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Ⅲ. 진출전략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2020년 진출전략

분야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수입 대체 산업 (제조업)육성

◦ CIS 각국 수입대체산업 중심으로 진출 확대

◦ 현지 수요와 우리기업 강점 고려 우선협업 분야 선정, 공략 * 자동차・의료제약・조선기자재・산업(가공)설비・자원플랜트 등

GVC 산업 및 기술 협력

◦ 완제품 수출을 넘어서 장기 협력 가능한 소재부품장비 분야 기술 협력 등 진출형태 다변화

◦ 중소기업의 단독 진출 한계를 대중소 동반진출을 통해 극복 * 한-CIS 상호보완성 및 미래지향성 산업 분야 발굴 및 진출 기획

시장변화에 따른 新유망 산업

◦ 서방의 대러 제재, CIS 주요국 자국 산업 육성 결과로 산업 및 시 장개편・트렌드 변화 → 신(新)유망 산업 부상

* 소비재(K Beauty, K Food), 기계 산업, 환경 산업

디지털 경제

◦ CIS 주요국・EAEU의 공식 차기 과제인 디지털 경제 도입 정책 활용

* 5G 상용화, 스마트팜, 스마트전력, 스마트교통 등 혁신 기술

상호보완성 미래지향성 협력 모델

➣ 현지 산업육성 수요와 한국의 우수기술을 기반으로 장기 지속가능한 협력체계 구축

➣ 경기 회복기를 넘어서 차기 전략시장으로 부상하는

CIS시장 선점 타이밍 중요

2-1. 제조업・수입 대체 산업 육성정책에 적극 대응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2015년부터 본격화된 러시아 수입대체산업정책 프로그램은 2022년까지 20개 산업의 100% 자국산화 목표

◦ 러시아 외 주요국도 자국 산업 육성정책을 추진 중이므로 비관세 장벽 극복을 위해 중・장기 계획으로 현지진출 및 생산 현지화 필수

◦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역내 제조 진출을 통한 공공조달 참여자격 취득, 현지 금융지원 수혜, 역내 관세 특혜 등 전략적 가치 기준 시장 공략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자원산업 비중이 높아 공산품 수입의존도가 높은 CIS 지역 경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러시아를 중심으로 자국 산업(제조업) 육성 및 현지화 확대와 주요산업의 수입 대체화를 추진함

⚬ 경제 비중이 가장 큰 러시아의 경우 20개 산업을 선정하여 우선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2022년까지 자국산화 할 예정

⚬ 주요국별 중점 육성 산업을 지정하여 관련 업계 진출 시 다양한 세제 혜택 등을 제도적으로 지원 하고 있어 지역별 및 분야별 세부 정책 검토 중요

기타 CIS 주요국 중점 육성 산업

국가 중점 육성 산업

우즈베키스탄 에너지(석유, 가스, 화학), 농업(농업, 식품, 섬유), 제조업(건축자재, 기계)

아제르바이잔 석유화학, 농식품업(스마트팜, 식품가공 설비), 제약 산업(항암제, 포장설비) ICT(통신 시장 활성화) 카자흐스탄 농업 현대화, 수자원 인프라 개발, 에너지 자원 개발 (카자흐스탄 2050 전략)

벨라루스 도로교통인프라(ITS), ICT(전자정부, 전자통관, 전자의료관리 시스템 등)

몽골 도로・철도, 발전소, 자원가공 설비 및 인프 (중장기 전력에너지 발전 전략(2015∼2035))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러시아의 경우 수입 대체 산업 선정 분야 중 한국의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과 전체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 위주로 공략할 필요가 있음

- 대표적으로는 한-CIS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자동차 산업, 의료제약, 조선기자재, 산업설비, 자원 플랜트/기계설비 등이 있음

◦ 특별투자계약(SIC, Special Investment Contract) - 세금조건 특혜, 세금공제,

⚬ 러시아 특별경제구역(SEZ) 혜택

프스코프(Moglino), 스베르들롭스크(Titanium Valley), 사마라(Togliatti), 모스크바주(Stupino Quadrat), 툴라주(Uzlovaya), 아스트라한(Lotos), 연해주(미정)

모스크바(Technopolis Moscow), 모스크바주(Dubna, Istok), 타타르스탄(Innopolis), 상트페테르부르크(St. Petersburg),

트베리(Zavidovo), 북카프카스(Northern Caucasus Resorts Cluster), 알타이공화국(The Turquoise Katun), 이르쿠츠크(Baikal Gates),

진출전략

- 완제품 수입규제 및 수입품 공공조달 입찰 참가 제한, 자국기업 대상 국산 부품사용 장려 (Localization) 규정 단계별 강화

⚬ 러시아 정부의 기술육성을 위해 첨단기술 개발 및 상용화 정책 확대, 기술분야 해외 협력 기대

* ‘2035 국가기술이니셔티브’로드맵 승인, 9개 분야 1.3억 달러 투자계획 발표(2016.4)

* 기술개발공사*’ 설립, 해외 첨단기술 도입 및 혁신사업 육성 추진

⚬ 한-러 상호보완성 및 미래지향성에 기반한 新북방정책 추진 구체화

- (상호보완성) 러시아 중심 CIS 지역은 풍부한 자원과 인구 등 잠재력이 크고 한국과 상호보완적인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한반도의 새로운 협력공간으로 대두

* 북방경제협력 대상 지역은 러시아, 중앙아 5개국(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벨라루스 등 전체 CIS 국가들과 몽골, 중국 동북 3성 등을 포함

- (미래지향성)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 출범, 러시아 신동방정책, 중국 일대일로 등 역내 경제 통합과 개방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고, 한반도 평화정착 기반 구축 추진

진출전략 및 유망품목

⚬ 기존 완제품 수출방식의 시장접근이 러시아 정부의 시장보호 정책으로 인해 한계에 이름에 따라 협력체계의 근본적인 변화 필요

⚬ 산업・기술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프레임 구축

- 자동차, 전자제품 등의 범용상품 수출에서 탈피하여 성장이 빠르고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 분야의 기회요인을 포착하고 시장 선점

* IT・BT 등 기술집약도가 높은 산업에서 공동 기술연구 및 제품개발 등 우선

⚬ (협력방안①) 양국 간 기술수요에 기반한 수요조사와 사업 발굴

- 한국의 선진 상용기술과 러시아의 기초과학 및 생산기반을 융합한‘make WITH CIS’비즈니스 모델 확대 및 기술교류에 용이한 새로운 개념의 정부차원의 협력사업 추진

⚬ (협력방안②) 수입 대체화 및 제조업 육성정책을 활용한 투자진출 활성화 → 『한-러 혁신플랫폼 지원 사업』 추진

- (목표) 러 정부가 산업육성 및 수입 대체화를 위해 지정한 20개 산업 중 협력 가능성이 높은 산업 중심으로 협력로드맵 조사 및 기업 간 매칭

- (추진방안) 시장조사와 기업 발굴・매칭의 2단계 사업수행

시장조사 기업 발굴/매칭 및 컨설팅

󰋮 수 입대체화 협력 사업 조사

󰋮 국내기업 연계성 조사

󰋮 시장조사 결과 기반 우리기업 수요 발굴

󰋮 계약 협상 등 제반 사항 지원

󰋮 러 측 수요와 매칭

󰋮 계약 이후 이행 및 A/S 등의 이행지원

2019 기술협력 추진 사례

⚬ 한-러 ATV 엔진 개발 기술협력 MOU 체결

- (한국) 모스크바 무역관 지사화기업 K사(엔진, 트랜스미션 개발, 생산) - (러시아) R사(설상차, ATV, UTV 생산)

- 협력내용 : R사의 주요 모델에 적합한 엔진을 K사가 개발 및 장착. MOU 체결 시점으로부터 샘플 개발 완료 및 실험 실시했고, 향후 엔진 생산 기술을 이전, R사의 엔진 현지 생산 지원

2-3. 시장 개편 및 시대적 변화로 부상한 신(新)유망 산업 공략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 서방의 대(對)러시아 경제 제재 단행 등 CIS의 대(對)유럽 경제의존도는 점차 감소되고, CIS 주요국은 파트너 발 굴을 위해 아시아로 관심을 돌리는 추세

◦ 대외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산업 육성을 추진하는 등 산업 개편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장 트렌드도 변화하는 추세

◦ 교역 패러다임도 변화하여 한-CIS 10대 품목에 새롭게 소비재(화장품)이 등장했으며, 주요국이 자국 산업 육성을 추진 중이나 산업 설비의 노후화로 인해 기계 분야 협력 수요가 증가함

◦ 또한, 시대변화에 따라 신규 유망 산업으로 환경 분야가 떠오르며 우리기업의 진출 기회 확대

주요 이슈 및 트렌드

⚬ CIS 주요국이 대외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산업 육성을 추진하는 등 산업 개편이 이루어짐에 따라 시장 트렌드도 변화하는 추세

⚬ 특히, 서방의 대(對)러 경제제재로 인해 반(反)서방 정서가 강화되어 아시아 지역 파트너 발굴에 대한 수요가 높고 시장 트렌드도 변화하고 있음

진출전략

⚬ 제조업 육성 정책과 산업 다각화, 인프라 개발, 비즈니스 환경 개선 등에 힘입어 경기회복 기조가 유지되고 있으며, 2018년 대(對)CIS 수출은 주력품목인 자동차・차부품・일반기계 등의 수출 호조로 수출 108억 달러 달성

⚬ 2018년부터는 한-CIS 수출 10대 품목에 ‘비누, 치약 및 화장품’이 추가되며 자동차, 기계 산업 중심이었던 수출품목의 다변화를 이루기 시작

* 대(對) CIS 한국 화장품 수출은 최근 4년간 6배 증가, 단기간 내 현지 뷰티 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매김하며 지속적으로 성장 중

⚬ 그 외 노후 생산설비 교체, 제조업체 증가 및 국내기업의 공장 진출 등으로 2018년 중 기계 수출이 전년 대비 6배 급증

⚬ 시대적 변화에 따라 러시아를 필두로 환경보호를 위한 신규 법안을 제정하는 등 환경 산업 개발에 대한 수요 지속 증가

소비재

⚬ 대형 유통망 플랫폼 활용 수출 확대 추진

- 유통 체인의 대형화 및 전문화 추세에 따라 최종 소비자 대상 판매 비중도 대형 유통망 중심 으로 점점 더 증가하고 있어, 우리 소비재 제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현지 유통망 진입이 필수적임

⚬ 중소기업 제품 소개 확대 및 인지도 제고 노력 강화

- 한류의 인기도에 비해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인지도가 높은 대기업 브랜드 제품 인콰이어리가 접수되는 사례가 적지 않음

2019 롯데마트 PB 상품 대중소 협력 극동러 수출상담회

⚬ 주 최 : 롯데마트, KOTRA

⚬ 사업내용 : 러시아 극동 최대 유통사 Nevada 그룹 PB상품 개발 입점 1:1 상담회

⚬ 주요성과 : 한국의 우수 PB 제조 중소기업의 극동러시아 진출 기반 마련 - 극동 러시아 최대 유통사에 국내 우수 소비재 9개 품목 이상 계약 예정

- Nevada 그룹은 마트 실사 후 50개 품목 추가 선정, 향후 롯데마트와 추가 협의 추진 등 - 롯데마트-Nevada Group 협력 플랫폼을 통해 한국 중소기업의 극동러시아 진출 확대 가능

* Nevada 그룹(1994년 설립)

⚬ 극동러시아 최대 유통회사(직원수 : 6천 명)

⚬ 대형슈퍼체인 ‘Samberi’ 28개, 미니마켓 ‘Raz Dva’ 52개장 운영 중 ⚬ 최근 부산의 신세계 쇼핑센터를 밴치마킹한 쇼핑+스파 타운 건설 중

⚬ 마케팅 고도화 : 저가전략, 세컨드 브랜드, 명품 포지션 유지

① (저가전략) 경기불황기 중가 제품 시장이 줄어들고 저가 시장이 확대됨으로 매출확대를 위해 서는 저가 시장을 공략 필요

- 품목에 따라 다를 수는 있으나, 단기적으로 확대된 저가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이 경기 불황기 매출을 확대할 수 있는 방법

- 다만, 소비자들이 하향소비를 하더라도 제품의 질은 중요시하는 합리적 소비 행태가 증가 하므로 제품의 질에 대한 핵심가치는 유지는 필수

- 단순히 가격을 낮추는 것이 아닌 제품의 핵심가치와 품질은 유지해야 함

② (소비층별 브랜드 타깃화) 저가 시장 공략을 위해 동일한 브랜드의 가격을 낮추기보다 세컨드 브랜드의 형태로 브랜드를 분리하는 전략이 효율적

- 동일 브랜드의 가격인하는 브랜드 가치훼손 및 시장 회복 이후 판매가격 인상이 어려워 기존 브랜드와 다른 세컨드 브랜드를 통한 시장진입이 효율적

- 대표적인 세컨드 브랜드 전략은 프리미엄 제품보다 가격을 낮춘 보급형 제품판매에 초점을 둔 매스티지(Masstige) 제품 론칭 전략

- 세컨드 브랜드 전략의 수행을 위해서는 품질 및 원가관리에 대한 기업의 철저한 관리능력이

- 세컨드 브랜드 전략의 수행을 위해서는 품질 및 원가관리에 대한 기업의 철저한 관리능력이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