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재까지 개인의 경우, 통계청 사회조사나 각 부처별 자원봉사 시간통 계로 인해 자원봉사 현황 파악이 어느 정도 가능했다. 그러나 기업의 경 우에는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 현황 조사가 정부 주도로 이루 어진 경우는 부재한 것이 사실이다. 다만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대한상공 회의소가 각각 단체 회원들을 대상으로 1년에 1번씩 팩스나 이메일, 전화 로 자원봉사를 포함한 사회공헌활동 현황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고 있 다. 다만 차이점은 전경련의 경우, 대기업들을 회원사로 둔 만큼 국내 기 업 중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대한상의는 중소·

중견기업들이 회원사이기 때문에 매출액 상위 501~1,000위 기업을 대 상으로 현황을 파악한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경련과 대한상의 2개 단체가 매년 발간하는 사회공헌백서를 기반으로 한국 기업들의 자원 봉사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만 각 보고서들이 특정 분야에 대해 보다 심 층적인 면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각 상이한 설문 문항을 채택한 경우가 많 아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간 비교 불가능한 조사 내용은 가급적 분석에 서 제외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자원봉사 참여율 감소와 더불어 기업들의 자원봉사 참여 율도 최근 3년간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대기업이 중소기업 보다 자원봉사 참여율의 감소가 큰 것으로 파악된다. 매출액 기준 1~500 위 상위 기업인 대기업들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2012년 77.8%였으나 2014년에는 55.8%로 연평균 15.3%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매출 액 501~1,000위인 중소·중견기업들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연평균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의 감소율이 중소기업보다 약 2배 정도 높 았다. 또한 1인당 평균 자원봉사 참여 시간에서도 대기업은 평균 12~17

시간이었지만 중소·중견기업은 약 23~30시간으로 대기업보다 많은 것

또한 과거에 비해 사회공헌 전담부서와 담당자 존재율에서도 대기업이 나 중견·중소기업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경우 2012 년 사회공헌 전담부서와 담당자 존재율은 각각 84.9%에서 42.4%, 67.5%로 감소하였고, 중소·중견기업은 각각 14.6%, 85.4%에서 7.9%, 64.8%로 비중이 낮아졌다.

〈표 2-33〉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사회공헌 전담부서와 담당자 추이

(단위: %)

구분 2012 2013 2014 연평균

증가율 대기업

(전경련)

사회공헌 전담부서 有 84.9 77.9 42.4 -29.3 사회공헌 담당자 有 84.9 77.9 67.5 -10.8 중소중견기업

(대한상의)

사회공헌 전담부서 有 14.6 45.1 7.9 -26.4 사회공헌 담당자 有 85.4 79.6 64.8 -12.9 주: 각 비율은 각 연도 설문조사 해당 질문에 대한 응답 기업 기준.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2013~2015). 주요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대한상공회의소(2013~2015).

중견·중소기업 사회공헌백서.

둘째로 자원봉사 참여율의 감소 원인 중 하나는 기업의 자원봉사 지원 제도가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자원봉사 참여율의 감소는 앞서 개인 자원봉사 현황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자원봉사 수요, 즉 일거리 감소 가 가장 큰 요인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기업 내 자원봉사 지원제도의 감소는 직장인들로 하여금 자원봉사를 접할 수 있는 기회 동기를 감소시 킨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실례로 2012~2014년간 지원제도 운영률에 있 어서 대기업은 연평균 1.2% 정도, 중소·중견기업은 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흥미로운 점은 대기업의 경우 봉사자 시간등록 지원제도 운영 률이 연평균 10% 정도 감소한 반면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봉사활동 시간 의 근무시간 인정이 연평균 60.3% 증가했다는 점이다.

〈표 2-34〉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자원봉사 지원제도 추이

(단위: %)

구분 2012년 2013년 2014년 연평균

증가율

대기업 (전경련)

지원제도 운영률 77.7 79.5 75.8 -1.2

봉사단 조직 구축(경비 지원) 85.9 88.7 85.7 -0.1 봉사자 포상/인센티브 부여 69.6 70.4 64.0 -4.1 봉사활동 임직원 교육 지원 61.3 60.2 53.1 -6.9

봉사휴가제도 60.7 62.4 60.0 -0.6

봉사자 등록 지원제도 67.0 62.9 54.3 -10.0

기타 64.9 71.0 -

-중소중견 기업 (대한상의)

지원제도 운영률 54.6 40.7 49.0 -5.3

봉사단 조직 구축(경비 지원) 76.1 58.7 78.4 1.5 봉사자 포상/인센티브 부여 18.3 32.6 14.9 -9.8

봉사활동 임직원 교육 지원 - - 6.8

-봉사활동 근무시간 인정 26.8 32.6 68.9 60.3

기타 9.9 10.9 2.7 -47.8

주: 전경련(2013~14). 자원봉사 지원제도의 기타 내용은 임직원 외 봉사 프로그램 운영.

자료: 전국경제인연합회(2013~2015). 주요 기업·기업재단 사회공헌백서, 대한상공회의소(2013~2015).

중견·중소기업 사회공헌백서.

셋째, 자원봉사 참여율과 지원제도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자원봉사 또 는 사회공헌 분야에서 여전히 취약계층 지원 대상으로 사회복지시설을 주요 수요처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대기업의 경우 45% 정도가, 중소·중 견기업의 경우 84% 이상이 취약계층 지원을 포함해 사회복지시설을 자 원봉사 또는 사회공헌의 주요 활동 분야로 선택하고 있었다. 다만 대기업 과 중소·중견기업 간의 차이는 대기업의 경우, 학술·장학 분야의 비중이 증가한 반면, 중소·중견기업은 감소하였고, 그 대신 문화·예술·스포츠 등 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표 2-35〉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사회공헌 및 자원봉사 분야

차이 때문으로5) 파악된다. 한편, 다른 파트너 선정 시 국가 또는 지자체

〈표 2-37〉 중소·중견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정책적 지원 필요성과 지원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