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

1) 학교시설 이용에 관한 인지정도

“지역사회 주민과 학부모들이 학교수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학교의 교 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1>과 같다.

<표 Ⅳ-1> 학교시설 이용에 관한 인지정도

명 ( % )

학부모 교사 전체

알고 있음 224(44.4) 201(88.9) 425(58.1)

모르고 있음 281(55.6) 25(11.1) 306(41.9)

전체 505(100.0) 226(100.0) 731(100.0)

x

2

(df) 127.502(1)***

*** p<.001

<표 Ⅳ-1>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지역사회 주민과 학부모들이 학교수업에 지 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학교의 교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알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학부모의 44.4%는 알고 있었으며, 55.6%는 모르고 있 었다. 또한 교사의 88.9%는 알고 있었고, 11.1%는 모르고 있었다. 이는 집단 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평생학습 프로그램 실시의 필요성

“학교에서 지역주민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에 대 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2>와 같 다.

<표 Ⅳ-2> 평생학습 프로그램 실시의 필요성

명 ( % )

학부모 교사 전체

필요함 439(86.9) 187(82.7) 626(85.6)

필요하지 않음 66(13.1) 39(17.3) 105(14.4)

전체 505(100.0) 226(100.0) 731(100.0)

x

2

(df) 2.226(1)

<표 Ⅳ-2>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학교에서 지역주민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하 여 전체의 85.6%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14.4%는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부모의 86.9%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13.1%는 필요 하지 않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의 82.7%는 필요하다, 17.3%는 필요하지 않다고 응 답하였다. 이들 집단 간의 응답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3)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견

“평소에 관심이 있거나 배우고 싶었던 분야를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으로 개설한 다면 참여하겠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3>과 같다.

<표 Ⅳ-3> 평생학습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견

명 ( % )

학부모 교사 전체

적극 참여하고 싶음 69(13.7) 24(10.6) 93(12.7)

참여하고 싶음 285(56.4) 125(55.3) 410(56.1)

참여하고 싶지 않음 38(7.5) 49(21.7) 87(11.9)

전혀 참여하고 싶지 않음 6(1.2) 7(3.1) 13(1.8)

잘 모르겠음 107(21.2) 21(9.3) 128(17.5)

전체 505(100.0) 226(100.0) 731(100.0)

x

2

(df) 43.281(4)***

*** p<.001

<표 Ⅳ-3>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평소에 관심이 있거나 배우고 싶었던 분야 를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으로 개설한다면 참여하겠는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학부 모의 56.4%는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하였으며 모르겠다(21.2%), 적극 참여하고 싶다 (13.7%), 참여하고 싶지 않다(7.5%), 전혀 참여하고 싶지 않다(1.2%) 순으로 응답하 였다. 또한 교사의 55.3%는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하였으며 참여하고 싶지 않다 (21.7%), 적극 참여하고 싶다(10.6%), 모르겠다(9.3%), 전혀 참여하고 싶지 않다 (3.1%)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학부모의 8.7%가 참여의사가 없는 것에 비해 교사 는 24.8%가 참여의사가 없는 것으로, 집단 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부모에 비해 교사들이 학교평생 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의사가 훨씬 낮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4)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기대효과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이 학부모와 지역주민에게 어떤 측면 에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 -4>와 같다.

<표 Ⅳ-4>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기대효과

개발하여 취업하거나 부업을 갖는데 도움이 된다(2.2%)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집 단 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 은 결과는 교사의 과반수는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생학습 프로그램 운영이 취미나 여 가선용을 의미 있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반면 학부모들은 여러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5) 지방자치단체의 행 ․ 재정적 지원에 대한 의견

“지역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학교평생학습에 대한 행 ․ 재정적 지원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5>와 같다.

<표 Ⅳ-5> 지방자치단체의 행 ․ 재정적 지원에 대한 의견

명 ( % )

학부모 교사 전체

지원이 필요함 439(86.9) 214(94.7) 653(89.3)

지원 할 필요가 없음 66(13.1) 12(5.3) 78(10.7)

전체 505(100.0) 226(100.0) 731(100.0)

x

2

(df) 9.862(1)**

** p<.01

<표 Ⅳ-5>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지역 평생학습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 체의 학교평생학습에 대한 행 ․ 재정적 지원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 문에 대하여 학부모의 86.9%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13.1%는 지원할 필요 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의 94.7%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5.3%는 지원할 필요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집단 간 p<.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 집단이 학부모 집단에 비 하여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주민의 평생학습에 대한 책무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대하여 더 잘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6)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못한 이유

“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한 결과는 <표 Ⅳ-6>과 같다.

<표 Ⅳ-6>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못한 이유

명 ( % )

학부모 교사 전체

시간이 없어서 162(58.5) 41(44.1) 203(54.9)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어서 4(1.4) 4(1.1)

관심이 없어서 12(4.3) 16(17.2) 28(7.6)

프로그램이 맘에 들지 않아서 6(2.2) 9(9.7) 15(4.1)

운영하는지 몰라서 87(31.4) 17(18.3) 104(28.1) 학부모 또는 교사들과 함께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6(2.2) 10(10.8) 16(4.3)

전체 277(100.0) 93(100.0) 370(100.0)

x

2

(df) 45.048(5)***

*** p<.001

<표 Ⅳ-6>에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학교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하여 학부모의 58.5%는 시간이 없다고 응답하였으 며 운영하는지 몰라서 31.4%, 관심이 없어서 4.3%, 교사들과 함께하는 것이 부 담스러워서 2.2%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의 44.1%는 시간이 없어서 라고 응답하였으며 운영하는지 몰라서 18.3%, 관심이 없어서 17.2%, 학부모와 함께하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10.8% 등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집단 간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 부모 과반수이상이 시간이 없거나 운영하는 것을 몰라서 참석하지 못한 것에 비해 교사들은 시간이 없는 경우 외에도 관심이 없거나 학부모와 함께하는 것을 부담스러 워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