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용어 정의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0-101)

본 연구에서 사용한 용어의 개념과 의미를 명확히 하고 분석 유목을 재정 립하기 위해 용어를 정의하였다. 드랙 퀸의 선행 연구에서 추출한 미적 특성 과 네오젠더에서 추출한 젠더 표현 양상 그리고 패션스타일(의상스타일, 메이 크업스타일, 헤어스타일)에 나타난 미적 특성을 중심으로 조작적 용어를 정의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주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가. 드랙 퀸의 미적 특성

드랙 퀸의 미적 특성은 드랙 퀸에 대한 연구는 박현정(2018)과 안현아 (2020)의 연구를 중심으로 전형성, 유희성, 모방성, 과장성, 모순성, 일탈성으 로 분류하였다.

(1) 전형성

전형성은 드랙 퀸에 나타나는 여성적 전형성을 말하는 것으로 이분법적 성 벽에 의해 남성적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의 육체적, 성적 감각을 자극하는 성 질로 정의한다. 엘레강스, 로맨틱 이미지의 전형적인 여성성을 강조한 스타일 을 의미한다.

(2) 과장성

과장성은 패션스타일 표현 요소를 사실보다 크거나 지나치게 작게 표현함 으로써 적극적 미적 표현이 연출된 상태로 정의한다.

(3) 모방성

모방성은 바로 보자마자 특정한 시대적 이미지가 떠오르거나 유명한 스타 나 이미지를 본떠 패션스타일을 연출할 것을 말하는 것으로 드랙 퀸에서 헤 어스타일과 메이크업스타일, 의상스타일을 비슷하게 흉내낸 것으로 정의하였 다.

(4) 모순성

모순성은 드랙 퀸에서 남성적 특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여장을 통해 자신 의 성 정체성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드랙 퀸을 연출했음에도 불구하고 남 성적 특징이 그대로 드러나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5) 일탈성

정해진 규범에서 벗어난 것으로 드랙 퀸에서는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 에 대한 성적인 부분이 아닌 일반적 범주에서 벗어난 전혀 다른 형태로 표현 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6) 유희성

유희성은 일상 규칙에서 벗어난 형태로 이질적인 요소를 도입하거나, 외설, 타락, 강조, 변형 등을 통해 일반적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 아주 자유로운 일 시적인 활동의 영역161)으로 유머를 품고 있고, 신체 부위 등을 특징 등을 유 머러스하게 표현하여 유희적 효과를 주어 타인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161) 하지수(1994), 앞의 논문, 72쪽.

나. 젠더 표현 양상

네오젠더의 전형성이란 인간의 젠더적 특성이 인정되고, 자유로운 성적 취 향과 다양한 생활방식을 표현하는 젠더 유형들이 문화와 패션 분야의 새로운 주도층으로 자리 잡는 것을 의미162)한다.

네오젠더에 나타난 표현 양상은 권정숙(2008)163)의 연구와 유혜진(2012), 유 홍식(2001)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형적인 여성성, 전형적인 남성성, 양 성성, 무성성의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남성성 과 양성성, 무성성을 합쳐 비전형적 여성성으로 규정하여 전형적 여성성과 비전형적 여성성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1) 전형적 여성성

전형적 여성성은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되는 이분법적 성 구분에서 남성의 시각으로 바라본 관능적인 여성성을 말하는 것으로 여성의 몸매를 드러내는 스타일이나 우아하고 품위 있는 여성적 특성, 사랑스럽고 귀여운 특성 등으 로 정의하였다.

(2) 비전형적 여성성

비전형적 여성성은 전형적 남성성과 양성성, 무성성을 포함하는 의미로 드 랙 퀸에서 남성적 특성이 그대로 드러나는 스타일이나 여성성과 남성성이 공 존하는 형태, 남성성이나 여성성을 느낄 수 없는 스타일을 말한다.

전형적 남성성에는 남성의 특징인 근육이나 수염 등이 그대로 드러나 있거 나, 가슴 부위를 일부러 드러내어 남성적 성향을 보여주는 스타일로 정의하 였다. 양성성은 남성성과 여성성이 잘 융합된 복합된 양상164)으로 성에 따른 특성을 부정하지 않고 그대로 드러낸 스타일로 정의하였다. 무성성은 남녀구 별이 없는, 무성(無性)의 성개념165)으로 여성으로도 남성으로도 여겨지지 않

162) 권정숙(2009), 「현대패션에 표현된 우마드의 특성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9(4), 한국패션디자인학회, 88쪽.

163) 유혜진(2012), 앞의 논문.

164) 안광숙(2018), 앞의 논문, 1543-1556쪽.

는 성의 개념을 규정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비전형적 여성성은 전형적 남성성을 나타내거나 양성성, 무성성이 나타난 상태를 비전형적 여성성으로 정의하였다.

다. 패션스타일에 나타난 미적 특성

패션스타일의 의상분야는 이경희(1991), 안윤서(2012), 장진희(2019), 배정후 (2013)166), 이현지(2018)167) 등의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메이크업 은 강근영(2011), 김종원(2013), 심하윤(2019) 등의 선행 연구와 헤어는 이수 인(2005), Haur Sculpture Ladies(1994), 김용재 외 3인(2013), 유효원(2016), 이효숙(2008), 손지연(2010)과 신정원(2018), 함수정(2016), 정숙향(2002), 박다 나(2019) 등의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하여 분석 요소를 분류하였다.

본 분석 유목은 디자인의 기본 요소인 형태, 질감, 색채를 중심으로 진행하 였으며, 여기에 장식이라는 요소를 첨가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1) 패션스타일

패션은 일정한 사회에서 상당한 기간 내에 많은 사람들이 어떤 자극에 대 해서 일으키는 반응으로 사회적 동조현상의 한 형태168)를 말하며, 스타일이란

‘특정 스타일에 맞추어 장식하기’로 의상을 포함한 몸에 장식된 모든 아이템 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착장자의 의도와 개성에 맞게 연출되어진 상황을 의 미169)하는 것으로 말한다. 즉 머리에서 발끝까지 인체와 피복 전반에 걸쳐 행 해진 연출 상황을 의미한다. 연출 요소는 아이템, 색상, 소재, 문양, 액세서리, 헤어 및 메이크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 가지 요소나 원리에 의해 결정 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진다.170)

165) 유혜진(2012), 앞의 논문, 5쪽.

166) 배정후(2013), 「의복과 패션주얼리의 조형적 특성과 스타일링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 논문.

167) 이현지(2018), 「패션잡지표지에 나타난 패션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논문.

168) 한성지・김이영(2008), 패션디자인, 교학연구사.

169) 한아름(2016), 앞의 논문, 3쪽.

170) 류선영(2011), 「엘레강스 이미지의 미적특성을 응용한 패션 스타일링 연구」, 대전대학 교 석사논문, 14쪽.

본 연구에서는 패션스타일의 정의를 ‘의상스타일을 포함한 메이크업스타일 과 헤어스타일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상당 기간 내에 사회 내에서 일정한 자 극을 일으키는 사회적 동조현상’으로 하였다.

(2) 의상스타일

의상스타일은 이경희(1991)171), 안윤서(2012)172), 장진희(2019)173), 배정후 (2013)174), 이현지(2018)175), 이언영(2003)176) 등의 선행 연구와 참고문헌을 바 탕으로 형태, 질감, 색상, 장식의 네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1) 의상스타일의 형태

의상스타일의 형태에 관한 용어 정의는 이경희(1991), 안윤서(2012), 장진희 (2019)의 연구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 구에서 의상스타일의 형태는 아이템과 실루엣으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① 아이템

아이템은 구성과 유형으로 구분하고 구성에서는 원피스, 투피스, 쓰리피스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원피스는 의상 아이템이 하나로 구성된 것을 말하며, 투피스는 아이템이 두 가지로 구성된 형태, 쓰리피스 이상은 세 가지 이상으 로 구성된 아이템을 말한다.

의상스타일의 유형에서는 바디컨셔스177)와 바지, 치마를 중심으로 길이를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길이는 무릎을 중심으로 무릎보다 짧은 경우를 쇼트로 정의하고, 무릎길이는 미디움, 무릎보다 긴 길이는 롱으로 정의하였다.

② 실루엣

실루엣은 아우어글래스 실루엣과 스트레이트 실루엣, 벌크 실루엣, 혼합형,

171) 이경희(1991), 앞의 논문.

172) 안윤서(2012), 「19세기 로맨티시즘 패션의 미적 특성을 응용한 패션스타일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73) 장진희(2019), 「중년여성의 혼주 업스타일 작품에 관한 실증분석」, 서경대학교 석사논문.

174) 배정후(2013), 「의복과 패션주얼리의 조형적 특성과 스타일링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논문.

175) 이현지(2018), 앞의 논문.

176) 이언영(2003), 「토탈패션 이미지 연출에 관한 연구: 고저스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77) 원피스 형태로 상의와 하의가 하나로 연결된 바지 형태의 의상을 말한다.

기타로 구분하여 정의하였다. 아우어글래스 실루엣은 허리가 들어가고 어깨 와 엉덩이 부분이 크게 확대되어 보이는 형태이며, 스트레이트 실루엣은 가 슴에서부터 일자형태로 내려온 스타일, 벌크 실루엣은 가슴부분 아래로 퍼지 거나 확대된 스타일로 정의한다. 혼합형은 두 가지 이상이 섞인 실루엣으로 정의하였다.

2) 의상스타일의 질감

의상스타일의 질감은 소재에 따라 전형적 소재와 비전형적 소재로 구분하 였다. 전형적 소재는 일반적인 의복에 사용되는 소재로 직물, 편물, 가죽, 퍼 (fur)로 구성하여 정의하였으며 비정형적 소재는 특수한 목적이나 액센트로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소재로 글러터(메탈 포함), 비닐, 플라스틱, 라텍스 (스판텍스 포함)로 구성하여 정의하였다.

소재 감각으로 이언영(2003)의 연구를 참고하여 하드, 소프트, 트랜스페어 런트, 브릴리언트, 메탈릭, 복합으로 구분하고 하드는 딱딱한 소재, 소프트는 부드러운 소재, 트랜스페이런트는 성기게 짠 직물로 안이 비치는 소재, 브릴 리언트는 광택이 있는 소재로 비닐이나 라텍스 등의 소재, 메탈은 메탈 소재 로 된 것으로 광택이 있는 소재, 복합은 의상 소재가 두 가지 이상 섞여 있 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조합은 동일재질과 유사재질, 이질재질로 구분하였으며, 동일재질은 같은 소재나 재질감을 지닌 것, 유사재질은 비슷한 재질로 구성된 것, 이질재질은 서로 다른 소재나 재질감으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3) 의상스타일의 색채

의상스타일 색채는 색상과 톤, 배색으로 구분하였고, 색상은 유채색과 무채 색, 메탈릭 색상, 두 가지 색상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두 가지 색상 이상은 색상이 거의 동일하게 섞여서 구분이 어려운 색상으로 구분하였으며, 색 조 합이 섞여 있는 경우는 배색의 70%이상을 차지하는 색상을 주조색(Main color)으로 지정하고 분석 색상으로 선정하였다.

배색은 상의와 하의를 중심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색상끼리의 배색을 동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9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