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도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4)

1) 독립변수

(1) 직장 내 괴롭힘

직장 내 괴롭힘은 Einarsen 등(2009)이 개발한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NAQ-R)를 Nam 등(2010)이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어판 직장 내 약자 괴롭힘 도구를 사용하였다. NAQ-R 도구는 직장 내에서 괴롭힘으로 인식될 수 있는 부정적 행동의 빈도를 조사하며, 이 도구는 3 개의 하부요인인 개인관련 괴롭힘(12문항), 업무관련 괴롭힘(5문항), 위협 관련 괴

롭힘(5문항)의 총 2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한 빈도는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여, 6개월 동안 ‘전혀 없음’ 1점, ‘한 달에 한 번 미만’ 2점,

‘한 달에 한 번 정도’ 3점, ‘한 주에 한 번 정도’ 4점, ‘거의 매일’ 5점으 로 측정되며,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단순 합산하여 총점을 계산하여 최소 22점부터 최대 11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부정적인 행동을 더 많이 경험했음을 의미한다. Einarsen 등(2009)의 연구에서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90이었으며, 남웅(2010)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93 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5이었다.

(2) 소진

소진은 Maslach와 Jackson (1981)에 의해 개발된 Maslach Burnout Inventory (MBI)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였다. MBI도구의 저작권은 라이센스 소유회사인 마이 드가든(Mind-Garden)을 통해 한글 번역 도구를 구입하였다. MBI는 총 22개의 문 항으로 정서적 고갈 9문항, 비인간화 5문항, 개인적 성취감 감소 8문항으로 총 3 개 하부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없음’ 0점에서 ‘매일’ 6점 Likert 척도로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단순 합산하여 총점을 계산하며 점수 가 높을수록 소진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Cronbach’s ⍺는 .76이었 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89이었다.

(3)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하고 신준섭과 이영분 (1999)이 번안한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척도를 사용하였다.

MSPSS는 가족으로부터의 지지, 친구로부터의 지지와 주요 타인으로부터의 지지 의 3개의 하부영역에 총 12문항으로 이루어진다. 각 질문에 대하여 매우 그렇지 않다(1점)에서 매우 그렇다(5점)의 Likert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가중치 없이 단순 합산하여 총점을 계산한다. Zimet 등(1988)연구에 서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88이었으며,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는 .89였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3 이었다.

2) 종속변수 (1) 프리젠티즘

프리젠티즘의 측정도구로는 Turpin 등(2004)에 의해 개발하여 이영미와 정문 희(2008)가 번안하여 수정. 보완한 Stanford Presenteeism Scale (SPS-13)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건강문제와 직무손실(10문항)과 생산성 1문항으로 구성된 다.

① 건강문제

건강문제는 알레르기, 관절염 혹은 관절통증, 뻣뻣함, 천식, 등 혹은 목장애, 호흡기장애, 우울, 불안감, 혹은 정서장애, 불면증 혹은 수면장애, 당뇨병, 간기능 장애, 심장이나 순환기문제, 두통, 위 혹은 장관장애, 기타의 총 13가지 중 과거 1개월 동안 좋지 않았던 건강문제 및 현재 치료중인 것을 표시하며 중복 표시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총 13개의 문항 중 좋지 않은 상태의 건강문제를 개당 1점으 로 하여 총 13가지의 건강문제로 최대 13점으로 환산하여 계산한다. 또한 프리젠 티즘 여부를 측정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염려되는 1개의 건강문제’만을 따로 기입하였다. 본 연구에서 건강문제는 프리젠티즘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전질 문의 개념으로 사용하였다(Turpin 등, 2004; Jang 등, 2018; Ko 등, 2020).

② 직무손실(work impairment score)

건강문제로 인한 프리젠티즘의 하위 요소인 직무손실은 상기의 “가장 염려되 는 1개의 건강문제”로 인하여 직장 내 일상적인 업무상황이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 것인지에 대한 손실을 묻는 것으로, 총 10문항을 5점 Likert 척도로 답변하 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손실이 큰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응답항목의 점수가 높 을수록 반대적으로 직무손실이 낮게 나오는 문항은 역환산하여 분석하였다. 직무

손실의 계산법은 개발자가 권장하는 방법(직무손실 계산법=(점수의 합 -10)/40×100)에 따라 사용하였다. 만일 가장 염려되는 1개의 건강문제가 없다고 응답한 경우에는 직무손실은 0점으로 점수화한다. Turpin 등의 연구에서 개발 당 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83이었다(Turpin 등, 2004). 이영미와 정 문희(2008)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84이었다. 본 연구에 서 Cronbach’s α는 .94였다.

③ 생산성(work output)

생산성은‘지난 1달 동안 발휘할 수 있는 노동력 전체를 100점으로 보고 본 인이 염려하는 건강문제가 있을 때 발휘할 수 있는 노동력의 정도’를 묻는 것 으로 0점(전혀 발휘하지 못함)부터 100점(최대한 발휘함)까지 100점 간격 척도 (visual analogue scale, VAS)로 표시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생산성이 높음을 의미 한다. 건강문제가 없다고 표시한 경우의 생산성은 100%로 점수화 한다.

3) 통제변수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무스트레스를 통제변수로 하였다(Kwon

& Choi, 2017; Yang 등, 2017).

(1) 직무스트레스

간호사에서 직무스트레스는 “간호사가 근무로 인하여 생리적, 심리적, 사회 적 장애를 유발할 정도로 부담을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Gu & Kim, 1985). 본 연구에서는 Gray-Toft & Anderson (1981)이 개발하여 Jun 등(2016) 한국어로 번 안하여 수정 보완한 Nursing Stress Scale (NSS)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준 비불충분 11문항, 죽음에 대한 태도 7문항, 타부서와의 갈등 3문항, 상사와의 갈 등 2문항, 인력과 공급부족 11문항으로 총 34문항의 5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 어 있으며, 4점 Likert 척도로 답변된 각각의 질문에 대한 응답을 단순 합산하여 총점을 계산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음을 의미한다. Gray-Toft

& Anderson의 연구에서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는 .81이었다 (Gray-Toft & Anderson, 1981). Jun 등(2016)의 한국어판 도구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는 .85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s α는 .95였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0-3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