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비즈니스 환경 분석

CIS 국가별 실질 GDP 변동 추이 및 지역 내 비중

(단위 : 10억 달러/ 비중)

연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e) 2020년(f)

국가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금액 비중

러시아 1,280.52 74.87% 1,579.29 77.24% 1,657.29 76.81% 1,637.89 75.47% 1,657.54 74.41%

카자흐스탄 137.29 8.03% 162.89 7.97% 172.94 8.02% 170.33 7.85% 182.62 8.20%

우크라이나 93.31 5.46% 112.13 5.48% 130.86 6.07% 150.40 6.93% 161.87 7.27%

우즈베키스탄 81.32 4.75% 58.15 2.84% 50.49 2.34% 60.49 2.79% 70.16 3.15%

벨라루스 47.70 2.79% 54.72 2.68% 59.64 2.76% 62.57 2.88% 63.58 2.85%

아제르바이잔 37.83 2.21% 41.38 2.02% 46.94 2.18% 47.17 2.17% 48.04 2.16%

아르메니아 10.55 0.62% 11.53 0.56% 12.43 0.58% 13.44 0.62% 14.13 0.63%

몰도바 8.07 0.47% 9.67 0.47% 11.31 0.52% 11.69 0.54% 12.28 0.55%

키르기스스탄 6.81 0.40% 7.70 0.38% 8.09 0.38% 8.26 0.38% 8.72 0.39%

타지키스탄 6.95 0.41% 7.14 0.35% 7.52 0.35% 8.15 0.38% 8.63 0.39%

CIS 전체 1,710.36 100% 2,044.59 100% 2,157.51 100% 2,170.40 100% 2,227.57 100%

자료 : World Bank

- 러시아 이주노동자 송금수입이 총 GDP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국가들도 있으며 2019년 6월 1일 기준 러시아 내 이주노동자 수는 4.4백만 명 수준으로 그중 97% 이상이 CIS 국가 출신임

2018년 CIS 주요국 GDP 중 이주노동자의 자국 송금액 비중

(단위 : 억 달러/ 비중)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몰도바

144 (11.4%) 39 (9%) 27 (33.6%) 23 (31%) 18 (16.1%) 자료 : World Bank

-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갈등이 지속되고, 러시아발 도미노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CIS 국가들은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 노력해 왔으며, 실제 경기침체 이전인 2014년/2018년 통계 비교 시 통상 의존도는 상당히 감소한 상황

- 주요국 중 대(對) 러시아 수출입 의존도가 50%가 넘는 국가는 벨라루스뿐

CIS 주요국의 대(對) 러시아 통상 의존도(2014/2018년)

구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2014 2018 2014 2018 2014 2018 2014 2018

수출비중(%) 42.2 9.06 20.3 14.98 14.7 60.09 6.04 3.42

수입비중(%) 54.6 40.88 24.9 9.53 22.8 65.20 6.97 16.44

자료 : ITC Trademap

⚬ 자원 의존 경제

- 세계 지하자원의 25%가 매장되어 있는 세계 최대의 자원 보유 지역

* CIS 부존자원 세계 비중 : 가스 35%, 석유 24%, 석탄 22% 등 - 높은 자원 의존 경제로 국제 에너지 시세 변화에 민감

CIS 주요국 부존자원 현황 및 경제 영향

국가 부존자원 현황 및 경제 영향

러시아

천연가스 매장량 세계 1위, 석유(8위), 석탄(2위), 철광석(3위) 등 수출의 70%, GDP의 24%가 에너지 자원

유가 하락→소득감소→생산소비 감소의 악순환

<천연가스 가격과 러시아 GDP> <국제유가와 루블화 환율>

카자흐스탄 석유(9위), 가스(19위), 우라늄(2위), 크롬 등 주요광물자원(10위권) 석유가스 산업 및 광산업이 총 산업 생산의 50% 이상

아제르바이잔 세계 3대 에너지 자원 카스피해 소재, 원유(0.4%), 가스(0.6%) 원유 판매액이 수출의 90%, 정부재정의 60% 이상을 차지 우즈베키스탄 금(5위), 우라늄(10위), 천연가스, 석유 다량 보유

우크라이나 석탄, 철광석, 망간, 티타늄 등 전 세계 5% 비중으로 보유 자료 : 각국 통계청

⚬ 정부 주도 경제

-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벨라루스의 경우 최근까지 1인의 장기 집권으로 인해 적극 적으로 시장 개입

- 가스, 석유 등 주요 산업 분야는 공기업이 차지(러시아의 가스프롬, 로스네프티 등) - 우즈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등은 철저히 정부가 경제를 계획 통제

- 그러나 최근 경제 효율성 제고를 위해 국영기업 민영화 추진 중으로, 적자재정 보전을 위한 방안으로도 고려

⚬ 높은 진입장벽 → 비즈니스 환경 개선

- 지나친 행정규제, 부패 관행 등 불확실한 투자 환경과 높은 세율, 낮은 공공의료수준, 인프라 부족 등이 진출 리스크로 평가되었으나, CIS 주요국은 외국인 투자유치 확대를 위한 혜택 제공, 비즈니스 환경 개선 노력으로 빠른 속도로 그 성과를 보여주고 있음

CIS 주요국*의 Doing Business 순위 변화(2011년→2019년)

연도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몽골

2019 28 25 69 64 49 34 81

2011 123 59 150 145 68 54 73

* 주 : CIS 주요국에 몽골 포함

자료원 : World Bank (2019년 10월 보고서)

- 수입품에 자체 인증 요구, 높은 언어장벽, 유라시아 내륙까지의 물류비용 또한 주요 진입장벽 으로 인식됐으나, EAEU 통합 관세법 적용 및 디지털 물류추적 시스템 도입으로 대폭 개선됐 으며, 물류 프로세스 또한 간소화로 납기 단축

- 최근 러시아를 비롯한 주요 CIS 국가들은 제도 개선을 통한 투자진출 환경 개선, 특별경제구역 활성화, 세제 및 인센티브제도 확대로 외국기업 투자유치에 노력 중이며, 투자 진출여건 개선이 기대되고 있음

CIS 주요국 외국기업 투자 환경 개선 노력

국가 내용

러시아

◦ 특별투자협약 : 러시아 정부와 러시아 투자를 위한 ‘특별투자협약’ 체결 시, 세제 혜택 등 인 센티브 제공(2015년 7월부터 시행)

◦ 17개 특별경제구역, 12개 극동 선도개발구역, 블라디보스토크 자유항 지정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2020 전략 추진

- 2020년 EU 가입을 최종 목표로 법 집행 시스템 개혁, 반부패 개혁 및 정화, 조세 개혁 등 62가지 개혁 프로그램 확정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2050 전략 추진

- 2050년까지 세계 30대 선진국 진입을 목표로 새로운 경제발전 모델과 전략 제시

우즈베키스탄 ◦ 중장기 선진 개혁 및 경제 다변화 정책(2015∼2019) 추진

- 각종 규제 등 장벽 제거, 현대적 기업 거버넌스 도입, 경제구조 개혁 등

비즈니스 환경 분석

전략적 가치

거대 수입시장 ・ 인구 2.4억 명의 소비시장

・ 우리와 상호보완적 산업구조로 협력 잠재력 다대

유라시아 경제 핵심파트너 ・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유라시아 경제의 중심

・ 러시아 극동개발과 우리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연계 가능성

자원의 보고 ・ 세계최대 자원 보유 지역, 우리 유력 자원공급처로 활용 가능

・ 자원 개발 협력 수요 막대

풍부한 인재 ・ 풍부한 노동력 보유, 저임금 생산기지로 활용 가능

・ 기초과학, IT, 우주항공 등 최첨단 기술 협력 가능성 무궁

⚬ 수출 확대 가능성이 큰 거대 수입시장

- CIS 전체 인구 2억 4천만 명, 높은 공산품 수입의존도를 가진 지역으로 우리나라의 차기 전략 시장

- 유라시아경제연합 출범으로 GDP 2.5조 달러 단일시장 탄생

- 우리나라와 10대 교역품 중 중복품목이 전무 할 만큼 상호보완적 산업구조로 협력 잠재력이 큰 시장

* 한국 → CIS 주요수출품 : 승용차, 자동차 부품, 합성수지, 건설중장비, 컬러TV, 화물자동차 등

* CIS → 한국 주요수출품 : 원유, 나프타, 유연탄, 천연가스, 중유,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사료 등 - 주력수출품의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기타 상품 수출 확대 가능

* (현대・기아) 러시아 외국산 자동차 브랜드 판매 순위 1위, (삼성) 러시아인 선호 브랜드 선정

- 카자흐스탄 등에 K-pop, 한국 드라마 등의 인기 상승 중, 중앙아 수출 확대를 위한 한류 활용 가능성 증대

⚬ 세계 최대 자원 보유 지역으로 활용성 다대

- 원유, 천연가스, 석탄, 철광석 등 우리에게 필요한 자원의 유력 공급처 - 극동러의 목재・수산물, 우즈베키스탄의 면화 등 막대한 원자재 개발 가능성

* 극동 오호츠크해의 해양생물 자원량 : 북태평양 전체의 46%

* 우즈베키스탄 면화 산업 : 세계 6대 생산국, 5대 수출국, GDP의 10% 이상 차지 - 원유, 석탄, 철광석 등 지하자원 개발 및 채굴을 위한 협력 수요 막대

⚬ 풍부한 노동력 및 고급 기술 인력 보유

- 일자리 대비 구직자 넘쳐나는 거대 노동시장, 저임금 생산기지로 활용 가능

* 구인처 대비 구직자 비율 : 아르메니아(33:1) > 키르기스스탄(13:1) > 우크라이나(9:1) > 타지키스탄 (7:1) > 카자흐스탄(4:1) 등

- 유라시아경제연합 출범으로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과 같은 저임금 회원국 활용 가능성 다대

- CIS 내 매년 2만 5천 명가량 박사 인력 배출, 저임금, 노후 연구시설, 낮은 사회적 지위 등을 이유로 고급 전문가의 해외 유출 매년 증가

- 기초과학, IT, 우주항공 등 최첨단 분야 인력 활용 및 기술 협력 가능성 풍부

⚬ 유라시아 경제 핵심 파트너

- 다양한 해양 루트 및 시베리아 철도 등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물류 허브 잠재력 보유, 북극항로 이용 활성화 시 러시아의 물류 활용 가치 높아질 것

* 북극항로 : 유럽-극동 간 거리 1/2 효과, 쇄빙선 비용 감안 해도 운송비 25% 절감 가능 - 남북관계 개선 시 한반도 종단철도와 시베리아 횡단철도 연결 가능

- 러시아의 극동 인프라 개발 및 가스관 연결, 북극 항로 정보 인프라 개발 등 신동방정책 추진, 우리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한 핵심 파트너

가. 성숙시장 권역

1) 러시아 : CIS 경제 주도국, 자원의존형 경제에서 탈피하여 산업 다각화 추진

- 서방 제재 영향으로 악화된 경기는 2017년부터 회복세, 중국 등 역외권 국가로부터의 FDI 유입으로 인해 긍정적 영향

- 수입대체산업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한 2022년까지 100% 자국산화 정책

인구 144,478,050명 경제성장률 2.25%(2018)

GDP(명목) 1조 6,575억 달러 1인당GDP 11,289달러

주요수출품 석유 및 역청유, 석유가스, 석탄 등

주요수입품 전화기, 차량용 부품, 의약품 등

2) 카자흐스탄 : 중앙아 경제 중심, 풍부한 자원 기반, 산업 다변화 정책 추진

- 자원의존형 경제서 탈피 노력 및 농업, 제조업, 신기술 산업 중점 육성 - 최저임금 상승, 복지 지출을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

인구 18,276,499명 경제성장률 4.10%(2018)

GDP(명목) 1,705억 달러 1인당GDP 9,331 달러

주요수출품 석유 및 역청유, 석유가스, 정제 구리 및 구리합금 등

주요수입품 전화기, 의약품, 석유 및 역청유 등

성숙시장 권역 특성

󰋼 풍부한 자원, 막대한 인구 등을 바탕으로 1인당 GDP 1만불 내외 근접 수준의 성숙한 시장, 경제성장률은 하향 안정 󰋼 러시아는 대부분의 글로벌 기업이 진출해 있으며, 카자흐스탄도 중앙아시아 중심국가로서 다수의 글로벌 기업이 진출

활동 중으로 경쟁이 치열함

(’7년 순자본유입 : 러시아 285억 달러, 카자흐스탄 47억 달러) 󰋼 WTO 가입국으로 비즈니스 환경이 개선되고 있음

󰋼 양국 모두 유라시아경제연합 서명국으로 CIS 경제 통합의 중심 진출 전략

단 기 중장기

󰋼 수출상품 다변화

󰋼 미개척 지방 시장 진출 강화 󰋼 마케팅 고도화

󰋼 조달시장의 적극 공략 󰋼 제조업육성 정책 적극 대응

󰋼 투자진출 분야 다각화 󰋼 러 극동개발 정책에 적극 대응 󰋼 북극 항로 사업 적극 참여 지원

비즈니스 환경 분석

나. 개방시장 권역

3) 우크라이나 : 러시아와 결별 선언, EU 가입 추진, 탈CIS 노력

- 러시아와의 경제적 결별 선언 이후 독자적 및 친유럽 경제・정치로 완전 선회 - EU 가입을 위한 정책 기조 유지, 경제는 점진적 회복 국면에 진입

인구 44,622,516명 경제성장률 3.34%(2018)

GDP(명목) 1,308억 달러 1인당GDP 3,095달러

주요수출품 해바라기씨, 옥수수, 밀 등

주요수입품 석유 및 역청유, 석유가스, 석탄 등

4) 벨라루스 : 높은 러시아 경제의존도, 자원 부족으로 자국 산업 육성 시급

- 러시아 경제의존도가 높은 관계로 2015년 경기 침체기를 극복, 2017년부터 회복세 - 자국산 제품 수출 확대를 위한 노력 지속

인구 9,485,386명 경제성장률 3.05%(2018)

GDP(명목) 596억 달러 1인당GDP 6,290달러

주요수출품 석유 및 역청유, 칼륨비료, 화물자동차 등 주요수입품 석유가스, 석유 및 역청유, 승용차 등

5) 타지키스탄 : CIS 지역 최빈국, EBRD, A DB 주관 인프라 건설 활발

- 석유가스 등 천연자원 보유량이 낮아 주변국 대비 경제성장률 저조

- 건설, 인프라 재개발 등의 수요 다대, 우즈벡 개발에 이어 타지키스탄 투자 확대 기대

인구 9,100,837명 경제성장률 7.3%(2018)

인구 9,100,837명 경제성장률 7.3%(201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