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패션스타일별 표현 요소 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3-129)

패션은 일정한 사회에서 상당한 기간 내에 많은 사람들이 어떤 자극에 대 해서 일으키는 반응으로 사회적 동조현상의 한 형태168)를 말하며, 스타일이란

‘특정 스타일에 맞추어 장식하기’로 의상을 포함한 몸에 장식된 모든 아이템 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착장자의 의도와 개성에 맞게 연출되어진 상황을 의 미169)하는 것으로 말한다. 즉 머리에서 발끝까지 인체와 피복 전반에 걸쳐 행 해진 연출 상황을 의미한다. 연출 요소는 아이템, 색상, 소재, 문양, 액세서리, 헤어 및 메이크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가지 요소나 원리에 의해 결정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170)

165) 유혜진(2012), 앞의 논문, 5쪽.

166) 배정후(2013), 「의복과 패션주얼리의 조형적 특성과 스타일링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 논문.

167) 이현지(2018),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논문.

168) 한성지・김이영(2008),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169) 한아름(2016), 앞의 논문, 3쪽.

170) 류선영(2011), 「엘레강스 이미지의 미적특성을 응용한 패션 스타일링 연구」, 대전대학 교 석사논문, 14쪽.

본 연구에서는 패션스타일의 정의를 ‘의상스타일을 포함한 메이크업스타일 과 헤어스타일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상당 기간 내에 사회 내에서 일정한 자 극을 일으키는 사회적 동조현상’으로 하였다.

(2) 의상스타일

의상스타일은 이경희(1991)171), 안윤서(2012)172), 장진희(2019)173), 배정후 (2013)174), 이현지(2018)175), 이언영(2003)176) 등의 선행 연구와 참고문헌을 바 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장식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1) 의상스타일의 형태

의상스타일의 형태에 관한 용어 정의는 이경희(1991), 안윤서(2012), 장진희 (2019)의 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 구에서 의상스타일의 형태는 아이템과 실루엣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① 아이템

아이템은 구성과 유형으로 구분하고 구성에서는 원피스, 투피스, 쓰리피스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원피스는 의상 아이템이 하나로 구성된 것을 말하며, 투피스는 아이템이 두 가지로 구성된 형태, 쓰리피스 이상은 세 가지 이상으 로 구성된 아이템을 말한다.

의상스타일의 유형에서는 바디컨셔스177)와 바지, 치마를 중심으로 길이를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길이는 무릎을 중심으로 무릎보다 짧은 경우를 쇼트로 정의하고, 무릎길이는 미디움, 무릎보다 긴 길이는 롱으로 정의하였다.

② 실루엣

실루엣은 아우어글래스 실루엣과 스트레이트 실루엣, 벌크 실루엣, 혼합형,

171) 이경희(1991), 앞의 논문.

172) 안윤서(2012), 「19세기 로맨티시즘 패션의 미적 특성을 응용한 패션스타일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73) 장진희(2019), 「중년여성의 혼주 업스타일 작품에 관한 실증분석」, 서경대학교 석사논문.

174) 배정후(2013), 「의복과 패션주얼리의 조형적 특성과 스타일링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175) 이현지(2018), 앞의 논문.

176) 이언영(2003), 「토탈패션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고저스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77) 원피스 형태로 상의와 하의가 하나로 연결된 바지 형태의 의상을 말한다.

기타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아우어글래스 실루엣은 허리가 들어가고 어깨 와 엉덩이 부분이 크게 확대되어 보이는 형태이며, 스트레이트 실루엣은 가 슴에서부터 일자형태로 내려온 스타일, 벌크 실루엣은 가슴부분 아래로 퍼지 거나 확대된 스타일로 정의한다. 혼합형은 두 가지 이상이 섞인 실루엣으로 정의하였다.

2) 의상스타일의 질감

의상스타일의 질감은 소재에 따라 전형적 소재와 비전형적 소재로 구분하 였다. 전형적 소재는 일반적인 의복에 사용되는 소재로 직물, 편물, 가죽, 퍼 (fur)로 구성하여 정의하였으며 비정형적 소재는 특수한 목적이나 액센트로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소재로 글러터(메탈 포함), 비닐, 플라스틱, 라텍스 (스판텍스 포함)로 구성하여 정의하였다.

소재 감각으로 이언영(2003)의 연구를 참고하여 하드, 소프트, 트랜스페어 런트, 브릴리언트, 메탈릭, 복합으로 구분하고 하드는 딱딱한 소재, 소프트는 부드러운 소재, 트랜스페이런트는 성기게 짠 직물로 안이 비치는 소재, 브릴 리언트는 광택이 있는 소재로 비닐이나 라텍스 등의 소재, 메탈은 메탈 소재 로 된 것으로 광택이 있는 소재, 복합은 의상 소재가 두 가지 이상 섞여 있 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조합은 동일재질과 유사재질, 이질재질로 구분하였으며, 동일재질은 같은 소재나 재질감을 지닌 것, 유사재질은 비슷한 재질로 구성된 것, 이질재질은 서로 다른 소재나 재질감으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3) 의상스타일의 색채

의상스타일 색채는 색상과 톤, 배색으로 구분하였고, 색상은 유채색과 무채 색, 메탈릭 색상, 두 가지 색상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두 가지 색상 이상은 색상이 거의 동일하게 섞여서 구분이 어려운 색상으로 구분하였으며, 색 조 합이 섞여 있는 경우는 배색의 70%이상을 차지하는 색상을 주조색(Main color)으로 지정하고 분석 색상으로 선정하였다.

배색은 상의와 하의를 중심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끼리의 배색을 동

일・유사색상배색이라 하고, 대조색상배색은 전혀 다른 색상끼리의 배색, 그 외의 배색은 상의와 하의의 배색을 구분할 수 없는 상태이거나 동일・유사색 상배색이나 대조색상배색 외의 것으로 정의하였다.

4) 의상스타일의 장식

본 연구에서 의상스타일 장식은 디테일의 네크라인과 인공가슴, 오브제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디테일의 네크라인은 목의 파임과 올라간 정도를 파악 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네크라인은 전형적 네크라인으로 구분하고 일반적이지 않은 특수한 상황, 이미지 연출에 활용하는 네크라인은 비전형적 네크라인으로 정의하였다. 전형적 네크라인은 라운드, 보우트, U, V 스퀘어, 하이, 오프숄더, 베어드 탑, 캐미솔, 카울, 홀터, 트레이프트 등이며. 비전형적 네크라인은 사선, 가슴 부위까지 깊이 파임, 열린 형태, 네크라인의 형태를 규정할 수 없는 왜곡 등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인공가슴은 드랙 퀸 연출에 있어 인공가슴을 착용하는 경우와 착용하지 않 는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인공가슴을 인위적으로 여성의 가 슴처럼 나와 보이도록 착용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하였다.

장식은 오브제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장식의 유・무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장식을 의상의 이미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 하였다.

(3) 메이크업스타일

메이크업스타일은 강근영(2011)178), 박련화(2012)179), 김종원(2013)180), 심하 윤(2019)181) 등의 선행 연구와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장식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178) 강근영(2011), 앞의 논문.

179) 박련화(2012), 「패션잡지에 표현된 판타지 메이크업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 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0) 김종원(2013),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이미지 유형별 디자인 요소 분석」, 성 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1) 심하윤(2019), 「눈썹 메이크업 디자인 요소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형대, 질감, 색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논문.

1) 메이크업스타일의 형태

메이크업스타일의 형태에 관한 용어 정의는 강근영(2011), 박련화(2012), 심 하윤(2019)의 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메이크업스타일 형태는 점, 선, 면을 중심으로 얼굴 부위에 활 용되고 있는 조형 요소를 형태로 정의하였다.

점은 얼굴에 사용된 점으로 정의하였고, 점의 유・무로 구분하였다.

선은 눈썹과 아이라인, 블러셔, 입술 선, 문양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눈 썹 형태는 일반적인 눈썹 형태 구분을 기준으로 표준형182), 각진형183), 곡선 형184), 상승형185), 처진형186), 없음, 기타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눈썹 형태에 서 기타는 눈썹 형태가 그려져 있으나 앞머리가 가려져 있거나 식별하기 힘 든 상태로 규정하였다. 아이라인은 상승형, 수평형, 없음, 기타로 구분하여 정 의하였고, 기타는 아이라인이 그려져 있으나 식별 불가능한 상태로 규정하였 다. 블러셔는 사선형, 수평형, 둥근형, 없음, 기타로 구분하여 정의하였으며 기 타는 블러셔의 형태 식별이 어려운 상태로 규정하였다. 입술 선은 입술을 작 게 그리는 인커브, 입술을 크게 확장해서 그리는 아웃커브, 입술 선을 직선으 로 그리는 직선형, 입술 형태를 그리지 않거나 형태가 왜곡된 상태를 왜곡 형태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면은 얼굴에 일정한 면적을 차지하는 아이섀도 표현으로 정의하였고 눈두 덩 전체에 펴 바르는 프레임 기법과 아이홀을 중심의 기법, 눈두덩 전체를 진하게 표현하는 스모키 기법, 아이섀도 기법이 아닌 표현이거나 아이섀도 표현으로 정의하기 어려운 아이섀도 표현은 기타로 정의하였다.

2) 메이크업스타일의 질감

본 연구에서 메이크업스타일 질감은 화장품을 사용한 후에 얼굴에 나타나 는 느낌으로 피부의 표현된 상태를 매트(matte), 글로시(glossy), 쉬머 (shimmer), 글러터링(glittering)으로 구분하고, 매트한 질감은 ‘광택이 없는,

182) 눈썹 산이 일정한 높이를 지니고 있으며, 앞머리와 뒤꼬리가 일직선 상에 있는 눈썹.

183) 눈썹 산이 표준형보다 올라간 형태로 앞머리와 뒤꼬리가 일직선 상에 있는 눈썹.

184) 각이 없는 둥근 형태의 눈썹.

185) 눈썹이 위로 올라간 상태로 앞머리보다 뒤꼬리 부분이 올라간 상태.

186) 눈썹이 아래처 내려간 상태로 앞머리보다 뒤꼬리 부분이 내려간 상태.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3-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