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첫째, 보다 세부적인 공간단위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추도시생활권 을 중심도시와 주변지역으로 구분하고 주로 시ㆍ군 단위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연속체(continumm)로서의 특성을 지닌 공간을 중심도시ㆍ주변지역 또는 행정구역 단위로 구분함으로서 실제 중추도시생활권의 세부적인 공간구조 특성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에는 읍ㆍ면ㆍ동 또는 GIS의 래스터데이터(raster data) 등을 활용하여 중추도시생활권의 세부적 공간구조를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인구, 일자리, 산업입지, 통근연계, 토지이용 변화 등을 중심으 로 중추도시생활권의 공간구조 특성을 분석하였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지역 간 교통망 연계 및 접근성, 각종 생활인프라의 입지 및 서비스이용권 등에 관한 분석을 통해 중추도시생활권의 공간구조 특성을 보다 종합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구조 유형별 정책과제는 개략적인 방향 제시 수준에 그치고 있다. 향후 도시권 육성을 위한 국내외 정책 및 연구 등을 토대로 보다 구체화된 정책과제 및 추진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11

R E F E R E N C E

참 고 문 헌

국토교통부. 2013. 「중추도시생활권 정책 홍보 브로슈어」.

국토교통부. 2014.3.10. 보도자료.

김동주 외. 2012. 「글로벌 도시권 육성 방안 연구(Ⅲ): 도시권 정책의 실천전략」.

국토연구원.

관계부처 합동. 2014. 「제5차 무역투자진흥회의 및 지역발전위원회 연석회의 자료(지역 주도 맞춤형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

관계부처 합동. 2014. 「지역주도 맞춤형 지역경제 활성화 대책 주요내용(요약)」.

권창기ㆍ정현욱. 2007. “대도시 광역도시권 설정과 권역별 공간 특성 비교”. 「국토연 구」. 제52권. pp.39~58. 국토연구원.

박제인 외. 2006. “인구 및 통근자 자료 분석을 통한 도시확산현상과 지역 간 상호작용 검증: 서울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14권 제2호.

pp.77-8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송영일 외. 2014. 「네트워크 도시체계 구축을 통한 중소규모 도시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안국현ㆍ이명훈. 2006. “수도권 도시의 자족도에 관한 연구: 수도권 신도시 소재 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8권 제3호. pp.233-254. 한국지역개발 학회.

윤영모. 2014. “중추도시생활권 구성현황과 특징”. 「월간국토」. 통권392호. pp.20-34.

국토연구원.

112

중추도시생활권의 공간적 특성과 대응과제

윤철현ㆍ황영우. 2012. “도시간 상호관계분석에 의한 한국 도시체계의 이해”. 「도시행정 학보」. 제25집 제2호. pp.31-38. 한국도시행정학회.

이용우 외. 2014. 「미래 국토발전 장기전망과 실천전략 연구(Ⅲ)」.

이원섭 외. 2014. 「도시권 육성전략 마련을 위한 연구」. 국토교통부.

이희연ㆍ이승민. 2008. “수도권 신도시 개발이 인구이동과 통근통행패턴에 미친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4호. pp.561-579. 대한지리학회.

임은선 외. 2010. 「광역경제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공간구조 진단 및 공간 활용도 제고 방안: 지방광역경제권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임철우ㆍ김창기. 2011. “동경권 신도시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자족성 및 소셜믹스를 중심으로”. 「LHI Journal」. Vol.2. No.1. pp.19-33. 한국토지주택공사.

지역발전위원회. 2013.7.18. 보도자료(박근혜정부 지역발전정책 방향 제시).

지역발전위원회. 2013. 「지역행복생활권 추진 가이드라인」.

지역발전위원회. 2013. 「지역행복생활권 가이드라인 해설집」.

통계청. 2012. 「2010년 인구총조사」.

통계청. 각년도. 「사업체기초통계」.

통계청. 각년도.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안전부. 2010. 「한국도시연감(2009년)」.

환경부. 각년도. 토지피복도.

통계청 국가통계포털(http://www.kosis.kr).

한국산업단지공단 Factory On 공장등록통계(http://www.femis.go.kr).

Burger, M.J. et al. 2011. Heterogeneous Development of Metropolitan Spatial Structure: Evidence from Commuting Patterns in English and Welsh City-Regions 1981-2001. Cities. 28(2). pp.160-170.

Marshall J.U. 1989. The Structure of Urban System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참고문헌

113

Parr, J.B. The Regional Economy, Spatial Structure and Regional Urban Systems. Preston, R. E. 1971. The structure of central place systems. Economic Geography.

Vol. 47. pp.136-155.

Stoll & Covington. 2010. Explaining Racial/Ethnic Gaps in Spatial Mismatch: The Primacy of Racial Segregation. Institute for Research on Poverty Discussion Paper. No.1379-10. University of Wisconsin.

114

중추도시생활권의 공간적 특성과 대응과제

S U M M A R Y

SUMMARY

Keywords: Core City-Regions, Spatial Structure, Policy Implication

Government and planners should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patial structure of the region in which they work. Therefore, this study analyses the spatial structure of 20 core city-regions of South Korea focused on polycentricity, functional linkage, population distribution, jobs and industrial landuse distribution, and change of urbanized area to support regional policy of the government.

Based on the result of spatial analysis, this study classify the 20 core city-regions into four types: monocentric-connected regions, monocentric-independent regions, polycentric-connected regions and polycentric-independent region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20 core city-reg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should provide customized policy support suited to each type of the regions. The following are the suggestions.

First, it is needed to improve regional growth and investment agreement system.

To ensure this, it is recommended to qualify the core city-region councils to make an regional growth and investment agreement with national government.

In line with this, it is needed to simplify the licensing and deliberation procedure to facilitate delivering the projects included in the agreement.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reorganize the current 128 regional projects to support development of the core city-regions. For this, it is recommended to reclassify the projects and provide tailored support that fits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structure of the 20 core city-regions.

국토연 2014-52

중추도시생활권의 공간적 특성과 대응과제

지 은 이 윤영모, 박경현 발 행 인 김경환 발 행 처 국토연구원 출판등록 제25100—1994-2 인 쇄 2014년 11월 30일 발 행 2014년 11월 30일

주 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54 전 화 031-380-0114

팩 스 031-380-0470

ISBN 979-11-85948-57-7

한국연구재단 연구분야 분류코드 B170101 홈페이지 http://www.krihs.re.kr

Ⓒ 2014, 국토연구원

이 연구보고서의 내용은 국토연구원의 자체 연구물로서 정부의 정책이나 견해와는 상관없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