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핀란드 산업클러스터 1) 육성정책

문서에서 미국의 최근 (페이지 31-34)

클러스터 정책의 도입 배경

핀란드 클러스터 정책은 1990년대 초 심각한 경기침체 이후, 경제 활성화의 목적 을 가지고 R&D 중심의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전략에서 비롯되었다. 핀란 드는 포터(M. Porter)의 산업클러스터 개념을 1993년 산업 전반에 적용하였고 1995 년 클러스터 시범사업 실시 후, 산업발전을 위한 국가정책으로 발전시켰다. 핀란드 의 클러스터 정책은 크게 국가 클러스터 정책과 지역중심의 클러스터 정책으로 구 분할 수 있다. 국가 클러스터 정책은 국내 가장 두드러진 기술산업을 지원하기 위 한 수단으로, 대표적으로 바이오산업 중심의 오룰루(Oulu) 클러스터를 꼽을 수 있 다. 한편 지역중심의 클러스터 정책은 전문기술지원센터(centers of expertise) 프로그 램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지역별 허브센터를 구축하여 지역별 장점과 전문성을 중 심으로 한 협력적 지역발전 모델이다.

1) 산업 클러스터(industrial cluster)에 대한 논의는 유럽의 경험적 연구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며, 1890년 마샬(A.

Marshall)경제원론(Principles of Economy)」에 게재한 전문화된 산업입지의 외연성이라는 글에서 최초로 클러스터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음. 1990년 미국 하버드대학의 포터(M. Porter)는 클러스터의 특정 단면 또는 유형 에서 한 단계 나아가 역동적인 경쟁이론에 접목시킴으로써 연구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캘리포니아의 실리콘밸리 (Silicon Valley)가 산업 클러스터의 성공사례로 알려지면서 연구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음. 포터(M. Porter, 1998) 는 클러스터의 개념을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경쟁우위를 확보 또는 유지하는 방법에 관한 사 수출 부진, 원자재

가격의 상승 등으로 핀란드 내 제조업체 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단계적으로 제품의 생산량을 줄 이고 있는 상황이다.

핀란드는 포터(M.

Porter)의 산업클러 스터 개념을 1993년 산업 전반에 적용하 여 산업발전을 위한 국가정책으로 발전 시켰다.

전문기술지원센터, 지역 경쟁력과 전문성 강화 수단

핀란드는 오랫동안 자국 회사의 지역적인 특화와 경쟁력에 대해 고민하였으며, 무엇보다 R&D 투자의 중요성과 지역혁신의 필요성을 공유하였다. 기존 정책과 달리, 전문기술지원센터 모델의 중대한 변화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지역 중심의 정책이라는 점이다. 지역의 특수성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산·학·연·관의 협 력적 관계를 중시하는 전문기술지원센터는 분명 지역개발과 지역혁신을 위한 전 략적 수단이다. 본 프로그램은 궁극적으로는 지역 내 일자리의 창출, 퇴출 방지, 신규 창업 촉진 등 지역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다양한 지역혁신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기술지원센터의 지원체계

정부는 1994∼1998년의 기간 동안 8개의 전문기술지원센터 프로그램을 1차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이후 2차(1999∼2006년), 3차(2007∼201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확대 하고 있다. 현재는 13개 클러스터와 21개 전문기술지원센터가 지정·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전문기술지원센터 프로그램은 내무부(Ministry of Interior) 소속 지역개발부 (Department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s) 정책위원회(Multi·disciplinary Committee)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데, 위원회는 과학기술과 관련한 문제들에 대해 자문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임무는 국가 혁신체계의 구축, 과학기술 정책의 조정과 전략 개발 등이며, 전문기술지원센터의 선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칙은 지역산업의 경쟁력 강화 여부이다. 즉, 지역혁신 가능성, 프로그램 기획과 조직운영 능력, 그리고 지속 적인 개발운영 능력 등에 중점을 둔다. 지원 예산의 경우, 초기단계는 국고에서 지 원되며 나머지는 지방정부, 기업, 대학 등 민간·공공부문의 펀드 등 해당지역에서 자체 조달해야 한다. 국립기술원(TEKES national technology agency)과 핀란드학술원 (Academy of Finland research funding agency)은 R&D부문의 투자사업, 특히 지역 특화 사업, 첨단산업 등을 지원하고 있다. 프로그램의 행정을 책임지는 정부기관은 내무 부 지역개발부이지만, 실제 지역별 프로그램의 운영은 산·학·연·관의 협력에 의해 이루어지며, 운영 책임은 지역 전문기술지원센터에서 맡고 있다. 전문기술지원센 터는 지역 내 클러스터 주체들과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협력하고 사업화 방안들에 대한 연구와 투자를 병행하며, 궁극적으로 자본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들을 발 굴하여 산업체의 경영혁신을 지원한다.

전문기술지원센터 는 지역 내 클러스터 주체들과 다양한 분 야에 걸쳐 협력하고 사업화 방안들에 대 한 연구와 투자를 병 행한다. 궁극적으로 는 자본화할 수 있는 사업들을 발굴한다.

전문기술지원센터 모델의 중대한 변화 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지역중 심의 정책이라는 점 이다.

그림 3 전문기술지원센터(Center of Expertise)의 운영 체계

아이디어 발굴과 사업적 타당성 검증

상업화, 자본화, 사업화 Commercialization

전문기술지원센터 Center of Expertise 산업체

(Enterprise) 고객(Customer) 연구기관 (Research center) 대학

(University)

산업체(Enterprise)

연구기관(VTT, KCL, Melta...) 대학(University,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

재원조달(TEKES, EAKR, The 7 Research Framework Program of EU...)

생산품 Product 자원개발 Material 생산체계 Production 사업서비스 Service 아이디어 발굴 협력을 통한 혁신화 단계

Idea From Idea To Innovation

전문기술지원센터의 주요 역할과 성과

지역기반의 혁신체계 구축을 위해 고안된 전문기술지원센터는 대학, 산업체, 그 리고 정부의 협력적 관계를 중시하는 삼중나선체계(The Triple Helix, 민간부문, 공 공부문, 연구부문)를 전제로, 지역 내 존재하는 인적·물적 자원, 노하우(know-how), 지식들을 자본화하고, 사업적 타당성이 있을 경우에는 첨단화하도록 유도하고 있 다(정교한 기술개발이 목표는 아님). 더불어 지역 센터들은 협력적 관계 속에서 공 공·민간 프로젝트가 수행되도록 유도하는데, 종종 이를 위해서 지역 기술연구소나 과학단지를 이용하기도 한다. 새로운 프로그램의 도입과 확대는 센터들이 보다 폭 넓은 연구를 수행하도록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1차(1994∼1998년) 프로그램 운영 결과, 전문기술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지역과 클러스터 주체 간 협력관계가 강화되 었으며, 8,5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었고 290개의 하이테크 중소기업들이 창업에 성공했다. 그러나 기업 참여 부족 등의 문제가 지적되기도 하였다. 2차(1996∼2006 년) 프로그램 운영 결과, 새로운 영역과 분야의 전문기술지원센터가 활성화되었으 며, 지역 내 혁신활동이 촉진되고 제품개발, 중소기업 창업,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 제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대학, 산업체, 그리 고 정부의 협력적 관 계를 중시하는 삼중 나선체계(The Triple Helix)를 전제로, 지 역 내 존재하는 인 적·물적 자원, 노하 우, 지식 등을 자본 화한다.

문서에서 미국의 최근 (페이지 3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