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크게 4가지 분야에 대한 연구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는 한국 내 개인과 기업의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역사적 전개와 양 적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역사적 고찰은 자원봉사에 대한 국가의 개 입과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졌느냐 하는 것으로 향후 본고에서 모색하고 자 하는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사업과의 연계성을 제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원봉사의 현황은 개인과 기업의 자원봉사 현황이 양적으로 어느 정도 확산되어 있는가 하는 것과 개인과 기업 간 자원봉사의 특성이 무엇인가를 살펴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는 자원봉사활동이 국가적으로나 기업 측면에서 제도화된 지 10 년이 되는 시점에서 사회적·경제적 가치를 산정해 보는 것이다. 이는 자 원봉사활동의 긍정적 측면을 평가해 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 된다. 자원봉사는 개인이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투여하는 시간과 노력 등 노동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적 부가가치를 산출하고 있다 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정부가 국민의 세금으로 제공하는 재정지원 사회 서비스 사업을 어느 정도 보완함과 동시에 부가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한다는 점에서 자원봉사활동의 재정 절감 효과와 사회서비스 인력의 보완 가능성 등을 탐색해 보고자 함이다. 한편 사회적 가치 측정은 사회 구조적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인식 차이 등 갈등 비용을 자원봉사활동이 어느 정도 감소시켜 줄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으로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셋째는 현 자원봉사활동을 확산시키는 데 등장하는 장애물이 무엇인가 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앞서 두 번째 연구 내용인 자원봉사의 경제적·사 회적 가치 산정이 자원봉사의 장점이라면, 세 번째 연구 내용은 현행 자 원봉사활동의 단점을 파악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부분에서는 자 원봉사 확산을 위해 도입된 정부와 기업의 제도나 관리시스템을 중심으 로 무엇이 문제점이며, 해결 방안의 방향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를 탐색 해 보는 것이다. 실례로 현재 개인의 자원봉사활동과 관련된 범부처로는 주관부처인 행정자치부 이외에 사회복지시설을 전담하는 보건복지부, 입 시 제도를 관장하는 교육부 이외에 문화체육관광부와 여성가족부 등이 있다.

넷째는 본 연구의 결과를 재정지원 사회서비스 사업과 연계하는 방안 을 모색하는 것이다. 자원봉사는 행사 지원부터 행정지원 서비스까지 매 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사회복지시설 등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봉사 활동이 과거부터 주된 활동 영역이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부 재정지 원 사회서비스 현황과 개인 및 기업의 자원봉사활동, 그리고 각 부처의 관리제도 및 시스템 등 4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윈윈(win-win)’이 가능 한 정책과제 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연구 내용 확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총 5단 계로 연구 방법을 설정하였다. 우선 1단계로 자원봉사 현황 파악을 위해 문헌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등을 병행하였다. 문헌조사는 본 연구에서 추 진하고자 하는 자원봉사활동 확산과 자원봉사 및 사회서비스 간의 연계 성 타진을 위한 연구 결과물들을 민간과 정부 연구 간행물, 제도와 관련

된 정부 자료 등을 포함해 수집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에서는 개인 자원봉사활동의 경우, 행자부 공무원 등 관련 전문가들을, 기업의 자원봉 사활동에 대해서는 대한상공회의소 등 사회공헌활동 관련 연구자들을 대 상으로 현행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파악과 관련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 조사를 통해 파악된 내용을 근거로 한국의 자원봉 사활동의 양적 현황과 경제적 가치 산정을 위한 2차 통계자료들을 관련 기관들의 협조를 얻어 수집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개인의 자원봉 사 현황 통계자료는 통계청의 사회조사 자료와 행자부 산하 기관인 지역 정보개발원의 1365 통계자료, 그리고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사회복지인 증관리시스템 자료를 분석하였다. 한편 기업 자료는 대한상공회의소와 전경련의 사회공헌백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의 경제적 가 치 산정을 위한 자료는 행자부의 지역정보개발원으로부터 협조를 받아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자원봉사활동의 사회적 가치 산정을 위해 행자부와 지역 정보개발원의 협조를 얻어 자원봉사 포털 사이트인 1365를 통해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최근 1년간 자원봉사를 경험한 일 반인 1,200명이었으며, 설문 내용은 자원봉사에 투입된 인건비 등 직접 비와 교통비 및 식대 등 간접비를 포함하여 자원봉사로부터 얻게 된 사회 적 약자에 대한 이해도를 교육비용으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4단계에서는 개인 및 기업의 자원봉사활동 확산 시 고려될 수 있는 문 제점 도출을 위해 연령대별 자원봉사자(10~60대), 자원봉사에 대한 학계 전문가, 사회복지시설 등 자원봉사 수요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담당자, 그리고 현 「자원봉사활동 기본법」과 이와 관련하여 복지부가 발의한 「나 눔기본법」의 상충 문제를 검토하기 위한 법 전문가 등 5개 그룹 대상의 FGI(집단 면접법)를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