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위논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8-123)

박사학위

Ÿ 계보경.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기반 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전감(Presence), 학습몰입 (Flow),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2007.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구성욱. 현대 형상 회화에서 공간의 혼성에 관한 연구-리얼리티 공간의 새 지평-. 2017. 홍익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권종산. 실감가상현실을 활용한 경험학습 게임 콘텐츠의 개발 및 평가에 대한 연구.

2017.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김병규. 뉴 미디어 아트에서의 공간양상에 관한 연구. 2010.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김세영. 디지털 공간의 실재감을 통한 사용자의 긍정적 경험 확장에 관한 연구. 2014. 홍 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김수민. 뉴 미디어 하이퍼파사드 광고 디자인 요소에 따른 감정반응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 향. 2014.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김우상. 몰입형 가상현실의 경험모델과 검증에 관한 연구. 2020.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김장현.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환상성의 표현 유형과 미적 특성: 문학적 환상성 이론을 중심으로.

2015.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박기덕.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자연사 VR AR 프로젝션 맵핑 연구. 2021. 동국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Ÿ 박신영. 미디어 콘텐츠 이용 과정에 나타난 판타지 욕구와 플로우 경험. 2009. 경북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Ÿ 박월미. 현대패션에 표현된 환상성 연구-환상미술의 개념적 접근을 중심으로-. 2016. 전남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박지원. VR공간에서의 비현실적 경험에 대한 플로우 형성 과정 : 판타지 인식과 현전 인식 을 매개로. 2020.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박진희. 입체영상에서 지각공간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2008.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박형진. 슐츠의 실존적 공간론을 기반으로 한 현대건축 실내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2008.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변수연. 시청각 데이터를 활용한 다감각적 공간에 관한 연구. 매개 현실 기반 뉴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탈 물질화 공간. 2018.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성지선. 융복합 무용공연의 플로우(Flow)가 기술수용모델(TAM)의 공연태도와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2021.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손국봉. 무대예술과 결합한 디지털 영상 표현의 재매개와 시공간 확장성에 관한 연구. 2021. 대 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송미숙. 3D디지털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촉각성이 수용자의 현전감(Presence)에 미치는 영향.

2015.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송은주. 뉴 미디어 아트에서 매체 역할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2010.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유 정.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체험형 전시공간의 특성 연구 : 한·중 현대 미술관 사례 중 심으로. 2020.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이미숙. 내부공간의 토포스조형에 관한 연구. 2016.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이예린. 반영 이미지의 환상성-레안드로 에를리치(Leandro Erlich)를 통해 바라본 거울과 창문 환상. 2017.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이이남. 미디어 아트의 시뮬라크르에 대한 메타포리즘 해석학-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2017.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이소영. 뉴 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성을 기반으로 한 문화콘텐츠 확장 연구. 2016. 홍익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이승하. 디지털 이미지의 가상과 실재 상호작용 표현연구. 2018.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

Ÿ 이용수.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의 상호작용 특성 : 피어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2015.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장연이. 디지털 미디어 아트에 표현된 가상공간에 관한 연구. 2011.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정의태. 공간콘텐츠 경험 확장을 위한 디지털미디어기술 연구. 2020. 안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Ÿ 조수진. 2D 스테레오 VR 애니메이션의 현전감 강화를 위한 공간 연출 방안 연구. 2021. 이화여 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진성신. 실험영상에서 색감과 형태에 따른 프레즌스 강화. 2016.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최원호. 디지털 영상의 존재론적 특성. 2014.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최유식. 디지털 공간 디자인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첨단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해외 사례를 중심 으로. 2014.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Ÿ 하은경.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몰입구조에 관한 연구. 2010.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Ÿ 한윤정. 매개 현실 기반 뉴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탈물질화 공간. 2018.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Ÿ LIU KUN. 뉴 미디어 아트에 나타난 시각주체의 탈원근법적 해체성 연구. 2020. 한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석사학위

Ÿ 강재혁. ‘가상적(virtual) 공간의 생산’에 대한 연구-라인 프렌즈 스토어를 중심으로-. 2018. 서 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권정호. 현대공간의 가상적 속성에 관한 연구: 현존(Presence)이론을 중심으로. 2021.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김소연. 뉴 미디어 표현 특성을 활용한 패션라이프스타일샵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2016.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김수민. 디지털미디어를 활용한 스포츠플래그쉽 센터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2016. 홍익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김효연. 몰입경험요소를 적용한 기업홍보관 실내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2013. 홍익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Ÿ 문정준. 가상체(Virtual object)를 이용한 혼합현실공간(MRS)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2012.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박수연. 뉴 미디어 공간에서 재매개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2018.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

Ÿ 박제현. 아트 마케팅 공간의 비일상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국내 백화점 공간 활용 사례 중심으 로-. 2021.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박한별. 총체예술로서 나타나는 뉴미디어아트의 특성 연구. 2015.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배우리.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과 뉴미디어아트의 관계 연구. 2015.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송인진. 뉴 미디어를 적용한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연구. 2009.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신석근. 미디어아트 마술공연이 관객몰입 및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2019.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양현정. 실뱅 쇼메의 작품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2013.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양혜진. 현실과 가상의 조합에 의한 공간 연출방법의 유형화 제안-생태공간을 사례로-. 2018. 서 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오승희. 디지털 미디어에 의한 공간체험의 몰입구조에 관한 연구. 2010. 홍익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Ÿ 이예지. 공간에 표현되는 뉴 미디어아트 특성을 반영한 컨셉스토어 디자인에 관한 연구. 2021.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정은하. 디지털미디어를 적용한 감성공간 표현에 관한 연구: 인지 과정의 체험 중심으로. 2010.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정현정. 미술관의 시지각적 공간시퀀스에 관한 연구-비일상적 공간경험을 중심으로-. 2012 홍익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조문가. 상업공간에 있어 디지털미디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페르소나 기반 사용자 시나 리오 기법으로. 2016. 한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최지은. 상업공간에 있어 뉴 미디어 아트의 주름 공간 표현 특성 연구. 2011.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최진경. 시뮬라크르를 반영한 뉴 미디어아트 전시공간의 감각적 표현 특성 연구. 2020.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Ÿ 허성환. 뉴 미디어 패러다임에 따른 미디어 공간특성 연구. 2013.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Ÿ 황보성희. 21세기 디지털사회의 건축적 경험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2006.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학회논문

Ÿ 강재묵 외. “미디어 공간에서 인간과 예술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vol.7, no.1, 2012.

Ÿ 김리현, 윤갑근. “뉴 미디어를 통한 실내공간 확장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vol.-, no.68, 2019.

Ÿ 김성진 외. “체험형 전시공간에서 프레즌스의 경험 증대를 위한 인터랙티브 디자인 연구”.

한국HCI학회, vol.2010, no.1, 2010.

Ÿ 김영하 외. “가상현실 관광콘텐츠 사용자의 프레즌스 경험 및 프레즌스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vol.32, no.7, 2020.

Ÿ 목진혁 외. “과학관 전시에 있어서 몰입환경 최적화 연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 학회, vol.13, no.6, 2018.

Ÿ 박윤경. “음악적 판타지에 관한 소고”. 음악이론 연구, vol.18, no.-, 2012.

Ÿ 박정은 외. “상업공간에서 소비자 체험 마케팅을 위한 증강현실 활용사례 연구”. 한국실내디 자인학회, vol.30, no.2, 2019.

Ÿ 박정화 외. “극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난 트랜스미디어 표현사례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vol.13, no.4, 2018.

Ÿ 박정화 외.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극 공간디자인의 환영적 연출사례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vol.14, no.6, 2019.

Ÿ 박진영 외. “무용공연 콘텐츠에서의 프로젝션 맵핑 효용가치 연구”. 한양대학교 우리춤 연구 소, vol.15, no.3, 2019.

Ÿ 백승주 외. “디지털 미디어 퍼포먼스 공간에서의 프레즌스(presence)효과에 관한 연구 : 홀로그 래픽 미디어 활용사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회, vol.12, no.4, 2011.

Ÿ 신동진. “프로젝션 매핑 영상미디어를 통한 실내공간의 장소성 연출에 관한 융합디자인 연구”. 한 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5, 2019.

Ÿ 엄준필 외. “스포츠 광고의 프레즌스, 플로우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2D와 3D 광고의 비교”. 한국체육학회, vol.56, no.4, 2017.

Ÿ 오선애 외. “박물관의 몰입이론을 적용한 전시연출 환경 요건에 관한 연구 : 관람자 중심의 체험전시 위주로”.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vol.11, no.3, 2011.

Ÿ 이영우. “관람형 VR콘텐츠의 프레즌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트아 트학회, vol.23, no.1, 2020.

Ÿ 이정학 외. “스크린골프 이용고객의 프레즌스(presence)가 몰입, 이용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골프학회, vol.14, no.4, 2020.

Ÿ 유단경 외. “미술관 전시공간 내 뉴 미디어의 체험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 회, vol.14, no.4, 2019.

Ÿ 최은신 외. “엑스포 전시공간에서 유희의 표현 특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vol.14, no.3, 201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18-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