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배경

1. 특별활동에 대한 고찰

가. 특별 활동의 개념과 성격

1) 특별 활동의 개념 가) 용어의 문제1)

우리나라의 경우, 특별활동이란 용어가 공식 문서상에 나타나 쓰여지기 시작 한 것은 1954년 문교부령 제35호로 공포된 ‘교육 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에 특 별 활동이란 용어가 사용되어진 후부터였다.

1945년 이후 1954년까지 교수 요목이나 교과, 학과 과정을 교육 과정으로 해 석한 당시의 교육 상황에서, 특별 활동이란 하나의 과외 활동으로서 교육 과정

1) 이경환, 함수곤, 교육부.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Ⅱ) ‘특별활동’1998. p.210∼211

의 관심사가 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경험 중심 교육 과정 사조에 기반을 둔 1954년도의 교육 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에서는 종래 사용해 오던 ‘교과 과정’

이라는 용어를 ‘교육 과정’으로 바꾸고, ‘과외 활동’이라는 의미로 ‘특별 활동’이 공식적인 교육 과정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나) 개념 정의의 문제

특별 활동이란 용어의 사전적 정의를 찾아보면, 우리나라의 교육학 대사전에는

‘종래 과외 활동이라고 불리어 오던 학생 활동에 대한 호칭으로서, 8·15 광복 후 처음으로 제정한 우리나라의 교육 과정에 생활 영역의 과정으로 과해진 것’

으로 되어 있다. 일본의 평범사에서 발행한 교육할 사전에서는 ‘제2차 세계 대 전 후 일본의 문부성이 종래의 과외 활동이라는 호칭에 대신하여 새로이 정한 생도 활동에 대한 호칭’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사전에서는 특별 활동을 ‘학생들의 과외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특별 활동의 성격2)

특별 활동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다.

첫째, 특별 활동은 교육 과정의 한 분야로서 교과 활동과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둘째, 특별 활동은 학생들의 자발적이고 자율적인 활동에 바탕을 둔다.

셋째, 특별 활동은 집단을 단위로 하는 활동이다.

2) 교육부,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계정안(교육부 유인물),1997. p.200

나. 특별 활동의 목표

일반적으로, 특별 활동을 통해서 달성하려고 하는 것은 나라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전인 교육의 측면에서 학생의 자율 능력, 변화하는 사회에 대한 적응력, 원만 한 인간 관계, 특기의 신장과 계발, 의지력 및 공동체 의식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제7 차 교육 과정에서는 특별 활동의 목표를, 사회의 변화와 교육 내·외적 요구에 부응 하여 전인 교육 이념에 바탕을 두고 민주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학생의 자치·자율 능력,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 협동심과 원만한 인간 관계 형성 능력, 잠재력과 특기의 신장·계발, 봉사 활동을 통한 공동체 의식의 함양, 심신 단련을 통 한 인내심과 의지력 배양, 학교와 지역 사회, 나아가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집 단 의식, 책임감, 협동 정신을 함양하는 데 그 중점을 두고 설정하였다.3)

〈표-1〉특별활동의 총괄표

(총괄 목표)

다양하고 건전한 집단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개성과 소질을 계발, 신장하고, 공동체 의식과 자율적인 태도를 기름으로써 민주 시민으로서의 기본적인 자질을 함양한다.

〈표-2〉특별활동의 하위 목표

3) 한국교원대학교 특별활동 개정 연구 위원회, 제7차 특별활동 교육과정 개정연구, 1997, p.164

(하위 목표)

다. 특별 활동의 내용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