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첫째, 이 연구에서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직업기초능력지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 았으며 이는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와 일 치하지 않았다. 또한,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나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통해 교사의 직무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을 통해 취업지도능력에 영향을 미 치지 않는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지 않는 결과이므로 추가적으로 탐구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 직업기초능력지도 수준이 교사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령이 60세 이상인 교사 표본이 충분하지 않아 추가적으로 탐구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직업기초능력 지도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잠재변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의 직업기초능력 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개인차원과 조직차원으로 구분하여 구조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넷째,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직업기초능력지도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자원, 제도 및 규범 등 학교풍토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전공교과에서 현장을 반영한 교육환경을 조성 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시설투자, 산업체와의 협력강화 등이 필요하며 비교과활동에도 직업기 초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강정원. (2001). 교사가 지각한 교장 수업지도성과 학생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구조. 이화 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영혜, 박소영. (2008). 특성화고등학교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곽영지. (2005).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교직헌신도 간의 관 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관계부처 합동. (2010).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방안.

관계부처 합동. (2013b).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11. 10. 27일자).

교육개혁위원회. (1996).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보고서(제1집).

교육부. 대한상공회의소. (2014). 직업기초능력 교수-학습자료 매뉴얼 활용 안내. [On-line]

Available http://teenup.or.kr/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질의 응답 자료.

국립국어원. (2016). 표준국어대사전. [On-line] Available http://stdweb2.korean.go.kr/main.jsp 구은광. (2009). 전문계 고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관

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순호, 김병주. (2012).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과 교 사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29(4), 153-179.

권영란. (2007).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기업과 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경인. (2013). 특성화 고등학교 전문교과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자율성, 관심 및 헌 신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기용, 나승일. (2005). 실업계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 효과성과 교장 리더십, 학교 풍 토 및 교사 교수활동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2), 57-72.

김기홍, 강일규. (2016). 정부부처 연계 특성화고 지원 사업 운영 실태 조사 분석 및 발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대업. (2008). Amos A to Z: 논문작성절차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경기도: 학현사 김미송, 하재룡. (2012).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소속 교사의 자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

국인사행정학회보, 11(3), 119-144.

김민웅, 조한진, 김태훈. (2015).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의 직업기초능력평가 에 대한 인식 조사. 직업교육연구, 34(2), 151-171.

김민영. (2009). 변화몰입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병성. (1994). 교육과 사회. 서울: 학지사.

김상돈, 김현진. (2013). 임파워먼트와 교직헌신을 매개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이중 매개 효과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0(4), 95-122.

김선태, 이용순, 조희경. (2014). 평생직업능력개발을 위한 직무능력평가제 운영 기 반 지원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아영, 김민정. (2002). 초등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학교조직풍토와의 관계. 교육심 리연구, 16(3), 5-29.

김아영, 김미진. (2004). 교사효능감 척도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8(1), 37-58.

김용재, 김종완. (2008). 리더십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11(2), 1-23.

김인곤. (2015). 특성화고등학교 취업지도 담당교사의 취업지도능력과 학교환경변인, 교사 효능감 및 직무몰입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종우, 김형만, 장명희, 최수정, 허영준. (2013).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노동시장 이행 성과 분 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김지숙. (2007). 교사의 평생학습동아리 활동이 직무만족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 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창걸, 윤순희. (2005). 학교장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들의 조직몰입에 미치 는 영향관계 분석. 교육문화연구, 11, 189-230.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2003). 기초직업능력의 영역 설정 및 표준 개발. 한국 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장석민, 정철영, 서우석, 김진모, 김재훈, 김진실. (2006).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자기 개발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장석민, 정철영, 서우석, 김진모, 김재훈, 김진실. (2006).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자원 관리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장석민, 정철영, 서우석, 김진모, 김재훈, 김진실. (2006).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정보 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나승일, 김주섭, 김주일, 정연앙, 구자길, 김강호, 문세현. (2007). 국가직업능력표준 실용화를 위 한 제도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191-215.

나승일, 장명희, 조용, 송달용. (2007). 정부부처에 의한 특성화고 육성 지원 프로그램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나승일, 서우석, 김진실. (2007).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의사소통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 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정철영. (2007).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수리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서우석, 김진모. (2007).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문제해결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 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장석민, 정철영, 서우석, 김진모, 김재훈. (2007).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대인관계능 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장석민. (2007).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기술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나승일, 김진모. (2007).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조직이해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 력공단.

나승일, 장석민. (2007). 기초직업능력 프로그램-직업윤리 교수자용 매뉴얼. 한국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정철영, 김주섭. (2007). 기초직업능력표준 제도화 방안. 한국산업인력공단.

나승일, 정철영, 김주섭, 구자길, 김강호, 장현진. (2008). 기초직업능력표준 제도화 방안. 농업교 육과 인적자원개발, 40(2), 161-188.

나승일, 김기용, 문세연, 민상기. (2009).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농업 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1(2). 49-76.

나승일, 조정윤, 어수봉. (2011). 기초직업능력 자격화 추진 방안 연구. 대한상공회의소.

노국향, 정홍식, 허승연. (2014). 2013년 직업기초능력평가 평가틀. 교육부, 대한상공회의소,

㈜HumanAssessment 연구소.

노종희. (1990). 학교조직풍토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8(2), 67-80.

노종희. (1994). 교육행정가의 변혁지향적 리더십의 개발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2(1), 135-154.

노종희. (1988). 학교행정가의 지도성행동의 개념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26(1), 1-13.

류성희. (2007).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계열별 교육에 따른 진로의식 차이 연구. 동아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류지은, 임정훈, 윤경신, 정진철. (2016). 국내 직업기초능력 연구동향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 원개발, 48(3), 53-81.

문세연. (2010). 중소기업 근로자의 무형식학습과 학습동기, 학습전략, 대인관계 및 직무특 성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민상기, 나승일. (2010). 마이스터고 교사의 변화몰입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및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1), 1-23.

박관성. (1998). 교사효능감 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박균열. (2008). 교사의 수업전문성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적 분석.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박동열. (2003). 수원여자대학의 직업기초능력 관련 교과목 및 교재 개발. 수원여자대학.

박동열. (2006).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모듈개발과 가중치 분석 – AHP법의 활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동열. (2006).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유형 진단 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 자원개발, 38(2), 225-245.

박동열. (2010). 전문계 고졸 인력 수요와 교육역량 강화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동열, 박윤희, 정향진. (2005). 생애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직업기 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동열, 이성덕, 김종오, 조경희, 강경심, 박윤희, 김대영. (2006).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 력 향상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효과.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4), 63-87.

박동열, 최동선, 이용순. (2008). 전문계 고등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진단도구 개발.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박동열, 정철영, 김진구. (2009). 전문계 고교생의 기초학습능력 향상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 원.

박동열, 백성준, 최동선, 장명희, 김미란. (2010). 전문계 고졸 인력 수요와 교육역량 강화 방 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동열, 김민규. (2013). 마이스터고·특성화고 교육과정 자율운영 확대 및 내실화.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박동열, 조희경, 김민규. (2014). 고교 직업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대휘, 안효일. (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박대휘, 안효일. (201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