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자원봉사자 특성

앞서 본문에서는 한국의 자원봉사활동의 구조 파악을 위해 역사적 진 행 과정과 이에 따른 자원봉사의 개념과 활동 범위, 이해관계자 및 인프 라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과정의 결과물로 현재 한국의 자원 봉사자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년 말 기준, 15세 이상 총인구 4,398만 명 중 약 16.3%에 해당하는 717만 명이 1년 동안 1번 이상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것으로 파 악된다. 이 규모는 행자부의 1365 포털 내 참여 봉사자 수 375만 명에 복 지부의 사회복지자원봉사 참여자 수 144만 명을 합한 수에서 두 시스템 간의 실적 연계자 수(행자부↔ 복지부 간 봉사실적 연계가 모두 중복자로 가정 시)를 제거 시, 산정되는 428만 명 이외에도 약 289만 명의 자원봉 사자가 누락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13〉 자원봉사 참여율과 참여자 수 추정: 2006~2015년

(단위: %, 천 명)

구분 2006년 2009년 2011년 2013년 2015년

% % % % %

전체 14.3 5,643 19.3 7,928 17.6 7,421 17.7 7,617 16.3 7,169

14.0 2,751 19.3 3,952 18.0 3,786 18.1 3,883 16.9 3,710 14.6 2,892 19.3 3,976 17.1 3,614 17.3 3,734 15.7 3,459

15-19세 59.5 1,846 79.8 2,688 72.3 2,508 75.4 2,543 71.1 2,291 20-29세 8.3 624 13.9 994 13.2 903 13.7 916 11.6 787 30-39세 10.2 876 13.6 1,131 11.2 919 11.2 900 10.7 831 40-49세 13.9 1,157 18.6 1,593 17.1 1,471 17.3 1,497 15.6 1,365 50-59세 12.4 678 15.5 988 14.6 1,055 14.5 1,134 14.6 1,193 60세 이상 6.5 420 7.0 510 7.2 563 7.8 660 7.8 725 주: 자원봉사 참가자 수는 통계청 해당 연도 잠재인구추계 모집단에 자원봉사 참가율을 곱해 산정,

자원봉사 참가율은 통계청 사회조사를 기반으로 추정.

자료: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6). 통계청 사회조사 각 연도.

이와 같은 결과는 자원봉사 참여율을 산정하는 통계청의 사회조사가 조사 대상 중 1년 동안 자원봉사에 참여한 비율을 산정하는 반면, 행자부 1365 포털이나 복지부 사회복지자원봉사시스템 그리고 여가부 및 문체 부 관리시스템에 등록하지 않고 자원봉사를 하거나, 각 부처의 관리시스 템이 통합되지 않아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한 자원봉사자 수가 누락되는 이유 중 하나는 개인이 실적 등록을 원치 않거나 기업 차원에서 사회공헌활동으로 행하는 자원봉사자들의 실적 등 록이 어렵다는 것이다. 현 관리시스템하에서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주말 자원봉사의 경우, 사원이 원하는 경우에만 정부의 관리시스템에 등록될 뿐 의무적으로 연동되지 않는다는 것과 기업 직원들의 경우 근무시간 중 이루어지는 자원봉사는 자원봉사 실적으로 인증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 이다.3)

둘째, 행자부 나눔포털에서 집계되는 자원봉사자 수의 경우 점차 증가 하고 있지만, 통계청의 사회조사를 기반으로 한 15세 이상 자원봉사 참가 율이 2009년을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점이다. 통계청 사회조사 를 기반으로 한 15세 이상 자원봉사 참가율은 2009년 19.3%에서 2015 년 16.3%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복지부의 사회복지자원봉사시스템에서 집계되는 연도별 자원봉사자 수 역시 동일 기간 연평균 –1.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행자부의 1365 포털 자원봉사 실적을 살펴보면 2006년 160만 명에서 2015년 374.6만 명으로 약 2.3배로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2010~2015)은 15.9%에 이른다.

3) 보건복지부(2012). 사회복지 자원봉사 관리규정(2010. 7. 1. 시행).

〈표 2-14〉 행자부 및 복지부 자원봉사 참여자 추이: 2010~2015년

(단위: 명)

구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활동 인원 3,746,577 3,174,876 2,642,529 2,163,174 1,743,394 1,790,411 전년 대비

증감 인원 571,701 532,347 479,355 419,780 47,017 186,511

활동 인원 1,438,086 1,780,798 1,384,549 1,353,476 1,531,268 1,509,572 전년 대비

증감 인원 -342,712 396,249 31,073 -177,792 21,696 주: 헌혈 실적 포함함.

자료: 행자부 자료는 행정자치부·한국지역정보개발원(2016) 내부자료,

복지부 자료는 한국사회복지협의회(2011~2014) 자원봉사 통계연보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016) 내부자료.

최근의 자원봉사활동이 감소 또는 답보 상태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부재한 것으로 보인다. 그 이유를 본고에서 추정해 보면 크게 2가지 차원, 즉 자원봉사자의 공급과 수요 측면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요 차원에서 자원봉사 수요처의 일거리가 감소하거 나 수요처 수 자체가 감소했다는 점이다. 실례로 행자부의 자원봉사센터 현황 자료에 의하면 일감 수가 2011년 37만 건에서 2015년 12.5만 건으 로 약 6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자원봉사 수요처 수에서도 2009년 6.4만 개에서 2015년 4.1만 개로 약 4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 난다. 결국 자원봉사 수요처가 감소하면서 일거리가 감소했고, 이에 따라 자원봉사자의 수도 감소했다는 것이다.

〈표 2-15〉 행자부 자원봉사 일감 수 및 수요처 연도별 추이: 2009~2015년

(단위: 건, 개) 구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일감 수 6,745 35,047 373,729 205,848 159,451 156,065 125,398

수요처 63,983 69,681 61,802 67,919 48,566 61,296 41,173 자료: 행정자치부·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2016). 2016 자원봉사센터현황. p.71, 75.

둘째는 공급 차원에서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자원봉사 참가율도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는 가정이다. 개인은 타인을 배려하는 심리적·경제적 여유 가 존재할 때, 자원봉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개인이 실업 상태에 놓인다면, 심리적·경제적 여유와 더불어 자원봉사 참가율도 감소할 가능 성이 높다. 실제로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친 2011년 이후, 실업률과 자원 봉사 참가율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음(-)의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

〔그림 2-1〕 실업률과 자원봉사 참가율 추이: 2006~2015년

(단위: %)

자료: 통계청 사회조사 각 연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고용동향 각 연도.

이와 관련해 2015년 행자부의 1365 포털 자원봉사자 현황을 살펴보 면, 20대 이하를 제외한 30대 이상 자원봉사자 비중이 2010년에 비해 3.1~5.5% 포인트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20대 이하는 대학 입시와

4) 본고에서는 실업률과 자원봉사 참가율 간의 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음의 관계가 신뢰수 준 90% 수준에서 유의하였으나, 실업률과 자원봉사 참가율에 대한 측정치가 30개 미만 이어서 일반화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가능성만을 제시함.

취업 준비를 위한 실적 때문에 자원봉사가 증가한 반면, 직장인이 대부분

전체 3,745,259 100.0 1,524,908 40.7 2,220,351 59.3 10대 이하 1,647,733 44.0 733,020 19.6 914,713 24.4

전체 1,790,363 100.0 723,619 40.4 1,066,744 59.6 10대 이하 627,045 35.0 303,233 16.9 323,812 18.1

이러한 경향은 복지부의 사회복지자원봉사인증시스템(이하 VMS)에서

전체 1,438,086 100 602,877 100 835,209 100 10대 이하 531,401 37.0 237,151 39.3 294,250 35.2 20대 450,047 31.3 200,202 33.2 249,845 29.9

30대 94,224 6.6 51,555 8.6 42,669 5.1

40대 138,525 9.6 50,555 8.4 87,970 10.5

50대 129,575 9.0 42,650 7.1 86,925 10.4

60대 이상 94,314 6.6 20,764 3.4 73,550 8.8

전체 1,509,572 100.0 644,658 100.0 864,914 100.0 10대 이하 47,930 3.2 22,089 3.4 25,841 3.0 20대 763,748 50.6 339,145 52.6 424,603 49.1

30대 149,965 9.9 70,517 10.9 79,448 9.2

40대 198,288 13.1 106,900 16.6 91,388 10.6 50대 192,750 12.8 67,411 10.5 125,339 14.5 60대 이상 156,891 10.4 38,596 6.0 118,295 13.7 10

15

전체 -71,486 0.0 -41,781 0.0 -29,705 0.0

10대 이하 483,471 33.8 215,062 35.9 268,409 32.2 20대 -313,701 -19.3 -138,943 -19.4 -174,758 -19.2 30대 -55,741 -3.3 -18,962 -2.3 -36,779 -4.1 40대 -59,763 -3.5 -56,345 -8.2 -3,418 -0.1 50대 -63,175 -3.8 -24,761 -3.4 -38,414 -4.1 60대 이상 -62,577 -3.8 -17,832 -2.6 -44,745 -4.9 주: 헌혈 실적 제외.

자료: 한국사회복지협의회(2016). 2010년 사회복지자원봉사 인증관리 데이터베이스 자료와 보건 복지부(2015). 사회복지자원봉사 통계연보 자료를 기반으로 재분석.

또한 자원봉사 1인당 참여 횟수에서는 자원봉사 영역에 따라 약간 차

다만 복지부의 VMS 자료는 과거에 비해 현재 자원봉사 횟수가 대동소

2. 자원봉사 시간

우선, 행자부 1365 포털 자료에 의하면 자원봉사자 1인당 1년간 평균

둘째, 행자부 자료는 1인당 자원봉사 누적시간 감소에도 불구하고 자

이와 같은 경향은 복지부의 VMS 포털의 1회당 자원봉사 시간에서도

3. 자원봉사 내용

한편, 자원봉사 영역에서는 기존의 단순 노동력 제공에서 다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우선 행자부 1365 포털 자료에 의하면, 2015년 기준, 생활편의가 전체 자원봉사의 25.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안 전·방범(16.5%), 문화행사(11.6%), 교육(7.5%), 환경보호(7.2%) 등의 순 이었다. 그러나 2010년도 대비 각각 19.0% 포인트, 10.4% 포인트, 9.7% 포인트, 5.8% 포인트, 5.7% 포인트 증가에 그친다.

〈표 2-24〉 행자부 1365 포털 자원봉사활동 영역별 자원봉사자 수 및 비중

(단위: 명, %, %p)

구분 2015년 2010년 2015-2010년 격차

봉사자 수 % 봉사자 수 % 봉사자 수 %p

전체 3,745,259 100.0 1,790,363 100.0 1,954,896 0.0 생활편의 969,744 25.9 124,127 6.9 845,617 19.0 주거환경 135,612 3.6 8,935 0.5 126,677 3.1

상담 41,111 1.1 11,608 0.6 29,503 0.4

교육 280,400 7.5 31,311 1.7 249,089 5.8

보건의료 47,527 1.3 14,609 0.8 32,918 0.5

농어촌 21,597 0.6 1,706 0.1 19,891 0.5

문화행사 435,200 11.6 34,735 1.9 400,465 9.7 환경보호 269,666 7.2 26,364 1.5 243,302 5.7 행정보조 244,611 6.5 26,401 1.5 218,210 5.1 안전·방범 617,258 16.5 108,338 6.1 508,920 10.4

인권·권익 10,295 0.3 280 0.0 10,015 0.3

재해·재난 10,804 0.3 1,248 0.1 9,556 0.2

국제협력 14,442 0.4 2,850 0.2 11,592 0.2

멘토링 40,205 1.1 1,069 0.1 39,136 1.0

기타 606,787 16.2 1,396,782 78.0 -789,995 -61.8 자료: 행정자치부·한국지역정보개발원(2016). 2010·2015년 자원봉사 운영실적 통계 원자료를 기반

으로 재분석.

연평균 증가율에서는 비중이 높은 5대 자원봉사활동 중 문화행사 (65.8%) 이외에 멘토링(106.6%), 인권·권익(105.6%), 주거환경(72.3%), 농어촌(66.1%)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영역은 비중 에서도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전통적인 자원봉사 영역인 생활편의, 교육 보건의료, 등의 비중은 2015년 기준 각각 25.9%, 7.5%, 1.3%로 전체 중 약 40% 미만을 차지하지만 최근에 급증하는 안전·방범(16.5%), 문화행 사(11.6%), 환경보호(7.2%), 행정보조(6.5%), 주거환경(3.6%) 등의 새로 운 봉사영역 비중도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표 2-25〉 행자부 자원봉사활동 영역별 연평균 증가율: 2010~2015년

(단위: %)

활동 분야 전체

성별 연령

남성 여성 10대

이하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 전체 15.9 16.1 15.8 21.3 28.5 3.4 9.1 10.8 15.9 생활편의 50.9 44.2 54.8 57.9 67.2 34.6 42.0 44.2 50.9 주거환경 72.3 59.8 79.0 80.3 91.0 53.7 62.2 64.7 72.3 상담 28.8 9.1 37.4 34.8 42.7 14.9 21.2 23.1 28.8 교육 55.0 52.3 56.8 62.3 71.8 38.3 45.9 48.2 55.0 보건의료 26.6 14.3 32.8 32.5 40.3 12.9 19.2 21.0 26.6 농어촌 66.1 75.8 58.1 73.9 84.2 48.3 56.4 58.8 66.3 문화행사 65.8 65.2 66.2 73.5 83.8 47.9 56.1 58.5 65.8 환경보호 59.2 67.4 52.5 66.6 76.4 42.0 49.9 52.2 59.2 행정보조 56.1 39.4 64.3 63.4 73.0 39.2 46.9 49.2 56.1 안전·방범 41.6 56.1 26.7 48.2 57.0 26.3 33.3 35.4 41.6 인권·권익 105.6 106.3 105.2 114.8 129.1 83.6 93.7 96.5 105.7 재해·재난 54.0 72.4 33.3 61.1 70.9 37.3 44.9 47.2 54.0 국제협력 38.3 39.5 37.6 44.8 53.3 23.4 30.2 32.2 38.3 멘토링 106.6 101.8 109.6 116.2 129.2 84.3 94.3 97.4 106.7 기타 -15.4 -16.2 -14.8 -11.4 -6.2 -24.5 -20.3 -19.1 -15.4 자료: 행정자치부·한국지역정보개발원(2016). 2010·2015년 자원봉사 운영실적 원자료를 기반으

로 재분석.

이러한 경향은 복지부 VMS 사회복지 자원봉사 인증포털에서도 동일 하게 나타난다. 전통적인 봉사 영역인 시설봉사와 재가봉사 비중은 2010

년도 대비 2015년도에 각각 6.2% 포인트, 2.0% 포인트 감소하였지만,

전체 1,676,182 100.0 1,682,550 100.0 -6,368 0.0 시설봉사 1,098,938 65.6 1,206,763 71.7 -107,825 -6.2

재가봉사 95,991 5.7 130,655 7.8 -34,664 -2.0

전문봉사 45,744 2.7 42,788 2.5 2,956 0.2

지역사회봉사 138,769 8.3 120,034 7.1 18,735 1.2

해외봉사 5,205 0.3 6,031 0.4 -826 0.0

기타봉사 291,535 17.4 176,279 10.5 115,256 6.9 주: 헌혈 실적 포함.

4. 자원봉사 수요처

앞서 본고에서는 2015년 기준, 행자부의 자원봉사 수요처가 2010년 대비 약 40% 감소한 4.1만 개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는 약 5년 동안 연 평균 약 10%씩 감소한 수치이다. 이들 행자부의 자원봉사 수요처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면 공익 목적의 비영리 복지, 보건·의료·요양 시설과 문화, 체육 등의 시설을 의미하는 민간시설이 약 31.8%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 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다음으로 시민단체 등 공익 목적으로 활 동하고 있는 비영리기관 및 단체가 20.4%로 전체 수요처 중 민간 비영리 기관 및 시설이 약 52.2%를 차지한다.

〈표 2-28〉 행자부 자원봉사 수요처 연도별 추이: 2010~2015년

(단위: 개, %)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연평균

증가율 수요처 69,681 61,802 67,919 48,566 61,296 41,173 -10.0 자료: 행정자치부·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2016). 2016 자원봉사센터현황. p.75.

〈표 2-29〉 2015년 기준 행자부 자원봉사 수요처 현황

(단위: 개, %)

구분 전체 행정

기관

공공 기관

공공 시설

민간

기관 기업체 시설 기타

기관 기업체 시설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