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드랙 퀸의 미적 특성과 패션스타일 특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5-83)

가. 전형성

선행 연구에서 추출한 전형성은 여성적 전형성을 말하는 것으로, 이분법적 성 구분에 있어, 남성 중심적 시각에서 바라본 여성의 성을 제시하고 있다.

드랙 퀸의 미적 특성 중, 전형성은 여성 젠더 정체성을 수행함에 있어 경박 함, 연약함, 게으름, 순종성으로 대표되는 전통적인 여성성의 이미지들을 전 유하고 있다. 특히 드랙 퀸에서 전형성을 볼 수 있는 부분은 외모 구성요소 인 의복, 가발, 메이크업, 액세사리 등을 포함하는 여성성 아이템으로 이를 과도하게 사용150)하는 경향이 있다.

[그림 3-19]

전형성

[그림 3-20]

전형성

[그림 3-21]

전형성

[그림 3-22]

전형성

전형성의 하나로 관능적 여성성이 나타나고 있는데, 전통적인 여성성의 보 수적이고 정숙하고 순수한 이미지와 다르게 도발적이며 유혹적인 팜므파탈의 이미지로, 사회적 독립과 성적 해방을 상징하는 것으로 표현된다151). 관능적 여성성은 에로티시즘을 바탕으로 [그림 3-19], [그림 3-20], [그림 3-21], [그 림 3-22]와 같이 풍만한 가슴, 긴 다리, 가는 허리 등 신체를 노출하여 표현 하며152) [그림 3-19]와 같은 풍성하고 우아한 금발이나, [그림 3-20], [그림 3-22]와 같은 검정색 헤어스타일을 선호한다. [그림 3-19]와 같은 레드계열의 입술 색상이나 [그림 3-21], [그림 3-22]와 같은 핑크계열의 색상을 이용하여 본래의 입술 형태보다 크게 그리는 아웃커브 형태로 표현하고, 눈썹은 아치 형, 아이라인은 길게 그려서 섹시한 눈매를 표현한다153).

나. 과장성

과장은 사실적 상황이나 사물 등사실적 상황이나 사물 등을 실물보다 작거

150) 이자경(2010), 앞의 논문, 157-158쪽.

151) 정하나(2006), 「뮤직비디오의 패션에 표현된 젠더 정체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 교 석사논문, 44쪽.

152) 정혜경(2011), 「화장품 광고의 메이크업·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젠더 이미지 유형 연구:

융(Jung)의 아니마·아니무스 원형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박사논문, 131쪽.

153) 김현주(2018), 앞의 논문, 14-15쪽.

[그림 3-23]

과장성

[그림 3-24]

과장성

[그림 3-25]

과장성

[그림 3-26]

과장성

나 크게 표현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드랙 퀸의 외적인 미적 표현에서 두 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그림 3-23]의 경우는 의상의 어깨 부분을 과장한 스타일이며, [그림 3-23], [그림 3-24], [그림 3-25], [그림 3-26]과 같이 대부 분의 드랙들이 크게 부푼 다양한 가발을 사용한 과장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25]는 메이크업스타일에서 눈의 표현과 입술 등이 지나치게 크게 과장되어 표현되어 있어 과장된 얼굴로 유희성을 전달한다.

[그림 3-26]은 얼굴과 의상의 과장된 장식, 허리 부분을 중심으로 장식된 큰 리본 등은 과장성을 표현한 드랙의 미적 특성 부분이다.

드랙 퀸 들의 패션스타일에 표현되는 과장성의 특징은 여성적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한 아우어글래스 실루엣 연출을 위해 허리를 줄이고 인공 엉덩이 패드와 인공가슴을 이용하여 신체 부위를 부풀려 표현하고 있으며, 눈과 입 술 등도 크게 확장하여 표현함으로써 과장성을 통해 육감적인 전형적 여성성 을 나타내거나, 유희적 미적 특성 등을 표현한다.

다. 모방성

모방이란 다른 사물의 모양과 행동, 태도 등을 그대로 따라서 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로, 드랙 퀸에서 모방이란 유명한 사람의 모습을 그대로 모방하

[그림 3-27]

모방성 Christina Aguilera

[그림 3-28]

모방성 Farrah Moan

[그림 3-29]

모방성 Dolly Parton

[그림 3-30]

모방성 Jason CoZmo 는 것을 말한다. 즉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스타일, 의상스타일을 비슷하게 흉 내내고, 행동과 퍼포먼스를 통한 패러디를 진행한다. 가장 많이 모방 되었던 스타들로는 마돈나(Modonna), 바브라 스트라이샌드(Barbra Sreisand), 60-70 년대 유명했던 흑인 여성 트리오 슈프림스(Supremes), 컨츄리 송 가수 돌리 파튼(Dolly Parton)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공통점은 바로 그 이름을 떠올리자 마자 떠오르는 뚜렷하게 개성 강한 이미지들이다154). [그림 3-27]과 [그림 3-28]은 유명한 가수인 크리스티나 아길레라(Christina Aguilera)와 크리스티 나 아길레라를 모방한 드랙 퀸 파라 모안(Farah Moan)이며, [그림 3-29]와 [그림 3-30]은 70년대 가수인 돌리 파튼(Dolly Parton)과 돌리 파튼을 모방한 드랙 퀸 야손 코즈모(Jason CoZmo)이다.

라. 유희성

드랙 퀸의 패션스타일에서 유희성이란 드랙 퀸의 의상, 메이크업, 헤어스타 일을 통해 즐거움을 얻는 것이다. 즉 드랙 퀸에 나타나는 유희성은 유머 및 즐거움을 품고 있는 스타일로 의도적인 신체 부위 등을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154) 간호섭(2000), 앞의 논문, 77쪽.

[그림 3-31]

유희성

[그림 3-32]

유희성

[그림 3-33]

유희성

[그림 3-34]

유희성

과장된 형태를 보여주거나 일상에서 탈피한 유머러스한 유희 효과를 주고 시 선을 집중시킨다.

일상 규칙의 위반, 이질적 요소의 도입, 무지, 외설, 타락, 강조, 변형, 모순, 부조화를 통해서 보는 이로 하여금 놀라움, 쾌감, 우월감을 느끼게 해서 웃음 과 재미를 자아내는 특성155)이 있다.

[그림 3-31]과 [그림 3-34]는 삐에로를 연상하게 하는 패션스타일을 통해 유희성을 전달하고 있다. [그림 3-31]은 얼굴의 눈썹과 눈, 볼, 입술을 과장되 고 재미있게 재미있게 메이크업을 하여 유희적인 이미지를 전달한다. [그림 3-34]는 삐에로를 연상하게 하는 의상스타일과 헤어스타일을 통해 유희성의 미적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그림 3-32]는 만화 속 인물을 연상하게 하는 스 타일 연출로 유희성을 보여주고 있다. 패션스타일을 팝 아트(Pop Art)적 요 소와 결합하여 만화 속의 히어로(Hero)와 같은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의상 과 헤어 색상을 통일하였으며 메이크업 색상도 의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색상 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통일감을 주고 있다. [그림 3-33]은 헤어부분과 얼굴을 연결하여 두상 전체를 복숭아로 형태화하였고, 얼굴의 메이크업도 그림을 그 리듯 표현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재미를 느끼게 하는 유희성의 미적 특성을 전달하고 있다.

155) 하지수(1994), 「현대패션에 표현되는 유희성」, 『服飾』 22권, 한국복식학회, 75-76쪽.

[그림 3-35]

모순성

[그림 3-36]

모순성

[그림 3-37]

모순성

[그림 3-38]

모순성

마. 모순성

드랙 퀸은 남성적 특징을 그대로 유지한 채, 여장을 통해 자신의 성 정체 성을 표출하며, 남성적이고 여성적인 것 사이의 엄격한 구분에 따라 이분화 된 의복과 외모에 관한 고정관념을 파괴한다156). 모순성은 여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적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는 경우를 모순성으로 정의한다.

[그림 3-35], [그림 3-36]과 같이 메이크업과 헤어스타일은 여성스러우나 상의를 탈의하여 남성성을 표출하거나 [그림 3-37]과 같이 가슴과 엉덩이를 노출하는 의상과 하이힐을 통해 섹시한 여성미를 보이고 있지만, 노출된 가 슴 부분에 남성성을 역력히 보여주고 있다. [그림 3-38]은 남성적 상징인 수 염이나 몸의 털을 그대로 드러낸 채 인공가슴을 착용하고 섹시한 여성성을 드러낼 수 있는 의상스타일과 하이힐을 신어 남성과 여성의 모습을 함께 보 여주고 있다. 얼굴의 수염과 헤어 색상, 눈썹과 입술을 동일한 핑크 색상으로 표현하여 수염의 이질감을 없애고 수염이 마치 얼굴의 장식으로 보이도록 하 였다. 제시된 예시들은 여성적 외모 꾸미기에 가려진 이면의 남성성이 그대 로 드러나는 모순성을 보여준다.

156) 정세희, 양숙희(2004), 앞의 논문, 141-142쪽.

바. 일탈성

일탈성은 성(性)의 표현에 대한 것이 아니라 관습으로부터의 해방을 꾀하 며 때로는 극단적이기도 하고 때로는 스스로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더하기 도 하며 기존의 범주에서 벗어나 균형적인 모습을 일그러뜨리거나 전혀 다른 형태로 해석157)하는 것을 말한다.

[그림 3-39]의 경우는 두상에서 발끝까지 반짝거리는 스팽글(Spangle)을 사 용하였으며, 어깨와 허리부분에 핑크색 장갑을 액세서리를 표현하여 신비로 운 느낌을 연출하고 있다. 메이크업스타일도 의상과 동일한 푸른색으로 표현 하여 전체적인 통일감을 주었으며, 눈썹과 아이라인은 상승형으로 표현하고 입술은 장갑 액세서리 색상과 동일한 진한 핑크색으로 아웃커브 형태로 표현 하여 여성성을 표현하고 있다. 전체적 패션이미지는 신비로움을 연출하면서 드랙 퀸의 일탈성의 미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그림 3-40]은 메이크업스타 일과 헤어스타일에 금속성 오브제와 큐빅, 스팽글 등을 사용하여 메탈릭한 느낌을 연출하고 있으며, 메이크업 색상도 아이섀도는 진한 파란색을 사용하 고, 입술은 흰색에 가까운 파란색을 사용하여 얼굴 전체에 차가운 이미지를 연출한다. 여기에 헤어 색상도 흰색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이미지가 차갑고 메탈릭한 느낌을 연출하고 있다. [그림 3-41]은 동물인 고양이를 표현한 것으 로 의상 소재를 고양이 털의 느낌이 나는 것으로 선택하고, 헤어스타일도 금 발 스타일에 고양이의 귀를 달아 자연스럽게 연결하였다. 메이크업도 고양이 를 연상하게 하는 메이크업 연출로 평범하지 않는 일탈성의 미적 특성을 나 타내고 있다. [그림 3-42]는 검은 독수리가 연상되는 이미지로, 어깨 위에 날 개를 달아 위엄있고 거대한 느낌을 표현하고 있으며, 의상은 깃털 소재를 사 용하여 새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특히 검정색의 우아하고 여성스러운 의상으로 검은 독수리의 이미지를 엘레강스하게 표현하고 있다. 메이크업스 타일에서도 깃털의 모습을 연결하는 선을 사용하고 있으며, 머리 위에는 독 수리 모양의 장식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독수리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일탈성은 일상에서 볼 수 없었던 패션스타일이나 규범에 묶여 표현 157) 권하진(2014), 「현대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일탈성의 비교 고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지』 20(3), 한국디자인문화학회, 51쪽.

[그림 3-39]

일탈성

[그림 3-40]

일탈성

[그림 3-41]

일탈성

[그림 3-42]

일탈성

하지 못했던 패션스타일을 과감하게 연출함으로써, 기존의 패션스타일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스타일은 제안하고 트렌드를 만들어간다. 드랙 퀸들은 현실에 안주하는 패션스타일보다는 새로운 미래에 도전하는 새로운 스타일 도전을 통한 일탈성의 미적 특성을 표출하고 있다.

제4장 드랙 퀸 패션스타일의 분석 방법

제1절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