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 방법

3. 조사 도구

행에 관한 선행연구(이종성, 2002; 장명희, 2001; 최동선 외, 2014; 이찬 외, 2015; 임언 외, 2015; 김경인, 2013)를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이 도구는 직업기초능력 이해, 직업기초능력 수업 활용, 직업기초능력 평가반영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7문항, 8문항, 5문항으로 총 20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응답양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1), 그렇지 않다(2), 보통이다(3), 그 렇다(4), 매우 그렇다(5)의 5점 Likert척도를 활용하여 평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산업인력개발 전공 교수 1명과 산업인력개발 박사 1명, 특성화 고 교사 3명에게 검증을 받았다. 또한 측정문항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교 사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직업기 초능력지도 20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940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고, 관찰변인별 내적일치도는 직업기초능력 이해 0.867, 직업기초능력 수업활용 0.892, 직업기초 능력 평가반영 0.889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예비조사 질문지를 수 정 없이 활용하였다.

본 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직업기초능력지도 20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951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관찰변인별 내적일치도는 직업기초능력 이해 0.884, 직업기초 능력 수업활용 0.928, 직업기초능력 평가반영 0.911으로 양호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내적 일치도 계수(Cronbach’s alpha)는 <표 Ⅲ-3>과 같다.

관찰변인 예비조사(N=30) 본조사(N=258)

직업기초능력 이해 .867 .884

직업기초능력 수업활용 .892 .928

직업기초능력 평가반영 .889 .911

전체 .940 .951

<표 Ⅲ-3>직업기초능력지도 관찰변인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또한, 잠재변인 직업기초능력지도 측정모형의 적합도 판단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모형 추정을 위해서는 추정변수가 다변량 정규 분포를 따른다는 점을 반영하여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ethod)을 사용하였다. 그 결 과 직업기초능력지도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표 Ⅲ-4>와 같다.

적합도지수 CMIN/DF PNFI NFI IFI CFI

직업기초능력지도 3.701 .750 .853 .888 .888

<표 Ⅲ-4>직업기초능력지도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직업기초능력지도의 관찰변인들을 각 문항이 잘 설명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였다. 직업기초능력지도 측정도구 모형의 적합도 지수에 관한 결과를 살펴보면 CMIN/DF, PNFI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NFI, IFI, CFI는 0.9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대부 분의 지수를 통해 적절한 모형으로 판단하였다([부록 5] 참조). 또한 잠재변인과 측정변인 간의 모든 경로계수가 p=.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Ⅲ-2] 참조).

[그림 Ⅲ-2] 직업기초능력지도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 측정결과

나. 교사효능감 측정

잠재변인 교사효능감의 관찰변인 학습몰입(student engagement), 수업실제(instruction practices), 수업관리(classroom management)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Tschannen-Moran et al.

(1998)의 도구를 번안·수정하여 특성화고에 적용한 조성웅(2011)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 는 학습몰입, 수업실제, 수업관리의 3가지 변인별 각 4문항씩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응답 양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1), 그렇지 않다(2), 보통이다(3), 그렇다(4), 매우 그렇다(5)의 5점 Likert척도를 활용하여 평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측정도구의 내적일치도(cronbach α) 계수는 0.94로 적절한 수준이고, 이 도구를 특성화고등 학교 교사에게 적용한 조성웅(2011)의 연구에서도 내적일치도(cronbach α) 계수는 0.93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산업인력개발 전공 교수 1명과 산업인력개발 박사 1명, 특성화 고 교사 3명에게 검증을 받았다. 또한 측정문항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교 사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교사효 능감 12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870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 요인별 내적일치도는 학습몰입 0.764, 수업실제 0.658, 수업관리 0.887로 나타났다.

본 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교사효능감 12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924 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는 학습몰입 0.769, 수업실제 0.846, 수업관 리 0.891으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한 수정 문항을 본 조사에 활용하였으며 예비 조사와 본조사의 내적 일치도 계수(Cronbach’s alpha)는 <표 Ⅲ-5>와 같다.

구분 예비조사(N=30) 본조사(N=258)

학습몰입 .764 .769

수업실제 .658 .846

수업관리 .887 .891

전체 .870 .924

<표 Ⅲ-5>교사효능감 관찰변인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다. 학교풍토 측정

잠재변인 학교풍토의 관찰변인 협력(collaboration), 학생관계(student relations), 학교자원 (school resources), 의사결정(decision making), 수업혁신(instructional innovation)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Johnson, Stevens & Zvoch(2007)의 도구를 번안·수정하여 특성화고에 적용한 조 성웅(2011)의 도구를 활용하였다. 이 도구는 협력 6문항, 학생관계 4문항, 학교자원 4문항, 의사 결정 3문항, 수업혁신 4문항의 총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응답양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 (1), 그렇지 않다(2), 보통이다(3), 그렇다(4), 매우 그렇다(5)의 5점 Likert척도를 활용하여 평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측정도구의 내적일치도(cronbach α) 계수는 0.90로 적절한 수준이고, 이 도구를 특성화고등 학교 교사에게 적용한 조성웅(2011)의 연구에서도 내적일치도(cronbach α) 계수는 0.92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산업인력개발 전공 교수 1명과 산업인력개발 박사 1명, 특성화 고 교사 3명에게 검증을 받았다. 또한 측정문항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교 사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학교풍 토 21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930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 인별 내적일치도는 협력 0.753, 학생관계 0.944, 학교자원 0.896, 의사결정 0.544, 수업혁신 0.924 로 나타났다. 의사결정 요인의 신뢰도가 낮게 나타나 문항제거를 통해 전체 도구의 신뢰도 계 수를 높이는 방법으로 보완하였다. 신뢰도를 낮추는 문항은 ‘학교운영에 대한 의사결정은 교장 선생님에 의해 이루어진다.’으로 부정적인 내용의 역문항이 의심되어 역코딩 후 다시 신뢰도를 측정하였으나 .502로 더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의사결정 영역에 대한 문항 삭제 후 의사결정 요인의 신뢰도는 0.820으로 높아졌고 학교풍토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0.936으 로 높은 수준이었다.

본 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학교풍토 20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941로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는 협력 0.872, 학생관계 0.927, 학교자원 0.861, 의사결정 0.836, 수업혁신 0.907로 비교적 양호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한 수정 문항을 본 조사에 활용하였으며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내적 일치도 계 수(Cronbach’s alpha)는 <표 Ⅲ-6>과 같다.

구분 예비조사(N=30) 본조사(N=258)

협력 .753 .872

학생관계 .944 .927

학교자원 .896 .861

의사결정 .544 .836

수업혁신 .924 .907

전체 .930 .941

<표 Ⅲ-6>학교풍토 관찰변인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측정

잠재변인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관찰변인 교수존중, 솔선수범, 변화선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노종희(1994)가 개발한 도구(PTLQ: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Questionnaire)를 활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는 인간존중, 솔선수범, 변화선도의 3가지 변인의 각 5개 문항씩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응답양식은 전혀 그렇지 않다(1), 그렇지 않다 (2), 보통이다(3), 그렇다(4), 매우 그렇다(5)의 5점 Likert척도를 활용하여 평정할 수 있도록 설 계하였다.

측정도구의 내적일치도(cronbach α) 계수는 0.9579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고, 이 도구를 특성 화고등학교 교사에게 적용한 조성웅(2011)의 연구에서도 내적일치도(cronbach α) 계수는 0.965 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측정도구는 내용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산업인력개발 전공 교수 1명 과 산업인력개발 박사 1명, 특성화고 교사 3명에게 검증을 받았다. 또한 측정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 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15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수는 0.971로 높은 신뢰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는 교사존중 0.946, 솔 선수범 0.938, 변화선도 0.964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였다.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예비조사 질문지를 수정 없이 활용하였다.

본 조사 자료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15문항 전체의 내적일치도 계 수는 0.968로 높게 나타났고,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는 교사존중 0.946, 솔선수범 0.930, 변화선

도 0.945로 양호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내적 일치도 계수(Cronbach’s alpha)는 <표 Ⅲ -7>과 같다.

구분 예비조사(N=30) 본조사(N=258)

교사존중 .946 .946

솔선수범 .938 .942

변화선도 .964 .949

전체 .971 .972

<표 Ⅲ-7>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관찰변인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