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교통정책 종합

문서에서 국토인프라연구부문 (페이지 52-56)

앞서 제시한 고령자 교통정책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선후관계가 존재하므 로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정책 로드맵을 작성하였다. 정책간의 우선순위 는 안전성 향상과 관련된 정책의 우선순위를 이동성 향상 관련 정책 보다 높게 설정하 였고, 관련 법‧제도 개선 및 데이터 수집 등의 선행사업 성격의 정책의 우선순위를 실 제 물리적 개선사업 보다 높게 설정하였다.

도시부, 지방부, 법제도 개선, 경제적 지원 분야의 정책 과제 중 일부 과제는 중앙정 부의 주도하에 정책 실행에 앞서 연구 수행을 통한 관련 법‧제도 정비, 시범사업 및 인센티브와 같은 지원시스템 등이 필요하며, 일부 과제의 경우 지자체 주도의 구체적 인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고령층의 이동권 확보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 는 열악한 지방재정 상황이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센티브 제공 등 중앙정부의 적극적 국비 지원 방안 마련도 필요할 것이다.

50 공간

분야

교통정책 과제

정책대상 목표년도 추진주체 승용차 대중

교통 단기 중기 정부 지방

․고령자 전용주차구역 제도

․도로 및 차량 지능화사업 추진

․고령자 안전운전교육 프로그램 강화

․고령 운전자를 배려하는 운전문화 정착

․고령자 이동편의 증진사업 모니터링 강화

및 법ㆍ제도 개선

․고령자 맞춤형 대중교통/보행정보제공체계

구축

․저상버스 도입의 실효성 증진을 위한 정책

및 기술 개발

․특별교통수단의 운영방안 다각화 방안 연구

․고령자 대중교통요금 지원/할인제도 개선 연구

․저상버스 도입

․기존 대중교통체계 기반의 특별교통수단 도입

․도로 및 교통시설 개선(사고 잦은 지점 등)

․교통안전시설 확충

․고령자 거주 분포 DB 구축

․지역별 고령자 분포와 이용특성을 고려한

특별교통수단(예, 마을택시 등) 도입

․대중교통 이용 및 보행환경 개선

제도

기타

․도로교통시설 관련 설계 및 운영지침 개선

․고령자 POI 중심의 교통정보제공체계 구축

․노인보호구역(실버존) 지정 및 교통환경 개선

․보행편의성 진단제도 도입을 통한 고령

친화적 보행환경 조성

․대중교통서비스의 사각지대에 거주하는 고령

자의 이동편의를 위한 법 개정방안 연구

․고령자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및 확대

․공공근로 프로그램 확대

․국가 재정을 고려한 교통서비스 연구

․고령자 이동편의 보장을 위한 보조금 지원 주 : ◓ 정부와 지방의 효율적 역할 분담이 필요한 분야임을 의미

[표 2-9] 고령자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단․중기 교통정책 로드맵

■ 참고문헌

건설교통부. 2007.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계획(2007-2011)

김승엽, 2011. 고령화사회의 도로정책 방향 :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도로정책 Brief 제45호 국토해양부. 2011. 제2차 대중교통기본계획

국회입법조사처, 고령사회를 대비한 고령운전자의 교통안전대책, 현안보고서 제85호 2010. 6 도로교통공단. 2010. 교통사고 분석 자료집: 2009년 노인 교통사고 특성분석.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김인석). 2007. 고령화 및 고령사회의 교통안전 대책과 정책과제.

삼성교통안전연구소,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 특성 및 위험성, 2011.10

석재은 외, 노인교통이용 등 요금제도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이신해, 김선자, 조혜정. 2005. 고령사회에 대응하는 서울시 교통정책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 시정개발연구원.

이외희 외, 경기도 인구특성변화에 따른 도시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09

정일호, 강미나, 이백진, 김혜란, 서민호. 2010. 주택정책과 교통정책의 연계성 강화방안: 수도 권 가구통행 및 주거입지 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정일호, 김준기. 2009. 고령화는 나와 상관없는 문제인가? 교통과 구조적 환경(Built Environment) 중심으로. 국토정책 Brief. 제235호. 국토연구원.

조남건. 2001. 고령화에 따른 통행특성 조사연구. 국토연구원

조종석, 박지영, 최병남. 2010. 고령자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지우석. 2009. 노인 교통안전 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최병부, 지방부 도로 고령 보행자 사고특성분석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6 최숙희, [Issue report] 고령화정책의 우선순위 분석, 삼성경제연구소, 2008.2.27

통계청. 2006. 장래인구추계.

Alvarez, R., Brehm, J. 1998. Speaking in Two Voices: American Equivocation about the internal Revenue Service.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2, 418-452 Ben-Akiva, M. E., Bowman, J. L. 1998. Activity Based Travel Demand Model Systems.

in Equilibrium and Advanced Transportation Modeling, P. Marcotte and S.

Nguyen, ed., Kluwer Academic Publishers.

Kim, S., Ulfarsson, G. F. 2004. Travel Mode Choice of the Elderly: Effects of Personel, Household, Neighborhood, and Trip Characteristic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94, 117-126.

United Nations, 2001. World Population Ageing: 1950-2050.

3

교통정책의 형평성 제고방향

정일호 선임연구위원 외

1.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형평성 측면에서 본 교통체계 2. 교통 형평성 개념 정립

1) 정의

2) 형평성의 관점 및 분석 요소 3) 형평성 가치적용의 틀과 범위 3. 교통 형평성 실증 분석

1) 공간적 형평성 분석 2) 사회적 형평성 분석 3) 경제적 형평성 분석 4) 시사점

4. 교통 형평성 평가지수 개발 및 활용방안 1) 형평성의 구조

2) 구조모형을 활용한 형평성 지수 개발 및 사례 분석 5. 교통정책의 형평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

1) 형평성 제고의 필요성 및 기본방향 2) 형평성 제고 정책방안

문서에서 국토인프라연구부문 (페이지 52-56)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