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형평성의 구조

문서에서 국토인프라연구부문 (페이지 69-72)

분석의 개요

앞서 검토한 다양한 형평성 가치 및 요소, 내재된 형평성의 가치 간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 형평성과 효율성 등의 상호관계 등을 종합하여 교통정책의 종합적 형평성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형평성 가치 요인들 간 상관관계 및 인과관계 구조 분석을 통하여 형평성 가치 구조를 정립하였다. 278인의 전문가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구 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형평성 가치구조에는 소득계층간 형평성, 지역간 형평 성, 수단간 형평성, 최저서비스 제공과 더불어 효율성도 포함된다.

분석단계 주요 내용 방법

가설 설정

형평성과 효율성의 관계, 형평성 요인들 간 관계 설정

‣잠재변수 간 인과관계 및 상관관계에 관한 가설

기존문헌 검토

자료 수집 측정변수 및 잠재변수를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이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함 설문조사

개념타당도 검정

측정변수의 집중타당도를 통한 각 잠재변수별 측정 변수에 대한 단일차원성 평가

‣잠재변수에 적합한 측정변수의 식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측정변수

모형적합도 검정

확인된 요인들을 결합하여 모든 잠재변수와 측정변 수에 대한 단일차원성 평가

‣측정 초기모델 설정

잠재변수간 상관관계 검토

구조방정식 추정

초기모델에 설정된 가설에 따라 경로도를 결합하여 구조방정식을 추정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모형 을 수정

‣최종 모델 확정

적합도 분석

가설 검정 설정한 가설의 기각 여부 판단 유의성 검정

결과 해석 총 효과 및 직접․간접 효과 해석 경로계수 분석

[표 3-3] 구조방정식 분석 절차

형평성 구성요소별 측정변수 설정

장거리 지역간 통행과 단거리 지역내 통행을 구분하여 공정성 및 형평성 구성요소 의 측정변수를 설정하였다. 각 설문 응답자에게 가상의 교통정책을 제시하고 해당 교 통정책이 다음의 항목 관점에서 바람직한가를 7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구분 조사 항목

공정성

① 전체 사회의 복리를 증진

② 사회적, 지리적 교통약자가 최소수준의 교통서비스 확보에 기여

③ 국가의 교통부문 형평성 제고에 기여

④ 국가의 효율적(경제적) 재정운용에 기여

⑤ 형평성과 효율성이 합당하게 조화

소득계층별 형평성

① 지역간 통행 통행시간의 소득수준별 격차

② 지역간통행 통행비 지출(소득대비)의 소득수준별 격차

③ 지역간통행 통행비 지출 대비 교통서비스의 소득수준별 격차

④ 간선(고속) 대중교통 접근성의 소득수준별 격차

⑤ 정부재정지출의 소득수준별 편중

지역간 형평성

① 지역간통행 통행시간의 지역별 격차

② 지역간통행 대중교통 통행비용의 지역별 격차

③ 지역간통행 통행비 지출 대비 교통서비스 지역별 격차

④ 고속도로 IC 등 도로간선축 접근성의 지역별 격차

⑤ KTX, 항공 등 고속 교통수단 접근성의 지역별 격차

⑥ 일반철도, 고속버스 접근성의 지역별 격차

⑦ 정부재정지출의 지역별 편중

수단간 형평성

① 지역간통행 통행시간의 수단간(승용차 vs. 대중교통) 격차

② 지역간통행 통행비(요금 및 유류비) 지출 대비 교통서비스의 수단간 (승용차 vs. 대중교통) 격차

③ 정부재정지출의 수단별(승용차 vs. 대중교통) 편중

④ 지역간통행 통행시간의 수단간(버스 vs. 철도) 격차

⑤ 지역간통행 요금의 수단간(버스 vs. 철도) 격차 (요금할인 포함)

⑥ 지역간통행 요금 대비 교통서비스의 수단간(버스 vs. 철도) 격차

⑦ 정부재정지출의 수단별(버스 vs. 철도) 편중 최저서비스

제공

① 교통약자의 지역간 이동성 차원의 중요 대중교통 접근성 확보

② 벽오지 등 교통취약지의 지역간 이동성 차원의 중요 대중교통 접근성 확보

③ 대도시 소외지역의 지역간 이동성 차원의 중요 대중교통 접근성 확보

효율성 (경제성)

① 지역간통행 이동성 확보를 통한 물류비 감소, 혼잡비용 감소 등 국가 경쟁력 제고 효과가 큰 사업에 우선 투자

② 투입비용 대비 편익비(B/C)가 큰 사업에 우선 투자

③ 과도한 부채를 유발하여 다음 세대에 재정적 부담을 전가하지 않는 사업에 우선 투자

[표 3-4] 장거리 지역간 통행의 측정변수(조사항목)

68

지역간 통행과 지역내 통행의 형평성 구조

지역간 통행과 지역내 통행에 대하여 구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고, 구축 된 형평성 구조모형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림 3-9] 지역간 통행의 형평성 구성요소의 관계

[그림 3-10] 지역내 통행의 형평성 구성요소의 관계

첫째, 교통부문의 공정성에 기여하는 정도는 ‘효율성’에 비하여 ‘형평성’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따라서 개념적으로 공정성은 ‘형평성’과 유사한 개념으로 인식, 평가되는 것 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효율성이 형평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통상 언급되는 바와 같이 부(-)의 관 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형평성이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이와 반대로 정 (+)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효율성과 형평성은 항상 서로 상충하는 관계

가 아니며, 또한 보다 바람직한 교통체계를 위해서는 지금보다 형평성을 더 많이 고려 하는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사회 전체적으로 바람직하다.

셋째, 장거리 지역간 통행과 단거리 지역내 통행에 있어 형평성 요인간 상대적 중 요도 및 인과관계가 상이한 패턴으로 나타나, 형평성 제고를 위한 교통정책을 마련하 는 데에 있어 지역간 통행과 지역내 통행은 구분하여 다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지 역간 통행과 지역내 통행의 가치구조에 따르면, 지역간 통행에서는 수단간 형평성이 공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나, 지역내 통행은 최저서비스 보장이 공정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정성에 대한 총 효과의 크기도 다른 순서로 나타났다. 지역간 통행에서 는 소득계층간 형평성 > 지역간 형평성 > 수단간 형평성 > 최저서비스 > 효율성 의 순 이었으나 지역내 통행에서는 최저서비스 > 지역간 형평성 > 소득계층간 형평성 > 수 단간 형평성 > 효율성 의 순서로 공정성에 대한 영향을 보였다. 이는 최저서비스가 일상적 생활이 주로 이루어지는 지역내 통행에서 보다 중요하게 인식되며, 이것이 보 장되지 않을 경우 일상에서의 사회적 배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서에서 국토인프라연구부문 (페이지 69-7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