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확인적 요인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2-75)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요인과 측정변수의 인과관계 확인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부특성 변수인 품질경영활동과 인증취득동기, 인증유용성 에 대한 결과는 χ2= 126.184, df= 48, χ/df= 2.62로 기준치인 3.0이하이며, RMR=0.03으로 기준치인 0.05이하이며, GFI=0.933, NFI=0.959, TLI=0.958 로 나 타나, 구성개념들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 적으로 표준화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일 때 집중타당도가 있다고 판단하는데, 모든 값이 이를 만족시키고 있다. 구성개념 신뢰도 역시 0.7이상 이며, 분산추 출값도 0.5이상으로 집중타당도가 있다고 판단된다. 측정변수들의 개념에 대한 다중 상관 자승치 또한 모두 0.3 이상으로 내적 일관성을 확보되었다.

또한, 인증기관 특성 변수인 심사원전문성과 인증기관지원에 대한 적합도 지 수는 χ 2= 58.129, df=31, χ/df= 1.87로 기준치인 3.0이하이며, RMR=0.18로 기준치인 0.05이하이며, GFI=0.960, NFI=0.967, TLI=0.977, CFI=0.984, RMSEA=0.058로 모든 지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만족스러운 부합도를 보이고 있으

며, 매개, 종속변인의 적합도 지수는 χ 2= 116.457, df=48, χ/df= 2.42로 기 준치인 3.0이하이며, RMR=0.48로 기준치인 0.05이하이며, GFI=0.938, NFI=0.964, TLI=0.965, CFI=0.979, RMSEA=0.074로 모든 지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만족스러운 부합도를 보이고 있다. 이를 요약하면 <표 5-5>와 같다.

<표 5-5>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요약

구성개념 측정변수 표준적재치 오차 AVE 개념신뢰도

내부특성

품질경영활동 1 .718 .246

.770 .930

품질경영활동 2 .794 .261

품질경영활동 3 .890 .154

품질경영활동 4 .887 .153

인증취득동기 1 .877 .172

.765 .929

인증취득동기 2 .802 .246

인증취득동기 3 .858 .201

인증취득동기 4 .763 .219

인증유용성 1 .943 .074

.862 .969

인증유용성 2 .898 .132

인증유용성 3 .908 .134

인증유용성 4 .897 .147

인증유용성 5 .875 .169

인증기관특성

심사위원전문성1 .862 .112

.803 .953

심사위원전문성2 .842 .170

심사위원전문성3 .809 .141

심사위원전문성4 .817 .145

심사위원전문성5 .734 .244

인증기관지원1 .917 .080

.762 .941

인증기관지원2 .881 .125

인증기관지원3 .813 .189

인증기관지원4 .699 .209

인증기관지원5 .694 .409

기술혁신활동

기술혁신활동1 .753 .458

.578 .845

기술혁신활동2 .786 .524

기술혁신활동3 .770 .316

기술혁신활동4 .755 .419

경영성과

경영성과1 .955 .052

.826 .959

경영성과2 .906 .096

경영성과3 .781 .239

경영성과4 .816 .208

경영성과5 .818 .180

재인증의도

재인증의도1 .991 .006

.752 .918

재인증의도2 .997 .002

재인증의도3 .631 .252

재인증의도4 .473 .597

61

제2절 가설 검증 및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개별 가설들을 각각 검증하 는 방법 대신에 통합모델을 종합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 하였고, 직접 효과는 연구모형의 경로계수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매개변수의 효 과는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의 내생변수에 대한 다중 상관 자승치는 내생변수 변 량이 내생변수와 외생변수에 의한 설명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회귀분석 식의 R2과 비슷하며, 이 값이 높을수록 적절한 변수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추정 된 각 모수의 유의성 검정은 유의수준 0.05에서 t-값 1.96이상을 기준으로 하였 다. 연구모형에 제시된 8개의 경로 중에서 6개의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경로도해(path diagram)는 <그림 5-1>과 같다.

<그림 5-1> 연구모형 경로도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적합도 지수는 통계량, GFI, NFI, CFI, RMSEA 등을 검토하 였다. 통계량은 525.450 (df=263, p=0.0)로 나타났으나 Hair et al,(2006) 이 제 시한 것처럼 통계량은 표본의 크기에 민감하므로 다른 적합도 지수를 함께 고려 하였다. 분석 결과, RMR(Rot Mean square Residual)은 0에 가까운 0.036으로서 모델이 잘 부합되고 있었고, GFI(Godnes of Fit Index)도 0.879으로 일반적인 권 장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NFI(Normed Fit Index)과 CFI(Comparative Fit Index) 역시 각각 0.916과 0.930으로서 1 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고, RMSEA(Root Mean Square Erro of Approximation)도 0.069로 전체적인 구조모형은 적합함을 보여주고 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2-7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