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사례연구(case research). 앞 장에서 논의되었듯이 사례연구는 현상에 대해 보다 심화된 종단적인 연구방법으로, 표면으로 보이는 사실뿐만 아니라 감춰져 있는 문맥의 이해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사례연구는 이론을 설정하는 해석적 관점에서의 연구 설계뿐 아니라 이론을 검증하는 실증적 관점에서도 활용되는 독특한 연구방법 중 하나이다. 사례연구의 기법과 자세한 예시는 이미 앞장에서 소개 된 바 있다. 사례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현상에 대하여 능동적 참여자라기 보다는 중립적 관찰자에 더 가까우며 직접적인 관찰을 하게 된다. 여타 다른 해석적 관점에서와 같이, 사례연구의 의미 있는 결과는 연구자의 관찰력과 해석력에 따라 크게 좌우 된다.

행동연구(action research). 행동연구는 질적 연구인 동시에 실증적 연구설계이다. 즉, 이론을 설정한다기 보다는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차원의 연구에 더 가깝다. 행동연구는 복잡한 사회상이 가지고 있는 변화, 방해 요인과 같은 어떠한 ‘행동’이 현상에 어떤 결과로의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그 현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 방법론에서 연구자는 일반적으로 컨설턴트나 조직의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써 그들의 행동이나 행동자체가 현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고 그 행동과 현상 사이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여기서 행동의 예로는 기업이 조직의 업무력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적용시키는 새로운 조직체계, 구성원, 기술 등과 같은 조직적 변화 등이 있다. 연구자의 행동은 늘 충분한 이론적 바탕을 근거로 그 이유와 방법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연구에서 제기 된 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가 선택한 행동이 이론과 적절에 부합하는지도 살펴보아야 한다. 끊임없는 문제해결과 통찰력의 발달은 행동연구를 다른 연구와 구분 짓는 가장 핵심적인 특징이다. 따라서, 행동연구는 연구와 실제를 연결하는 훌륭한 방법론 중 하나이다.

이 밖에도 다양한 행동연구 방법론이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것이 참가활동연구(participatory action research)로 수스만과 에버드(Susman&Evered 1978)13의 연구에서 소개되었다. 참가활동연구는 다섯 단계를 따른다. (1) 문제 파악(diagnosing): 사회적 맥락 안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정의한다. (2) 행동계획(action planning): 대체될 수 있는 해결책을 찾아 평가하여 다음 단계의 행동을 이론적 논리에 맞게 대안들 가운데 결정한다. (3) 행동실시(action taking): 결정된 행동을 직접 하여 실행에 옮기는 것 말한다. (4) 평가(evaluating): 결정된 행동의 영향력이 실제 어떠했는지를 평가한다 (실제에서 이론적 영향이 정말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함). (5) 피드백(learning):

경험과 행동의 영향력에 대한 피드백을 활용하여 제기되었던 문제에 대한 시사점과 앞으로 발전시켜야 할 부분을 기술한다(그림 12.1 참조). 행동을 평가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은 문제를 수정하여 보다 적합한 해결방법을 이끌어 낼 수 있고 행동연구의 순환과정은 이러한 수정된 행동결과들이 반복되면서 형성된다. 전체적인 행동연구의 순환과정은 적어도 두 번 이상 실시하도록 제안하고 있는데 첫 번째 순환과정으로부터의 피드백이 두 번째 순환과정에서 실시되기 때문이다.

인터뷰와 문서조사와 같은 방법론은 연구자의 관찰을 통해 데이터가 수집되었다면, 행동연구의 일차적 자료는 참가자의 관찰로 이루어 지기 때문이다.

13 Susman, G.I. and Evered, R.D. (1978). “An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Merits of Action Research,”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3), 582-603.

<그림 12.1> 행동연구 순환과정

민족지학(ethnography). 민족지학은 크게는 인류학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현상을 해당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연구자는 해당 사회문화에 충분한 기간 동안 속해(통상 8 개월에서 2 년까지), 그들과 동일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참여하여 관찰하고, 기록한 일기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일차 자료수집은 참여자의 관찰이 되고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이해(sense-making)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다. 또한, 연구자는 현장에서 기록한 충분한 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현장 자료에는 연구자가 경험한 것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여, 독자가 간접 경험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방법론은 연구자에게 두 가지 요소를 요구한다. 첫째, 연구자의 사전지식과 경험에서 특정 관점 혹은 이론을 성립할 수 있는 능력이고 둘째, 학계에서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도록 연구한 현상에 대한 이해를 돕게 하는 설득력이다.

민족지학의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는 영국의 동물 행동학 연구자인 제인 구달(Jane Goodall)의 침팬지 연구이다. 구달(Goodall)은 탄자니아의 곰비국립공원 내 침팬지 서식지에서 기거하고, 침팬지와 직접 소통하고 삶을 공유하며 영장류 행동에 대한 연구를 했다. 연구기간 동안 그녀는 침팬지가 어떻게 먹이와 거처를 찾는지, 다른 침팬지와의 소통은 어떻게 하고 그 형태는 어떻게 되는지 등을 연구하였다. 최근 민족지학 연구의 예로 미라 블루본드-란져(Myra Bluebond-Langer, 1996)14의 연구가 있다. 병세가 심한 아이가 있는 가족들 내에서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물리적, 심리적, 환경적, 인종적, 법적, 문화적 측면에서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자는 2 년이 넘는 시간 동안 투병중인 아이들 80 명과 그 가족들과 함께 하였다. 자료수집은 참가자의 관찰과 그들의 가족, 친구, 친척, 병원 관계자들 간의 실제 공식적비공식적 대화를 기록한 것을 중심으로 하였다.

현상학(phenomenology). 현상학은 주변 현실을 의식적 경험을 통한 연구로서 이해하는 방법론이다.

20 세기 초, 독일 철학자 에드먼 허슬러(Edmund Husserl)는 인간의 경험은 모든 지식의 원천이 된다고 주장하였는데, 현상학은 바로 이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현상학은 인간의 판단, 지각, 행동과 같은 의식적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현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분석한다. 이 연구의

14 Bluebond-Langer, M. (1996). In the Shadow of Illness: Parents and Siblings of the Chronically Ill Child.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목적은 (1) 참여자의 다양한 주관적인 관점에서 사회현상을 바라보며 기술하는 것, (2) 참여자의 주관적인 경험에서 상징적인 의미와 그 내면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다. 현상학에서는 연구자가 어떠한 가정이나 개인적인 편견을 배제할 것을 강조한다. 참여자가 처해진 환경과 현상을 바라보는 다양한 측면을 조절하여, 그들의 의식적인 고민, 느낌, 행동을 내면적 구조를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어떤 학자들은 현상학을 연구방법론이 아닌 철학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은 조지(Giorgi &

Giorgi, 2003)15의 연구에서 실존적현상학연구방법론(existenti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을 하나의 가이드라인으로서 제시함으로써 등장하였다(그림 12.2). 이 방법론은 크게 자료수집과 자료분석의 단계로 나뉜다. 자료수집의 단계에서 사회 현상에 속해있는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경험과 관점을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한다. 예를 들어,“평소 일상을 설명해주실 수 있습니까?”나,“어떠한 상황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실 수 있습니까?”와 같은 질문을 던지는 것이다. 인터뷰는 모두 녹음 및 기록이 되어 분석의 근거로 쓰인다. 자료분석 단계에서 연구자는 인터뷰 기록을 읽으면서 (1) 전반적인 흐름을 찾고, (2)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중요도 단위(units of significance)’를 형성한다. 여기서 중요한 단위란 공간 인지(felt-space), 시간 인지(felt-time) 등과 같이 응답자의 심리적 경험을 문서화 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참여자가 현상을 경험할 때 안정감, 자유감, 속박감이나 즐거움을 느꼈는가?(공간 인지) 또는 참여자가 경험에서 압박을 받거나, 느리거나, 끊기는 느낌을 받았는가?(시간 인지) 와 같은 질문인 것이다. 현상학 분석은 참여자의 과거, 현재, 미래를 포함한 시간적인 관점을 중요시 하며, 연구자는 참여자의 특수한 상황에서 그들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참여자를 이해해야 한다. 참여자들의 실제 경험은 서술적으로 기술하거나, 새로운 테마를 활용하여 기술한다. 이후의 분석은 쪼개지고 애매모호한 경험들에 대한 테마를 다양한 의미로 분석해야 한다.

<그림 12.2> 실존적현상학연구방법론

15Giorgi, A and Giorgi, B (2003) Phenomenology. In J A Smith (ed.) Qualitative Psychology: A Practical Guide to Research Methods. London: Sage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