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 방법

4. 자료 수집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4일부터 12월 7일까지 온라인과 방문조사, 이메일을 통해 실시하였 다. 공업계열 15개, 상업·정보계열 21개, 기타 계열 5개, 총 41개 학교에 협력교사 1명을 확보하 여 온라인 조사시스템으로 링크되는 이메일을 발송하였고 SMS문자와 전화통화로 협력교사에 게 협조를 당부하였다. 또한 협력교사를 통해 설문가능한 인원을 파악하여 각 10∼20명의 교사 에게 온라인 설문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특히, 학교별 보통교과와 전문교과 교원의 비율을 고 려하여 보통교과40% 전문교과 60% 비율로 응답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회수율이 낮거나 불 성실한 응답, 무응답 등이 예상되어 적정 표본크기인 378개의 1.5배수인 567명에게 배부하였고 그 중 280명이 설문에 참여하여 49.4%의 회수율을 보였다. 계열별로 살펴보면, 공업계열에서 106명, 상업·정보계열에서 168명, 농·생명계열에서 3명, 가사실업계열에서 3명이 참여하였다.

표집된 자료들이 공업계열(37.9%)과 상업·정보계열(60.0%)에 편중되어 특성화고등학교 전체 계열을 모두 반영하지 못하는 제한이 있었으나 그 외의 성별, 연령, 근속년수 등은 교육통계정 보에서 확인된 모집단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집된 자료들 중 무응답이 포함된 설문지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2부를 제외하고 258부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여 유효 자료율은 98.7%를 보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표 Ⅲ -8>과 같다.

계열 설문지 배부 수 설문지 회수 수 회수율(%)

공업 236 106 44.9

상업·정보 221 168 76.0

가사·실업 55 3 5.5

농·생명 46 3 6.5

수산·해운 9 0

-합계 567 318 49.4

<표 Ⅲ-8>학교 계열별 설문배부 및 회수현황

이 연구에 응답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일반적 특성은 <표 Ⅲ-9>와 같다. 먼저 성별에 따 른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280명 중 남자교사가 146명으로 전체 응답자의 52.1%를 차지하였고, 여자교사가 134명으로 47.9%를 차지하였다. 연령별로는 20대가 18명으로 6.4%, 30대가 60명으 로 21.4%, 40대가 88명으로 31.4%, 50대가 104명으로 37.1%, 60대가 9명으로 3.2%를 차지하였 다. 학력별로는 대졸이 130명으로 46.4%, 석사(수료 포함)이 145명으로 51.8%, 박사(수료 포함) 이 5명으로 1.8%를 차지하고 있다. 교직경력은 5년 미만이 37명으로 13.2%, 5년∼10년 미만이 34명으로 12.1%, 10년∼15년 미만이 41명으로 14.6%, 15년∼20년 미만이 33명으로 11.8%, 20년

∼25년 미만이 45명으로 16.1%, 25년 이상이 88명으로 31.4%를 차지하였다.

직급은 부장교사가 87명으로 31.1%, 평교사 193명으로 68.9%를 차지하였다. 담임여부는 부담 임을 포함한 담임교사가 131명 50.8%, 비담임교사가 127명 49.2%를 차지하였다. 담당과목은 보 통교과가 81명 31.4%, 전문교과(공통 및 기초)가 80명 31.0%, 전문교과(실무)가 97명 37.6%를 차지하였다. 직업기초능력지도와 관련한 직무교육 여부는 60시간 이상 직무연수를 받은 교사가 66명 25.6%, 30시간 이상 직무연수 58명 22.5%, 자격연수(부전공연수 포함) 및 학교자체 행사 시 특강에 참여한 교사가 97명 37.6%, 직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가 37명 14.3%를 차지하였다.

또한 학교특성으로 학교의 설립유형은 국·공립이 152개로 58.9%, 사립이 106개로 41.1%이었 으며, 학교계열별로는 공업계열이 98개로 38.0%, 상업·정보계열이 154개로 59.7%, 기타계열이 6 개로 2.3%이었다. 학교소재지는 특별시 108개 41.9%, 광역시 67개 26.0%, 시·군·면 지역 83개 32.2%를 차지하였다.

구분 빈도(명) 백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