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51)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직무스트레스를 통제하고, 직장 내 괴롭힘, 소진, 사회적 지지와 프리젠티즘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프리젠티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다중선형회 귀 분석을 실시하기 전, 회귀분석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규성, 이상값(outlier), Cook’s distance, 잔차의 독립성과 다중공선성을 확인하였다<표 8>. 먼저 잔차의 선형성(histogram), 잔차의 정규확률 그래프(normalprobability plot), 그리고 잔차의 등분산성(homoscedasticity)은 그래프를 통해 확인하였다<부 록 1>.

1) 프리젠티즘의 하위 요소인 직무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하게 나온 직장 내 괴롭힘, 소진, 사회적 지지가 프리젠티즘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의 조건을 만족하 는지를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 간 이상값의 분석 결과 값에서 ±3 안에 포함되지 않는 1개의 케이스가 발생되었다. 이상치를 포함할 경우 다중회귀분석은 안정된 모형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상값을 제거한 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Myers, 1989). 1개의 데이터를 삭제한 후 178명을 대상으로 다시 회귀분석 조건 을 검증한 결과, 이들 데이터들은 모두 ±3 안에 포함되어 이상값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력 분석을 Cook’s distance 통계량으로 확인한 결과 0.000~0.074 로 기준치인 1.0미만으로 나타나 회귀모형에 영향을 미치는 특이값이 없음을 확 인하였으며, 개체간의 독립성(자기상관)을 나타내는 Durbin-Watson 결과는 1.898 로 2에 가까워 개체간에 독립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설명 변수 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해 분산팽창인자(VIF)와 공차한계(tolerance)를 확인하였다. VIF값은 1.098~1.271로 10보다 작았으며, 공차한계는 0.787~0.910로 0.1이상~1.0이하로 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표 8>.

2) 프리젠티즘의 하위 요소인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에서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하게 나온 직장 내 괴롭힘, 소진이 프리젠 티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의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독립변수 간 이상값의 분석 결과 값에서 ±3 안에 포함되지 않는 2개의 케 이스가 발생되어 이를 삭제한 후 177명에 대한 회귀분석 조건을 검증하였다. 영 향력 분석을 Cook’s distance 통계량을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총 177개 중 175 개가 0.000~0.0088로 1.0 이하로 나타났다. 이상값을 삭제한 175명의 데이터들은 모두 ±3 안에 포함되어 이상값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간의 독립성(자기 상관)을 나타내는 Durbin-Watson 결과는 2.064로 2에 가까워 개체간에 독립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을 진단하기 위해 분산팽창인자 (VIF)와 공차한계(tolerance)를 확인하였다. VIF값은 1.102~1.242으로 10보다 작았 으며, 공차한계는 0.805~0.907로 0.1이상~1.0이하로,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표 8>.

<표 8> 다중회귀분석 실시를 위한 가정조건 검증

프리젠티즘 표준화 잔차 Cook’s distance

Durbin-

Watson VIF Tolerance 직무손실 -2.887-2.737 0.000-0.074 1.898 1.098~1.271 0.787~0.910

생산성 -2.820-2.156 0.000-0.088 2.064 1.102-1.242 0.805-0.907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인 프리젠티즘의 하위요소 중 직무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를 통제하고 본 연구의 변수인 직장 내 괴 롭힘, 소진, 사회적 지지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를 <표 9-1>에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통제변수인 직무스트레스 를 Model 1에 먼저 투입하였고, Model 2에는 본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하게 나 온 직장 내 괴롭힘, 소진, 사회적 지지를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먼저 통제변수로 직무스트레스를 투입한 Model 1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 다(F=14.74, p<0.001). 통제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프리젠티즘의 하위 요소인 직무 손실을 8.0% (R2=0.08)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변수인 직장 내 괴롭 힘, 소진, 사회적 지지를 추가 투입하여 형성된 Model 2의 회귀모형 또한 유의하 였다(F=11.52, p<0.001). 이 모형은 직무손실의 21.0% (R2=0.21)를 설명하였으며, Model 1에 비하여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2 변화량=0.13, F 변화량=9.72, p<0.001).

예측변수들 중 직무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무스트레스(t=2.80, p=0.006), 직장 내 괴롭힘(t=2.77, p=0.006), 소진(t=2.45, p=0.02)로 나타났다. 프리젠티즘의 하위 요소인 직무손실에서 직장 내 괴롭힘(β=.204)로 가장 큰 예측변수로 나타 났으며, 직무스트레스(β=.201), 소진(β=.187)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반면 단순 상관분석을 통해 직무손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였던 사회적 지지는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9-1> 프리젠티즘의 하위 요소인 직무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78*)

*1개의 이상값 삭제 변수

Model 1 Model 2

B SE β t p B SE β t p

상수 7.93 7.55 9.57 12.86

직무스트레스 0.29 0.08 .278 3.84 <0.001 0.21 0.08 .201 2.80 0.006

직장내괴롭힘 0.27 0.10 .204 2.77 0.006

소진 0.18 0.07 .187 2.45 0.02

사회적 지지 -0.32 0.19 -.122 -1.72 0.09

R2 = 0.80, F = 14.74 (p <0.001)

R2 = 0.21, R2 change = 0.13, F = 11.52 (p <0.001), F change = 9.72 (p < 0.001)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인 프리젠티즘의 하위 요소인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직무스트레스를 통제하고 본 연구의 변수인 직장 내 괴 롭힘, 소진, 사회적 지지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를 <표 9-2>에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통제변수인 직무스트레스 를 Model 1에 먼저 투입하였고, Model 2에는 본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하게 나 온 직장 내 괴롭힘, 소진을 투입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통제변수로 직무스트레스를 투입한 Model 1의 회귀모형은 유의하였다 (F=6.43, p=0.01). 통제변수인 직무스트레스는 프리젠티즘의 하위 요소인 생산성을 4.0% (R2=0.04)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변수인 직장 내 괴롭힘, 소진 을 추가로 투입하여 형성된 Model 2의 회귀모형 또한 유의하였다(F=5.87, p=0.001). 이 모형은 생산성의 9.0% (R2=0.09)를 설명하였으며, Model 1에 비하여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R2 변화량=0.06, F 변화량=5.43, p=0.005).

예측변수들 중 직장 내 괴롭힘(t=-2.16, p=0.03)이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예측변 수로 나타났다(β=-.167).

<표 9-2> 프리젠티즘의 하위요소인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75*)

변수

Model 1 Model 2

B SE β t p B SE β t p

상수 96.03 6.42 105.25 6.87

직무스트레스 -0.17 0.07 -.189 -2.54 0.01 -0.12 0.07 -.138 -1.80 0.07

직장내괴롭힘 -0.18 0.08 -.167 -2.16 0.03

소진 -0.10 0.06 -.131 -1.62 0.11

R2 = 0.04, F = 6.43 (p = 0.01)

R2 = 0.09, R2 change = 0.06, F = 5.87 (p = 0.001), F change = 5.43 (p = 0.005)

*4개의 이상값 삭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6-5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