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실내공간에 표현된 뉴 미디어 특성에 관한 측정변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69)

로우(flow), 현전감(presence)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을 분석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변수인 뉴 미디어 특성, 판타지경험, 플로우(flow), 현전감 (presence) 변수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계수 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변수 간 영향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가설검증은 다중 회귀분석 (Multi-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한편, 각 변수 간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판타지경험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매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상의 통계적 분석과 가설검증의 유의수준은 α=.05에서 수행하였다.

3.3.3 측정문항의 구성

본 연구의 측정 도구는 연구모형에 제시된 4개의 변수, 즉 실내공간에 표현된 뉴 미디어 특성, 판타지경험, 플로우, 현전감으로서 각각의 변수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문항은 모두 리커트(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먼저, 뉴 미디어 특성의 경우 측정항목은 ‘사이버스페이스’ 7문항, ‘상호작용 성’ 7문항, ‘하이퍼미디어’ 7문항, ‘다감각체험’ 13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판타지경 험’ 5문항, ‘플로우’ 4문항, ‘현전감’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측정항목의 구성은 선 행연구 검토 및 전문가 자문, 예비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확정하였다. 따라서 별도 의 요인추출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과정은 생략하였다. 측정 문항의 내용 및 구성은 [표 3-2] - [표 3-8]에 제시한 바와 같다.

특성으로 선정하였다. 현재 공간구성으로 뉴 미디어 공간에 대한 인식을 측정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실내공간에 표현된 뉴 미디어 특성을 독립변수 로 측정한 연구가 부재하여 추후 뉴 미디어 공간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틀을 마련 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도출한 뉴 미디어 특성을 사이버스페이스(7문항), 상호작용성(7문항), 하이퍼미디어(7문항), 다감각체험(13문항)의 34문항으로 구성하 여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질문들의 세부 요소는 다음 [표 3-2] - [표 3-5]와 같다.

[표 3-2] 사이버스페이스 측정문항

[표 3-2]는 사이버스페이스 측정 문항을 정리한 표로, 세부 요소는 ‘공간형태의 유연화’, ‘공간의 탈구조화’, ‘공간의 무한자율성’, ‘무한한 공간표현’, ‘확장된 공간 감’, ‘공간 입체감’,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험’ 등 7개이며, 이에 맞춰 질문내용을

구분 질문내용 세부 요소 연구자

사이버 스페이스

1.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은 형태를

유연하게 한다. 공간형태의 유연화 허성환(2014)

2.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은 탈구조

적으로 보이게 한다. 공간의 탈구조화 김병규(2010),

김리현·윤갑근(2019), 박한별(2014), 3.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은 무한한

자율성을 부여한다. 공간의 무한자율성 황진수(2014),

허성환(2014), LIU KUN(2020) 4.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은 무한한

공간을 표현한다. 무한한 공간표현 김리현·윤갑근(2019),

박한별(2014)

5.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은 새로운

차원의 확장된 공간감을 부여한다. 확장된 공간감

이현영(2007), 김병규(2010), 송은주(2010), 박한별(2014), 지호준(2021) 6.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은 입체감

을 준다. 공간 입체감 이미숙(2017),

김리현·윤갑근(2019) 7.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경험

이현영(2007), 송은주(2010), 박한별(2014)

구성하였다.

상호작용 측정 문항의 세부 요소는 ‘인터페이스’, ‘사운드 매체’, ‘호기심 자극’,

‘참여와 소통’, ‘체험 유도’, ‘공간이해 유익’, ‘공간경험 유익’ 등 7개로 다음 [표 3-3]과 같다.

[표 3-3] 상호작용성 측정문항

하이퍼미디어 측정 문항의 세부 요소는 ‘다차원적 공간 제시’, ‘고정적 공간표현 한계 극복’, ‘물리적 공간의 경계 제거’, ‘창조적 공간 표현’, ‘시각적 연속성 부여’,

‘재미요소 제공’, ‘상상력 요소 제공’ 등 7개로 다음 [표 3-4]와 같다.

구분 측정문항 세부 요소 연구자

상호작용

8. 뉴 미디어 기술 매체에 있어서 인터 페이스는 새로운 이미지의 움직임을 보

여준다. 인터페이스

박한별(2014), 이미숙(2017), 김리현·윤갑근(2019),

LIU KUN(2020), 지호준(2021) 9. 뉴 미디어 기술 매체에 있어서 사운

드는 새로운 이미지의 움직임을 보여준

다. 사운드 매체 박한별(2014)

10. 뉴 미디어 기술 매체와 조건에 따 른 공간의 재구성은 인간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호기심 자극 이현영(2007),

허성환(2014),

11. 인간의 참여와 소통을 유도한다. 참여와 소통

이현영(2007), 김병규(2010), 송은주(2010), 이종석(2012), 박한별(2014), 이미숙(2017), 김리현·윤갑근(2019),

LIU KUN(2020), 지호준(2021)

12. 인간의 직접적인 체험을 유도한다. 체험유도

김병규(2010), 이종석(2012), 허성환(2014), 김리현·윤갑근(2019)

LIU JUN(2020), 지호준(2021) 13. 공간을 이해하는 데 유익하다. 공간이해 유익 김병규(2010), LIU KUN(2020),

14. 공간을 경험하는 데 유익하다. 공간경험 유익 김병규(2010), 허성환(2014), 김리현·윤갑근(2019)

[표 3-4] 하이퍼미디어 측정문항

구분 측정문항 세부 요소 연구자

하이퍼 미디어

15. 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등 하이퍼미디어가 결합된 공 간은 공간을 더욱더 다차원적 으로 보여준다.

다차원적 공간 제시

이현영(2007), 김형기(2009), 송은주(2010), 이종석(2012), 박한별(2014) 김리현·윤갑근(2019),

LIU KUN(2020), 지호준(2021) 16. 하이퍼미디어의 역동적인

움직임은 공간의 고정적 표현 한계를 극복한다.

고정적 공간표현 한계 극복

송은주(2010), 허성환(2014), 김리현·윤갑근(2019) 17. 하이퍼미디어 공간은 물

리적 공간의 제한된 경계를 허문다.

물리적 공간의

경계 제거 허성환(2014),

김리현·윤갑근(2019) 18. 하이퍼미디어 공간은 맥

락과 관계없는 흐름을 통해

창조적인 공간을 표현한다. 창조적 공간표현 김병규(2010), 이미숙(2017), 지호준(2021) 19. 하이퍼미디어 공간은 시

각적 연속성을 부여한다. 시각적 연속성

부여 박한별(2014)

20. 하이퍼미디어 공간은 더

많은 재미요소를 제공한다. 재미요소 제공 박한별(2014), 지호준(2021)

21. 하이퍼미디어 공간은 상

상력을 더 자극한다. 상상력 요소 제공 지호준(2021)

다감각체험 측정 문항의 세부 요소는 ‘공간 깊이감 체험’, ‘착시의 시각적 흥미’,

‘사운드의 시각화 체험’, ‘청각과 시각을 통한 공간집중’,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각화된 공간체험’, ‘촉각과 시각을 통한 공간 집중’,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한 청 각적 공간체험’, ‘촉각과 청각을 통한 공간 집중’, ‘향기와 이미지 움직임 공간체험’,

‘후각과 시각을 통한 공간 집중’, ‘다양한 감각을 통해 다채로운 공간체험’, ‘뉴 미 디어 공간에 대한 흥미’, ‘다감각체험의 즐거움’ 등 13개로 다음 [표 3-5]에 보이는 바와 같다.

[표 3-5] 다감각체험 측정문항

구분 측정문항 세부 요소 연구자

다감각 체험

22. 풍부한 이미지를 통해 공간의

깊이감을 체험할 수 있다. 공간 깊이감 체험 김리현·윤갑근(2019), LIU KUN(2020), 23. 착시를 통해 시각적 흥미를

느낄 수 있다. 착시의 시각적 흥미 김리현·윤갑근(2019)

24. 사운드가 시각적으로 구현되

는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사운드의 시각화 체험

송은주(2009), 박한별(2014), LIU KUN(2020),

지호준(2021) 25. 청각과 시각적 감각을 통해

공간에 집중할 수 있다.

청각과 시각을 통한 공간집중

송은주(2009), 박한별(2014), LIU KUN(2020),

지호준(2021)

26.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

화된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각화된 공간체험

송은주(2009), 박한별(2014), 김리현·윤갑근(2019),

LIU KUN(2020), 지호준(2021) 27. 촉각과 시각적 감각을 통해

공간에 집중할 수 있다. 촉각과 시각을 통한 공간집중

송은주(2009), 박한별(2014), 김리현·윤갑근(2019),

지호준(2021) 28.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청각

적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터치 인터페이스를 통한 청각적 공간체험

송은주(2009), 박한별(2014), LIU KUN(2020),

지호준(2021) 29. 촉각과 청각적 감각을 통해

공간에 집중할 수 있다. 촉각과 청각을 통한 공간집중

송은주(2009), 박한별(2014), LIU KUN(2020),

지호준(2021) 30. 향기가 이미지의 움직임으로

표현되는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향기와 이미지 움직임

공간체험 LIU KUN(2020) 31. 후각과 시각적 감각을 통해

공간에 집중할 수 있다. 후각과 시각을 통한

공간집중 LIU KUN(2020) 32. 다양한 감각을 통해 다채로운

공간을 체험할 수 있다. 다양한 감각을 통해 다채로운 공간체험

박한별(2014), 김리현·윤갑근(2019),

LIU KUN(2020) 33. 다감각체험을 통해 뉴 미디어

공간에 흥미를 느낀다.

뉴 미디어 공간에

대한 흥미 김리현·윤갑근(2019) 34. 다감각체험은 매우 즐겁다. 다감각체험의 즐거움 박한별(2014),

김리현·윤갑근(2019)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