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통행시간가치 산정방법의 산정기준별 비교분석

통행효용함수에서 다음 식 (4)과 같은 기울기를 한계대체율이라 하며, 각 변수 에 대한 한계효용의 비로 나타낼 수 있다.

 



 



(4) ∂V/∂t : 통행시간에 대한 한계효용 ∂V/∂t : 통행비용에 대한 한계효용

즉, 통행시간가치는 각 변수에 대한 한계효용의 비( ββ2

1

)로 구해질 수 있다.

이처럼 한계대체율법은 개인에 행태에 기초하므로 사적통행, 비업무 통행의 시간가치를 산출하는데 적용된다.

2) 통행시간가치 산정방법의 산정기준별 비교분석

- 산출식 : 

통근시간분의변화에따른주택가격상승분 통근비용의변화에따른주택가격상승분

주택가격에 의한 산정방법은 출근통행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전체적 통행시간 가치를 고려하기에 불충분한 단점을 지니며, 대표적인 연구로는 통행자가 직면 하는 통행수단, 통행경로, 주거지 선택상황에 의해 시간가치를 산정하고자 한 Beesley(1965)의 상쇄법과 미국 시애틀 및 미네아폴리스의 부동산 가격을 통해 통행시간가치를 산출한 Maslove(1972)의 연구를 들 수 있다.

(3) 통행분포 모형

비용 접근방법으로 통행배분모형(분포모형)의 거리저항을 일반적인 시간으로 표시할 때 상관계수가 최대가 되는 값을 시간가치로 간주한다.

- 산출식 :

  ⋅





Dij= min .( Dij' + Fij/V⋅Dij'') Tij : 분포교통량

Ti, Tj : 발생 및 도착교통량 Dij : 시간거리

Fij : 통행료 V : 통행시간가치

통행분포모형에 의한 산정방법은 시간가치의 변화에 따른 상관계수의 변화가 민감하지 않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4) 수단경로선택 모형

비용 접근방법으로 설명변수로서 비용과 시간을 포함하여 로짓모형(Logit Model)을 추정하며, 양자의 계수의 비를 시간가치로 본다.

- 산출식 :

  ⋅

  ⋅

  

: 선택확률, : 통행비용

: 통행시간, : 통행시간가치

수단경로선택모형에 의한 산정방법은 집계 데이터의 경우 집계에 대한 타당성 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통행자가 직면하는 통행수단, 통행경로, 주거지 선택상황 에 의해 시간가치를 산정하고자 한 Beesley(1965)의 상쇄법과 순수통행시간가치 의 안락 및 편의성을 구별하였던 Lisco(1967) 연구, 뉴욕과 38개 도시와의 통행을 항공, 철도, 버스에 대한 통행수단선택모형을 이용하여 통행시간의 가치를 추정 한 Gronau(1970)의 연구를 들 수 있다.

(5) 전환율 모형

비용 접근방법으로 비용차와 시간차를 나타내는 전환율 곡선을 미분하여 시간 가치 분포를 구하고 그 대표치를 정한다.

- 산출식 : 



⋅⋅

  

  ⋅

P : 전 환 율, S : Shift율 X : 요금/시간차, T: 시간차

전환율모형에 의한 산정방법은 분포형에 대한 의문과 대표치 결정방법의 문제 를 갖고 있다.

(6) 주행속도선택모형

비용 접근방법으로 차량의 총운행비용을 시간비용과 주행비용으로 나타낼 때, 운전자는 총비용을 최소화하는 속도를 선택한다는 가정에서 시간가치를 산출한다.

- 산출식 :

′  



 이 될 때   ⋅ 



C : 차량운행비용, N : 교통량 Z' : 도 로 특 성, S : 희망속도

V : 통행시간가치

주행속도선택모형에 의한 산정방법은 운전자가 주행비용에 민감하게 반응 한 다는 전제가 지니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7) 전환가격모형

비용 접근방법으로 통행경로간의 전환가격을 비용차에 포함시키는 경우, 비용 차와 시간차의 회귀분석으로부터 시간가치를 구한다.

- 산출식 : 



  

⋅

 : 전환가격, : 비용, : 시간 첨자 : 이용경로, 첨자 : 대체경로

: 통행시간가치

전환가격모형에 의한 산정방법은 전환가격에는 습관효과가 내포되어 있어 단순 한 선형모형에서는 습관효과가 과대평가될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전환가격모형은 보행시간, 기다리는 시간, 통행수단내의 시간의 가치를 다르게 평가한 Quamby(1967)의 연구 및 시간과 비용의 상쇄관계(trade-off)에 착안하여 시 간가치를 산출하고 있다는 점에서 靑山(1981)의 연구와 부분적으로 유사하다.