 환경에 부합 하는 CSR 사업 발굴 확대

경제협력 패러다임 전환

➣ 경제・문화・사회 융복합 사업 추진으로 협력 강화, 확대

➣ 완제품 교역, 산업간 협력에서 산업기술, 산업 내 협력,

현지화 확대로의 패러다임 전환

3-1. 일본 수출 규제 영향 산업의 대체 공급선을 CIS로 전환 검토

경제발전전략 이슈 및 전략적 가치

◦ 일본 수출 규제 영향 산업의 소재・부품・장비 수급을 지원하고 장기적으로 우리기업의 자체 조달능력 확보를 도와 국가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

◦ 한국의 상용화 기술력과 CIS의 풍부한 자원 및 기초과학기술의 협력으로 한-유라시아 GVC 실현, 경제협력의 장기 지속 도모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2019년 8월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해 우리 핵심산업의 소재 공급이 어려워짐에 따라 러시아 측 에서는 소재 부품 장비 분야에 협조를 제안한 바 있음

- 2019.9월 러시아 극동 포럼에서 우리정부는 러시아에 소재・부품・장비 산업을 육성하는 공동 투자펀드 조성을 제안하며 양국 간 경제협력 강화에 대한 의지를 표현

- 러시아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초원천기술을 사업화해 해외 판로를 확보하고 한국은 수입처를 다변화할 수 있는 점이 해당 공동펀드 조성의 이점임

협력 의제 및 진출전략

⚬ (대체 수입처 발굴) 수입선 다변화를 위한 해외 공급업체 발굴 지원

- 정부 지원 ‘소재부품 수급 대응 지원 센터’ 및 업종별 협단체와 협업을 통해 우리기업의 해외 대체수입처 발굴 지원 중

* 협단체는 대체수입처 발굴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기업 애로사항 파악 지원

⚬ (시스템 구축) 대체수입처 발굴을 위한 원스톱 서비스 체계 구축 - 국내기업 신청 접수 후 빅봇 활용 대체수입처 발굴 대상 무역관 선정

* 대체수입처 발굴 신청기업 3개사 지원 중(8.26 기준)

대체수입처 발굴 프로세스

* 대체수입처 발굴 시 소재국 TPO 또는 협단체, 필요 시 현지 전문 컨설팅 업체 활용

3-2. 서비스・투자 협정 체결을 통한 제도적 기반 구축

경제발전전략 이슈 및 전략적 가치

◦ 러시아 경제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제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 2018년 기준 제조업은 13.1%, 서비스업은 59% 수준

◦ 한-러 서비스・투자 FTA 협상 체결 시 러시아 서비스 시장 개방이 예상되며, 이에 물류・운송, 의료, 여행, 엔터테인 먼트 등 우리 기업의 대(對)러시아 서비스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

FTA 체결 등 통상・제도적 기반 마련

⚬ (정책 수요) 최근 양국 정상회담에서 한-EAEU*간 FTA 지속 추진에 대한 합의와 실질협력 증진을 위한 의제 지속 논의

- 2018년 6월 개최된 양국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와 러시아 경제개발부는 ‘한 -EAEU’ 간 FTA에서 우선적으로 ‘한-러 서비스・투자’ FTA 협상 개시를 위한 국내 절차에 착수하는 것으로 합의

* 러시아와 서비스・투자 부문 자유무역협정 1차 협상을 지난 6월에 추진했으며, 제2차 협상을 통해 서비스, 투자, 총칙 분과 등 협정문 전체 구조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고,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

⚬ (기업 수요) 양국 기업대상 우선협력 분야 설문조사 결과, 교역확대가 최우선 순위로 선정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한국(116개사) 교역확대 38% 산업협력 36% 스타트업협력 10%

러시아(121개사) 교역확대 48% 산업협력 17% `스타트업협력 14%

자료 : 2018년 KOTRA 설문조사

협력 의제 및 진출전략

⚬ (협력 방안) 단기적으로 서비스・투자 분야를 중심으로 한 협정 체결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단계적으로 상품 분야 포함 포괄적 FTA 현실화

* 러시아 GDP 중 서비스 비중 : ‘90년대 32.1% → ’17년 60.4%

- 자국 제조업 육성 정책을 적극 추진 중인 러시아로서는 상품 시장 개방은 부담스러운 상황으로 러시아 측의 수용 가능 분야 중심의 단계적・분야별 FTA 추진

- 의료, 관광, 문화 콘텐츠, 프랜차이즈 등의 분야는 양국 간 수요가 높은 분야로 우선적인 협의 대상

* 특히, 의료 및 관광 분야는 러시아 극동지역의 낙후된 의료시스템 및 관광개발 수요와 관련하여 러시아의 협력 수요 높음

진출전략

3-3. 한-러・한-몽 수교 30주년 기념 각 분야 협력 확대

경제발전전략 이슈 및 전략적 가치

◦ 러시아는 CIS의 중심국으로 한국의 차기 전략시장으로 양국 교역 및 교류 발전의 잠재력이 매우 높은 지역이며, 서방과의 협력 둔화로 아시아국과의 협력 분야를 확대하고자 하는 시점으로 기회 선점 필요

◦ 몽골 또한 중국과 CIS 지역의 경계로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한류 확산 분위기를 활용, 다양한 문화・관광 교류 등 인적 교류를 증대하여 양국 간 협력의 저변 확대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2020년에 한-러시아, 한-몽골 수교 30주년 도래로 경제・문화・사회 융복합 사업 개최, 각 분야 교류를 통해 협력 지속 및 확대 노력 필요

⚬ K-POP을 중심으로 한류 문화에 대한 호감 현상 지속 및 방한 관광객 증가 등 인적교류 활성화 - K-pop, 한국드라마 등 문화콘텐츠의 영향력 확산으로 CIS의 한국관광 관심도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우즈베키스탄의 경우 공영방송에서 한국 드라마가 현지어로 방영되는 등 한류가 대중 화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

- 몽골은 한류가 이미 대중화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최근 들어서는 몽골의 방한 의료관광객 증가 등 인적 교류 확대 추세

⚬ CIS 내 한류 확산 지속은 인적 교류 확대와 한국 소비재 진출을 위한 토대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 - 러시아의 경우 2014년 사증면제를 계기로 한국방문 관광객 증가 추세이며, 방한 러시아 관광객

수는 2018년 최초로 30만 명을 넘어섰고, 이는 2014년 대비 약 41% 증가한 수치

- 몽골 내 한류는 성숙화 단계를 넘어 대중화 단계로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는데, 특히, 방한 몽골인 수가 연간 10만 명을 넘어섰고, 유학, 산업연수, 관광 등 분야도 확산되어 한국 제품의 시장진출에 긍정적인 역할

연도별 한국 방문 관광객 수

(단위 : 명 ) 구분(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9월

러시아 175,360 214,366 188,106 233,973 270,427 302,542 256,400 몽골 63,740 60,821 77,918 79,165 103,916 113,864 81,817 자료 : 한국관광공사

협력 의제 발굴 및 진출전략

⚬ (추진 방향) 수교 30주년 등을 계기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를 확대함으로써 양국 간 발전적 관계 정립

- 특히, 열악한 몽골의 의료환경으로 인해 최근 급증세를 보이는 몽골인의 의료 관광 및 비즈니스 관광 등 고부가가치 수요 발굴

- CSR, 봉사활동 등 기업・대학・청년・학술단체 등 다양한 분야의 인적 교류를 기반으로 상호이해 증진 및 인식 제고

⚬ 문화・관광・인적 교류 확대

- 한류 확산 분위기를 활용, 다양한 문화・관광교류 등 인적 교류를 증대하여 양국 간 협력의 저변 확산

⚬ 2020년 한-러 수교 30주년 등을 계기로 문화 교류를 확대하고 북방지역 특성에 맞는 한류 콘텐츠 진출전략을 수립

- 양국 간 관광 교류 촉진을 위한 ‘상호 방문・교류의 해’,‘관광주간(Korea Week)’ 등의 관광 저변 확대를 위한 행사 지속

* 러시아 : ‘코리아 페스타(Korea Festa)’ 및 국내 문화행사 등과 연계한 관광객 유입요인 발굴

* 2020년 ODA 사업으로 추진 예정인 ‘몽골 관광교육센터’ 설립 및 관광 전문인력 양성 사업의 효과적 추진을 통해 몽골의 관광역량 강화 지원

- 러시아 등 CIS 지역 내 한류 현지 한류 선호 트렌드 지속에 따라 문화교류 확대를 통한 코리아 프리미엄 창출 기회 활용

- 산업・문화 융합형 한류 박람회 추진 및 북방지역 맞춤형 콘텐츠 진출 전략(비즈니스센터 운영) 마련을 통한 한류 콘텐츠 홍보 및 수출 저변 확대

- 대학・청년・학술단체 등 다양한 분야의 인적교류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 증진 및 인식제고

2019 Korea Festival(2019.10.19~20)

⚬ 한류 기반 소비재 마케팅 행사, 현지 공관 협업 사업으로 추진

⚬ 국내 내수기업, 글로벌 유통망, 진출기업, 지사화, 사회적 기업 등의 종합 소비재 판촉 전시행사 개최

⚬ 행사개최 2일간 약 25,000명 방문, 한식체험 행사, 1:1 수출상담(온/오프라인), 사회공헌 활동 등 추진

진출전략

3-4.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 증진에 초점을 둔 CSR・KSP 사업 확대

경제발전전략 이슈 및 전략적 가치

◦ 현재 우리기업의 CSR 활동이 분야, 지역별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마케팅 및 홍보 차원에서 시행되고 있는 사업이 대부분으로 CIS 지역의 발전 단계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이익추구형 단순 CSR은 지속가능하지 않음

◦ 지역사회의 니즈를 반영하고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연계할 수 있는 CSR 사업을 개발하는 등 전략적 접근 필요

◦ 일회성 사회공헌활동은 지역사회에 부정적인 인식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실천과 사후관리가 중요

해당국의 경제발전전략 및 주요 이슈

⚬ (CSR) 한국기업은 1990년대 러시아 진출 이래 다양한 CSR 활동을 통해 사회적 기여활동과 기업 이미지 고양 노력 지속

- 주로 현지에서 소비재 판매를 하는 대기업 위주의 활동 전개

한국 주요 기업들의 러시아 내 CSR 활동

기업명 CSR 활동

LG전자

- 러시아 정부의 공식 헌혈파트너 기업으로 헌혈 캠페인 참여 - 소아암 전문병원 설립에 재정지원 및 후원행사 개최

- 러시아 공장 내 자사 출퇴근 버스를 낮 동안 병원과 지역사회 셔틀버스로 제공

삼성전자

- 모스크바에 위치한 유명 극장인 볼쇼이 극장의 현대화에 재정지원 - 세계 3대 박물관 중 하나인 에르미타주 박물관 내 디스플레이 시설 지원 - 러시아 내 문학 활동 활성화를 위한 톨스토이 문학상 제정

현대자동차 - 교통사고 유자녀 어린이 소원 들어주기 이벤트로 교통사고로 어려움을 겪는 아동지원 -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 노약자, 한부모 가족들 대상 러시아 내 주요 유적지 견학

현대자동차 - 교통사고 유자녀 어린이 소원 들어주기 이벤트로 교통사고로 어려움을 겪는 아동지원 -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 노약자, 한부모 가족들 대상 러시아 내 주요 유적지 견학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