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특성화 VII 영역(지방전문대학 육성 프로그램)

중점 지원분야

3) 특성화 VII 영역(지방전문대학 육성 프로그램)

지방전문대학의 산업기술교육단지화 필요성

- 산업체와 일체화된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구축하여 우수 전문인력의 배출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교수들의 교육 및 연구성과물의 사업화 를 통해 교육의 현장 적응성을 향상시키는 교육체계를 구축해야 함 - 전문대학 캠퍼스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영역에 "교육 → 연구 →

기술개발 → 제품화 → 판매 → 수익의 교육 재투자" 라는 순환적 교 육과정(Rounding Educational System)을 통해, 전문대학 교육의 질적 개선과 더불어 단지 내 벤처기업과 우수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 력을 신속히 공급해야 함

- 산업기술교육단지를 중심으로 산업현장의 급속한 기술변화에 대응함 과 동시에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의 전략사업을 수행할 우수한 기술인 력을 배출해야 함.

- 산업기술교육단지화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연구 및 기술개발 영 역, 사업화 영역, 교육 영역이라는 3개의 부문이 강하게 연결(tightly coupled) 되어야하는데, 기존의 테크노파크 사업이나 TIC 사업을 새 로이 개편하기에는 불가능함

산업기술교육단지의 개념

- 전문대학의 산업기술교육단지는 학교 내 외의 단지에서 "교육 → 연 구 → 기술개발 → 제품화 → 판매 → 수익의 교육 재투자"([그림 V-1] 참조)라는 순환적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업의 이윤 축적과 동시에 지역 및 국가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고, 대학의 교육과 연구기능이 결합되어 단지 내 기업은 물론 관련 산업체들이 요구하는 기술과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지역인적자원개발(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의 중핵(kernel)임.

자료: 강종훈(2001), 전문대학 산업기술교육 단지화 방안 연구 [그림 V-1] 산업기술교육단지의 기능과 역할

산업기술교육단지의 운영 체제

- 산업기술교육단지의 운영 체제를 크게 연구・개발 영역, 사업화 영역, 그리고 교육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음([그림 V-2] 참조)

- 연구・개발 영역에서는 상품화 가능성이 높은 제품을 연구・개발하여 학교기업 및 창업보육기업 등에 제공함. 연구・개발 영역의 활동을 통하여 축적된 기술과 지식은 양질의 교육 재원으로 활용 가능함

자료: 강종훈(2001), 전문대학 산업기술교육 단지화 방안 연구 [그림 V-2] 산업기술교육단지의 운영 체제

- 사업화 영역에서 학교기업 및 창업보육 기업은 대학의 교수와 연구소 로부터 제공받은 기술을 상품화하여 판매하고, 여기서 확보된 수익을 다시 교수들의 연구 및 기술개발을 위한 자금으로 재투자되어,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로 활용함.

- 교육 영역에서는 연구ㆍ개발 영역과 사업화 영역에 재학생을 참여시 킴으로써, 현장적응력 높은 인력을 배출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업화 영역에서 축적한 수익금을 학생들을 위한 장학재원으로 활용함으로 써, 우수 학생을 유치함. 특히 연구・개발 및 사업화 영역에서 축적 된 지식을 재학생, 산업체 위탁교육생, 산업체 근로자의 재교육 등에 활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품 생산 및 판매단계에 학생들의 현장학 습을 통한 교육의 내실화를 적극적으로 도모할 수 있음. 재학생의 창 업보육 기업 및 학교 기업에 참여하는 학생-사원(Students-Employee) 제도 등을 도입함으로써, 연구-교육-생산-마케팅 의 기술적 실무교육

을 통해 전문대학이 추구하는 현장 적응력이 향상된 전문직업기술교 육을 가능하게 함.

산업기술교육단지의 구성

- 전문 직업기술교육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 교육 센터(Techno Education Center)'

- 연구・개발을 위한 R & D 센터

- 개발된 연구결과를 구현시켜 초기 사용화할 수 있는 파일롯 센터 (Pilot Center)

- 실용화된 산물을 직접 생산하기 위한 생산 공장(Manufacturin g Factory)

- 생산된 제품을 판매할 수 있는 마케팅 센터(Marketin g Center) - 수익성 부분을 교육 및 생산시설의 운영에 재투자하고 단지를 발전

지향적으로 총괄하여 운영하는 단지본부 역할의 사업운영센터 (Bu siness Center)

전문대학 산업기술교육단지의 실행 모형

- 산업기술교육단지의 개념과 산업기술교육의 라운딩시스템을 연계하여 운영의 최대 이익 및 교육의 최대 효과를 이룰 수 있는 실행 모형을 제시하면 [그림 V-3]과 같음.

자료: 강종훈(2001), 전문대학 산업기술교육 단지화 방안 연구 [그림 V-3] 산업기술교육단지의 실행 모형

산업기술교육단지 특성화 사업의 기대효과

- 학교 기업과 캠퍼스 기업 설립 및 육성을 통해 교육의 현장 적응성 을 점검함과 동시에, 수익사업의 발굴을 통한 전문대학 재정의 건전 화를 유도할 수 있음

- 연구・기술개발 단계뿐만 아니라 상품화단계에도 학생들이 참여함으 로써, 학생들의 현장 적응성을 제고시키고 교육의 질적 향상과 우수 인력을 배출할 수 있음

- 기업체 근로자 재교육을 통해 대학 교육의 질적 수월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업체 근로자의 직무 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시 킴으로써, 기업의 수익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

- 산업체 인사 및 임직원과의 공동으로 산업현장에 신속하게 적용 가능 한 실질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음

- 단지 내 기업의 생산현장에 지역 주민을 고용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 화에 기여할 수 있고, 자체 연구진을 갖추지 못한 중소기업을 위해 연구 및 기술을 공급할 수 있으며, 자체 생산설비 및 유통조직을 못 한 단지 내 중소기업의 생산 및 판매지원을 통하여 중소기업의 발전 에도 기여할 것임

- 대학에서 개발한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한 제품을 판매하여 획득 한 수익을 학교 재원으로 재투자함으로써, 교육 인프라의 질적 향상 을 꾀할 수 있을 것임. 즉, 사업화에 따른 수익금으로 첨단 실습 기 자재의 확보와 장학금을 지급할 수 있으면 우수 학생과 우수 교원을 유치할 수 있고, 단지 내 학교기업과 창업보육기업으로 졸업생의 안 정적 이행(school-to-work transition)이 가능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